KR100756116B1 - 모종 이식 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116B1
KR100756116B1 KR1020060025234A KR20060025234A KR100756116B1 KR 100756116 B1 KR100756116 B1 KR 100756116B1 KR 1020060025234 A KR1020060025234 A KR 1020060025234A KR 20060025234 A KR20060025234 A KR 20060025234A KR 100756116 B1 KR100756116 B1 KR 10075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mplant
seedling
transplant
im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208A (ko
Inventor
구니미쯔 마끼하라
가즈끼 야마우찌
요시히데 미야니시
다꾸야 오까모또
노보루 히가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925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82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3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958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7002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가로로 긴 이식 프레임에, 후방부에 이식 기구(4)를 장비한 이식 케이스의 전단부를 후방 방향 편측형으로 연결하고, 이식 케이스의 전방부에 가로 설치한 입력축과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에 가로 설치된 이식 구동축을 케이스 내의 전동 수단을 거쳐 연동 연결한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에 있어서, 이식 케이스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식 케이스(8)를 일체 성형한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식 케이스(8)에서의 이식 프레임(6)에 대한 전단부 연결부와 입력축(20)의 저널 부위 사이에 위치시켜, 이식 케이스 내를 전후로 구획하는 격벽(8d)을 일체 형성하여,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 개구단부를 덮개 커버(46)로 폐색한다.
이식 기구, 이식 프레임, 이식 케이스, 격벽, 덮개 커버, 체인 전동 기구, 돌조

Description

모종 이식 장치{SEEDLING TRANSPLANTING DEVICE}
도1은 모종 이식 장치의 측면도.
도2는 모종 이식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3은 이식 케이스의 측면도.
도4는 이식 케이스의 종단 측면도.
도5는 이식 케이스의 횡단 평면도.
도6은 조립 부착 행정의 설명도.
도7은 이식 케이스의 후단부면도.
도8은 클러치의 조작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 배면도.
도9는 이식 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10은 회전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1은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의 (a) 내측면도, (b) 단면도 및 (c) 외측면도.
도12는 이식 구동축으로의 회전 케이스의 조립 부착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3은 갈고리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4는 체인 긴장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a)와 종단 정면도 (b).
도15는 체인 긴장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6은 다른 실시예의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이식 기구
6 : 이식 프레임
7 : 피드 케이스
8 : 이식 케이스
8d : 격벽
8g : 후방부 개구단부
9 : 이식 구동축
20 : 입력축
21 : 체인 전동 기구
25 : 체인 긴장기
46 : 덮개 커버
49 : 드레인 플러그
50 : 돌조
51 : 계지부
d : 드레인 구멍
본 발명은 승용형의 모내기 기계의 후방부에 연결 지지된 모종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부에 이식 기구를 장비한 이식 케이스에 특징을 갖는 모종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종 이식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평10-164920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이식 프레임에 피드 케이스를 연결하는 동시에, 후방부에 이식 기구를 장비한 이식 케이스의 전단부를 이식 프레임에 후방 방향 편측형으로 연결하여, 피드 케이스로부터 취출된 횡축 동력을 이식 케이스의 전방부에 가로 설치한 입력축으로 전달하고, 이 입력축과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에 가로 설치된 이식 구동축을 케이스 내의 전동 수단을 거쳐 연동 연결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국 제2707727호 특허 공보(이하,「특허 문헌 2」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식 케이스를 일체 성형한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이 이식 케이스의 전방부를 피드 케이스의 횡측 단부에 연결하여, 피드 케이스로부터의 횡축 동력을 이식 케이스로 전달하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가로로 긴 이식 프레임에 피드 케이스와 이식 케이스를 연결한 구조는, 이식 케이스의 수와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각종 이식 줄 수의 모종 이식 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피드 케이스나 이식 케이스를 공용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서는, 이식 케이스를 좌우 분 할 구조로 구성하여, 그 한쪽의 분할 케이스 부분의 전단부를 이식 프레임에 연결하는 동시에, 이 분할 케이스 부분에 다른 쪽의 분할 케이스 부분을 접합하여 볼트 체결 연결하고 있다.
이식 케이스에는, 내장된 전동 수단을 윤활하기 위해 윤활유가 충전 혹은 저장되므로, 이 윤활유가 논으로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이식 케이스에는 엄중한 유밀 밀봉을 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분할 구조의 이식 케이스에 있어서는, 좌우 분할 케이스 부분의 접합부 전체 둘레가 밀봉 부위가 되므로, 이식 케이스의 외주를 작은 피치로 볼트 체결 접합하게 되어, 볼트 연결 부위가 많아져 조립에 수고가 들뿐만 아니라, 다수의 볼트를 위해 이식 케이스 중량이 많아지는 것이었다.
