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750B1 - 유방검진복 - Google Patents

유방검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50B1
KR102119750B1 KR1020180147822A KR20180147822A KR102119750B1 KR 102119750 B1 KR102119750 B1 KR 102119750B1 KR 1020180147822 A KR1020180147822 A KR 1020180147822A KR 20180147822 A KR20180147822 A KR 20180147822A KR 102119750 B1 KR102119750 B1 KR 10211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em
breast examination
edg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947A (ko
Inventor
이경화
임시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7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검진용 상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검진복은 티셔츠 형태로 형성되되,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개구부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한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는 겉자락 및 상기 개구부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다른 쪽 끝단에 쌍으로 부착되어 함께 묶을 수 있는 여밈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검진복 {CLOTHING FOR BREAST EXAMINATION}
본 발명은 유방검진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방검진용 상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진복은 흔히 가운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의 및 바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하의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검진복은 일반적인 검진에 두루 이용되도록 의도된 것으로서, 유방검진을 특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지 않다.
이에 유방검진 시 상의를 풀어 헤쳤을 때 가슴 이외 상체의 다른 부분까지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유방검진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방검진 시 사용자의 상체가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방검진복을 제공한다.
또한 외관을 새롭게 개선할 수 있는 유방검진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검진복은 티셔츠 형태로 형성되되,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개구부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한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는 겉자락 및 상기 개구부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다른 쪽 끝단에 쌍으로 부착되어 함께 묶을 수 있는 여밈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자락의 왼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상기 여밈끈이 상기 개구부의 오른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오른쪽 끝단에 부착되거나, 상기 겉자락의 오른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상기 여밈끈이 상기 개구부의 왼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왼쪽 끝단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몸체를 두르도록 배치되어, 그 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임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자락의 아래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상기 여밈끈이 상기 개구부의 양 옆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양 옆쪽 끝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자락의 위쪽 끝단에서 양측에 쌍으로 부착되어 사용자의 목뒤에서 매듭짓도록 함께 묶을 수 있는 추가 여밈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에서 전면 목둘레에 해당하는 부위로부터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걸쳐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중단된 전면 목둘레 중 한쪽 끝단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전면 목둘레 중 반대쪽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너머로 더 연장되는 덧자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검진복은 몸체에서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겉자락의 한쪽 끝단이 개구부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다른 쪽에서 여밈끈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겉자락을 펼쳤을 때 가슴 이외 상체의 다른 부분까지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방검진복의 외관을 새롭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의 정면도로서, 겉자락으로 개구부를 덮은 후 여밈끈을 묶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의 정면도로서, 여밈끈을 풀어 겉자락을 옆으로 펼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의 정면도로서, 겉자락으로 개구부를 덮은 후 여밈끈을 묶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의 정면도로서, 여밈끈을 풀어 겉자락을 아래로 펼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검진복은 몸체가 전체적으로 티셔츠 형태로 형성되는데, 몸체에서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겉자락의 한쪽 끝단이 개구부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고, 개구부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겉자락의 다른 쪽 끝단에 여밈끈이 쌍으로 부착된다.
