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49B1 -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49B1
KR100753349B1 KR1020000076951A KR20000076951A KR100753349B1 KR 100753349 B1 KR100753349 B1 KR 100753349B1 KR 1020000076951 A KR1020000076951 A KR 1020000076951A KR 20000076951 A KR20000076951 A KR 20000076951A KR 100753349 B1 KR100753349 B1 KR 10075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brake
test
elevator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473A (ko
Inventor
무라타마코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66B5/0093Testing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를 사용하지 않고서, 각 대마다 다른 관성(inertia)의 영향을 고려하여, 원격 조작이 가능한, 정확하고 효율 좋은 기어 리스(gear-less) 권상기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언밸런스 토크와 관성 토크와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를 산출하고, 그것들의 총계로부터 권상 모터에 인가하는 토크의 값을 산출하며, 해당 토크를 인가한 상태에서, 저속으로 엘리베이터 카(car)를 주행시켜, 브레이크 동작을 행하고, 그 때의 카 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한다.
엘리베이터, 토크, 컨버터, 인버터, 브레이크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An arrangement for regulating breaking torque of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어 리스(gear-less) 권상기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의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어 리스 권상기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현지에서의 브레이크 토크 시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원격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처리의 흐름(전반 부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5는 도 4의 계속으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원격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처리의 흐름(후반 부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권상 모터 2: 엘리베이터 카
3: 카 부하 검출 장치 4: 균형 추
5: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
7: 컨버터 장치 8: 인버터 장치
9: 외부(원격) 통신 장치 10: 원격 통신기지
11: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 12: 카 이동량 검출 장치
13: 전자 브레이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어 리스(gear-less) 권상기(卷上機)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등에 있어서, 추(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 이하 추라고 칭한다)를 사용하지 않고서,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4-313582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21은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 모드를 설정하는 브레이크 토크 조정 모드 설정수단, 122는 엘리베이터 카(car)의 위치를 인식하는 카 위치 인식수단, 124는 브레이크 토크 조정 모드 설정수단(121) 및 카 위치 인식수단(122)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하고, 승강로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였을 때, 브레이크 동작 지령을 브레이크 제어회로(115)에 대하여 출력하는 브레이크 동작 지령 발생수단, 123은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검출하는 카 속도 검출수단, 125는 카 속도 검출수단(123) 및 브레이크 동작지령 발생수단(124)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 토크를 산출하는 브레이크 토크 산출수단, 117은 브레이크 토크 산출수단(125)에 의한 산출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이다.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레이크 토크 조정 모드 설정수단(121) 및 카 위치 인식수단(122)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하고, 승강로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였을 때, 브레이크 동작 지령 발생수단(124)이 브레이크 동작 지령을 출력한다. 다음에, 카 속도 검출수단(123) 및 브레이크 동작 지령 발생수단(124)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 토크 산출수단(125)이 그 때의 브레이크 토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결과를 표시기(117)에 표시한다.
이로써, 브레이크 토크의 산출결과를 표시기(117)를 통하여 알 수 있기 때문에, 보수원 등의 작업원이 상기 산출치가 되도록 브레이크 토크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그러므로, 추를 탑재하여 브레이크 토크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모든 작업을 기계실에서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중에,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브레이크 동작 지령 발생에 의해, 브레이크 동작 지령이 속도 검출로부터 브레이크 토크를 산출하였지만, 승강로의 주행 손실(loss)이 큰 경우에는, 브레이크 동작 지령으로부터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속도)에 해당 손실의 영향이 있어, 정확한 브레이크 토크를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어 리스 권상기를 사용하는 대형 엘리베이터 등의 카 적재 용량이나 카 자체 무게가 큰 경우도, 브레이크 정지까지의 감속도가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으므로,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정장치를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현재에도 기어 리스 권상기에 있어서는, 추를 실제로 적재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지만, 일반적으로 기어 리스 권상기는 카 적재 용량이 크기 때문에, 추를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시에 적재하는 것은 대단한 작업이고, 막대한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기어 리스 권상기에 있어서는, 현장마다의 관성(inertia)이 크게 다르고, 관성의 범위가 낮기 때문에, 기어 리스 권상기를 사용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관성분을 고려한 후에, 현장 개개로 관리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관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기어 리스 권상기에 있어서도, 추를 사용하지 않고서, 현장마다의 관성을 고려한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 및 설정치의 확인을 할 수 있고, 또한, 원격지에서의 조작도 가능하며, 작업을 간이화 할 수 있고, 정확하게, 또한, 효율 좋게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과 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 적재시와 무부하시의 언밸런스 부하에 관한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와, 엘리베이터의 대마다의 고유의 엘리베이터 정수 데이터와,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기억수단과,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수신하고,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를 판독하며, 언밸런스 부하분의 토크인 언밸런스 토크를 산출하는 언밸런스 토크 산출수단과,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정수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대마다 다른 관성분의 토크인 관성 토크를 산출하는 관성 토크 산출수단과,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 데이터를 판독하며,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분의 토크인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를 산출하는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 산출수단과, 언밸런스 토크, 관성 토크, 및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의 총계를 산출하는 토크 총계 산출수단과, 토크 총계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총계의 값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 시험시에 권상 모터에 인가하는 인가 토크의 값을 산출하는 인가 토크 산출수단과, 인가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한 인가 토크를 인가하여, 저속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주행시켜, 브레이크 동작을 행하는 브레이크 동작수단과, 브레이크 동작시의 엘리베이터 카의 카 이동량을 측정하는 카 이동량 측정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이다.