이식 케이스의 경량화를 도모하여 조립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식 케이스를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이식 프레임에 이식 케이스를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통 형상으로 일체 성형한 이식 케이스의 전방부 개구단부를 이식 프레임에 연결 지지하게 되어, 이식 케이스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해 이식 프레임과 이식 케이스와의 연결부에 밀봉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이식 프레임과 이식 케이스와의 연결부는 이식 케이스의 중량 부하나 이식 기구로부터의 이식 반력이 집중하여 작용하는 부위로, 연결 부위에 변형이나 왜곡이 발생하여 밀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식 케이스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구성은,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이며,
가로로 긴 이식 프레임과, 이식 케이스와, 상기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에 장비된 이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식 케이스의 전단부가 상기 이식 프레임에, 후방 방향 편측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내기 기계의 기체(機體)로부터 취출된 동력이, 상기 이식 케이스의 전방부에 가로 설치된 입력축으로 전달되고, 이 입력축과 상기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에 가로 설치된 이식 구동축이 이식 케이스 내에 마련된 전동 수단을 거쳐서 연결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식 케이스가 일체 성형된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이식 케이스의 상기 이식 프레임과의 전단부 연결부와 상기 입력축의 저널 부위 사이에, 이식 케이스 안을 전후로 구획하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 개구단부가 덮개 커버로 폐색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식 케이스의 전후로 가로 설치되는 입력축과 이식 구동축의 저널부를 밀봉링 등으로 밀봉하는 동시에,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 개구단부를 덮개 커버로 폐색함으로써, 전동 수단을 수용한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게다가, 후방부 개구단부의 개구 면적은 작은 것이므로, 여러 개의 볼트 체결만으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전동 수단을 내장하는 전동실의 전방벽이 되는 격벽은 보강 리브로서 기능하여, 이식 케이스의 전단부측의 강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이식 프레임에 대한 이식 케이스의 연결 강도가 높은 것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이식 케이스를 통 형상으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전동 수단이 상기 이식 구동축을 감속 구동하는 체인 전동 기구로 구성되어, 상기 이식 케이스의 상단변이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이식 케이스의 하단변이 이식 구동축의 근방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모종 이식 장치에 있어서는, 이식 케이스의 아래쪽에 플로트 지지 아암이 전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이 플로트 지지 아암의 후단부에 정지(整地) 플로트가 피봇 연결되어 있고, 플로트 지지 아암을 요동하여 이식 케이스에 대한 정지 플로트의 상대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논 바닥에 대한 이식 기구의 높이를 변경하여 이식 깊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단변이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이식 케이스의 아래쪽에는 이식 구동축의 근방을 제외하고 상하로 큰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하에 높은 공간에서 플로트 지지 아암을 상하 요동시킴으로써 정지 플로트의 피봇 연결점을 상하로 크 게 위치 변경하여 이식 깊이 조절 범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전동 수단이 체인 전동 기구로 구성되어, 이 체인 전동 기구에 구비된 띠판형의 체인 긴장기의 전단부가 이식 케이스의 내부에 일체 형성된 계지부에 위치 결정 계지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체인 긴장기를 이식 케이스의 후단부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케이스 내의 계지부에 체인 긴장기의 전단부을 계지하는 것만으로, 체인 긴장기를 적절하게 위치 결정하여 전동 체인에 작용시킬 수 있어, 체인 긴장기의 조립 부착이 용해지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4 및 제5 특징 구성은, 상기 덮개 커버에 드레인 플러그의 탈착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 구멍이 마련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식 케이스 자체에 드레인 구멍을 마련하면, 드레인 구멍의 주변에 있어서 이식 케이스의 강도가 저하되지만, 덮개 커버에 드레인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이식 케이스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 체인 긴장기의 후단부가 상기 드레인 플러그의 선단부로 지지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체인 긴장기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품이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의 절감 및 경량화에 유효해진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상기 이식 케이스에서의 후방부 개구단부의 외주에, 상기 덮개 커버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돌조부가 마련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식 케이스의 후방부 개구단부와 덮개 커버와의 접합 면에 액상의 밀봉제를 도포하여 덮개 커버를 볼트 체결 연결하는 경우, 볼트의 체결에 의해 접합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밀봉제가, 덮개 커버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돌조로 막아내어져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저지되어, 비어져 나온 밀봉제에 의해 외관이 손상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돌조로 막아내어 저류된 밀봉제가 고화함으로써 밀봉성이 높아지게도 된다.
그런데,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에 구비된 이식 기구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된 좌우 한 쌍의 분할 케이스 부분을 접합 연결하여 구성된 회전 케이스를 갖는 것이 있다. 이 회전 케이스 중 이식 케이스로부터 떨어진 외측의 분할 케이스 부분의 중심부가, 이식 케이스로부터 돌출 설치된 이식 구동축에 연결된다. 이 경우, 회전 케이스와 이식 구동축과의 연결부에는 이식 구동 부하가 크게 작용하므로, 회전 케이스에서의 외측의 분할 케이스 부분에 이식 구동축이 삽입 연결되는 보스부를 마련하는 동시에, 이 보스부와 주위벽에 이어지는 직선 리브를 케이스 내면에 마련하여 회전 케이스와 이식 구동축과의 저널 연결부의 강도를 높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직선 리브가 보스부에 대하여 대각 형상으로 마련된 것이므로, 회전 케이스와 이식 구동축과의 연결 부위에서의 주위 방향에서의 응력의 확산 특성에 차이가 생기기 쉬워, 회전 케이스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직선 리브의 두께나 높이를 크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직선 리브의 두께나 높이를 국부적으로 크게 하면, 분할 케이스 부분을 다이캐스트 성형할 때에서의 냉각 분포 특성이 저하되어 잔류 응력이 발생하기 쉬워져, 잔류 응력 제거를 위해 정성들여 열처리를 하는 등의 후처리가 필요해져 회전 케이스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상술한 과제 외에 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상기 이식 기구에 있어서, 이식 갈고리를 구비한 갈고리 케이스가, 2개로 나뉜 구조로 구성된 회전 케이스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저널 장착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에 내장된 부등속 기어 전동 기구와 상기 갈고리 케이스가 연동 연결되어, 상기 회전 케이스의 일정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갈고리 케이스가 회전 케이스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부등속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를 회전 구동하는 이식 구동축이 삽입 연결되는 저널 연결부가 회전 케이스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 저널 연결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 리브가 회전 케이스의 내면 또는 외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부하 응력이 집중하는 저널 연결부가 링 형상 리브로 둘러싸임으로써,
저널 연결부의 전방향으로의 응력 확산이 대략 균일해져, 특히 링 형상 리브를 두텁게 하거나 높게 하지 않더라도 저널 연결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링 형상 리브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성형하는 경우에 저널 연결부부근에서의 용융 소재의 유동을 원활화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쉬워, 냉각 분포 특성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잔류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잔류 응력 제거용의 열처리 등의 후처리를 특히 정성들여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저널 연결에 관계되는 보강용 리브의 패턴을 합리적으로 개선함으로 써, 제조 비용을 높이는 일없이 원하는 강도를 구비한 회전 케이스를 얻을 수 있다.
도1에, 승용 모내기 기계의 후방부에 연결 장비되는 모종 이식 장치(1)의 측면이, 또한 도2에 그 주요부의 평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모종 이식 장치(1)는 6줄 이식 사양으로 구성된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좌측의 주행 기체에 구비된 승강 링크 기구(2)의 후단부 하부에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6줄분의 매트형 모종을 장착하여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 횡 이동되는 모종의 묘대(3), 이 모종의 묘대(3)의 하단부로부터 1주분씩 모종을 잘라내어 논 바닥(T)에 이식해 가는 6세트의 회전식 이식 기구(4), 논 바닥(T)의 이식 부위를 2줄분씩 평탄화하도록 병렬 배치된 3개의 정지 플로트(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모종 이식 장치(1)의 전방측 하부에는 알루미늄재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좌우로 긴 각이진 통 형상의 이식 프레임(6)이 장비되어, 이 이식 프레임(6)이 상기 승강 링크 기구(2)의 후단부 하부에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식 프레임(6)의 좌우 중간부에, 주행 기체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피드 케이스(7)가 연결되는 동시에, 이식 프레임(6)의 좌우 중앙부와 좌우 양단부 부근에 3개의 이식 케이스(8)가 후방 방향 편측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에는 이식 구동축(9)이 관통하여 가로 설치되어 있고, 각 이식 구동축(9)의 좌우단부에 상기 이식 기구(4)가 2세트씩 장착되어 있다.
