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014B1 -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 Google Patents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014B1
KR100752014B1 KR1020050072739A KR20050072739A KR100752014B1 KR 100752014 B1 KR100752014 B1 KR 100752014B1 KR 1020050072739 A KR1020050072739 A KR 1020050072739A KR 20050072739 A KR20050072739 A KR 20050072739A KR 100752014 B1 KR100752014 B1 KR 10075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oil
bushing
ground
inner shield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254A (ko
Inventor
이용제
김희웅
서정일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0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ark Plug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관한 것으로,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의하면, 펜슬형 점화 코일의 접지 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PHC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케이블과 스퀘어 와이어를 제거함과 동시에 3핀 커넥터를 2핀 커넥터로 변경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엔진을 베이스 그라운드로 적용함으로써 점화 코일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펜슬형 점화 코일의 막대 형상의 본체 내부에 인너실드와 일측에 부싱을 구비하는 펜슬형 점화 코일에 있어서, 상기 인너실드와의 사이에 절연부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차단되는 커넥터; 및 상기 인너실드와 부싱 사이에 다이오드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화 코일, 펜슬형, 접지, 부싱, 실드

Description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Ignition coil using ground through bush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요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20 : 본체, 11, 21 : 부싱,
12, 22 : 커넥터, 13 : 리드,
14, 24 : 다이오드, 15 : 스퀘어 와이어,
25 : 절연부, 28 : 접지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싱 접지 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의하면, 펜슬형 점화 코일의 접지 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PHC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케이블과 스퀘어 와이어를 제거함과 동시에 3핀 커넥터를 2핀 커넥터로 변경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엔진을 베이스 그라운드로 적용함으로써 점화 코일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너레이터의 고전압을 점화 플러그에 전달하는 시스템은 점화배전기나 점화 케이블을 경유하는 배전기 방식과, 각 실린더의 상측에 직접 연결되는 직접 점화 방식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점화 배전기나 점화 케이블을 경유하는 배전기 방식은 점화 코일에서 생성된 고전압의 손실 우려가 높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품과 이로 인한 원가 상승 등의 요인이 있어 각 실린더의 상측에 직접 연결되는 직접 점화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직접점화 방식에 사용되는 펜슬형 점화 코일은 막대 형상의 본체(10)의 일단에 부싱(11)과 커넥터(12)가 형성되는 형태이며, 상기 본체(10)에는 적층되는 전기 강판재의 코어와 프라이머리 와인딩과 2차 스풀와 2차 고압단자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회로 상에는 별도의 저항 또는 다이오드(14)를 구비하기도 한다.
상기한 점화 코일의 경우 실드(shield)에 유도되는 전압으로 인하여 코일에 이상 전원의 발생 시 오점화(mis-fire)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일의 접지 부분은 프라이커리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지된다.
즉, 실드 그라운드를 위해서 별도의 스퀘어 와이어(15)를 설치하여 커넥터(12)의 리드(13) 중 GND 단자와 솔더링하여 접지함과 동시에 코일 인너실드(inner shield)와 저항 용접을 하고 있다.
이는 원가절감의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GND 단자와 솔더링하여 접지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펜슬형 점화 코일의 접지 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PHC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케이블과 스퀘어 와이어를 제거함과 동시에 3핀 커넥터를 2핀 커넥터로 변경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엔진을 베이스 그라운드로 적용함으로써 점화 코일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펜슬형 점화 코 일의 막대 형상의 본체 내부에 인너실드와 일측에 부싱을 구비하는 펜슬형 점화 코일에 있어서, 상기 인너실드와의 사이에 절연부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차단되는 커넥터; 및 상기 인너실드와 부싱 사이에 다이오드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재가 전기전도성을 지닌 선재 또는 원통형의 부싱으로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요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은 하우징이라고도 불리는 본체(20)의 내부에 인너실드와 일측에 부싱(21)을 구비하는 펜슬형 점화 코일에 관련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 상에 인너실드를 지니는 점화 코일은 변압된 전류를 점화 플러그로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2차 코일 선단에 고압단자를 개재하며, 이러한 고압 단자와 인너실드는 스퀘어 와이어(15) 등을 이용하여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따르면 상기 인너실드와의 사이에 절연부(25)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차단되는 커넥터(22)가 사용된 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에 들어가는 실드그라운드 인터페이스(shield ground interface)로서 종래의 스퀘어 와이어(15)(도 1참조)를 제거하고, 절연부(25)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부(25)가 절연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절연부(25)가 절연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분한 거리를 이격하는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너실드와 부싱(21) 사이에 다이오드(24)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재(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화 코일은 본체(20) 내 부싱(21)을 통하여 엔진 실린더 블록 상에 볼트로 직접 새시 접지를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부싱(21)을 이용하여 인너실드와 2차 코일의 다이오드(24)의 접지를 하며 이를 위하여 부싱(21)과 다이오드(24)에 접지부재(28)가 회로적으로 개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화 코일이 엔진과 직결되는 접지 방식에 따르면 코일의 동작중에 인너실드에 발생된 이상전압의 출구를 만들어주게 되어 코일의 이상동작이 억제된다.
이때, 본체(20) 내의 부싱(21)을 이용하여 엔진측으로 접지되도록 하면 종래의 스퀘어 와이어(15)와 하이텐션 케이블(high tension cable)이 생략되는 동시에 커넥터(22)를 3핀에서 2핀 형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렇게 커넥터(22)의 2핀 구조에 의하면 접지 리드(13)(도 1 참조)와 해당 단자가 제거됨에 따라 원가절감의 효과가 기대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의 향상 또한 기대된다.
또한, 다이오드(24), 부싱(21) 및 저항용접 부분을 일체형으로 설계함으로서 부싱(21)이 임의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접지부재(28)는 전기전도성을 지닌 선재 또는 원통형의 부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지부재(28)로 선재를 사용하면 관련부분의 설계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싱을 사용하면 접합 작업성과 기계적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물론, 상기 접지부재(28)를 원통형으로 사용할 경우 본체(20) 외부의 부싱(21)과 내부의 부싱을 일체형으로 하거나 별개로 성형하여 압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에 의하면, 펜슬형 점화 코일의 접지 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PHC에 연결되 는 프라이머리 케이블과 스퀘어 와이어를 제거함과 동시에 3핀 커넥터를 2핀 커넥터로 변경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엔진을 베이스 그라운드로 적용함으로써 점화 코일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2)

