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523B1 -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 Google Patents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523B1
KR100751523B1 KR1020070047557A KR20070047557A KR100751523B1 KR 100751523 B1 KR100751523 B1 KR 100751523B1 KR 1020070047557 A KR1020070047557 A KR 1020070047557A KR 20070047557 A KR20070047557 A KR 20070047557A KR 100751523 B1 KR100751523 B1 KR 10075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band
rope
sides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봉
Original Assignee
손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봉 filed Critical 손승봉
Priority to KR102007004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복의 상의를 전개되게 형성한 뒤에 한 장으로 전개되는 상의본체에 2줄의 구명밴드를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등판부위와 앞가슴부위에서 구명밴드가 모두 "X"자형으로 교차되게 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 "X"자형으로 교차된 구명밴드에 몸통이 걸려서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상의의 옆구리 부분에는 충격완화용 옆구리쿠션을 설치하여 옆구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며, 등판부분에 위치하는 구명밴드에는 3개의 구명로프 걸림링을 설치함과 동시에 걸림링에 걸리는 구명로프에는 2~3개의 걸리구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 앞가슴에 압박감이 분산되게 함과 아울러, 2~3개의 구명로프 걸고리가 걸리는 부분 중에 어느 1개가 손상되는 경우라도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하의에 설치된 구명밴드와 상의에 설치된 구명밴드를 연결할 때에는 전방측 구명밴드의 연결은 사각버클로 연결되고, 후방측 구명밴드는 착탈이 간편한 카라비나로서 연결하여 연결작업이 불편한 후방측 구명밴드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복, 안전복, 상하의, 구명밴드, 사각버클, 카라비나, 구명로프 걸림링

Description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A working dress can separate upper and lower cloth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일실시예의 상의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상의를 벌린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상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이실시예에 의한 상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이실시예의 상의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이실시예에 적용되는 하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일,이실시예에 적용되는 구명밴드의 일측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11의 본 발명의 상의에 걸어지는 구명로프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등판부 2 : 옆구리부 3 : 앞가슴판부
4 : 상의본체 5 : 결속끈 6 : 끈구멍
7 : 끈구멍 8 : 지퍼 9 : 옆구리쿠션
10 : 상의 11,15 : 암매직테이프 12 : 부착커버
13,16 : 수매직테이프 14 : 머리삽입구멍 20 : 상의구명밴드
21 : 후방고정밴드부 22 : 전방고정밴드부 23 : 전방자유밴드부
24 : 걸림링 25 : 겹침후육부 26 : 사각수버클
27 : 밴드끼움구 28 : 카라비나 30 : 하의
31 : 사타구니쿠션 40 : 하의구명밴드 41 : 전방밴드부
42 : 허벅지감쌈부 43 : 후방밴드부 44 : 후방암버클
45 : 전방암버클 100 : 구명로프 101 : 후크
102 : 구명로프원줄 103 : 완충부 104 : 분기줄
105 : 걸이구
본 발명은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복의 상의를 전개되게 형성한 뒤에 한 장으로 전개되는 상의본체에 2줄의 구명밴드를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등판부위와 앞가슴부위에서 구명밴드가 모두 "X"자형으로 교차되게 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 "X"자형으로 교차된 구명밴드에 몸통이 걸려서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상의의 옆구리 부분에는 충격완화용 옆구리쿠션을 설치하여 옆구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며, 등판부분 에 위치하는 구명밴드에는 3개의 구명로프 걸림링을 설치함과 동시에 걸림링에 걸리는 구명로프에는 2~3개의 걸리구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 앞가슴에 압박감이 분산되게 함과 아울러, 2~3개의 구명로프 걸고리가 걸리는 부분 중에 어느 1개가 손상되는 경우라도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하의에 설치된 구명밴드와 상의에 설치된 구명밴드를 연결할 때에는 전방측 구명밴드의 연결은 사각버클로 연결되고, 후방측 구명밴드는 착탈이 간편한 