이식 기구(4)에는, 상기 이식 구동축(9)의 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이식 구동축(9)의 축심 p 주위에 일체 회전하는 회전 케이스(10)와, 이 회전 케이스(10)에서 의 양단부의 횡 외측에 횡축심(q) 주위에 자전 가능하게 저널된 갈고리 케이스(11)가 구비되어 있고, 각 갈고리 케이스(11)에는 이식 갈고리(12)와 모종 압출구(13)가 장비되어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상기 회전 케이스(10)가 이식 구동축(9)에 의해 전진 회전 방향(도1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정속으로 1회전되는 데 연동하여, 갈고리 케이스(11)가 회전 케이스(10)에 내장된 부등속 기어 전동 기구(53)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부등속으로 1회전 자전되어, 이에 의해 이식 갈고리(12)가 모종의 묘대(3) 하단부의 모종 취출구와 논 바닥에 걸친 세로로 긴 선단부 회전 궤적(S)을 그려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식 갈고리(12)가 모종의 묘대(3)의 하단부로부터 잘라내어 보유 지지한 모종을 논 바닥으로 반입하는 시점에서 모종 압출구(13)가 갈고리끝 측으로 돌출 작동하여, 보유 지지한 모종을 이식 갈고리(12)로부터 분리하여 땅속으로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의 전방부 아래쪽에는 플로트 지지점 축(15)이 옆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이식 프레임(6)의 양단부에 구비한 브래킷(6a)에 지지되어 있고, 이 플로트 지지점 축(15)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3세트의 플로트 지지 아암(16)의 후단부에, 정지 플로트(5)가 지지점(a) 주위에 각각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피드 케이스(7)에는 도시하지 않은 좌측의 주행 기체로부터 취출된 작업용 동력이 축 전달되고, 이 피드 케이스(7)에 전달된 동력으로 모종의 묘대(3)가 횡 이송 구동되는 동시에, 그 스트로크 단부마다 모종의 묘대(3)에 구비한 모종 이 송 벨트(17)가 일정 피치씩 이송 구동된다. 피드 케이스(7)의 후방부로부터 취출된 횡축 동력이 각 이식 케이스(8)의 전방부에 가로 설치 지지된 입력축(20)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그 상세한 구조를 도3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이식 케이스(8)의 전방부에 마련된 보스부(8a)에 상기 입력축(20)이 관통하여 가로 설치되어 베어링 지지되는 동시에,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에 마련된 보스부(8b)에 상기 이식 구동축(9)이 관통하여 가로 설치되어 베어링 지지되어, 이들 입력축(20)과 이식 구동축(9)이 체인 전동 기구(21)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체인 전동 기구(21)에는 입력축(20)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킷(22), 이식 구동축(9)에 장착된 종동 스프로킷(23), 이들에 걸쳐 권취된 전동 체인(24), 및 전동 체인(24)의 느슨함을 흡수하는 체인 긴장기(2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식 구동축(9)이 입력축(20)에 대하여 2분의 1의 회전 속도로 감속 구동되도록, 종동 스프로킷(23)이 구동 스프로킷(22)의 2배의 피치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은 입력축(20)에 대하여 헐거운 끼움 지지되는 동시에, 토크 리미터(26)를 거쳐서 입력축(20)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토크 리미터(26)는 입력축(20)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된 클러치 부재(27), 이 클러치 부재(27)를 구동 스프로킷(22) 측으로 슬라이드 압박하는 토크 스프링(28) 및 클러치 부재(27)와 구동 스프로킷(22)의 대향 부위에 마련된 캠 결합부(2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상 시에는, 스프링 압박된 클러치 부재(27)가 캠 결합부(29)의 결 합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22)과 일체화되어, 입력(20)의 회전 동력이 클러치 부재(27)를 거쳐서 구동 스프로킷(22)으로 전달되지만, 구동 스프로킷(22)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가 토크 스프링(28)의 스프링압으로서 규제된 설정 토크보다 커지면, 캠 결합부(29)에 있어서 올라앉음이 발생하여 클러치 부재(27)가 토크 스프링(28)에 저항하여 후퇴 변위되어, 클러치부(27)로부터 구동 스프로킷(22)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과대한 부하 토크가 이식 기구 구동계에 작용하는 것이 미연에 회피된다.
또, 체인 전동 기구(21)의 조립 부착 시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케이스(8)를, 그 전단부가 하향이 되는 기립 자세로 한 상태에서, 케이스 내로 현수한 전동 체인(24)의 하단부 루프부에 구동 스프로킷(22)을 지지하고, 다음에 입력축(20)에 토크 리미터(26)의 클러치 부재(27), 토크 스프링(28), 및 스프링 받침 와셔(30)를 먼저 조립한 축 조립 애시를 대경측의 보스부(8a)로부터 삽입하고, 그 후 좌우의 보스부(8a)에 베어링(31), 오일 밀봉(32), 베어링 밀봉 커버(33) 등을 장착하여 입력축(20)을 밀봉 상태로 베어링 지지하다.