또한,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카 이동량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하는 조정 필요와 불필요 판정수단과, 조정 필요와 불필요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는 브레이크 토크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정 대상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조작수단을 더 구비하고, 원격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거하여,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이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개시시각이 예약되고, 예약된 개시시각으로 되었을 때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는 예약수단을 더 구비하며,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이, 원격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를 수신한 후, 예약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를 기다려,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한 카 이동량을 원격지 조작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측정결과 송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의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권상 모터, 2는 엘리베이터 카, 3은 엘리베이터 카에 탑재된 카 부하 검출 장치, 4는 균형 추, 5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내에 설치된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 7은 컨버터 장치, 8은 인버터 장치, 9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내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외부(원격) 통신 장치, 10은 원격 통신기지, 11은 원격 통신기지(10) 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현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에 의한 브레이크 시험을 위한 조작을 행하는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 12는 카 이동량 검출 장치, 13은 전자 브레이크이다. 또한, 도 1은 기어 리스 권상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에 본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장치는 다른 타입의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내에 설치된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6a는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내의 제어를 행하는 CPU이고, 6b는 CPU(6a)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관리대상의 엘리베이터 각 대마다의 개별 데이터(카 용량, 언밸런스율, 승강 행정, 권상기 효율 등) 등이 보존되어 있는 ROM, 6c는 여러 가지 처리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이 행해지는 RAM, 6d는 외부 통신 장치(9)를 통하여 원격 통신기지(10)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6e는 카 이동량 검출 장치(12)에 의해 검출된 카 이동량이 입력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에 대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I/O부, 6f는 타이머 기능을 가지고, 시각의 관리를 행하는 시계부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현지에서의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오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현지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를 조작하여,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함과 동시에, 카 부하 검출 장치(3)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카 부하를 확인하고, 추(즉, 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를 무부하로 하여, 브레이크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브레이크 조정 모드」로 바꾼다(단계 S1).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는 모드가 전환된 것을 수신하고,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브레이크 조정 모드」 및 「통상 모드」 등의 여러 가지 모드가 미리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에 준비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바꾸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환 시에는, 예를 들면, 패스워드의 입력을 필요 조건으로 해두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내의 CPU(6a)의 제어에 의해, ROM(6b)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 중으로부터, 카 용량 및 언밸런스율로 이루어지는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를 판독하고, 언밸런스 부하분의 토크(이하, 언밸런스 토크라고 칭한다)를 산출한다(단계 S2). 여기서, 언밸런스율이란, 카 용량 100%에 대한 부하의 비율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카 용량을 1000kg, 추(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를 1500kg이라고 하면, 언밸런스율은, 1500kg/1000kg=150%가 된다. 또한, 무부하 상태를 언밸런스율 50%로 하면, 1000kg×0.5=500kg이 되고, 500kg 가볍게 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추를 카 용량의 150%로 하고, 무부하 하중을 카 용량의 50%로 하여, 추 적재시와 무부하시의 언밸런스 부하분의 언밸런스 토크를 산출한다.