카라비나로서 연결하여 연결작업이 불편한 후방측 구명밴드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상하의 작업복(이하, 상하의라고 약칭함)에 구명밴드가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고, 이 상하의에 설치된 구명밴드끼리 착탈식으로 연결하도록 된 것이 실용신안등록 제262784호(이하, "종래고안 1"이라 칭함)와, 실용신안등록 제371711호(이하, "종래고안 2"이라 칭함)가 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 1, 2"는 상하의에 구명밴드(종래고안에서는 안전밸트로 칭하고 있음)가 개별적으로 재봉에 의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의에 각각 설치된 구명밴드의 단부가 연결수단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상의의 등부분에 설치된 고리에는 구명로프의 후크를 걸고 구명로프의 타단은 비계 등의 걸 수 있는 부분에 걸어 사용하도록 되어 높은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고안1, 2"는 상의의 앞가슴부분에 설치되는 구명밴드가 어깨부터 허리까지 1자형으로 수직하게 내려오도록 설치되어 전방측에 설치되는 2줄의 구명밴드가 11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면서, 11자형으로 설치되는 전방측 구명밴드의 사이에 횡밴드를 각각 설치한 뒤에, 양측 횡밴드를 매직테이프나 버튼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측 구명밴드가 11자로 설치되고, 등부분의 고리부에 구명로프가 걸려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면, 앞가슴부분에 순간적인 충격이 작용하면서 11자로 된 2줄의 전방측 구명밴드가 벌어지게 되고, 그렇게 벌어지는 틈새로 작업자의 몸통이 빠져나오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위에서 11자로 배치되는 전방측 구명밴드의 사이에 2줄의 전방측 구명밴드를 잡아주는 횡밴드가 매직테이프나 버튼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커다란 충격력에 의해 그 횡밴드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뜯어지면서 작업자의 몸통이 11자로 설치된 전방측 구명밴드사이로 빠져나오게 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구명로프의 후크를 걸어 설치하는 고리부가 등부분의 중앙에 1개만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추락할 때 순간적인 충격이 앞가슴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작업자의 가슴부분에 고통을 주게 되는 문제와, 구명로프와 상의에 설치된 고리부가 1개만 있으므로, 구명로프나 고리부가 취약하여 구명로프의 후크나 고리부가 손상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추락할 때, 구명로프와 고리부가 이탈되면서 추락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고안 1"의 경우에 상의와 하의를 연결시키는 부분이 상의의 허리부에 설치된 밴드형의 하의 연결용고리에 하의의 상측으로 일측단이 자유상태로 노출된 자유단부를 걸어 끼운 뒤에 버튼으로 잠그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추락하여 순간적으로 상의가 상측으로 당겨지고 하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체중이 아래로 작용할 때, 버튼으로 잠겨진 다리밴드의 자유단부가 풀어져서 상하의가 분리되게 되는 결함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복의 상의를 전개되게 형성한 뒤에 한 장으로 전개되는 상의본체에 2줄의 구명밴드를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등판부위와 앞가슴부위에서 구명밴드가 모두 "X"자형으로 교차되게 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 "X"자형으로 교차된 구명밴드에 몸통이 걸려서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전개된 상의에 구명밴드를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둘째로, 상의의 옆구리 부분에는 충격완화용 옆구리쿠션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옆구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며, 세 번째는 등판부분에 위치하는 구명밴드에는 3개의 구명로프 걸림링을 설치한 뒤에, 구명로프에 2~3개의 걸고리를 설치함으로서, 작업자가 추락할 때 앞가슴에 작용하는 압박감이 분산되게 함과 아울러, 2~3개의 구명로프 걸고리가 걸리는 부분 중에 어느 1개가 손상되는 경우라도 작업자의 신체가 구명로프에 매달려서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네 번째는 하의에 설치된 구명밴드와 상의에 설치된 구명밴드를 연결할 때에, 전방측 구명밴드의 연결은 가격이 저렴하며 견고한 결속을 유지하는 사각버클로 연결되고, 후방측 구명밴드는 착탈이 간편하고 견고한 결속을 유지하는 카라비나로서 연결함으로서, 연결이 불편한 후방측 구명밴드를 간편하게 연결하면서 상하 의에 설치된 구명밴드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는 한 장으로 펼쳐지게 상의본체가 구비되고, 이 상의본체는 양옆구리부가 결속끈과 매직테이프로서 조립이 되며, 전방은 지퍼로서 여밀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양측 옆구리부의 내부에는 옆구리쿠션이 설치되며, 그 상의본체의 내면에는 2줄의 상의구명밴드를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등판부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는 