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27Y1 -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 Google Patents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27Y1
KR200437727Y1 KR2020060032165U KR20060032165U KR200437727Y1 KR 200437727 Y1 KR200437727 Y1 KR 200437727Y1 KR 2020060032165 U KR2020060032165 U KR 2020060032165U KR 20060032165 U KR20060032165 U KR 20060032165U KR 200437727 Y1 KR200437727 Y1 KR 200437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vest
strap
straps
back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희
Original Assignee
최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279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3772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희 filed Critical 최용희
Priority to KR2020060032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각각 내·외측 시트부재가 겹쳐진 후방시트와 좌·우측 전방시트로 이루어진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배면천(1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등받이끈(23)과; 상기 배면천(11) 중앙 덧뎀부(A)에서 재봉처리되는 두 등받이끈(23)에 결합되는 안전고리(30)와; 상기 배면천(11)에 결합되는 후방허리끈(21)과; 상기 좌·우측 전면천(12,13)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허리끈(22)과;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4a) 및 제2지지끈(24b)이 상·하로 결합되는 외측고정끈(24)과; 상기 외측고정끈(24) 양 단부 사이의 후방허리끈(21) 양 측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제1(24a) 및 제2지지끈(24b) 사이의 외측고정끈(24)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고정끈(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를 착용자가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조끼 착용자의 편의성, 안전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제고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안전벨트, 벨트, 조끼, 끈

Description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Vest having safety bel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조끼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후, 카라비너로써 제2 결합링과 제1 결합링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로써 양쪽 허벅지를 감싼 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후, 후방시트에 결합된 안전고리에 안전로프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구조작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배면천 12,13 : 좌·우측전면천 21 : 후방허리끈
22 : 전방허리끈 23 : 등받이끈 24 : 외측고정끈
25 : 내측고정끈 30 : 안전고리 A,A' : 악세서리
C : 카라비너 F : 결합부재 R1 : 제1결합링
R2 : 제2결합링
조끼에 결합되어 있는 등받이끈과 허리끈으로 이루어진 안전벨트와 착용자의 허벅지부를 체결시키는 고정끈을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대원 혹은 산악 구조대원 등은 화재 또는 조난이 발생된 지역의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하여, 고층 빌딩 혹은 험준한 산악 등에서 하강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상기 구조대원 등은 안전벨트(Safe belt)를 착용하고, 안전벨트와 카라비너(Carabinner)를 연결하고, 카라비너에 자일을 연결하여 구조활동을 실시하게 되는데, 상기 구조대원 등은 다양한 상황하에서의 구조에 소요되는 각종 해당 기구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주머니가 부착된 조끼를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조대원 등은 대기소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서 구조활동 대상지로 이동할 때는 체적이 큰 구조용품이 수납된 배낭의 멜빵을 어깨에 걸쳐 메고 이동하게 되나, 구조활동시에는 상기 배낭을 벗게 되는데, 이와 같이 종래에 구조 대원 등이 사용하던 조끼와 안전벨트는 각각 분리되어 있었다.