상기 종동 스프로킷(23)은 이식 구동축(9)에 대하여 헐겁게 끼움 지지되는 동시에, 클러치(35)를 거쳐서 이식 구동축(9)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35)는, 이식 케이스(8)마다 2줄 단위로 이식 기구(4)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이며, 논두렁(畦際) 근처에서 전체 이식 줄 수보다 적은 줄 수에서의 이식을 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 클러치(35)는, 이식 구동축(9)에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된 클러치 부재(36), 이 클러치 부재(36)를 종동 스프로킷(23) 측으로 슬라이드 압박하는 스프링(37), 및 클러치 부재(36)와 종동 스프로킷(23)과의 대향 부위에 마련된 갈고리 맞물림부(3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상의 이식 작업 상태에서는, 스프링 압박된 클러치 부재(36)가 갈고리 맞물림부(38)를 거쳐서 종동 스프로킷(23)과 일체화되어, 체인 전동 기구(21)를 거쳐서 종동 스프로킷(23)으로 전달된 회전 동력이 클러치 부재(36)를 거쳐서 이식 구동축(9)으로 전달된다. 클러치 부재(36)를 스프링(37)에 저항하여 후퇴 변위시켜 갈고리 맞물림부(38)에서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종동 스프로킷(23)으로부터 이식 구동축(9)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이 이식 구동축(9)으로 구동되는 이식 기구(4)가 중지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35)에서의 클러치 부재(36)의 주부에는 축심 방향에 면하는 올라앉음 경사 캠(36a)이 구비되어 있고, 이식 케이스(8)에 전방으로부터 관통 장착한 클러치 조작 핀(39)을, 클러치 온 위치에서 회전하고 있는 클러치 부재(36)에서의 올라앉음 경사 캠(36a)의 회전 궤적 내로 돌입시키면, 일정 위치에 있는 클러치 조작 핀(39)과 올라앉음 경사 캠(36a)과의 상대 회전에 의한 캠 작용으로 클러치 부재(36)가 스프링(37)에 저항하여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강제 이동되어, 이식 구동축(9)이 소정의 회전 위상에 있어서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35)의 클러치 오프 작동에 의해 이식 구동축(9)이 정지하는 회전 위상은, 회전 케이스(10)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이식 갈고리(12)의 각각이 논 바닥(T)으로 돌입하지 않는 위치에 상당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36)와 종동 스프로킷(23)이 맞물리는 회전 위상도 회전 방향 일정 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클러치 조작 핀(39)을 뽑아내는 클러치 온 조작이 이루어져도, 이식 구동축(9)이 일정한 회전 위상에 이르러 비로소 갈고리 맞물림부(38)가 맞물리게 되어, 각 이식 케이스(8)의 클러치(35)가 전부 온이 된 모든 줄 이식 상태에서는, 전체부의 이식 기구(4)가 동일한 타이밍에서 이식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핀(39)은 이식 케이스(8) 상부에 가로 방향의 지지점(b)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된 클러치 조작 아암(40)의 일단부에 결합 연동되는 동시에, 클러치 조작 아암(40)은 지지점(b)에 장착한 비틀림 스프링(41)에 의해 핀 인출 방향(클러치 온 방향)으로 요동 압박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아암(40)에는 비틀림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아암(43)이 장착되어 있고, 기체 운전부로부터 조작되는 조작 와이어(42)의 내측단부가 탄성 아암(43)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42)를 당겨 조작하여 클러치 조작 아암(40)을 비틀림 스프링(41)에 저항하여 요동시킴으로써, 클러치 조작 핀(39)이 돌입 조작되어 클러치(35)가 오프 조작된다. 또, 조작 와이어(42)를 당겨 조작한 타이밍에 따라서는, 클러치 조작 핀(39)이 올라앉음 경사 캠(36a)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올라앉음 경사 캠(36a)의 회전 궤적 내로 돌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는 탄성 아암(43)이 비틀림 변형되어 와이어 스트로크를 흡수하고, 올라앉음 캠(36a)의 회전 궤적 내로 클러치 조작 핀(39)이 돌입할 수 있는 회전 위상까지 클러치 부재(36)가 회전한 시점에서, 탄성 아암(43)의 비틀림 복원력으로 클러치 조작 아암(40)이 요동되어 클러치 조작 핀(39)이 돌입 조작되게 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케이스(8)에 내장된 체인 전동 기구(21)에서의 전동 체인(24)은 그 아래쪽 경로가 이완 측 경로로 되어 있다. 이 이완 측 경로에 작용하는 체인 긴장기(25)는 띠 형상의 판 스프링재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 체인(24)에 아래쪽으로부터 탄압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전후 단부가 개구된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며, 이식 프레임(6)에 대한 연결부가 되는 케이스 전단부(8c)와 입력축(20)의 저널 부위 사이에 위치시켜, 이식 케이스 내를 전후로 구획하는 격벽(8d)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8d)은 구동 스프로킷(22)에 권취된 전동 체인(24)에 근접하는 부분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격벽(8d)의 후방 공간이 체인 전동 기구(21)를 수용하는 전동용 공간(R)으로 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에서의 케이스 전단부(8c)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하의 벽면과 격벽(8d)에 이어지는 리브(8e)가 형성되어 상하 및 좌우로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케이스 전단부(8c)는 이식 프레임(6)의 높이와 대략 동등한 높이를 갖는 동시에, 큰 횡 폭을 갖는 전방 확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식 프레임(6)의 후방면에 큰 좌우폭을 갖고 안정되게 접촉되어, 그 상하 좌우에 있어서 관통 볼트(45)에 의해 이식 프레임(6)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전단부(8c)의 상단변의 좌우 중앙 부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8f)가 일체 형성되어, 이 돌기(8f)를 이식 프레임(6)의 표면에 결합함으로써, 이식 프레임(6)에 대한 이식 케이스(8)의 위치 결정, 및 하중의 지지가 행해 지도록 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 개구단부(8g)에는 판금 프레스 구조의 덮개 커버(46)가 접합되고, 상하 좌우의 볼트(47)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체인 전동 기구(21)를 수용하는 전동용 공간(R)의 후단부가 폐색되어 있다. 체인 전동 기구(21)는 전동용 공간(R)에 저류된 윤활유에 의해 오일 배쓰(oil bath) 윤활되는 것이며, 덮개 커버(46)의 상부에 마련된 주유 구멍(c)으로부터 윤활유의 보급, 덮개 커버(46)의 하부에 마련된 드레인 구멍(d)으로부터의 배유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주유 구멍(c)은 수지로 된 캡(48)의 탈착에 의해 개폐되는 동시에, 드레인 구멍(d)은 드레인 플러그(49)의 탈착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 개구단부(8g)의 외주에는 덮개 커버(46)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돌조(50)가 형성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 개구단부(8g)와 덮개 커버(46)와의 접합면에 액상의 밀봉제를 도포하여 덮개 커버(46)를 볼트 체결 연결하는 경우, 볼트(47)의 체결에 의해 접합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밀봉제가 돌조(50)로 막아내어져 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저지되어, 비어져 나온 밀봉제에 의해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회피된다. 또한, 돌조(50)로 막아내어 저류된 밀봉제가 고화함으로써 접합 부위의 밀봉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케이스(8)의 상단변이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데 대하여, 이식 케이스(8)의 바닥 벽은 후방측만큼 낮은 3단의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동용 공간(R)이 성형될 때의 내부 금형의 빼냄이 쉬운 후방 확대로 되어 있다.
