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021B1 -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021B1
KR100756021B1 KR1020060075005A KR20060075005A KR100756021B1 KR 100756021 B1 KR100756021 B1 KR 100756021B1 KR 1020060075005 A KR1020060075005 A KR 1020060075005A KR 20060075005 A KR20060075005 A KR 20060075005A KR 100756021 B1 KR100756021 B1 KR 10075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eaning
conveyor
brushes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흥정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흥정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흥정밀화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컨베이어의 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메인컨베이어와 크리닝컨베어어로 구성된다. 크리닝컨베이어는 헤드풀리와 테일풀리에 벨트가 감아 걸려 있으며, 벨트는 테일풀리로부터 헤드풀리를 향하여 이송되어 순환되는 리턴벨트를 갖는다. 크리닝컨베이어는 메인컨베이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리턴벨트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순환되도록 헤드풀리와 테일풀리에 크리닝용 벨트가 감아 걸려 있다. 복수의 브러시들은 크리닝용 벨트에 장착되어 있으며, 리턴벨트에 달라붙어 있는 잔류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컨베이어의 리턴벨트 폭방향으로 크리닝컨베이어의 벨트에 장착되어 있는 브러시들이 크리닝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순환되면서 리턴벨트로부터 잔류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크리닝컨베이어에 의하여 메인컨베이어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제거되는 잔류물을 운반하여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브러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브러시의 장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크리닝컨베이어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크리닝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운반물 4: 잔류물
10: 메인컨베이어 14: 헤드풀리
16: 테일풀리 18: 벨트
18a: 피드벨트 18b: 리턴벨트
20: 구동장치 22: 기어드모터
30: 크리닝컨베이어 34: 헤드풀리
36: 테일풀리 38: 크리닝용 벨트
40: 구동장치 42: 기어드모터
50: 브러시 52: 통로
50a: 외측브러시 50b: 내측브러시
60: 브러시지지부 61: 삽입공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컨베이어의 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반제품, 흙, 모래, 자갈, 광석, 석탄, 시멘트, 슬러리(Slurry) 등 다양한 화물과 재료를 일정한 거리 사이에서 자동으로 연속해서 운반하는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베이어는 벨트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체인컨베이어 등 그 종류와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는 고무, 직물, 철망, 강판 등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고무벨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컨베이어에 의하여 광석, 석탄, 흙, 모래, 시멘트, 슬러리 등의 분체또는 밀가루, 설탕 등의 식품성 분체를 운반할 경우, 컨베이어의 벨트에 달라붙어 잔류된다. 벨트의 표면에 잔류되는 잔류물은 컨베이어의 주위에 떨어져 작업 환경을 저해하며, 컨베이어의 운영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잔류물을 일정한 위치에서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779,024호와 제6,321,586호에는 컨베이어의 벨트로부터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크리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들의 크리닝 장치에는 리턴벨트(Return belt)의 하부에 원통형 브러시(Brush)가 리턴벨트의 폭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러시는 리턴벨트의 표면과 접촉되어 잔류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컨베이어용 크리닝 장치는 브러시에 의하여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토사, 슬러지 등의 잔류물이나 점성을 갖는 콜타르(Coal tar), 아스팔트(Asphalt) 등의 잔류물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원통형 브러시는 리턴벨트와 접촉하는 면의 잔류물을 제거하지만 브러시에 묻어 있던 잔류물이 리턴벨트에 다시 달라붙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브러시가 리턴벨트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에 묻는 잔류물은 별도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리턴벨트로부터 탈락되는 잔류물이 컨베이어의 하부에 퇴적되며, 결국 쌓이는 퇴적물이 리턴벨트와 닿게 되면서 벨트가 이송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컨베이어의 하부에 쌓여있는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컨베이어 하부의 좁은 공간에 쌓여있는 퇴적물을 작업자가 제거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컨베이어의 리턴벨트 폭방향으로 크리닝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하여 리턴벨트와 상시 접촉하는 브러시가 연속적으로 순환되면서 리턴벨트로부터 잔류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리닝컨베이어의 장착되는 브러시의 길이가 다소 길더라도 리턴벨트의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헤드풀리와 테일풀리에 벨트가 감아 걸려 있으며, 상기 벨트는 상기 테일풀리로부터 상기 헤드풀리를 향하여 이송되어 순환되는 리턴벨트를 갖는 메인컨베이어;와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턴벨트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순환되도록 헤드풀리와 테일풀리에 크리닝용 벨트가 감아 걸려 있으며,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테일풀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크리닝컨베이어;와 상기 크리닝용 벨트에 심어져 있으며, 상기 리턴벨트에 달라붙어 있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리턴벨트에 상시 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브러시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브러시는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테일풀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시들 중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외측브러시들의 길이는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브러시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크리닝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광석, 석탄, 흙, 모래, 시멘트, 슬러리 등의 운반물(2)을 운반하는 메인컨베이어(10)와, 메인컨베이어(10)의 청소를 위한 크리닝컨베이어(Cleaning conveyor: 3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컨베이어(10)는 프레임(12), 헤드풀리(Head pulley: 14), 테일풀리(Tail pulley: 16), 벨트(18)와 구동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2)의 양측에 헤드풀리(14)와 테일풀리(16)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헤드풀리(14)와 테일풀리(16)에는 벨트(18)가 감아 걸려 있다. 벨트(18)는 헤드풀리(14)와 테일풀리(16) 사이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피드벨트(Feed belt: 18a)와, 헤드풀리(14)와 테일풀리(16) 사이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리턴벨트(18b)를 갖는다. 벨트(18)의 피드벨트(18a) 위에는 헤드풀리(14)측에서 운반물(2)이 실리고, 피드벨트(18a)에 의하여 이송되는 운반물(2)은 테일풀리(16)측에서 낙하된다. 운반물(2)은 테일풀리(16)측에서 피드벨트(18a) 위에 싣고, 헤드풀리(14)측에서 낙하시킬 수 있다.