후방고정밴드부와 어깨를 넘어 온 전방고정밴드부가 상의본체고정되게 설치되고, 어깨를 넘어와 앞가슴상부에서 허리까지 내려오는 전방자유밴드부는 앞가슴판부에 고정시키지 않고 하측으로 늘어 트려지게 설치하며, 상기 등판부에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3개의 걸림링을 설치하고, 그 각각의 걸림링에 3개의 걸이구가 설치된 구명로프를 연결할 수 있게 하며, 하의에는 2줄의 하의구명밴드가 양측 허리부 전방에서 사타구니부로 내려가다가 허벅지부를 감아 돈 뒤에 엉덩이부를 통하여 양측 허리부 후방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하의의 내면에 재봉으로 설치되고, 이 하의의 전후방암버클에 상의구명밴드를 전후방 모두 "X"자형으로 교차되게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방이 개방되는 작업복 상의(10)와, 통상의 작업복 하의(30)에 상하의구명밴드(20,4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상하의구명밴드(20,40)의 각각의 단부가 암수버클에 의해 착탈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상의(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판부(1)의 양측 어깨부분에 앞가슴판부(3)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되, 이 양측 앞가슴판부(3)의 외측에 옆구리부(2)가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에 옆구리부(2)를 형성한 양측 앞가슴판부(3)가 일체로 형성되어 한 장으로 된 상의본체(4)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1)의 양측변과 양측 옆구리부(2)의 외측변에는 결속끈(5)을 끼워서 등판부(1)의 양측에 양측 옆구리부(2)를 연결하는 끈구멍(6,7)이 형성되고, 양측 앞가슴판부(3)의 내측변에는 앞가슴판부(3)를 여미게 하는 지퍼(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옆구리부(2)의 내피 내부에는 옆구리보호용 옆구리쿠션(9)이 설치되며, 양측 옆구리부(2)의 외부면에 암매직테이프(11)가 설치되고, 등판부(1)의 양측 외부면에는 내측 선단부에 암매직테이프(11)와 착탈식으로 접착되는 수매직테이프(13)를 설치한 부착커버(12)의 후방측 단부가 재봉으로 설치된다. 이때, 부착커버(12)는 등판부(1)와 옆구리부(2)를 결속끈(5)으로 묶어 고정하는 연결부위를 외측에서 보이지 않게 커버하는 것이다.
상기 상의본체(4)의 내면에는 2줄의 상의구명밴드(20)를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상기 "X"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이 등 판부(1)의 중앙 상부에서 교차되며, 상기 2줄의 상의구명밴드(20) 중의 등판부(1)에 설치되는 후방고정밴드부(21)와 어깨를 넘어 온 전방고정밴드부(22)가 상의본체(4)에 재봉으로 고정 설치되고, 어깨를 넘어와 앞가슴상부에서 허리까지 내려오는 전방자유밴드부(23)는 앞가슴판부(3)에 고정시키지 않고 하측으로 늘어 트려지게 설치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고정밴드부(21)가 교차되는 지점과, 그 교차지점 상부양측의 후방고정밴드부(21)에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3개의 걸림링(24)이 등판부(1)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3개의 걸이구(105)를 구비한 구명로프(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본 발명에 적용 설치되는 구명로프(100)는 작업현장의 비계 등의 걸 수 있는 부분에 거는 후크(101)를 상측에 설치한 구명로프원줄(102)이 구비되고, 이 구명로프원줄(102)의 하단에는 소정의 폭을 지닌 밴드를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지며 그 외부에 접혀진 밴드부를 비닐지등의 커버로서 단단하게 감싼 완충부(103)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이 완충부(103)의 하부에는 2~3가닥의 분기줄(104)을 하향 설치하며, 이들 2~3가닥의 분기줄(104) 하단에는 상의(10)의 후방에 설치된 걸림링(24)에 후크식으로 거는 걸이구(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103)를 구명로프원줄(102)과 분기줄(104)의 선단부 사이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명로프원줄(102)의 하단부에 분기줄(104)의 상단부를 곧 바로 연결하는 것은 당연하고, 각각의 분기줄(104) 하단부에 설치되는 걸이구(105)는 공지된 등산용품의 일부로 사용하는 카라비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림직하 다.
이러한 카라비나는 일측이 개구된 후크형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에 개폐구가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공지된 것임을 밝혀둔다.
다음은 작업복 하의에 대한 설명으로서, 도 1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의(30) 내측의 사타구니부에는 신체의 사타구니와 허벅지 내측에 대응하는 사타구니쿠션(31)이 재봉으로 설치되고, 2줄의 하의구명밴드(40)가 양측 허리부 전방에서 사타구니부로 내려가다가 허벅지부를 감아 돈 뒤에 엉덩이부를 통하여 양측 허리부 후방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하의(30)의 내면에 재봉으로 설치된다.
이때, 하의(30)의 전방 내측에 재봉으로 설치되는 하의구명밴드(40)를 전방밴드부(41)라고 칭하고, 허벅지부에 감아져서 재봉으로 설치된 부분을 허벅지감쌈부(42)라 칭하며, 엉덩이부를 통하여 양측 허리부 후방으로 올라가며 재봉으로 설치된 부분을 후방밴드부(43)라 칭한다.