높이가 다른 형상의 바닥 벽에 형성된 전방의 단차(e)는 작은 것으로, 여기에 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의 계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5l)에 상기 체인 긴장기(25)의 전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체인 긴장기(25)의 전방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다. 체인 긴장기(25)의 후단부는 갈고랑이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 후단부가 상기 드레인 플러그(49)에 의해 전방에 접촉 압박됨으로써, 체인 긴장기(25)가 산형 굴곡 상태로 전동 체인(24)에 하방으로부터 압박되도록 되어 있다.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는 대경의 종동 스프로킷(23)을 수용하기 위해 큰 상하 폭이 필요하며, 높이가 다른 형상의 바닥 벽에 형성된 후방의 단차(f)는 큰 것이 되어, 이식 케이스(8)의 하단변은 이식 구동축(9)의 근방에 있어서 크게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큰 단차(f)의 전방에 있어서는, 이식 케이스(8)의 아래쪽에 높은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상기 플로트 지지 아암(16)의 후단부, 즉 정지 플로트(5)의 지지점(a)이 큰 단차(f)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정지 플로트(5)의 지지점(a)을 상하로 크게 위치 변경하여 이식 깊이 조절 범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식 케이스(8)는, 이식 기구(4)를 지지하여 구동하는 전동 케이스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구나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고, 이하 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각 이식 케이스(8)의 전방부 아래쪽에는 반원형의 오목부(61)가 일체 형성되어, 각 이식 케이스(8)의 오목부(52)에 아래쪽으로부터 플로트 지지점 축(15)이 회 전 가능하게 위치 결정 계입(係入)된다.
각 이식 케이스(8)에서의 전후 중간의 상부 횡측에는, 상기 모종의 묘대(3)를 그 경사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브래킷(62)이 볼트 연결되는 동시에, 상하 이동용의 조작 아암(63)의 지지점 축(64)을 계입 보유 지지하는 지지점대(65)가 이식 케이스(8)의 상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종의 묘대(3)는, 그 하단부가 가로로 긴 미끄럼 이동 레일(66)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내어 지지되는 동시에, 이식 프레임(6)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67)의 상부에 모종의 묘대(3)의 배면 상부가,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모종의 묘대 경사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받아내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이동 레일(66)에 연결한 좌우 한 쌍의 지지 금속 체결구(68)로부터 모종의 묘대 경사 방향을 따라서 돌출 설치된 슬라이드 로드(69)가 좌우 양측의 이식 케이스(8)의 각 슬라이드 브래킷(62)에 각각 관통 지지되어 있고, 미끄럼 이동 레일(66)이 슬라이드 로드(69)와 일체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모종의 묘대(3) 전체가 그 경사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 아암(63)의 선단부는 미끄럼 이동 레일(66)의 지지 금속 체결구(68)에 결합되어 있고, 지지점 축(64)을 도시되어 있지 않은 모종 취출량 조절 레버에 의해 회전 조절하여 임의의 위치에 고정 보유 지지함으로써, 모종의 묘대(3)가 그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식 갈고리(12)의 선단부 회전 궤적(S)과 모종의 묘대 하단부와의 중복 값이 변화되어, 아울러 모종 취출량이 변경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각 이식 케이스(8)의 후반 상부에는 일회용 보스(70)가 설치되어 있고, 시비 장치나 약제 살포 장치 등의 농기계(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는 사양에 있어서는, 이 일회용 보스(70)를 이용하여 농기계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볼트 연결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에서의 이식 구동축(9)의 저널부에는, 고정 보스 부재(54)가 동심 형상으로 플랜지 연결되는 동시에, 회전 케이스(10)의 회전 중심부에는 이식 구동축(9)에 헐겁게 끼움 지지된 중심 기어(G0)가 배치되고, 이 중심 기어(G0)가 상기 고정 보스 부재(54)의 선단부 갈고리부(54a)에 맞물려 회전 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케이스(10)의 양단부에는 갈고리 케이스(11)를 플랜지 연결한 갈고리 지지축(5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회전 케이스(10)의 반경 방향 중간 부위에는 중간 지지축(56)이 장비되어 있다. 중간 지지축(56)에는 중간 기어(G1)가 헐겁게 끼움 지지되어 상기 중심 기어(G0)와 상기 갈고리 지지축(55)에 연결한 최종 기어(G2)에 각각 맞물려 있다. 회전 케이스(10)에 조립된 상기 부등속 기어 전동 기구(53)를 구성하는 각 기어(G0, Gl, G2)는 모든 동일 형상의 타원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 케이스(10)가 전진 회전 방향으로 정속으로 회전되면, 고정 중심 기어(G0)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케이스(10)와 함께 이식 구동축(9)의 축심(p) 주위로 공전 이동하는 중간 기어(G1)가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부등속으로 자전한다. 이 중간 기어(G1)의 부등속 회전이 최종 기어(G2)에 부등속으로 역전 전달되어, 최종 기어(G2)와 일체 화된 갈고리 지지축(55)이 회전 케이스(1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부등속으로 자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회전 케이스(10)가 전진 회전 방향으로 정속으로 1회전하면, 이것에 동조하여 갈고리 케이스(11)가 역방향으로 부등속으로 한 번 자전하고, 회전 케이스(10)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이식 갈고리(12)가 각각 세로 길이의 선단부 회전 궤적(S)을 갖고 순환 회전한다. 이에 의해, 회전 케이스(10)의 1회전에 대하여, 회전 케이스(10) 양단부의 이식 갈고리(12)에 의해 2회의 이식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 갈고리 케이스(11)에는 상기 갈고리 지지축(55)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캠축(76)이 동일 코어에 맞대어져 베어링 지지되는 동시에, 양 갈고리 케이스(11)의 각 캠축(76)의 외단부가 스테이(77)의 양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갈고리 케이스(11)가 갈고리 지지축(55)과 일체로 자전 회전하는 데 대하여 각 캠축(76)은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압출구(13)는 갈고리 케이스(11)에 출퇴 슬라이드 가능, 또한 내장된 스프링(78)에 의해 돌출 압박 상태로 장착된 압출 로드(79)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캠축(76)에 의해 아래와 같이 출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갈고리 케이스(11)에는 지지점(r)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구동 레버(80)가 장착되고, 이 구동 레버(80)의 선단부와 압출 로드(79)의 후단부가 링크(81)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구동 레버(80)의 요동에 의해 압출 로드(79)가 출퇴함으로써, 모종 압출구(13)가 갈고리 뿌리측에 위치하는 모종 잘라냄용의 후퇴 위치와, 갈고 리 선단부에 위치하는 압출 작용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캠축(76)에는 구동 레버(80)의 기단부를 조작하는 캠(76a)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케이스(10)가 자전함으로써, 구동 레버(80)의 기단부에 대하여 캠축(76)이 상대 회전하고, 이식 갈고리(12)가 모종의 묘대(3)의 하단부로부터 모종을 잘라내어 논 바닥으로 반입하는 작동 영역에서는 구동 레버(80)의 기단부가 캠(76a)을 올라앉게 되어, 압출 로드(79)가 스프링(78)에 저항하여 후퇴된 위치로 유지된다. 이식 갈고리(12)가 이식 위치까지 하강 이동하여 온 시점에서, 구동 레버(80)의 기단부가 캠(76a)의 함몰 위상에 도달하여, 구동 레버(80)의 캠(76a)으로의 올라앉음이 한번에 해제됨으로써 압출 로드(79)가 스프링(78)에 의해 급속히 돌출 작동하고, 이식 갈고리(12)에 보유 지지된 모종이 모종 압출구(13)에 의해 한번에 밀어내어 논과 밭 내에 남게 된다.