다음에, 마찬가지로, CPU(6a)의 제어에 의해, ROM(6b)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승강 행정·카 자체 무게·권상기 효율·브레이크의 종류·카/추 가이드 슈(guide shoe) 등의 엘리베이터 각 대 고유의 엘리베이터 정수를 판독하고, 각 대마다 다른 관성분의 토크(이하, 관성 토크라고 칭한다)를 산출한다(단계 S3).
다음에, 마찬가지로, CPU(6a)의 제어에 의해, ROM(6b)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을 판독하고, 브레이크 테스트를 행할 때의 토크(이하,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라고 칭한다)를 산출한다(단계 S4). 여기서,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이란, 브레이크 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하중을 말하며, 카 용량의 150%가 일반적이다.
다음에, CPU(6a)의 제어에 의해, 상기의 단계(S2 내지 S4)에서 산출한 각 토크의 값으로부터, 브레이크 토크 테스트에 필요한 토크의 총계(즉, 언밸런스 토크+관성 토크+브레이크 테스트 토크, 이하 테스트 토크라고 칭한다)를 산출한다(단계 S5). 여기서, 상기 테스트 토크는, 시험 하중인 추 적재시의 실제의 토크치에 상당한다.
다음에, CPU(6a)의 제어에 의해, 단계(S5)에서 산출한 테스트 토크에 의거하여, 인버터 장치(8)에 의해 권상 모터(1)에 인가하는 토크치를 산출한다(단계 S6). 여기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가,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토크치를 구하는 처리가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상기 통지를 받고, 상술한 「브레이크 조정 모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를 주행시킨다. 즉, 엘리베이터(2)를 카 무부하 상태에서 저속 주행시켜 두고, 그 상태에서 전자 브레이크(13)에 의한 브레이크 동작(급정지)을 행한다(단계 S7). 이 때, 단계(S6)에서 산출한 토크치를 카 정지까지 인버터 장치(8)에 의해 권상 모터(1)에 인가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단계 S7 시)의 카 이동량(브레이크 슬립(break slip)량)을 카 이동량 검출 장치(12)에 의해 측정한다(단계 S8).
다음에, 단계(S8)에서 구한 카 이동량이 기준치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9), 기준치 이내이면 처리를 종료하며(단계 S10), 그렇지 않으면, 브레이크 토크의 설정치의 조정을 행하고(단계 S11), 조정후에, 재차 단계(S7) 이후의 처리를 행하여, 브레이크 동작의 점검·확인을 행한다. 또한, 상기 기준치 이내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내에서 행하여도 좋고, 또한,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내에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추를 실제로 적재한 경우와 무부하의 경우의 언밸런스 토크를 구하고, 언밸런스 부하분을 보상하여 권상 모터(1)에 인가하는 토크치를 구하며, 그것을 권상 모터(1)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토크 테스트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어 리스 권상기에 있어서도, 추를 사용하지 않고서,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기어 리스 권상기를 사용하는 대형 엘리베이터 등의 카 적재 용량이나 카 자체 무게가 큰 경우도, 각 대마다 다른 관성의 영향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자체에, 언밸런스 토크와 관성 토크를 고려한 테스트 토크를 인가하기 때문에, 승강로의 주행 손실이 큰 경우도 영향이 적고, 정확한 브레이크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현지에서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브레이크 토크의 설정치의 확인에 대해서는, 원격 통신기지(10)에 설치된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에서도 조작 가능하고, 상술한 단계 (S1 내지 S6)까지의 처리를 원격지에서의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토크 테스트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현지에서의 작업시간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브레이크 토크 시험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원격지에서 행하고, 설정치의 확인 결과를 회신시키는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원격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그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원격 통신기지(MIC; 10)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시험 조작 장치(11)에 의해, 원격지에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한다(단계 T1).
지령조건에는 「지령 수신후 즉시 실시하는 모드」와 시험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으면,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측에 내장되어 있는 시계부(6f)에 의해, 개시 시각으로 된 시점에서 시험을 행하는 「스케줄 모드」가 있기 때문에, 시험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T2).
상술한 단계(T2)에 있어서, 시험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곧 브레이크 토크 시험을 개시한다(단계 T4). 한편, 시험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개시시각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시계부(6f)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판정하고(단계 T3), 개시시각으로 된 시점에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을 개시한다(단계 T4).