이에 착용 시에는 겉자락으로 개구부를 덮은 후 여밈끈을 묶어 겉자락을 고정할 수 있고, 검진 시에는 반대로 여밈끈을 풀어 겉자락을 펼치는 방식으로 개구부를 통해 가슴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슴 이외 다른 부위가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방검진복은 겉자락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단이 개구부의 왼쪽 또는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겉자락을 옆으로 펼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 겉자락의 아래쪽 끝단이 개구부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겉자락을 아래로 펼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100)의 정면도로서, 도 1은 겉자락(120)으로 개구부(111)를 덮은 후 여밈끈(130)을 묶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여밈끈(130)을 풀어 겉자락(120)을 옆으로 펼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유방검진복(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10), 겉자락(120) 및 여밈끈(13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티셔츠 형태로 형성되는데, 몸체(110)에서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서 전면 목둘레에 해당하는 부위로부터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방검진복(100)은 고정끈(140)을 더 포함하여, 고정끈(140)의 일단은 몸체(110)에서 개구부(111)에 의해 중단된 전면 목둘레의 한쪽 끝단에 부착되고, 고정끈(140)의 타단은 상기 전면 목둘레의 반대쪽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목둘레의 반대쪽 끝단에 단추가 부착되고, 고정끈(140)의 타단에 그에 대응되는 단춧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겉자락(120)은 개구부(111)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그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겉자락(120)이 몸통에 해당하는 부위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겉자락(120)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단은 개구부(111)의 왼쪽 또는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된다. 도면에서는 겉자락(120)의 왼쪽 끝단이 개구부(111)의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다가 몸체(110)의 왼쪽 솔기를 따라 밑단까지 더 재봉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물론 겉자락(120)의 오른쪽 끝단이 개구부(111)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될 수도 있겠으나,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자락(120)의 왼쪽 끝단이 개구부(111)의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여밈끈(130)은 개구부(111)의 오른쪽 가장자리와 겉자락(120)의 오른쪽 끝단에 쌍으로 부착된다. 도면에서는 여밈끈(130)이 세 쌍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유방검진복(100)은 조임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임끈(150)은 개구부(111)의 아래쪽 가장자리 측에서 몸체(110)를 두르도록 배치되어, 조임끈(150)의 양단을 잡아당겨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면서 그 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단 이를 위한 조임끈(150)의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된 바와 같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를 통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유방검진복(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유방검진복(100)의 착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통상적인 티셔츠처럼 몸체(110)를 착용한다.
또한 고정끈(140)의 타단을 상기 전면 목둘레의 반대쪽 끝단에 고정하고, 조임끈(15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한다.
다음으로 겉자락(120)으로 개구부(111)를 덮은 후 여밈끈(130)을 묶어 겉자락(120)을 고정함으로써 마무리한다.
이때 개구부(111)의 오른쪽 가장자리와 겉자락(120)의 오른쪽 끝단 사이의 틈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의도치 않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10)로부터 개구부(111)의 오른쪽 가장자리 너머로 덧자락(160)이 더 연장될 수 있다.
이후 검진 시에는 여밈끈(130)을 풀어 겉자락(120)을 옆으로 펼친다.
이처럼 유방검진복(100)을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여밈끈(130)을 풀어 겉자락(120)만 옆으로 펼침으로써 개구부(111)를 통해 가슴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부(111) 이외 다른 부위, 다시 말해 가슴 이외 상체의 다른 부분이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끈(140)에 의해 목둘레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방검진복(100)이 전체적으로 뒤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검진 방식에 따라 필요시 이를 전부 탈의하지 않고 고정끈(140)만 풀어 유방검진복(100)을 용이하게 뒤로 젖힐 수도 있다.
더욱이 조임끈(150)에 의해 개구부(111)의 아래쪽 가장자리 측이 조여져 있기 때문에 가슴 밑 또는 배에 해당하는 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200)의 정면도로서, 도 3은 겉자락으로 개구부를 덮은 후 여밈끈을 묶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여밈끈을 풀어 겉자락을 아래로 펼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유방검진복(200)은 몸체(210), 겉자락(220), 제1 여밈끈(231) 및 제2 여밈끈(232)을 포함한다.
몸체(210)는 전체적으로 티셔츠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210)에서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부(211)가 형성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에서 전면 목둘레에 해당하는 부위로부터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방검진복(200)은 고정끈(240)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몸체(210), 개구부(211) 및 고정끈(240)은 앞서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100)의 몸체(110), 개구부(111) 및 고정끈(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개별적인 실시예에 따라 당연히 변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해당할 것이므로, 이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겉자락(220)은 개구부(211)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겉자락(220)의 아래쪽 끝단이 개구부(211)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된다.
이때 제1 여밈끈(231)은 개구부(211)의 양 옆쪽 가장자리와 겉자락(220)의 양 옆쪽 끝단에 쌍으로 각각 부착된다. 도면에서는 제1 여밈끈(231)이 한 쌍으로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여밈끈(232)은 겉자락(220)의 위쪽 끝단에서 양측에 한 쌍으로 부착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이상으로 설명한 유방검진복(2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유방검진복(200)의 착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통상적인 티셔츠처럼 몸체(210)를 착용한다.