헤드풀리(14)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20)는 헤드풀리(14)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 22)로 구성되어 있 고, 기어드모터(22)는 프레임(12)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장치(2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력을 헤드풀리(14)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나 기어전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컨베이어(10)에는 벨트(18)의 장력(Tension)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Tensioner), 헤드풀리(14)와 테일풀리(16)의 접촉각을 크게 하기 위한 스넙풀리(Snub pulley), 벨트(18)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캐리어(Carrier), 아이들롤러(Idle roller)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크리닝컨베이어(30)는 메인컨베이어(20)의 하부에 벨트(18)의 이송방향, 즉 X축 방향과 교차되는 Y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크리닝컨베이어(30)는 메인컨베이어(1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32), 헤드풀리(34), 테일풀리(36), 크리닝용 벨트(38)와 구동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크리닝컨베이어(30)의 크리닝용 벨트(38)는 메인컨베이어(10)의 벨트(18)의 일측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헤드풀리(34)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40)는 헤드풀리(34)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어드모터(42)로 구성되어 있고, 기어드모터(42)는 프레임(32)에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32)의 하부에는 크리닝컨베이어(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레그(Leg: 44)들이 나사(46)의 체결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크리닝컨베이어(30)의 크리닝용 벨트(38)에는 잔류물(4)의 제거를 위한 크리닝수단으로 복수의 브러시(50)들이 심어져 장착되어 있다. 브러시(50)들은 헤드풀리(14)의 하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브러시(50)들은 합성수지, 고무, 금속 등을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베이스(Base)에 심고, 이 베이스를 크리닝용 벨 트(38)에 부착하여 장착될 수 있다. 브러시(50)들은 리턴벨트(18b)의 표면에 상시 접촉되어 리턴벨트(18b)에 잔류하는 잔류물(4)을 제거한다. 크리닝수단은 유연성을 갖는 블레이드(Blade), 스펀지(Sponge)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블레이드와 스펀지는 벨트(38)의 표면에 접착제의 접착, 볼팅(Bolting)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벨트(38)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브러시(50)들은 크리닝용 벨트(38)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크리닝용 벨트(38)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브러시(50)들은 크리닝용 벨트(38)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리닝용 벨트(38)의 중앙에 그 이송방향을 따라 잔류물(4)의 배출을 위하여 브러시(50)들이 장착되지 않는 잔류물 통로(52)가 형성되어 있다. 잔류물 통로(52)는 필요에 따라 크리닝용 벨트(38)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컨베이어(10)의 기어드모터(22)가 구동되어 헤드풀리(14)가 회전되면, 헤드풀리(14)와 테일풀리(16)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18)가 이송된다. 메인컨베이어(10)의 헤드풀리(14)측에서 벨트(18)의 피드벨트(18a) 위에 실리는 운반물(2)은 벨트(18)를 타고 이송되다가 테일풀리(16)측에서 낙하된다. 이때, 운반물(2) 중 일부는 벨트(18)의 표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테일풀 리(16)를 지나 헤드풀리(14)를 향하게 된다.