도 1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의(30)의 후방 허리부측으로 상향 설치된 양측 후방밴드부(43)의 선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후방암버클(44)에는 상의(10)의 양측 후방고정밴드부(21)의 말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카라비나(28)가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하의(30)의 전방 허리부측으로 상향 설치된 양측 전방밴드부(41)의 선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전방암버클(45)에는 상의(10)의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의 말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사각수버클(26)을 착탈식으로 설치하되,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를 앞가슴부에서 "X"자로 교차시킨 뒤에 전방측 전방암버클(45)에 사각수버클(26)을 착탈식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의 말단부는 2~3겹으로 겹친 뒤에 재봉으로 고정하여 겹침후육부(25)를 형성하고, 이 겹침후육부(25)가 曰자형으로 형성된 사각수버클(26)의 상하구멍을 통과하여 전방자유밴드부(23)가 2겹으로 겹쳐지며, 2겹으로 겹쳐진 전방자유밴드부(23)의 겹침후육부(25)와 사각수버클(26)의 사이에는 2겹으로 겹쳐진 전방자유밴드부(23) 두께만큼의 내부 틈이 형성된 밴드끼움구(27)가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전방자유밴드부(23)의 길이조절이 자유롭고, 겹침후육부(25)가 밴드끼움구(27)에 걸려서 전방자유밴드부(23)의 두겹으로 겹쳐진 부분이 사가수버클(26)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밴드끼움구(27)는 단단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형성되고, 전방자유밴드부(23)는 직물지로 형성되어서 겹침후육부(25)가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밴드끼움구(27)의 내부로 강제로 끼울 수 있으며, 다른예로서 전방자유밴드부(23)의 끝단부를 밴드끼움구(27)에 까지 삽입 관통시킨 뒤에 전방자유밴드부(23)의 끝단부를 2~3겹으로 겹친 뒤에 재봉으로 고정하여 겹침후육부(25)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상의만 일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일실시예와 달라진 상의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일실시예와 동일한 하의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실시예의 상의(10)는 전개된 상태에서 중앙에 머리삽입구멍(14)이 형성된 상의본체(4)의 전후방에 앞가슴판부(3a)와 등판부(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앞 가슴판부(3a)와 등판부(1a)의 양측에는 전후방옆구리부(2a,2b)가 외향 형성되며, 양측 전방옆구리부(2a)의 외부면에는 암매직테이프(15)가 설치되고, 양측 후방옆구리부(2b)의 내부면에는 수매직테이프(16)가 설치되며, 양측 후방옆구리부(2b)의 내피 내부에는 옆구리쿠션(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의본체(4)의 내면에는 2줄의 상의구명밴드(20)가 등판부(1a)와 앞가슴판부(3a)에서 각각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설치되며, 앞가슴판부(3a)에서 교차되는 상의구명밴드(20)의 전방고정밴브부(20a)가 "X"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걸림링(24)이 앞가슴판부(3a)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등판부(1a)에서 후방고정밴드부(20b)가 교차되는 지점과, 그 교차지점 상부양측의 후방고정밴드부(20b)에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3개의 걸림링(24)이 등판부(1a)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의와 하의와의 연결은 하의(30)의 후방양측에 설치된 후방암버클(44)에는 상의(10)의 후방양측 설치되는 후방고정밴드부(20b)의 말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카라비나(28)가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하의(30)의 전방양측에 전방암버클(45)에는 상의(10)의 전방양측에 설치되는 전방고정밴브부(20a)의 말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사각수버클(26)을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실시예에서도 도 11에 도시된 2~3개의 걸이구(105)를 구비한 구명로프(100)의 각각의 걸이구(105)가 이실시예의 상의(10) 후방에 설치된 3개의 걸림링(24)에 걸어지는 것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같이 전개되어 있는 상의본체(4)를 조립하여 상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는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등판부(1)와 양측 옆구리부(2)를 근접하게 접근 시킨 뒤에, 서로 근접한 양측 끈구멍(6,7)에 결속끈(5)을 끼워서 옆구리부(2)와 등판부(1)를 연결한다.
이때, 사용자의 몸통둘레를 감안하여 옆구리부(2)와 등판부(1)와의 사이를 좁게 또는 넓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옆구리부(2)와 등판부(1)를 연결한 뒤에는 등판부(1)의 양측에 설치된 부착커버(12)의 수매직테이프(13)를 양측 옆구리부(2)의 외부면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11)에 접착시켜서 부착커버(12)가 결속끈(5)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커버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의(10,30)를 착용하는데, 상의(10)를 착용할 때 지퍼(8)를 채우지 않아서 양측 앞가슴판부(3)가 벌어진 상태가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하의는 통상적으로 하의를 착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착용한다.