따라서, 긴급상황 발생시 소방대원 혹은 산악 구조대원 등은 조끼를 착용 후 다시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매우 번거로웠고, 또한, 대기상태에서는 조끼와 안전벨트를 벗고 있음으로써, 개인용품인 조끼와 벨트를 관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가 고안되었는데, 이미 등록실용신안 제199328호에 " 조끼가 부착된 안전벨트 "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조끼가 부착된 안전벨트는, 배면부(1)와 제 1 전면부(2) 및 제 2 전면부(3)로 분할된 전면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면부(2)와 제 2 전면부(3)가 서로 체결되어 착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조끼; 상기 조끼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부 중앙 부근에서 단절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절 부위에 카라비너(C)를 걸기 위한 걸이홈(H)이 구비된 허리벨트(4); 상기 조끼 내면에 고정된 등받이끈(5); 상기 등받이끈(5)과 연결되어 상기 조끼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고정끈(6)과 제 2 고정끈(6')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끈; 상기 제 1 고정끈(6)과 연결되고, 길이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1허벅지끈(7)과 상기 제 2 고정끈(6')과 연결되고, 길이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2 허벅지끈(7')으로 이루어지는 허벅지끈; 및 상기 제 1 허벅지끈(7)과 상기 제 2 허벅지끈(7')을 서로 연결하고, 외부에 상기 카리비너(C)를 걸기 위한 걸이링이 삽입된 연결끈(R)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끈(5)을 상기 조끼 배면부(1)로 노출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등받이끈에 걸린 걸이링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끼의 각 어깨부위와 각 허리부위에 각각 배낭을 걸기 위한 걸쇠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끈(6,6')은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조끼 내부에 상기 등받이끈(5)을 덮는 망사형의 내피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끼 하측 내부에 조끼 외부로 하향 연장된 덮개(8)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끼와 내피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고정끈(6,6'), 허벅지끈(7,7') 및 연결끈(R)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끼의 배면부(1)와 전면부(2,3)의 측부는 옆구리끈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옆구리끈에는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버클(B)이 구비되고, 상기 조끼의 제 1 전면부(2)와 제 2 전면부(3)를 연결하는 가슴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슴끈에는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버클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끼의 제 1 전면부와 제 2 전면부는 지퍼로 체결되고, 상기 허리벨트에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버클이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A, A'는 각종 구조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들을 넣거나 걸도록 하는 주머니 등과 같은 악세서리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끼가 부착된 안전벨트는, 착용자가 자신의 하반신을 지지하기 위하여 허벅지끈으로 묶어서 조이는 동작을 함에 있어서,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긴박한 위급 상황에서는 대처하기가 쉽지 아니하고, 하반신 체중의 많 은 부분을 차지하는 양 둔부를 별도로 지지해 주지 못함으로써 안전성 확보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조끼가 부착된 안전벨트는, 구조대원이 구조활동 도중에 발생하는 불의의 추락상황에 대하여는 구조 대원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지 않음으로써, 구조 대원의 보호에 치명적인 결함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끼 착용자의 상반신은 물론 하반신까지 지지하도록 함에 있어서, 시간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여 긴박한 위급 상황에서도 대처하기가 용이하며, 하반신 체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양 둔부까지도 지지해 줌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구조대원이 구조활동 도중에 발생하는 불의의 추락상황에 대하여서도 구조 대원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착용자의 조끼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등받이끈과 허리끈에, 좌·우측 허벅지부를 체결시키는 고정끈의 일단부를 견고하고, 신속하게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각각 안감과 겉감이 겹쳐진 배면천과 좌·우측 전면천로 이루어진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배면천의 안감 내면 하단 중앙 양 측과 좌·우측 전면천 내부의 각 하단 중앙에 양 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등받이끈과; 상기 배면천 중앙 덧뎀에서 재봉처리되는 두 등받이끈에 결합되는 안전고리와; 상기 배면천의 안감 내면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양 단부가 배면천 외측으로 연장되는 후방허리끈과; 상기 좌·우측 전면천의 각 겉감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측단부가 상기 후방허리끈의 각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단부에 제1결합링이 구비된 한 쌍의 전방허리끈과; 상기 후방허리끈 양 측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에 제2결합링이 구비되며, 제2결합링 양 측 각각에 외측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지지끈이 상·하로 결합되는 외측고정끈과; 상기 외측고정끈 양 단부 사이의 후방허리끈 양 측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지지끈 사이의 외측고정끈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고정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끼는, 착용자의 등부위를 커버링하는 배면천과 착용자의 좌·우측 흉부와 복부를 동시에 커버링하며 상기 후방 시트에 연결되는 좌·우측 전면천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조활동 시의 통풍을 고려하여 매쉬(mesh) 타잎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면천와 좌·우측 전면천은 각각 상반부에서 연장·형성되거나, 배면천의 좌·우측단부에 각각 좌·우측 전면천의 일측단부가 연장·형성 되기도 하며, 상기 배면천의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좌·우측 전면천의 일측단부가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배면천과 좌·우측 전면천이 각각 상반부에서 연장·형성된 상태에서 전체 테두리부가 재봉처리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전면천은, 양단부에 지퍼를 부가함으로써 맞대어지면서 결합되며,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버클이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한데, 각 전면부에는 구조활동에 필요한 각종 도구를 수납하거나 매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주머니 및 주름형태의 걸림홈을 재봉처리하여 구비하기도 한다.