또한 고정끈(240)의 타단을 상기 전면 목둘레의 반대쪽 끝단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겉자락(220)으로 개구부(211)를 덮은 후 제1 여밈끈(231)을 묶고, 제2 여밈끈(232)을 사용자의 목뒤에서 매듭짓도록 묶어 겉자락(220)을 고정함으로써 마무리한다.
이때 개구부(211)의 양 옆쪽 가장자리와 겉자락(220)의 양 옆쪽 끝단 사이의 틈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의도치 않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210)로부터 개구부(211)의 양 옆쪽 가장자리 너머로 덧자락(260)이 더 연장될 수 있다.
이후 검진 시에는 여밈끈(230)을 풀어 겉자락(220)을 아래로 펼쳐 개구부(211)를 통해 가슴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검진 방식에 따라 필요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끈(240)을 풀어 유방검진복(200)을 뒤로 젖힐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유방검진복(100, 20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
110: 몸체
111: 개구부
120: 겉자락
130: 여밈끈
140: 고정끈
150: 조임끈
160: 덧자락
2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검진복
210: 몸체
211: 개구부
220: 겉자락
231: 제1 여밈끈
232: 제2 여밈끈
240: 고정끈
250: 조임끈
260: 덧자락

Claims (7)

  1. 티셔츠 형태로 형성되되,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개구부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한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는 겉자락 및
    상기 개구부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다른 쪽 끝단에 쌍으로 부착되어 함께 묶을 수 있는 여밈끈을 포함하되,
    상기 겉자락의 아래쪽 끝단이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상기 여밈끈이 상기 개구부의 양 옆쪽 가장자리와 상기 겉자락의 양 옆쪽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겉자락의 위쪽 끝단에서 양측에 쌍으로 부착되어 사용자의 목뒤에서 매듭짓도록 함께 묶을 수 있는 추가 여밈끈을 더 포함하는 유방검진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에서 전면 목둘레에 해당하는 부위로부터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에 걸쳐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중단된 전면 목둘레 중 한쪽 끝단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전면 목둘레 중 반대쪽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끈을 더 포함하는 유방검진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너머로 더 연장되는 덧자락을 더 포함하는 유방검진복.
KR1020180147822A 2018-11-26 2018-11-26 유방검진복 KR10211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22A KR102119750B1 (ko) 2018-11-26 2018-11-26 유방검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22A KR102119750B1 (ko) 2018-11-26 2018-11-26 유방검진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947A KR20200061947A (ko) 2020-06-03
KR102119750B1 true KR102119750B1 (ko) 2020-06-08

Family

ID=7108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22A KR102119750B1 (ko) 2018-11-26 2018-11-26 유방검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750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732B2 (ja) 1991-07-29 2000-04-10 東ソー株式会社 高純度メチルチオカーバメイト類の製造方法
JP3119177B2 (ja) 1996-10-24 2000-12-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133423B2 (ja) 1991-10-14 2001-02-05 光洋精工株式会社 回転部品の異常検出装置
JP3210678B2 (ja) 1995-10-17 2001-09-17 マクダーミッ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錫メッキ電解質組成物
KR200381629Y1 (ko) 2005-01-25 2005-04-14 이순덕 팔과 어깨부분이 개방되는 환자복
WO2006020985A2 (en) 2004-08-13 2006-02-23 Nwawka Chudi C Medical garment
JP2006225810A (ja) * 2005-02-18 2006-08-31 Univ Kurume 放射線療法用衣服
JP2008025038A (ja) 2006-07-18 2008-02-07 Nagai Les-Ben Kk 検診上衣
US20130000012A1 (en) 2011-06-29 2013-01-03 Andrea Lynn Putfark Medical examination dress
US20130036526A1 (en) * 2011-08-09 2013-02-14 Daphna Rashman Adjustable Gown
