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766B1 -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 Google Patents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766B1
KR102455766B1 KR1020210128457A KR20210128457A KR102455766B1 KR 102455766 B1 KR102455766 B1 KR 102455766B1 KR 1020210128457 A KR1020210128457 A KR 1020210128457A KR 20210128457 A KR20210128457 A KR 20210128457A KR 102455766 B1 KR102455766 B1 KR 10245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fastening
pair
parts
work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교
Original Assignee
새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은 고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으로서, 상부 하네스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상의; 및 상기 상부 하네스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하네스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하의;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네스와 상기 하부 하네스는 허리 보호대를 기준으로 4점식 체결 방식을 갖는 체결 시스템(4점식 체결 시스템)을 통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전체식 하네스 역할을 수행한다. 본 기술은 작업자가 보다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간 보다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Work clothes integrated with industrial harness}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업용 안전벨트가 일체로 마련되되 상하의가 분리된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산업용 안전벨트(harness, 하네스)를 착용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안전벨트는 가슴에 착용하는 상체식 안전벨트와, 가슴부터 다리까지 착용하는 전체식(또는 그네식) 안전벨트가 있다. 상체식 안전벨트는 추락시 갈비뼈 등에 부상을 입힐 우려가 있어 전체식 안전벨트가 주로 사용된다. 다르게는, 허리에 착용하는 하체식 안전벨트도 있지만, 몸이 뒤집혀 추락할 수 있어 안전도가 떨어진다.
전체식 안전벨트는 로프를 묶는 부분이 높기 때문에 추락 중에 몸이 뒤로 뒤집혀질 가능성을 줄여준다. 또한 추락의 충격을 신체의 모든 부분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척추 부상의 위험을 줄여주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탈착이 불편하고 무겁다는 단점이 뒤따른다.
이에, 피복 일체형의 전체식 안전벨트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4375호(발명명칭: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는 고소작업에 추락방지를 위하여 착용하는 하네스와, 상기 하네스가 상의부와 하의부를 포함하는 작업복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네스는 상기 상의부의 등부에서 양쪽 어깨로 각각 연장되어 가슴부까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상체벨트와 상기 상의부의 등부에서 양쪽 측면 허리로 각각 연장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상체 보조벨트와 상기 상체벨트와 상체 보조벨트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허리벨트 및 상기 하의부의 다리에 링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벨트와 상체 보조벨트가 등부에서 고정부를 중심으로 X자 연결되어 작업복에 고정되며,상기 하체벨트는 작업복의 허리 일측에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에서 제시된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은 여전히 작업자에게 불편함이 유발된다. 상의부와 하의부가 일체로 형성된 작업복(일명 스즈끼복)에 적용된 것으로서, 상하의를 한 번에 입거나 한 번에 벗어야 된다. 이는 작업자에게 답답함을 느끼게 하고, 결국 작업자가 제대로 된 착용을 하지 않고 느슨하게 풀어놓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949101호(발명명칭: 안전벨트를 구비한 피복)도 피복에 일체화된 전체식 안전벨트를 보여준다. 상세하게, 뒤쪽에서 교차시켜 양 어깨에 거는 어깨패드대와 상기 어깨패드대의 뒤쪽과 일체로 형성한 다리를 삽입하는 고리형 다리대와 상기 어깨패드대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한 둔부에 거는 좌석 걸이대를 전체가 일체화되도록 형성한 안전벨트를 합리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피복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전히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작업자는 아침에 작업을 나갈 때든, 작업간 쉴 때든, 상체쪽 하네스와 하체쪽 하네스를 한 번에 입거나 한 번에 벗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보다 편리한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을 제시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보다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간 보다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으로서, 상부 하네스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상의; 및 상기 상부 하네스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하네스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하의;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네스와 상기 하부 하네스는 허리 보호대를 기준으로 4점식 체결 방식을 갖는 체결 시스템(4점식 체결 시스템)을 통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전체식 하네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4점식 체결 시스템은 작업자의 앞쪽에 배치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및 작업자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3 체결부와 제4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네스는, 상기 상의의 밑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밑단부; 일단부들이 상기 밑단부의 앞쪽에 연결되고, 나란하게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 등에서 X자로 교차한 이후 타단부들이 상기 밑단부의 뒤쪽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어깨끈부들;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이 X자로 교차한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X자 교차를 고정하는 고정패널부; 상기 고정패널부에 연결되어 죔줄의 카라비너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공간을 제공하는 D링부; 및 일단부들이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그 중간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부들이 제5 체결부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슴끈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상기 일단부들과 상기 타단부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체결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체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상기 제1 내지 제5 체결부들 모두는 서로 동일한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하네스는, 상기 하의의 윗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윗단부; 일부분들이 상기 윗단부의 원위단부들에 각각 연결되어 작업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 