브레이크 토크 시험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다. 즉,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단계(T4) 내지 단계(T11)까지의 처리는, 상술한 실시예 1의 도 3에 있어서의 단계(S1) 내지 단계(S8)의 처리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측정결과(즉, 단계(T11)에서 측정한 카 이동량)를 브레이크 토크 시험 장치(6)내의 RAM(6c)에 격납하는(단계 T12) 동시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격조작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원격지의 오퍼레이터가 판단하기 때문에, 해당 측정결과를 원격 통신기지(10)에 송신한다(단계 T13).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또한, 원격지에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원이 현지에 나갈 필요가 없어지고, 브레이크 시험의 시간 단축을 더 도모할 수 있어, 편리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카 이동량을 측정한 후에, 오퍼레이터에게 측정결과를 송신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오퍼레이터가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에,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과 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 적재시와 무부하시의 언밸런스 부하에 관한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와, 엘리베이터의 대마다의 고유의 엘리베이터 정수 데이터와,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기억수단과,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수신하고,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를 판독하며, 언밸런스 부하분의 토크인 언밸런스 토크를 산출하는 언밸런스 토크 산출수단과,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정수 데이터를 판독하며, 각 대마다 다른 관성분의 토크인 관성 토크를 산출하는 관성 토크 산출수단과,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 데이터를 판독하고,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분의 토크인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를 산출하는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 산출수단과, 언밸런스 토크, 관성 토크, 및,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의 총계를 산출하는 토크 총계 산출수단과, 토크 총계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총계의 값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 시험 시에 권상 모터에 인가하는 인가 토크의 값을 산출하는 인가 토크 산출수단과, 인가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한 인가 토크를 인가하며, 저속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주행시켜, 브레이크 동작을 행하는 브레이크 동작수단과, 브레이크 동작시의 엘리베이터 카의 카 이동량을 측정하는 카 이동량 측정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이므로, 추를 사용하지 않고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브레이크 자체에 시험용의 토크를 인가하기 때문에, 승강로의 주행 손실이 큰 경우도 영향이 적고, 정확한 브 레이크 토크를 측정할 수 있으며, 기어 리스 권상기를 사용하는 대형 엘리베이터 등의 카 적재용량이나 카 자체 무게가 큰 경우에도, 관성의 영향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카 이동량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하는 조정 필요와 불필요 판정수단과, 조정 필요와 불필요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는 브레이크 토크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원의 시간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고, 작업의 간략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정 대상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조작수단을 더 구비하고, 원격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거하여,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이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조작하여 브레이크 토크 시험을 행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작업원이 현지에 나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험시간을 위한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현지에서의 작업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개시시각이 예약되고, 예약된 개시시각이 되었을 때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는 예약수단을 더 구비하며,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이, 원격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를 수신한 후, 예약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를 기다려,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브레이크 토크 시험을 개시하고자 하는 시간을 미리 예약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스케줄 을 세워 계획적으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한 카 이동량을 원격지 조작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측정결과 송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조정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판단을 원격지에서 행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더욱이, 오퍼레이터의 승인을 얻고 나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과,
    브레이크 토크 조정용 추 적재시와 무부하시의 언밸런스 부하에 관한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와, 엘리베이터의 대마다의 고유의 엘리베이터 정수 데이터와,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언밸런스 부하 데이터를 판독하며, 언밸런스 부하분의 토크인 언밸런스 토크를 산출하는 언밸런스 토크 산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정수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대마다 다른 관성(inertia)분의 토크인 관성 토크를 산출하는 관성 토크 산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 데이터를 판독하고, 브레이크 테스트 하중분의 토크인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를 산출하는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 산출수단과,
    상기 언밸런스 토크, 상기 관성 토크, 및, 상기 브레이크 테스트 토크의 총계를 산출하는 토크 총계 산출수단과,
    상기 토크 총계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총계의 값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 시험시에 권상 모터에 인가하는 인가 토크의 값을 산출하는 인가 토크 산출수단과,
    상기 인가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한 상기 인가 토크를 인가하고, 저속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주행시켜, 브레이크 동작을 행하는 브레이크 동작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동작시의 엘리베이터 카의 카 이동량을 측정하는 카 이동량 측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카 이동량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하는 조정 필요와 불필요 판정수단과,