US20130047311A1 (en) 2011-08-25 2013-02-28 Cynthia Morency Garment and system for post surgery clothing enhancement
US20140068835A1 (en) 2012-09-10 2014-03-13 ChemoReady SetGo, LLC Chemotherapy treatment gown
US20160066631A1 (en) 2011-10-18 2016-03-10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Medical Gown
JP2017008440A (ja) 2015-06-19 2017-01-12 フォーク株式会社 検診衣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4063A (en) * 1967-03-10 1969-09-02 Henry J Hoegerman Medical examination gown
JP3030732U (ja) * 1995-10-20 1996-11-05 恵子 西場 エプロン取りつけワンタッチ介護専用パジャマ
JPH11279815A (ja) * 1998-03-26 1999-10-12 Gms:Kk 検査着
EP1362520A3 (de) * 2002-05-13 2004-07-28 J. Sonderegger & Co. AG Kranken-Oberkleidungsstück
JP3119177U (ja) * 2005-12-01 2006-02-16 星野 恵子 健診用被服
JP3133423U (ja) * 2007-04-17 2007-07-12 株式会社トンボ 検診用ケープ
JP3210678U (ja) * 2017-03-16 2017-06-01 株式会社ホワイトコート 施術用衣服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732B2 (ja) 1991-07-29 2000-04-10 東ソー株式会社 高純度メチルチオカーバメイト類の製造方法
JP3133423B2 (ja) 1991-10-14 2001-02-05 光洋精工株式会社 回転部品の異常検出装置
JP3210678B2 (ja) 1995-10-17 2001-09-17 マクダーミッ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錫メッキ電解質組成物
JP3119177B2 (ja) 1996-10-24 2000-12-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06020985A2 (en) 2004-08-13 2006-02-23 Nwawka Chudi C Medical garment
KR200381629Y1 (ko) 2005-01-25 2005-04-14 이순덕 팔과 어깨부분이 개방되는 환자복
JP2006225810A (ja) * 2005-02-18 2006-08-31 Univ Kurume 放射線療法用衣服
JP2008025038A (ja) 2006-07-18 2008-02-07 Nagai Les-Ben Kk 検診上衣
US20130000012A1 (en) 2011-06-29 2013-01-03 Andrea Lynn Putfark Medical examination dress
US20130036526A1 (en) * 2011-08-09 2013-02-14 Daphna Rashman Adjustable Gown
US20130047311A1 (en) 2011-08-25 2013-02-28 Cynthia Morency Garment and system for post surgery clothing enhancement
US20160066631A1 (en) 2011-10-18 2016-03-10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Medical Gown
US20140068835A1 (en) 2012-09-10 2014-03-13 ChemoReady SetGo, LLC Chemotherapy treatment gown
JP2017008440A (ja) 2015-06-19 2017-01-12 フォーク株式会社 検診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947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120B2 (en) Multifunctional gar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9271534B2 (en) Garment with drawstring closure
US11786000B2 (en) Interchangeable headwear system for waterproof marine garments
US20100229284A1 (en) Lower-body garment having a secure waist assembly
US20160135518A1 (en) Tie towel
US20170035123A1 (en) Convertible garments
CA2690810A1 (en) Convertible garments
US6715155B2 (en) Pair of pants equipped with a tightening strap
KR102119750B1 (ko) 유방검진복
US20160316836A1 (en) Adaptable Garment
US20190174842A1 (en) Jacket, tie and shirt combination
JP3474471B2 (ja) ズボン
KR102086761B1 (ko) 유방검진복
US20070130666A1 (en) Stabilizer loop for garment overlap closures
JP3120734U (ja) 簡単かつ綺麗に着付けのできる着物
JP7328672B2 (ja) リフォーム着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20170295858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JP3223706U (ja) きもの
JPH11107010A (ja) 和 服
JP7398774B2 (ja) 服及び空調衣服
JP3115547U (ja) 二部式着物
JP3207640U (ja) はだけない柔道衣上着
JPS604962Y2 (ja) ドレス着物
JP3202553U (ja) 茶道用稽古着
JP3199068U (ja) 首回りのサイズ調整が可能な上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