이렇게 상하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의의 후방 양측에 하향 설치된 카라비나(28)를 하의(3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후방암버클(44)에 걸게 되는데, 이 카라비나(28)는 등산용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면서 후크형으로 형성되어서 몸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후방암버클(44)에 간편하게 걸어 끼울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것으로서, 상의 전방의 양측 앞가슴판부(3)가 열어 젖혀진 상태에서 앞가슴부분에서 비고정식으로 하측으로 늘어트려진 2줄의 전방자유밴드부(23)를 도 1과 같이 "X"자형으로 교차되게 하면서 전방자유밴드부(23)의 하단부에 설치된 사각수버클(26)을 하의(30)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전방암버클(45)에 걸어 끼운다.
위에서 후방측의 연결수단을 카라비나를 사용한 것은 몸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후방암버클(44)에 연결수단을 걸어 끼울 때, 몸 뒤쪽의 후방암버클(44)에 걸어 끼우는 작업이 불편하므로 후크식으로 걸는 카라비나를 적용한 것이며, 전방측에는 사각수버클(26)을 설치한 것은 공지된 사각수버클(26)가 저렴하고 카라비나는 사각수버클(26) 보다 고가이므로 몸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암버클(45)와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므로 전방측의 연결수단은 저렴한 사각수버클(26)을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비고정식으로 앞가슴쪽에서 하측으로 늘어트려진 2줄의 전방자유밴드부(23)를 하의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암버클(45)에 "X"자형으로 교차되게 걸어 설치함에 따라서 각각 2줄의 전방자유밴드부(23)와 후방고정밴드부(21)가 몸통의 전후방을 "X"자형으로 커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풀어 헤쳐진 상의의 양측 앞가슴판부(3)를 지퍼(8)로서 채우면 상하의의 착용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며, 그 다음에 등판부(1)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3개의 걸림링(24)에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걸이구(105)가 새발모양 또는 삼지창형태로 설치된 구명로프(100)의 걸이구(105)를 후크식으로 걸어 끼운다.
상기와 같이 구명로프(100)의 걸이구(105)를 상의의 후방에 설치된 3개의 걸림링(24)에 걸어 끼운 뒤에는 구명로프(100)의 상측에 위치한 후크(101)를 작업현 장의 비계 등의 걸 수 있는 부분에 걸음에 따라 구명로프(100)의 설치까지 완료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다가 발을 헛디뎌 아래로 추락하게 되면, 3개의 분기줄(104)에 카라비나 형태의 걸이구(105)가 역삼각모양으로 등판부(1)에 설치된 3개의 걸림링(24)에 걸려 있음에 따라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충격이 분산되게 되고, 3개의 걸이구(105)가 걸어진 부분 중의 어느 한 곳이라도 손상되어 추락할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그 부분이 뜯어지는 경우라도 나머지 1~2개의 걸림부분이 구명로프(100)에 매달려 있어서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을 헛디뎌 추락할 때, 구명로프(100)가 등 뒤쪽에 걸려있음에 따라 추락하는 몸통 중에 앞가슴부분이 하측을 향하면서 앞가슴부분이 앞가슴부에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된 전방자유밴드부(23)에 걸쳐지면서 몸통이 "X"자형으로 교차된 전방자유밴드부(23)의 외측으로 빠져 나갈 수 없어서 작업자의 몸이 상의구명밴드(20)에서 이탈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이 작업자가 추락할 때나, 또는 작업현장에서 이동 중에 주변의 물체와 부딪치거나, 또는 추락할 때 충격하중이 옆구리부분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상의의 옆구리부(2) 내부에 옆구리쿠션(9)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옆구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추락할 때, 최상측에는 구명로프(100)가 걸려 있고, 그 하측에 상의의 상의구명밴드(20)가 매달려 있으며, 상의구명밴드(20)의 하측에는 하의(30)에 설치된 하의구명밴드(40)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몸은 아래로 낙하하는 관성력에 의해 하의(30)에 설치된 허벅지감쌈부(42)에 의해 그 낙하가 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의의 허벅지감쌈부(42)에 작업자의 몸이 낙하하는 것이 저지됨에 따라 작접자의 사타구니부와 허벅지부분에 순간적인 충격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사타구니부와 허벅지부분에 대응하는 하의(30)의 내부에 사타구니쿠션(31)이 설치되어서 그 충격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방자유밴드부(23)는 그 끝단부에 겹침후육부(25)가 구비되어서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 추락할 때나, 또는 길이를 조절할 때, 두께가 두꺼워진 겹침후육부(25)가 밴드끼움구(27)에 걸려서 사각수버클(26)에서 전방자유밴드부(23)가 풀려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인데, 이실시예의 경우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다른점은 일실시예에서는 상의가 지퍼에 의해 벌어지므로 전방자유밴드부(23)를 비고정식으로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설치한 뒤에 이러한 일실시예의 상의(10)를 착용할 때 "X"자형으로 교차되게 걸어 설치하는 것이고, 이실시예는 앞뒤가 모두 막힌 상태이므로 앞가슴판부(3a)와 등판부(1a)에 모두 전후방고정밴드부(20a,20b)가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된 것이 다르다.
