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390A -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390A
KR20060079390A KR1020040117547A KR20040117547A KR20060079390A KR 20060079390 A KR20060079390 A KR 20060079390A KR 1020040117547 A KR1020040117547 A KR 1020040117547A KR 20040117547 A KR20040117547 A KR 20040117547A KR 20060079390 A KR20060079390 A KR 2006007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lothes
belt
state
fixe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미
Original Assignee
강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미 filed Critical 강수미
Priority to KR102004011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9390A/ko
Publication of KR2006007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작업복 상의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안전벨트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재봉하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작업현장의 각종 돌출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은 작업복 상의의 하단 가장자리의 내피와 외피사이에 내장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며, 그 양단부에는 작업복 상의의 양쪽 앞자락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클이 설치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벨트부와;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부분 소정 높이에서 외피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교차끼움구와; 아랫부분은 상기 벨트부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되고, 중간부위는 상기 교차끼움구를 통하여 "X"자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복 상의의 등부분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사이에 내장되어 재봉·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교차부; 상기 각 교차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작업복 상의의 양쪽 어깨부 및 양쪽 앞자락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를 통하여 끼워져 상기 벨트부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어깨띠와; 내측단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앞자락 좌우 가슴부위 내측을 통과하는 각 어깨띠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부위의 외피 바깥쪽으로 인출되며, 외측단에는 착용시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 되는 결속클립이 연결된 좌우 한쌍의 가슴결속띠와; 상기 교차끼움구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안전로우프에 끼워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한다.
작업복, 안전벨트, 교차끼움구, 다리끼움벨트, 안전고리

Description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WORKING CLOTHES FORMING IN A BODY WITH SAFETY BELT}
도 1은 종래 작업복의 외측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서 다리끼움벨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벨트부 34 : 교차끼움구
36 : 교차부 38 : 어깨띠
40 : 가슴결속띠 42 : 안전고리
44a : 내피 44b : 외피
52 : 결속클립 58 : 다리끼움벨트
60 : 결속구.
본 발명은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복 상의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안전벨트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재봉하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현장의 여러 돌출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사무용 고층빌딩 등을 건축하는 공사현장에서는 고소(高所) 작업자가 작업중 균형을 잃고 떨어져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의무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허리에 감아 착용하는 일자(一子)형 허리밴드와, 작업자의 등쪽에서 교차끼움구내로 엇갈리게 끼워져 "X"가 형태로 교차된 상태에서 팔을 끼워 상체에 착용함과 동시에 양쪽 다리에 끼워 허벅지에서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착용하는 상하 일체형 "X" 밴드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안전벨트의 종류중 일자형 허리밴드타입의 경우 허리밴드의 뒷부분에 연결된 안전고리에 안전로우프가 끼워지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떨어질 때의 낙하하중을 상기 안전로우프가 윗쪽으로 당기면서 잡아줘 멈춰지도록 하기 때문에 허리부분의 척추가 손상될 우려가 높아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실제 작업장에서는 상체에 착용함과 동시에 양쪽 허벅지에 끼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일체형 "X"밴드 타입의 안전벨트가 선호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작업복의 외측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상하 일체형 "X"밴드 타입의 안전벨트(10)는 윗부분(10a)은 작업자의 등쪽에서 별도의 교차끼움구에 의해 엇갈리게 끼워져 "X"자 형태로 교차됨과 동시에 아랫부분에는 양쪽 다리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윗부분은 팔을 끼워 상체에 착용함과 동시에 아랫부분(10b)은 양쪽 다리에 끼워 허벅지(12)에서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착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상하 일체형 "X"밴드 타입의 안전벨트(10)는 먼저 작업복(14)을 입은 후 그 바깥쪽에 착용하여야 되는데, 이 경우 안전벨트(10)와 작업복(14)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작업현장의 각종 돌출물에 걸리기 쉬워 오히려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안전벨트(10)는 상체에 착용하는 윗부분(10a)과 하체에 끼워 걸리도록 하는 아랫부분(10b)이 서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상태에서 무게가 무거워 행동이 부자연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안전벨트(10)의 윗부분(10a)과 아랫부분(10b)을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 업복상의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안전벨트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재봉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작업현장의 각종 돌출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은 작업복 상의의 하단 가장자리의 내피와 외피사이에 내장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며, 그 양단부에는 작업복 상의의 양쪽 앞자락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클이 설치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벨트부와;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부분 소정 높이에서 외피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교차끼움구와; 아랫부분은 상기 벨트부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되고, 중간부위는 상기 교차끼움구를 통하여 "X"자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복 상의의 등부분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사이에 내장되어 재봉·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교차부; 상기 각 교차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작업복 상의의 양쪽 어깨부 및 양쪽 앞자락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를 통하여 끼워져 상기 벨트부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어깨띠와; 내측단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앞자락 좌우 가슴부위 내측을 통과하는 각 어깨띠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부위의 외피 바깥쪽으로 인출되며, 외측단에는 착용시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속클립이 연결된 좌우 한쌍의 가슴결속띠 와; 상기 교차끼움구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안전로우프에 끼워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된 각 교차부의 하단에는 작업자의 양쪽 허벅지에 끼워 착용하는 별도의 다리끼움벨트의 양쪽 후단을 끼워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길이의 결속구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각 어깨띠의 하단과 다리끼움벨트의 선단부에는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클립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측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서 다리끼움벨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30)은 앞자락의 가운데 부분이 절개되어 좌우 양쪽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지퍼 또는 단추 등에 의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복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안전벨트를 내장하고, 재봉질하여 고정하므로써 가벼우면서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상태에서 작업장의 각종 돌출물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강화하는 한편, 다리에 끼워지는 부분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30)은 벨트부(32)와, 교차끼움구(34)와, 교차부(36), 어깨띠(38)와, 가슴결속띠(40) 및 안전고리(42)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부(32)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작업복 상의(44)의 하단 가장자리의 내피(44a)와 외피(44b)사이에 내장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벨트부(32)의 양단부에는 작업복 상의(44)의 양쪽 앞자락(46)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클(48)이 설치된다.