모종 이식을 완료한 이식 갈고리(12)는 상승 작동하여 모종 취출 위치로 이동하지만, 이 상승 작동 사이에, 캠(76a)을 올라탄 구동 레버(80)가 스프링(78)에 저항하여 복귀 요동되어, 압출 로드(79)가 출퇴 복귀된다. 이와 같이, 모종 압출구(13)가 후퇴 작동할 때에는, 구동 레버(80)를 스프링(78)에 저항하여 복귀 요동시키기 위해 큰 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줄 수가 많은 모종 이식 장치(1)에서는, 모든 줄의 이식 기구(4)에서의 모종 압출구(13)가 동시에 후퇴 작동할 때의 피크 부하가 상당히 큰 것이 되어, 이식 작동 사이클에서의 부하의 맥동이 커져 모종 이식 장치(1)가 동요하는, 소위「덜걱거림 작동」이 발생하여, 이식 모종의 자세 혼란의 한 가지 원인이 된다. 그래서, 각 이식 기구(4)에서의 모종 압출구(13)의 압 출 작동 타이밍을 동일하게 하는 동시에, 모종 압출구(13)의 후퇴 복귀 타이밍을 어긋나도록 각 줄에 있어서 캠(76a)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피크 부하의 분산을 도모하여 「덜걱거림 작동」을 억제한 이식 작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복수 줄의 이식 기구(4)의 전부에 있어서 모종 압출구(13)의 후퇴 복귀 타이밍이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산성을 고려하면, 하나의 이식 케이스(8)에서의 좌우의 이식 기구(4)의 모종 압출구 후퇴 복귀 타이밍을 어긋나게 한 것으로 하고, 동일 사양의 이식 케이스(8)를 복수 병렬로 배치한 형태로 실시하면 좋다.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10)의 양단부에는 부등속 기어 전동 기구(53)에 대한 백래쉬(backlash) 흡수 기구(82)가 장비되어 있다. 이 백래쉬 흡수 기구(82)는, 최종 기어(G2)의 갈고리 케이스(11) 측에 인접하여 갈고리 지지축(55)에 스플라인 연결된 캠부(83)와, 지지점 c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캠부(83)에 외주로부터 가압되는 가압 레버(84)와, 이 가압 레버(84)를 캠부(83)를 향해 탄성 압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85)으로 구성되어 있고, 갈고리 지지축(55)이 공전 이동하여 모종의 묘대 하단부의 모종 잘라냄 위치에 가까워지면, 가압 레버(84)에 의해 캠부(83)에 주어지는 탄성 가압력으로 갈고리 지지축(55) 및 갈고리 케이스(11)가 공전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 회전되어, 부등속 기어 전동 기구(53)의 백래쉬가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모종의 묘대(3)의 하단부에 있어서 이식 갈고리(12)가 매트형 모종으로 돌입하는 시점에서는 갈고리 케이스(11)가 돌입 저항으로 백래쉬분만큼 되돌려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식 기구(4)에서의 상기 회전 케이스(1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성형된 좌우의 분할 케이스 부분(10A, 10B)을 접합하여, 그 주변부를 복수의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한 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할 케이스 부분(10A, 10B)의 상세한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이식 케이스(8)로부터 먼 측의 분할 케이스 부분(10A)을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 이식 케이스(8)에 가까운 측의 분할 케이스 부분(10A)을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이라 칭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의 중심부에는 베어링 금속 체결구(86)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 고정한 중심 보스부(87)가 마련되어 있고, 이 베어링 금속 체결구(86)에 이식 구동축(9)이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박아 넣어진 연결 핀(88)이 이식 구동축(9)의 편평 절제부(9a)에 압접됨으로써, 회전 케이스(10)가 이식 구동축(9)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심 보스부(87)는 회전 케이스(10)의 측벽(10a)으로부터 외측으로 각형으로 크게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케이스 내쪽으로도 조금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회전 케이스(10)의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폭을 작게 하면서, 회전 케이스(10)와 이식 구동축(9)을 연결하는 저널부로서의 중심 보스부의 축심 방향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케이스(10)의 폭을 크게 하는 일없이, 회전 케이스(10)와 이식 구동축(9)을 높은 정밀도 및 강도로 연결할 수 있다.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의 내면에는 상기 중심 보스부(87) 외에, 상기 중간 지지축(56)을 내부 끼움 지지하는 중간 보스부(89)와, 상기 갈고리 지지축을 베어링 지지하는 외단부 보스부(90)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중심 보스부(87) 및 중 간 보스부(89)와 주위벽(10b)이 직선 리브(91, 92)로 접속되는 동시에, 중심 보스부(87), 중간 보스부(89), 및 외단부 보스부(90)가 직선 리브(93)로 접속되어 있다.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의 내면에는 중심 보스부(87)를 동심형으로 둘러싸, 종횡 직선 리브(91, 93)와 직교하도록 링 형상 리브(94)가 돌출 설치되고, 중심 보스부(87)에 작용하는 부하 응력이 이들 직선 리브(91, 93) 및 링 형상 리브(94)를 거쳐서 전방향으로 대략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되어 있다.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의 외면에는 중심 보스부(87)와 외단부 보스부(90)를 회전 케이스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직선 리브(9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직선 리브(95)와 케이스 내의 직선 리브(93)는 대략 중복 합치하는 동시에, 케이스 외면의 직선 리브(95)와 케이스 내면의 링 형상 리브(94)가 회전 케이스(10)의 내외로 분리되어 서로 교차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중심 보스부(87)에 작용하는 부하 응력이 이들 직선 리브(95) 및 링 형상 리브(94)를 거쳐서 측벽(10a)으로 확산됨으로써, 회전 케이스(10)의 이식 구동축(9)에 대한 저널 연결부의 강도가 높은 것이 된다. 