따라서, 이실시예의 상의는 전후방옆구리부(2a,2b)에 설치된 각각의 암매직테이프(15)와 수매직테이프(16)를 부착시킨 뒤에 속내의를 착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뒤집어쓰면서 착용하거나, 또는 머리삽입구멍(14)으로 머리를 삽입시킨 뒤에 양측 방의 전후방옆구리부(2a,2b)에 설치된 각각의 암매직테이프(15)와 수매직테이프(16)를 부착시켜서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실시예에서는 앞가슴판부(3a)와 등판부(1a)에 모두 걸림링(24)을 설치하여서 구명로프(100)의 걸이구(105)를 이실시예의 의한 상의의 전후방에 선택적으로 걸어 설치할 수 있는 점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구명로프(100)의 완충부(103)는 소정의 폭을 지닌 밴드를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지며 그 외부에 접혀진 밴드부를 비닐지등의 커버로서 단단하게 감싼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추락할 때에 단단하게 감싸지 커버에서 지그재그식으로 접어넣은 밴드부분이 풀려나오면서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인 공지된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일실시예에서 전방자유밴드부(23)가 앞가슴상부에서 허리까지 비고정식으로 하측으로 늘어 트려지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자로 교차시키면서 하의(30)의 전방암버클(45)에 연결할 수 있으나, 상기 2줄의 전방자유밴드부(23)를 "11"자 형태로 하측으로 늘어트리면서 하의(30)의 전방암버클(45)에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전방자유밴드부(23)를 "11"자 형태로 하측으로 늘어트리면서 하의(30)의 전방암버클(45)에 연결할 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에 벌어짐방지구(23a)를 설치하여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를 벌어짐방지구(23a)로서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2줄의 전방자유밴드부(23)가 벌어지지 않게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의를 설명하는 도면을 조끼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소매가 달린 상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은, 작업복의 상의를 전개되게 형성한 뒤에 한 장으로 전개되는 상의본체에 2줄의 구명밴드를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등판부위와 앞가슴부위에서 구명밴드가 모두 "X"자형으로 교차되게 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때 "X"자형으로 교차된 구명밴드에 몸통이 걸려서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효과와, 상의가 전개되어 있음에 따라 전개되니 상의에 구명밴드를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의의 옆구리 부분에는 충격완화용 옆구리쿠션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옆구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등판부분에 위치하는 구명밴드에는 3개의 구명로프 걸림링을 설치한 뒤에, 구명로프에 2~3개의 걸고리를 설치함으로서, 작업자가 추락할 때 앞가슴에 작용하는 압박감이 분산되게 함과 아울러, 2~3개의 구명로프 걸고리가 걸리는 부분 중에 어느 1개가 손상되는 경우라도 작업자의 신체가 구명로프에 매달려서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의에 설치된 구명밴드와 상의에 설치된 구명밴드를 연결할 때에, 전방측 구명밴드의 연결은 가격이 저렴하며 견고한 결속을 유지하는 사각버클로 연결되고, 후방측 구명밴드는 착탈이 간편하고 견고한 결속을 유지하는 카라비나로서 연결함으로서, 연결이 불편한 후방측 구명밴드를 간편하게 연결하면서 상하의에 설 치된 구명밴드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작업복 상하의(10,30)에 상하의구명밴드(20,4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상하의구명밴드(20,40)의 각각의 단부가 암수버클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상의의 후방에 설치된 걸림링에는 공지된 구명로프(100)의 걸이구가 착탈식으로 걸어지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의(10)는 등판부(1)의 양측 어깨부분에 앞가슴판부(3)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되, 이 양측 앞가슴판부(3)의 외측에 옆구리부(2)가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에 옆구리부(2)를 형성한 앞가슴판부(3)와 등판부(1)가 일체로 형성된 상의본체(4)가 구비되고,
    상기 등판부(1)의 양측변과 양측 옆구리부(2)의 외측변에는 결속끈(5)으로 끼워서 등판부(1)의 양측과 양측 옆구리부(2)를 연결하는 끈구멍(6,7)이 형성되며,
    양측 앞가슴판부(3)의 내측변에는 앞가슴판부(3)를 여미게 하는 지퍼(8)가 설치되고, 양측 옆구리부(2)의 내피 내부에는 옆구리보호용 옆구리쿠션(9)이 설치되며,
    양측 옆구리부(2)의 외부면에 암매직테이프(11)가 설치되고, 등판부(1)의 양측 외부면에는 내측 선단부에 암매직테이프(11)와 착탈식으로 접착되는 수매직테이프(13)를 설치한 부착커버(12)의 후방측 단부가 재봉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의본체(4)의 내면에는 2줄의 상의구명밴드(20)를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설치하되, 상기 "X"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이 등판부(1)의 중앙 상부에서 교 차되며, 상기 2줄의 상의구명밴드(20) 중의 등판부(1)에 설치되는 후방고정밴드부(21)와 어깨를 넘어 온 전방고정밴드부(22)가 상의본체(4)에 재봉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어깨를 넘어와 앞가슴상부에서 허리까지 내려오는 전방자유밴드부(23)는 앞가슴판부(3)에 고정시키지 않고 하측으로 늘어 트려지게 설치하며,