한편, 크리닝컨베이어(30)의 기어드모터(42)가 구동되어 헤드풀리(34)가 회전되면, 헤드풀리(34)와 테일풀리(36)에 감아 걸려 있는 크리닝용 벨트(38)가 이송된다. 벨트(38)와 함께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순환되는 브러시(50)들은 리턴벨트(18b)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물(4)을 쓸어내게 된다. 리턴벨트(18b)의 표면으로부터 탈락하는 잔류물(4)은 브러시(50)들 사이의 잔류물 통로(52)에 배출된 후, 크리닝용 벨트(38) 위에 실려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되는 잔류물(4)은 크리닝용 벨트(38)로부터 낙하되어 크리닝컨베이어(30)의 앞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잔류물(4)이 메인컨베이어(10)의 하부에 퇴적되면서 벨트(18)의 이송에 지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작업자는 크리닝컨베이어(30) 앞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메인컨베이어(10)의 측방에 노출되는 크리닝용 벨트(38)와 브러시(50)들에 묻어 있는 잔류물(4)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브러시(50)들은 리턴벨트(18b)들에 상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크리닝컨베이어(30)의 기어드모터(42)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도 리턴벨트(18b)로부터 잔류물(4)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시(50)들은 테일풀리(16)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축선(V)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외측브러시(50a)들과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내측브러시(50b)들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브러시(50a)들의 길이(L1)는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브러시(50b)들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리닝컨베이어(30)는 외측브러시(50a)들과 내측브러시(50b)들 각각의 말단이 리턴벨트(18b)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외측브러시(50a)들과 내측브러시(50b)들의 길이가 같은 경우, 리턴벨트(18b)에 이송방향선단에 선행하여 접촉하는 외측브러시(50a)들이 내측브러시(50b)들보다 마찰 저항을 크게 받고, 벨트(38)의 우측단이 헤드풀리(34)와 테일풀리(36)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예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외측브러시(50a)들의 길이(L1)가 내측브러시(50b)들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외측브러시(50a)들과 내측브러시(50b)들 각각의 말단이 리턴벨트(18b)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크리닝용 벨트(38)의 우측단이 헤드풀리(34)와 테일풀리(36)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측브러시(50a)들과 내측브러시(50b)들은 리턴벨트(18b)의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되고, 크리닝용 벨트(38)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브러시(50)들에 의하여 잔류물(4)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크리닝수단인 브러시(50)가 크리닝용 벨트(38)에 직접 심어지는게 아니 라, 브러시지지부(60)에 심어지는게 특징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크리닝용 벨트(38)의 표면으로부터 브러시(50)의 높이가 약 5cm 이하의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브러시(50)를 크리닝용 벨트(38)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나, 브러시(50)의 길이가 약 5cm 이상일 경우 또는 그 재질이 굵은 경우에는 크리닝용 벨트(38)가 상기 브러시(50)를 지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크리닝용 벨트(38)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기 브러시지지부(60)를 부착하고, 상기 브러시지지부(60)의 상부에 상기 브러시(50)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지지부(60)의 상부에는 브러시(50)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6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61)에 상기 브러시(50)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삽입공(61)의 상부에 상기 다수개의 브러시(50)를 올려놓고 펀칭기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지지부(60)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공(61)방향으로 강하게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브러시(50)가 상기 삽입공(6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공(61)에 상기 브러시(50)가 장착될 때, 상기 브러시(50)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61) 각각의 직하방에서 상기 브러시(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50)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메인컨베이어의 리턴벨트 폭방향으로 크리닝컨베이어의 벨트에 장착되어 있는 브러시가 크리닝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순환되면서 리턴벨트로부터 잔류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크리닝컨베이어의 장착되는 브러시의 길이가 다소 길더라도 리턴벨트의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헤드풀리와 테일풀리에 벨트가 감아 걸려 있으며, 상기 벨트는 상기 테일풀리로부터 상기 헤드풀리를 향하여 이송되어 순환되는 리턴벨트를 갖는 메인컨베이어;와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턴벨트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순환되도록 헤드풀리와 테일풀리에 크리닝용 벨트가 감아 걸려 있으며,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테일풀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크리닝컨베이어;와
    상기 크리닝용 벨트에 심어져 있으며, 상기 리턴벨트에 달라붙어 있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리턴벨트에 상시 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브러시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브러시는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테일풀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시들 중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외측브러시들의 길이는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브러시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크리닝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크리닝용 벨트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되되, 상부에 복수의 브러시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브러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지지부에는 상기 복수의 브러시의 유동을 방지하며, 고정지지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6. 삭제