또, 링 형상 리브(94)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성형하는 경우에 저널 연결부 부근에서의 용융 소재의 유동을 원활화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쉬워, 냉각 분포 특성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잔류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잔류 응력 제거용의 열처리 등의 후처리를 특히 정성들여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높이는 일없이 원하는 강도를 구비한 회전 케이스(10)를 얻을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에서의 외단부 보스부(90)에는, 갈고리 지지축(55)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립이 달린 오일 밀봉부(96)가 박아넣음 장착되어 있다. 외단부 보스부(90)의 선단부가 갈고리 지지축(55)에 구비된 플랜지(55a)의 측면에 근접되는 동시에, 오일 밀봉부(96)의 외부 방향 립(96a)이 플랜지(55a)의 측면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갈고리 지지축(55)의 저널부로부터 회전 케이스(10) 내로의 흙탕물의 침입, 및 회전 케이스(10) 내에 충전된 그리스의 유출이 저지되어 있다.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10B)의 중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중심 보스부(97)가 마련되고, 이 중심 보스부(97)에, 상기 고정 보스 부재(54)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되는 립이 달린 오일 밀봉부(98)가 박아넣음 장착되어 있다. 고정 보스 부재(54)에 구비된 플랜지(54b)의 외측에는, 이식 케이스(8)에 체결 연결되는 통 부재(99)가 배치되어 있다. 이 통 부재(99)의 선단부가 오일 밀봉(98)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오일 밀봉(98)의 외부 방향과 립(98a)이 통부(55)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된다. 이에 의해,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10B)의 중심 저널부로부터 회전 케이스(10) 내로의 흙탕물의 침입, 및 회전 케이스(10) 내에 충전한 그리스의 유출이 저지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보스 부재(54)에서의 선단부측의 베어링 지지 부위(54c)는 오일 밀봉(98)이 미끄럼 접촉 작용하는 중간 밀봉 부위(54d)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오일 밀봉(98)을 장착한 회전 케이스(10)를 이식 구동축(9)에 외부 끼움 장착할 때에, 오일 밀봉(98)의 내경 립이 고정 보스 부재(54)에서의 베어링 지지 부위(54c)에 강하게 접촉하여 손상되는 일이 미연에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과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10B)이 그 주변에 있어서 8개의 볼트(100)의 체결에 의해 접합 연결되어 있고, 백래쉬 흡수 기구(82)의 근방에서의 볼트 배열 피치(P1)가 다른 부위에서의 볼트 배열 피치(P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 배열을 채용함으로써, 백래쉬 흡수 기구(82)의 근방에서의 케이스 접합 강도를 높여, 백래쉬 흡수 기구(82)를 장기간 높은 정밀도로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회전 케이스 전체로서의 볼트 개수를 적게 하면서, 그리스 누설이 없는 분할형의 회전 케이스(10)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회전 케이스(1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과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10B)과의 접합부에서의 내주 각형부가 결여되어 케이스 전체 둘레에 걸친 링 형상 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접합면에 도포된 액상 밀봉이 케이스 접합에 의해 밀어내어 링 형상 홈(101)에 저류하여, 밀봉 성능이 더욱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도10,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과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10B)과의 접합면 근방에는, 서로 작은 간극(d)을 갖고 대향하는 설편(102)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회전 케이스(10)를 분해 정비하는 경우에, 볼트(100)를 제거한 후, 작은 간극(d)으로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비틈으로써 고화한 액상 밀봉으로 강하게 접합된 회전 케이스(10)를, 케이스 접합면을 손 상시키는 일없이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비 후, 다시 회전 케이스(10)를 퍼 올릴 때에 흠집이 없는 접합면을 거쳐서, 외측 분할 케이스 부분(10A)과 내측 분할 케이스 부분(10B)을 높은 밀봉 상태로 접합 연결할 수 있다.
회전 케이스(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 작동하는 상기 갈고리 케이스(11)의 베어링 보스부(103)에도, 캠축(76)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립이 달린 오일 밀봉(60)이 박아넣음 장착되어 있다. 캠축(76)에는 베어링 보스부(103)의 선단부에 근접하여 둘러싸는 접시 형상의 밀봉 커버(105)가 외부 끼움 고정되는 동시에, 오일 밀봉(104)의 외부 방향 립(104a)이 밀봉 커버(105)에 안쪽면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갈고리 케이스(11) 내로의 흙탕물의 침입, 및 갈고리 케이스(11) 내에 충전한 그리스의 유출이 저지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1)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긴장기(25)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편심 캠(71)을, 이식 케이스(8)의 측면에 지지축(72)을 거쳐서 회전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고, 편심 캠(71)을 적당한 회전 위치로 조절하여 더블 너트(73)로 고정함으로써, 전동 체인(24)의 신장에 대응하여 적합한 텐션 조절을 할 수 있다.