상기 교차끼움구(34)는 작업복 상의(44)의 등부분 소정 높이에서 외피(44b)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재봉함으로써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차부(36)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그 아랫부분은 상기 벨트부(32)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되고, 중간부위는 상기 교차끼움구(34)를 통하여 "X"자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교차끼움구(34)에 의해 엇갈리게 끼워진 상기 교차부(36)는 작업복 상의(44)의 등부분을 구성하는 내피(44a)와 외피(44b)사이에 내장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된다.
상기 어깨띠(38)는 각각의 교차부(36)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작업 복 상의(44)의 양쪽 어깨부(50) 및 양쪽 앞자락(46)을 구성하는 내피(44a)와 외피(44b) 사이를 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작업복 상의(44)의 어깨부(50)와 양쪽 앞자락(46)상의 내피(44a)와 외피(44b)을 통하여 끼워진 어깨띠(38)는 상기 벨트부(32)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슴결속띠(40)는 그 내측단이 상기 작업복 상의(44)의 앞자락(46) 좌우 가슴부위 내측을 통과하는 각 어깨띠(38)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각 가슴결속띠(40)의 끝부분은 해당 부위의 외피(44b) 바깥쪽으로 인출되며, 외측단에는 착용시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속클립(52)이 연결된다.
상기 안전고리(42)는 작업현장에 설치되는 별도의 안전로우프(5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교차끼움구(34)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32)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된 각 교차부(34)의 하단에는 작업자의 양쪽 허벅지(56)에 끼워 착용하는 별도의 다리끼움벨트(58)의 양쪽 후단을 끼워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길이의 결속구(60)가 연결된다.
또, 상기 벨트부(32)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각 어깨띠(38)의 하단과 다리 끼움벨트(58)의 선단부에는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클립(5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32)의 양쪽 끝부분, 교차끼움구(34), 가슴결속띠(40) 등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복의 상의(44)의 해당 부위에는 그에 맞는 크기의 절개부(62)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30)은 벨트부(32)가 작업복 상의(44)의 하단부 내피(44a)와 외피(44b)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재봉되어 고정되고, 상기 벨트부(32)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등쪽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교차부(36)는 작업복 상의(44)의 등부분 소정 높이에 고정·설치된 교차끼움구(34)에 의하여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내피(44a)와 외피(44b) 사이에 끼워져 재봉·고정되는 한편, 상기 교차부(36)의 각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어깨띠(38)는 작업복 상의(44)의 어깨부(50)와 앞자락(46)을 구성하는 내피(44a)와 외피(44b) 사이에 끼워 재봉·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교차끼움구(34)의 외측에는 안전고리(42)가 설치되고, 상기 교차부(36)의 하단에는 다리끼움벨트(58)의 후단을 끼워 결속하는 결속구(60)가 설치되며, 상기 어깨띠(38)의 앞쪽 하단과 다리끼움벨트(58)의 선단에는 결속클립(5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30)은 일반적인 작업복을 입는 방식으로 입으면 된다.