한편,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배면천의 겉감 하단부가 안감의 하단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겉감의 하단부와 안감의 하단부가 매직 테이프(일명 벨크로 테이프라고 함)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하여 닫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때 각 하단부가 닫혀진 배면천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고정끈과 한 쌍의 내측고정끈 등이 수납된다.
그리고,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등받이끈은, 한쌍으로써 후방시트의 내측 시트부재 내면 하단 중앙 양 측과 좌·우측 전방시트 내부의 각 하단 중앙에 양 단부가 결합되고, 후술하는 전·후방 허리끈 및 내·외측 고정끈과 함께 벨트 구조체를 이룸으로써, 본 안전조끼 착용자로 하여금 화재 또는 조난이 발생된 지역에서 조난자를 구조할 때, 고층 빌딩 혹은 험준한 산악 등에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안전 벨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시트 중앙부에는, 별도의 소재로써 덧대어지며 한쌍의 등받이끈이 내측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안전고리가 구비되는데, 안전 고리는 등받이 끈에 걸리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에 각도를 이루며 연장·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링부를 구비하는데, 링부는 배면천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경사지게 놓여진다.
따라서, 상기 안전고리의 링부에는 로프가 걸리도록 하여, 조난자 등을 구조하는 구조대원으로 하여금 구조활동 도중에 고층건물 등으로부터의 추락에 대비함으로써, 상기 로프로 인하여 구조대원이 지면에 무방비 상태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안전하게 구조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가 배면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링부는 배면천과 각도를 이루게 되어, 위급시 상기 링부에 로프를 걸거나 카라비너를 끼우려고 할때, 링부 일측을 손으로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후방 허리끈과 전방 허리끈은, 배면천과 좌·우측 전면천으로 이루어지는 조끼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바, 허리를 조여주는 단순한 벨트의 역할을 하게 되나, 한 쌍의 등받이끈과 결합됨으로써 비로소 구조대원의 상반신을 견고하게 지지·보호하여 주는 안전벨트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허리끈의 양 단부에는 제1 결합링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들은 후술하는 외측 고정끈의 제2 결합링과 함께 카라비너를 연결 매개체로 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또한,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내·외측 고정끈은, 상기 후방 허리끈에 각 일단부가 재봉처리되어 결합되는데, 외측 고정끈은 중앙부의 제2 결합링 이 제1 결합링에 연결됨으로써 구조대원의 상반신과 함께 하반신도 견고하게 지지·보호하여 주는 안전벨트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고정끈은, 각각 타단부가 외측 고정끈 양 단부 사이의 후방허리끈 양 측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지지끈 사이의 외측고정끈에 각각 결합되어, 외측 고정끈과 함께 조끼 착용자의 양 둔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구조대원의 하반신 중에서 체중을 많이 차지하는 둔부를 지지해 준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끈은, 후크와 후크 수용부재를 각 일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지지끈끼리 서로 체결시켜, 구조대원의 양 허벅지 둘레를 각각 감싸도록 하여, 구조활동 도중의 불의의 추락에 있어서 구조 