  1. 펜슬형 점화 코일의 막대 형상의 본체(20) 내부에 인너실드와 일측에 부싱(21)을 구비하는 펜슬형 점화 코일에 있어서,
    상기 인너실드와의 사이에 절연부(25)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차단되는 커넥터(22); 및
    상기 인너실드와 부싱(21) 사이에 다이오드(24)를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재(2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28)가 전기전도성을 지닌 선재 또는 원통형의 부싱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KR1020050072739A 2005-08-09 2005-08-09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KR10075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739A KR100752014B1 (ko) 2005-08-09 2005-08-09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739A KR100752014B1 (ko) 2005-08-09 2005-08-09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54A KR20070018254A (ko) 2007-02-14
KR100752014B1 true KR100752014B1 (ko) 2007-08-28

Family

ID=4163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739A KR100752014B1 (ko) 2005-08-09 2005-08-09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8568B2 (ja) * 2014-06-27 2019-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7856A (en) 1997-10-07 1999-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gnition coil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JP2002195143A (ja) 2000-12-27 2002-07-10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5050892A (ja) 2003-07-30 2005-02-24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6134972A (ja) 2004-11-04 2006-05-25 Hanshin Electric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7856A (en) 1997-10-07 1999-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gnition coil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JP2002195143A (ja) 2000-12-27 2002-07-10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5050892A (ja) 2003-07-30 2005-02-24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6134972A (ja) 2004-11-04 2006-05-25 Hanshin Electric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54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173B1 (ja) 内燃機関の点火コイル装置
EP2887366B1 (en) Ignition coil and method of assembly
JP5337570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CN103858188A (zh) 内燃机用点火线圈
CN107425414A (zh) 点火系统
US7252078B2 (en) Spark plug connector
JP200505089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100752014B1 (ko)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JP4203086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6422225B1 (en) Ignition coil and method of making
JPH0544622A (ja) 多気筒内燃機関の点火装置
JP4020188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6292082B1 (en) Igni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05751B2 (e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in varnished wires of the secondary winding of an ignition coil
JP201209464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CN208335962U (zh) 一种干式变压器的高压侧接线端子及其变压器
CN211422817U (zh) 点火线圈接地结构
CN106415749A (zh) 点火线圈
JP2008166649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20170811A (ja) 点火コイル装置
EP1457671B1 (en) Ignition coil assembly
JP2012092723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1190158B1 (ko) 자동차용 점화장치
JP2006173384A (ja) 点火コイル
JP2001217131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