    상기 후방고정밴드부(21)가 교차되는 지점과, 그 교차지점 상부양측의 후방고정밴드부(21)에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3개의 걸림링(24)이 등판부(1)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의(30) 내측의 사타구니부에는 신체의 사타구니와 허벅지 내측에 대응하는 사타구니쿠션(31)이 재봉으로 설치되고, 상기 2줄의 하의구명밴드(40)가 양측 허리부 전방에서 사타구니부로 내려가다가 허벅지부를 감아 돈 뒤에 엉덩이부를 통하여 양측 허리부 후방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하의(30)의 내면에 재봉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의(30)의 후방양측에 설치된 후방밴드부(43)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후방암버클(44)에는 상의(10)의 양측 후방고정밴드부(21)의 말단부에 설치된 카라비나(28)가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하의(30)의 전방양측에 설치된 전방밴드부(41)의 선단부에 설치된 전방암버클(45)에는 상의(10)의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의 말단부에 설치된 사각수버클(26)을 착탈식으로 설치하되, 양측 전방자유밴드부(23)를 앞가슴부에서 "X"자로 교차시킨 뒤에 전방측 전방암버클(45)에 사각수버클(26)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로프(100)는 상측에 후크(101)가 설치된 구명로프원줄(102)이 구비되고, 이 구명로프원줄(102)의 하단에는 2~3가닥으로 분기된 분기줄(104)을 하향 설치하며, 이들 분기줄(104)의 하단에는 상의(10)의 후방에 설치된 걸림링(24)에 후크식으로 거는 걸이구(10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로프원줄(102)의 하단부와 분기줄(104)의 상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지닌 밴드가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지며, 그 접혀진 밴드부를 비닐지등의 커버로서 단단하게 감싼 완충부(103)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4. 작업복 상하의(10,30)에 상하의구명밴드(20,4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상하의구명밴드(20,40)의 각각의 단부가 암수버클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상의의 후방에 설치된 걸림링에는 공지된 구명로프(100)의 걸이구가 착탈식으로 걸어지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의(10)는 전개된 상태에서 중앙에 머리삽입구멍(14)이 형성된 상의본체(4)의 전후방에 앞가슴판부(3a)와 등판부(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앞가슴판부(3a)와 등판부(1a)의 양측에는 전후방옆구리부(2a,2b)가 외향 형성되며, 양측 전방옆구리부(2a)의 외부면에는 암매직테이프(15)가 설치되고, 양측 후방옆구리부(2b)의 내부면에는 수매직테이프(16)가 설치되며, 양측 후방옆구리부(2b)의 내피 내부에는 옆구리쿠션(9)가 설치되고,
    상기 상의본체(4)의 내면에는 2줄의 상의구명밴드(20)가 등판부(1a)와 앞가슴판부(3a)에서 "X"자 형태로 각각 교차되게 설치되며, 앞가슴판부(3a)에서 교차되는 상의구명밴드(20)의 전방고정밴브부(20a)가 "X"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걸림링(24)이 앞가슴판부(3a)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등판부(1a)에서 후방고정밴드부(20b)가 교차되는 지점과, 그 교차지점 상부양측의 후방고정밴드부(20b)에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3개의 걸림링(24)이 등판부(1a)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의(30) 내측의 사타구니부에는 신체의 사타구니와 허벅지 내측에 대응하는 사타구니쿠션(31)이 재봉으로 설치되고, 상기 2줄의 하의구명밴드(40)가 양측 허리부 전방에서 사타구니부로 내려가다가 허벅지부를 감아 돈 뒤에 엉덩이부를 통하여 양측 허리부 후방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하의(30)의 내면에 재봉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의(30)의 후방양측에 설치된 후방밴드부(43)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후방암버클(44)에는 상의(10)의 양측 후방고정밴드부(20b)의 말단부에 설치된 카라비나(28)가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하의(30)의 전방양측에 설치된 전방밴드부(41)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전방암버클(45)에는 상의(10)의 양측 전방고정밴브부(20a)의 말단부에 설치된 사각수버클(26)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로프(100)는 상측에 후크(101)가 설치된 구명로프원줄(102)이 구비되고, 이 구명로프원줄(102)의 하단에는 2~3가닥으로 분기된 분기줄(104)을 하향 설치하며, 이들 분기줄(104)의 하단에는 상의(10)의 후방에 설치된 걸림링(24)에 후크식으로 거는 걸이구(10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로프원줄(102)의 하단부와 분기줄(104)의 상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지닌 밴드가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지며, 그 접혀진 밴드부를 비닐지등의 커버로서 닫단하게 감싼 완충부(103)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KR1020070047557A 2007-05-16 2007-05-16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KR10075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57A KR100751523B1 (ko) 2007-05-16 2007-05-16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57A KR100751523B1 (ko) 2007-05-16 2007-05-16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523B1 true KR100751523B1 (ko) 2007-08-22