대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조끼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각각 안감과 겉감이 겹쳐진 배면천과 좌·우측 전면천로 이루어진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배면천(11)의 안감(11a) 내면 하단 중앙 양 측과 좌·우측 전면천(1 2,13) 내부 의 각 하단 중앙에 양 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등받이끈(23)과; 상기 배면천(11) 중앙 덧뎀부(B)에서 재봉처리되는 두 등받이끈(23)에 결합되는 안전고리(30)와; 상기 배면천(11)의 안감(11a) 내면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양 단부가 배면천(11) 외측으로 연장되는 후방허리끈(21)과; 상기 좌·우측 전면천(12,13)의 각 겉감(12a)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측단부가 상기 후방허리끈(21)의 각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단부에 제1결합링(R1)이 구비된 한 쌍의 전방허리끈(22)과; 상기 후방허리끈(21) 양 측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에 제2결합링(R2)이 구비되며, 제2결합링(R2) 양 측 각각에 외측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4a) 및 제2지지끈(24b)이 상·하로 결합되는 외측고정끈(24)과; 상기 외측고정끈(24) 양 단부 사이의 후방허리끈(21) 양 측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제1(24a) 및 제2지지끈(24b) 사이의 외측고정끈(24)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고정끈(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배면천(11)의 겉감(11b)의 하단부가 안감(11a)의 하단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겉감(11b)의 하단부와 안감(11a)의 하단부가 매직 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하여 닫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때 각 하단부가 닫혀진 배면천(1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고정끈(24)과 한 쌍의 내측고정끈(25) 등이 수납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A, A'는 악세서리이며, F는 결합부재이다.
도 7은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후, 카라비너로써 제2 결합링과 제1 결합링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1 지지끈과 제2 지지끈으로써 양 쪽 허벅지를 감싼 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후 각종 고정끈을 연결·결합시키는 과정을 살펴 본다.
우선, 소방대원 혹은 산악 구조대원 등 조끼 착용자는, 좌·우측 전면천(12,13)의 지퍼를 분리·해제시키어 상호 결합된 좌·우측 전면천(12,13)의 중앙 단부를 열어서 좌·우 팔을 소매부의 홈에 넣어 걸치고 난 후, 겹쳐진 배면천(11)의 겉감과 안감 하단부의 매직 테이프 또는 단추 등을 풀러 수납공간내에 수납되어 있는 외측 고정끈(24)과 한 쌍의 내측고정끈(25) 등을 아래로 내려 뜨린다.
그 다음, 외측 고정끈(24)의 제2 결합링(R2)을 전방으로 가져와 상기 제1 결합링(R1)과 인접되게 한 후, 카라비너로써 상호 결합시키고, 이어서 양쪽다리 전방에 인접되게 늘어뜨려져 있는 각각의 제1 지지끈(24a)과 제2 지지끈(24b)으로써 양 허벅지를 감싼 후, 상호간에 체결시키어 양 다리가 지지·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고정끈과 제 2 고정끈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끈에 연결되어 허벅지를 고정할 수 있는 제 1허벅지끈과 제 2 허벅지끈으로 이루어져서 단순히 허리벨트에 허벅지만 지지되도록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양 둔부를 포함하는 대퇴부와 허벅지를 전체로써 감싸면서 허리끈에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고정 시킨다.
미설명 부호 C는 카라비너이다.