    상기 조정 필요와 불필요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조정을 행하는 브레이크 토크 조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정 대상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지 조작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이 상기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토크 시험의 개시시각이 예약되고, 예약된 상기 개시시각이 되었을 때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는 예약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시험 개시 지령 출력수단이, 상기 원격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예약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를 기다려, 상기 브레이크 토크 시험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한 상기 카 이동량을 상기 원격지 조작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측정결과 송신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이동량 측정수단에 의한 상기 카 이동량을 상기 원격지 조작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측정결과 송신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KR1020000076951A 1999-12-17 2000-12-15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KR100753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878399A JP2001171936A (ja) 1999-12-17 1999-12-17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トルク調整装置
JP99-358783 1999-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473A KR20010062473A (ko) 2001-07-07
KR100753349B1 true KR100753349B1 (ko) 2007-08-30

Family

ID=1846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51A KR100753349B1 (ko) 1999-12-17 2000-12-15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171936A (ko)
KR (1) KR100753349B1 (ko)
CN (1) CN1189378C (ko)
TW (1) TW541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7069A1 (en) 2000-06-29 2009-01-15 Lipid Sciences, Inc. SARS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3817218B2 (ja) * 2002-11-20 2006-09-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トルク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US7393826B2 (en) 2003-07-03 2008-07-01 Lipid Scienc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particle derivatives of HDL with reduced lipid content
FI119877B (fi) * 2005-08-19 2009-04-30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WO2007094777A2 (en) * 2006-02-14 2007-08-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condition testing
WO2008117423A1 (ja) 2007-03-27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2013049568A (ja) * 2011-08-31 2013-03-14 Toshiba Elevator Co Ltd 巻上機のブレーキ保持トルク調整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保持トルク調整方法
CN102602760B (zh) * 2012-03-07 2014-08-20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多功能电梯测试控制装置
JP5966914B2 (ja) * 2012-12-25 2016-08-1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4671022B (zh) * 2013-11-26 2017-04-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及电梯的控制方法
CN105438909A (zh) * 2014-08-14 2016-03-30 苏州乐途电梯有限公司 一种制动器制动力的自检测方法
CN106006267B (zh) * 2016-06-30 2019-06-07 无锡英威腾电梯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抱闸力自检测及抱闸失效保护方法及系统
CN111847172A (zh) * 2020-08-11 2020-10-30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电梯制停部件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2919276B (zh) * 2021-04-02 2024-02-06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可靠性地面等效验证系统及方法
CN115258857B (zh) * 2022-07-27 2024-02-2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起动补偿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485A (ja) * 1990-10-19 1992-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調整装置
JPH06263353A (ja) * 1993-03-12 1994-09-2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動力点検装置
JPH07323974A (ja) * 1994-06-03 1995-12-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動性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485A (ja) * 1990-10-19 1992-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調整装置
JPH06263353A (ja) * 1993-03-12 1994-09-2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動力点検装置
JPH07323974A (ja) * 1994-06-03 1995-12-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動性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473A (ko) 2001-07-07
CN1300708A (zh) 2001-06-27
JP2001171936A (ja) 2001-06-26
TW541279B (en) 2003-07-11
CN1189378C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349B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토크 조정 장치
US7575100B2 (en) Elevator apparatus that detects an accurate running speed of an elevator car that operates over speed
EP2347986B1 (en) Elevator installation
AU200320259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elemonitoring an elevator
KR100259511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 방법
EP28353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EP1930277A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EP2321211B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in conjunction with an elevator system
US6488128B1 (en) Integrated shaft sensor for load measurement and torque control in elevators and escalators
EP1958911B1 (en) Elevator device
KR10137441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20030955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545868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2777488B (zh) 基于运行轨迹控制的行车精准定位方法
JP2007131407A (ja) エレベータのオートチューニング装置及びオートチューニングシステム
CN108689273B (zh) 电梯超行程测试系统和方法
JP3346959B2 (ja) 電力変換装置の通電試験装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における電力変換装置の通電試験装置及びその通電試験方法
JPH0823115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52669A (ja)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
JPH09272669A (ja) エレベータ秤装置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H05155553A (ja) エレベータの速度監視装置
JPH0692559A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CN113056429B (zh) 电梯控制装置
JP2023093905A (ja) エレベータ保守運転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保守運転制御方法
JPH047598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