(2)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긴장기(25)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내는 지지 아암(74)을 이식 케이스(8)의 측면에 눈금이 달린 조절 노브(75)를 거쳐서 요동 조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이식 케이스(8)마다 격차가 적은 텐션 조절을 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식 케이스(8)의 전후에 가로 설치한 입력축(20)과 이식 구동축(9)을 연동 연결하는 전동 수단으로서 체인 전동 기구(21)를 이용하고 있지만, 베벨 기어(도시하지 않음) 및 이식 케이스(8)를 따라서 내장된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연동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이식 구동축(9)으로 구동되는 이식 기구(4)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식 구동축(9)의 1회전으로 2회의 이식을 행하는 회전식 외에, 이식 구동축(9)의 1회전으로 한 번의 이식을 하는 크랭크식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5)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 형상 리브(94)를 케이스 외면에 형성하여 케이스 내면의 직선 리브(93)와 교차시킴으로써도 부하 응력의 분산을 도모하여 회전 케이스(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식 케이스가 경량화되고, 조립 작업성이 높아지고, 또한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모종 이식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8)

  1. 가로로 긴 이식 프레임(6)과, 이식 케이스(8)와, 상기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에 장비된 이식 기구(4)를 구비하고,
    상기 이식 케이스(8)의 전단부가 상기 이식 프레임(6)에, 후방 방향 편측형으로 연결되고,
    모내기 기계의 기체로부터 취출된 동력이, 상기 이식 케이스(8)의 전방부에 가로 설치된 입력축(20)에 전달되어, 이 입력축(20)과 상기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에 가로 설치된 이식 구동축(9)이 이식 케이스 내에 마련된 전동 수단을 거쳐서 연결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식 케이스(8)가 일체 성형된 전후로 긴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이식 케이스(8)의 상기 이식 프레임(6)과의 전단부 연결부와 상기 입력축(20)의 저널 부위 사이에, 이식 케이스 내를 전후로 구획하는 격벽(8d)이 일체 형성되어, 이식 케이스(8)의 후방부 개구단부(8g)가 덮개 커버(46)로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수단이 상기 이식 구동축(9)을 감속 구동하는 체인 전동 기구(21)로 구성되어, 상기 이식 케이스(8)의 상단변이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이식 케이스(8)의 하단변이 이식 구동축(9)의 근방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전동 기구(21)에 구비된 띠판형의 체인 긴장기(25)의 전단부가, 이식 케이스(8)의 내부에 일체 형성된 계지부(51)에 위치 결정 계지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커버(46)에, 드레인 플러그(49)의 탈착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 구멍(d)이 마련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커버(46)에, 드레인 플러그(49)의 탈착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 구멍(d)이 마련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긴장기(25)의 후단부가, 상기 드레인 플러그(49)의 선단부로 지지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케이스(8)에서의 후방부 개구단부(8g)의 외주에, 상기 덮개 커버(46)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돌조부(50)가 마련되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기구에 있어서, 이식 갈고리(12)를 구비한 갈고리 케이스(11)가, 2개로 나뉜 구조로 구성된 회전 케이스(10)의 양단부에 회전 가 능하게 저널 장착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에 내장된 부등속 기어 전동 기구(53)와 상기 갈고리 케이스(11)가 연동 연결되어, 상기 회전 케이스(10)의 일정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갈고리 케이스(11)가 회전 케이스(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부등속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10)를 회전 구동하는 이식 구동축(9)이 삽입 연결되는 저널 연결부가 회전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 저널 연결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 리브(94)가 회전 케이스(1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모내기 기계의 모종 이식 장치.
KR1020060025234A 2005-09-07 2006-03-20 모종 이식 장치 KR100756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9258A JP4528229B2 (ja) 2005-09-07 2005-09-07 田植機の植付け機構
JPJP-P-2005-00259258 2005-09-07
JPJP-P-2005-00273809 2005-09-21
JP2005273809A JP4359585B2 (ja) 2005-09-21 2005-09-21 田植機の苗植付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08A KR20070028208A (ko) 2007-03-12
KR100756116B1 true KR100756116B1 (ko) 2007-09-05

Family

ID=3810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234A KR100756116B1 (ko) 2005-09-07 2006-03-20 모종 이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1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03A (ja) * 1989-06-02 1991-01-14 Iseki & Co Ltd 移植機の伝動ケース
JPH11299314A (ja) 1998-04-21 1999-11-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苗植付装置
JP2000041433A (ja) 1998-07-28 2000-02-15 Kubota Corp 植付ケース構造
JP2001112312A (ja) 1992-02-21 2001-04-24 Kubota Corp 田植機の苗植付装置
JP2002253013A (ja) 2001-03-06 2002-09-1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のプランタケース構造
JP2003158904A (ja) 2001-11-21 2003-06-03 Iseki & Co Ltd 苗植付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03A (ja) * 1989-06-02 1991-01-14 Iseki & Co Ltd 移植機の伝動ケース
JP2001112312A (ja) 1992-02-21 2001-04-24 Kubota Corp 田植機の苗植付装置
JPH11299314A (ja) 1998-04-21 1999-11-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苗植付装置
JP2000041433A (ja) 1998-07-28 2000-02-15 Kubota Corp 植付ケース構造
JP2002253013A (ja) 2001-03-06 2002-09-1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のプランタケース構造
JP2003158904A (ja) 2001-11-21 2003-06-03 Iseki & Co Ltd 苗植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08A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5718B1 (en) Automatic transmission
JP5462676B2 (ja) 田植機のロータリー式植付け装置
KR100756116B1 (ko) 모종 이식 장치
JP2014087367A (ja) 田植機のロータリー式植付け装置
JP4359585B2 (ja) 田植機の苗植付け装置
JP5338717B2 (ja) 苗移植機
JP2018110538A (ja) 苗移植機の苗植付装置
JP2011177052A5 (ko)
JP3951680B2 (ja) 苗植付装置
JP3427018B2 (ja) 苗植付装置の横送り機構
DE102020200736B4 (de) Struktur zur installation eines automatischen riemenspanners an einem verbrennungsmotor für ein kraftfahrzeug
KR100694651B1 (ko) 모종이식장치
JP3927708B2 (ja) 田植機の植付装置
KR100730666B1 (ko) 보행형 수전 작업기
JP5179948B2 (ja) 植付作業装置
CN100415072C (zh) 插秧装置
JP4681418B2 (ja) 歩行型田植機の植付け機構
CN113747784B (zh) 农田作业机
JP4999110B2 (ja) 植付作業装置のフレーム構造
DE102020200743B4 (de) Struktur zur installation eines automatischen riemenspanners an einem verbrennungsmotor für ein kraftfahrzeug
JP4396104B2 (ja) 苗植付装置
JP4442099B2 (ja) 苗植付装置
JP2004073106A (ja) 作業車
JP2006304648A (ja) 田植機の代掻き用回転体
JP2988467B2 (ja) 苗植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