도 9는 본 고안 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후방시트에 결합된 안전고리에 안전로프를 연결시켜 구조작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조끼와 안전벨트를 일체로 형성시킨 종래 기술과는 달리, 양 둔부를 포함하는 대퇴부와 허벅지를 전체로써 감싸면서 허리끈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이에 결합된 한 쌍의 등받이끈의 교차지점의 덧댐부(B)에 결합되어 있는 안전고리(30)를 통하여 외부의 안전로프에 걸리도록 하여, 구조활동 도중에 발생하는 불의의 추락상황에 대하여서도 구조 대원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고리를 통하여 안전로프에 연결됨으로써 자신이 보호받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어, 구조대원으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도록 하여 구조활동에 더욱 전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는, 조끼 착용자가 자신의 상반신은 물론 하반신까지 지지하도록 함에 있어서, 시간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여 긴박한 위급 상황에서도 대처하기가 용이하며, 하반신 체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양 둔부까지도 지지해 줌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대원이 구조활동 도중에 발생하는 불의의 추락상황에 대하여서도 구조 대원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각각 안감과 겉감이 겹쳐진 배면천과 좌·우측 전면천로 이루어진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배면천(11)의 안감(11a) 내면 하단 중앙 양 측과 좌·우측 전면천(1 2,13) 내부의 각 하단 중앙에 양 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등받이끈(23)과;
    상기 배면천(11) 중앙 덧뎀부(B)에서 재봉처리되는 두 등받이끈(23)에 결합되는 안전고리(30)와;
    상기 배면천(11)의 안감(11a) 내면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양 단부가 배면천(11) 외측으로 연장되는 후방허리끈(21)과;
    상기 좌·우측 전면천(12,13)의 각 겉감(12a)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측단부가 상기 후방허리끈(21)의 각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단부에 제1결합링(R1)이 구비된 한 쌍의 전방허리끈(22)과;
    상기 후방허리끈(21) 양 측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에 제2결합링(R2)이 구비되며, 제2결합링(R2) 양 측 각각에 외측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4a) 및 제2지지끈(24b)이 상·하로 결합되는 외측고정끈(24)과;
    상기 외측고정끈(24) 양 단부 사이의 후방허리끈(21) 양 측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제1(24a) 및 제2지지끈(24b) 사이의 외측고정끈(24)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고정끈(2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천(11) 겉감(11b)의 하단부는, 안감(11a)의 하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양 하단부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30)는, 배면천(11) 중앙의 덧댐부(B)에 재봉처리되는 두 등받이끈(23)에 결합되는 걸이부(30b)와 상기 걸이부(30b)와 각도를 이루며 연장·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링부(3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허리끈(21)과 한 쌍의 전방허리끈(22)은,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버클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KR2020060032165U 2006-12-20 2006-12-20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KR200437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65U KR200437727Y1 (ko) 2006-12-20 2006-12-20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65U KR200437727Y1 (ko) 2006-12-20 2006-12-20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27Y1 true KR200437727Y1 (ko) 2007-12-26

Family

ID=4162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165U KR200437727Y1 (ko) 2006-12-20 2006-12-20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65Y1 (ko) * 2020-11-20 2021-04-23 변정조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65Y1 (ko) * 2020-11-20 2021-04-23 변정조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091B2 (en) Full body harness
AU2003230632B2 (en) Turnout coat and pants with built-in harness
US7979919B2 (en) Full body harness
KR100671167B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EP3164020B1 (en) Modular airbag system for personal protection
US6438756B1 (en) Suspended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installation assembly
US20060195962A1 (en) Full body harness
US20120217090A1 (en) Harness with suspension relief seat
US8281894B2 (en) Floating harness
JP2014506815A (ja) 落下阻止装置
JPH08336607A (ja) 落下防護用安全スーツ
US6308335B1 (en)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suspender assembly
KR100790023B1 (ko) 조난 구조 겸용의 등산용 배낭
US20160346571A1 (en) Strapping device having a strip feed device
US20150202475A1 (en) Convertible suspension / seat harness
ES2905439T3 (es) Ropa de protección
KR200437727Y1 (ko) 안전벨트가 부착된 조끼
JP2949101B1 (ja)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US20160270554A1 (en) Baby Carrier for Twins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90002531U (ko) 구조용 배낭
JP6899197B2 (ja) 安全装置
JP2017100695A (ja) 救命具
WO2006039846A1 (fr) Harnais multifo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924

Effective date: 2010092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924

Effective date: 2011040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829

Effective date: 20120924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910

Effective date: 2012092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24

Effective date: 201211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