KR1020060075005A 2006-05-10 2006-08-09 컨베이어 시스템 KR100756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2059 2006-05-10
KR1020060042059 2006-05-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336U Division KR200434204Y1 (ko) 2006-05-10 2006-08-09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021B1 true KR100756021B1 (ko) 2007-09-11

Family

ID=3873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05A KR100756021B1 (ko) 2006-05-10 2006-08-09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02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062B1 (ko) * 2016-04-22 2017-05-31 주식회사 호원 컨베이어 장치
CN110182573A (zh) * 2019-07-24 2019-08-30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新型皮带机清扫装置
KR20200014528A (ko) 2018-08-01 2020-02-11 이민철 컨베이어 벨트용 리턴롤러
KR20210074900A (ko) 2019-12-12 2021-06-22 이민철 컨베이어 벨트 지지 구조를 향상시킨 리턴롤러
KR20210088159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용 안구 냉열 온열 마사지 구조
KR20210088161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의 엘이디 테라피 피부 개선 구조
KR20210088157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의 안대 높이조절 구조
KR20210088169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 거치대
KR20210088788A (ko) 2020-01-06 2021-07-15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 에센스 공기 혼합 공급 어셈블리
KR20210088785A (ko) 2020-01-06 2021-07-15 (주)데바텍 안면 복합 관리형 엘이디 마스크
KR20210088787A (ko) 2020-01-06 2021-07-15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용 에어덕트 구조를 구비한 블로워 어셈블리
CN114589134A (zh) * 2022-04-12 2022-06-07 无锡银臻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钛带板面双向清扫装置
KR20230030178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삼흥정밀화학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316A (ja) 1981-12-24 1983-06-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ベルトクリ−ナ−
JPH0484222U (ko) * 1990-11-28 1992-07-22
US6447609B1 (en) 1999-02-12 2002-09-10 Venjakob Maschinenbau Gmbh & Co. Kg Paint spra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316A (ja) 1981-12-24 1983-06-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ベルトクリ−ナ−
JPH0484222U (ko) * 1990-11-28 1992-07-22
US6447609B1 (en) 1999-02-12 2002-09-10 Venjakob Maschinenbau Gmbh & Co. Kg Paint spraying apparatu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062B1 (ko) * 2016-04-22 2017-05-31 주식회사 호원 컨베이어 장치
KR20200014528A (ko) 2018-08-01 2020-02-11 이민철 컨베이어 벨트용 리턴롤러
CN110182573A (zh) * 2019-07-24 2019-08-30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新型皮带机清扫装置
KR20210074900A (ko) 2019-12-12 2021-06-22 이민철 컨베이어 벨트 지지 구조를 향상시킨 리턴롤러
KR20210088157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의 안대 높이조절 구조
KR20210088161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의 엘이디 테라피 피부 개선 구조
KR20210088159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용 안구 냉열 온열 마사지 구조
KR20210088169A (ko) 2020-01-06 2021-07-14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 거치대
KR20210088788A (ko) 2020-01-06 2021-07-15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 에센스 공기 혼합 공급 어셈블리
KR20210088785A (ko) 2020-01-06 2021-07-15 (주)데바텍 안면 복합 관리형 엘이디 마스크
KR20210088787A (ko) 2020-01-06 2021-07-15 (주)데바텍 엘이디 마스크용 에어덕트 구조를 구비한 블로워 어셈블리
KR20230030178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삼흥정밀화학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장치
CN114589134A (zh) * 2022-04-12 2022-06-07 无锡银臻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钛带板面双向清扫装置
CN114589134B (zh) * 2022-04-12 2024-03-08 无锡银臻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钛带板面双向清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021B1 (ko) 컨베이어 시스템
US5497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onveyor belts
KR101639340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EP0937667A3 (en) Method and apparatus to uniformly distribute bulk conveyed parts for inspection by a camera
CN108584349A (zh) 一种矿业用输送机
KR200434204Y1 (ko) 컨베이어 시스템
KR102179268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이물질 스크랩핑 장치
US3070210A (en) Parts elevator feeder and selector machine
US3414116A (en) Conveyor scraper means
KR101221144B1 (ko) 브랜딩라인의 컨베이어 벨트 표면 브러쉬 회전장치
JPH11255323A (ja) ばら物用ベルトコンベヤの落粉回収装置
KR20190001589U (ko) 컨베이어용 부착물 제거장치
KR102039679B1 (ko) 벨트 컨베이어 풀리 클리닝 장치
KR200392541Y1 (ko) 컨베이어 벨트클리너
KR10142178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누적탄 제거장치
US3540569A (en) Bucket elevator hopper
JP3197901U (ja) 流動物搬送装置
KR20090010132U (ko) 컨베이어
JP6111159B2 (ja) 落鉱回収装置
RU2313479C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2001139130A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ナ
US20170043960A1 (en) Self Cleaning Apparatus for a Belt Conveyor
JP2000016565A (ja) コンベヤベルト装置
JP5678479B2 (ja) 作物選別装置
KR102543816B1 (ko) 다중 스크레이퍼 날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