Family

ID=3861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557A KR100751523B1 (ko) 2007-05-16 2007-05-16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5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00Y1 (ko)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444898B1 (ko) 2013-04-29 2014-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구조구난 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101897804B1 (ko) * 2018-04-09 2018-09-13 허욱 전투용 조끼 결합형 플레이트 캐리어
EP3704979A1 (de) * 2019-03-08 2020-09-09 Heinemann, Nicole Schutzbekleidung
KR102455766B1 (ko) * 2021-09-29 2022-10-18 새봄산업 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1882A (en) 1984-12-06 1988-03-22 Irvin Fallskarms Ab Safety garment
JPH11315406A (ja) 1998-02-27 1999-11-16 Toyo Bussan Kk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KR200262784Y1 (ko) 2001-10-22 2002-03-18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안전벨트가 부착된 작업복
JP2004131040A (ja) 2002-10-10 2004-04-30 Emuzujinteikku Kk 車輌用着衣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1882A (en) 1984-12-06 1988-03-22 Irvin Fallskarms Ab Safety garment
JPH11315406A (ja) 1998-02-27 1999-11-16 Toyo Bussan Kk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KR200262784Y1 (ko) 2001-10-22 2002-03-18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안전벨트가 부착된 작업복
JP2004131040A (ja) 2002-10-10 2004-04-30 Emuzujinteikku Kk 車輌用着衣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00Y1 (ko)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444898B1 (ko) 2013-04-29 2014-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구조구난 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101897804B1 (ko) * 2018-04-09 2018-09-13 허욱 전투용 조끼 결합형 플레이트 캐리어
EP3704979A1 (de) * 2019-03-08 2020-09-09 Heinemann, Nicole Schutzbekleidung
KR102455766B1 (ko) * 2021-09-29 2022-10-18 새봄산업 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5799B1 (en) Adjustable support garment with harness system
EP2403366B1 (en) Safety harness
CA2569135C (en) Combined garment and safety harness
US4177877A (en) Safety vest
KR100671167B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US20080282442A1 (en) Garment provided with a harness
EP0744192A2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KR100751523B1 (ko)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EP2401038B1 (en) Element for the attachment of parts of a safety harness
JP7072823B2 (ja) 安全帯付き作業服
ITUB20156004A1 (it) Giubbotto ad assetto variabile per uso subacqueo
JP3218351U (ja) 工事作業用安全具
JP2949101B1 (ja)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JP2003117015A (ja) 墜落防止用ハーネス型安全帯
WO2001012267A1 (en) Garment and safety harness combination
KR20060079390A (ko)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KR10076855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복
CN219108780U (zh) 一种具有警示佩戴条的户外工作服
JPH07246247A (ja) 高所作業着及びその安全帯
CN212575479U (zh) 防坠安全工作服
WO2010031087A1 (en) A safety garment
KR200437727Y1 (ko)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JP2022187111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017110306A (ja) 脚カバー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雨合羽およびジャ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