예로서, 앞자락이 지퍼나 단추로 여닫도록 구성된 작업복의 경우, 지퍼나 단추를 열고 작업복 상의(44)의 소매 부분에 작업자의 팔을 넣어 착용한 후 다시 지퍼나 단추를 닫으면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작업복 상의(44)의 앞자락(46) 바깥쪽으로 노출된 버클(48)을 결속시키고, 앞자락(46)의 가슴부위에서 바깥쪽으로 노출된 가슴결속띠(40) 양단의 결속클립(52)을 서로 끼워 체결하면, 작업복과 안전벨트의 착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작업현장에 미리 마련된 안전로우프(54)를 안전고리(42)에 끼우면 되는 것이다.
한편, 다리끼움벨트(58)를 착용할 필요가 있는 작업현장에서는 상기 교차부(36)의 하단부에 연결된 결속구(60)에 상기 다리끼움벨트(58)의 후단을 끼워 결속하고, 다리끼움벨트(58)의 선단과 상기 어깨띠(38)의 앞쪽 하단부에 연결된 결속클립(52)을 서로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끼움벨트(58)를 다리에 끼워 착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안전벨트가 작업복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끼워지 재볼질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작업현장의 각종 돌출물에 걸리지 않게 되어 안전성이 강화되고, 작업복과 안전벨트가 일테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벼우면서도 착용이 간편하다.
또, 다리끼워 착용하는 안전벨트인 다리끼움벨트를 선택적으로 착용 또는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은 물론, 작업복과 안전벨트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작업복 상의의 하단 가장자리의 내피와 외피사이에 내장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며, 그 양단부에는 작업복 상의의 양쪽 앞자락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클이 설치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벨트부와;
    상기 작업복 상의의 등부분 소정 높이에서 외피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교차끼움구와;
    아랫부분은 상기 벨트부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되고, 중간부위는 상기 교차끼움구를 통하여 "X"자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복 상의의 등부분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사이에 내장되어 재봉·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교차부;
    상기 각 교차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작업복 상의의 양쪽 어깨부 및 양쪽 앞자락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를 통하여 끼워져 상기 벨트부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재봉·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어깨띠와;
    내측단은 상기 작업복 상의의 앞자락 좌우 가슴부위 내측을 통과하는 각 어깨띠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부위의 외피 바깥쪽으로 인출되며, 외측단에는 착용시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속클립이 연결된 좌우 한쌍의 가슴결속띠와;
    상기 교차끼움구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안전로우프에 끼워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뒷부분 양쪽에 고정된 각 교차부의 하단에는 작업자의 양쪽 허벅지에 끼워 착용하는 별도의 다리끼움벨트의 양쪽 후단을 끼워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길이의 결속구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의 앞부분 양쪽에 고정된 각 어깨띠의 하단과 다리끼움벨트의 선단부에는 서로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클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KR1020040117547A 2004-12-30 2004-12-30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KR2006007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47A KR20060079390A (ko) 2004-12-30 2004-12-30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47A KR20060079390A (ko) 2004-12-30 2004-12-30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390A true KR20060079390A (ko) 2006-07-06

Family

ID=3717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547A KR20060079390A (ko) 2004-12-30 2004-12-30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93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57B1 (ko) * 2007-04-18 2007-10-18 손승봉 고소작업용 안전복
KR200446000Y1 (ko) *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444898B1 (ko) * 2013-04-29 2014-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구조구난 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101485735B1 (ko) * 2014-04-18 2015-01-22 이지호 배낭 벨트 삽입부를 구비한 등산복 상의
KR20190108876A (ko) *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57B1 (ko) * 2007-04-18 2007-10-18 손승봉 고소작업용 안전복
KR200446000Y1 (ko) *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444898B1 (ko) * 2013-04-29 2014-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구조구난 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101485735B1 (ko) * 2014-04-18 2015-01-22 이지호 배낭 벨트 삽입부를 구비한 등산복 상의
KR20190108876A (ko) *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480A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CA2569135C (en) Combined garment and safety harness
JP3952212B2 (ja) 安全装具
US8443937B2 (en) Floating harness with continuous loop
US6202215B1 (en) Protective chaps for construction work
US4645033A (en) Strap seat
KR100751523B1 (ko)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JP3769551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20060079390A (ko)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JP2949101B1 (ja)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JP2019039098A (ja) 安全帯付き作業服
KR200255061Y1 (ko) 안전조끼가 구비된 그네식 안전벨트
WO2001012267A1 (en) Garment and safety harness combination
KR200489690Y1 (ko) 바지형태의 안전대
JP3135243U (ja) つなぎ服
KR101229788B1 (ko) 올인원 의복
KR200446000Y1 (ko)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20210095195A (ko) 안전벨트
JP2022187111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102669714B1 (ko) 안전 작업복 세트
JP3239117U (ja) 作業用レインウエア
JP3184568U (ja)
KR200491283Y1 (ko) 에이프런
KR102119750B1 (ko) 유방검진복
KR20230001225U (ko) 그네식 안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