상기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 사이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하체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조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은 상기 밑단부의 앞쪽 두 지점들과 상기 윗단부의 앞쪽 두 지점들을 서로 체결하고,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들은 상기 밑단부의 뒤쪽 두 지점들과 상기 윗단부의 뒤쪽 두 지점들을 서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은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들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윗단부가 상기 허리 보호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네스는 박음질 방식으로 상기 상의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네스는 상기 상의에 마련된 벨크로 여닫이 방식의 다수의 거치부들을 통해 상기 상의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들은 상기 상의에 박음질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작업자가 보다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간 보다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탈착의 편의뿐만 아니라 착용 후 휴식시간에도 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원래의 착용법대로 착용을 유도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점식 체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들을 중심으로 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점식 체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및 제4 체결부들을 중심으로 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의 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점식 체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들을 중심으로 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점식 체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및 제4 체결부들을 중심으로 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벨트 작업복(1)(이하, 간단히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이라 함)은 상부 하네스(100)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상의(TC) 및 하부 하네스(200)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하의(B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일체형이라는 용어는 하네스와 피복이 서로 별개로 제작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단단히 결합 제조되는 것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하네스와 피복이 하나의 제품처럼 결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STI)을 통해 하네스가 피복에 직접 결착되는 방식을 가질 수도 있고,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요소(거치부(VE)와 같은)를 통해 하네스가 피복에 거치되는 방식을 가질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하네스는 피복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하네스는 피복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어느 경우나 이를 착용하는 작업자는 상의와 하의를 입는 것만으로도 거기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하네스를 함께 착용하게 된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네스(100)와 하부 하네스(200)는 서로 분리형이되, 상호간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착용 후 전체식 하네스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하네스와 하부 하네스는 4점식 체결 시스템을 통해 서로 체결된다.
4점식 체결 시스템은 제1 체결부(F1), 제2 체결부(F2), 제3 체결부(F3) 및 제4 체결부(F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체결부들이 작업복의 전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전면에서 2점식이 구성된다. 제3 및 제4 체결부들이 작업복의 후면에 배치된다. 후면에서 나머지 2점식이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작업자 탈착의 효율성을 위해 모두 동일한 체결을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는 제작 비용을 절감한다.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작업을 나가는 작업자는 상의(TC)와 하의(BC)를 입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상부 하네스(100)와 하부 하네스(200)를 착용하게 되며, 이로써 전체식 하네스를 입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의와 하의가 분리된 작업복은 스즈끼복과 같이 일체로 된 작업복보다 작업 및 휴식간 활동이 편리하다. 탈착이 편리하고 세탁시에도 오염도가 높은 것만을 분리하여 따로 세척할 수 있다. 여기에, 하네스 또한 상체 하네스와 하체 하네스로 분리형으로 구성되되, 상의와 하의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더욱 안전한 작업 환경을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하네스 착용을 보다 쉽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하네스 없이 작업을 나갈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착용시에는 올바른 착용을 유도한다. 불완전한 하네스 착용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상부 하네스와 하부 하네스는 견고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견고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코듀라(CORDURA®)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하부 하네스가 직물인 경우 직물의 재질 중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듀라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부/하부 하네스가 여러 겹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중 한 겹 이상에 코듀라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네스와 하부 하네스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상부 하네스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네스(100)는 밑단부(110), 한 쌍의 어깨끈부들(120), 고정패널부(130), D링부(140) 및 한 쌍의 가슴끈부들(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밑단부, 한 쌍의 어깨끈부들, 한 쌍의 가슴끈부들이 박음질(STI)을 통해 견고히 상의에 고정된다. 상대적으로, 고정패널부와 D링부는 박음질 없이 한 쌍의 어깨끈부들에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패널부나 D링부의 고정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머니(PO)는 한 쌍의 어깨끈부들 위에 배치된다.
밑단부(110)는 상의(TC)의 밑단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의의 탈착을 위한 앞쪽 트임 부위(G, 도 3)를 제외하고는 상의의 밑단 둘레를 따라 거의 360도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상의 밑단 전체에 박음질을 통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끈부들(120)은 제1 어깨끈부(120A, 도 3)와 제2 어깨끈부(120B, 도 3)를 포함한다. 제1 어깨끈부와 제2 어깨끈부는 상의의 전면에서는(착용자 가슴쪽에서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의의 후면에서는(착용자 등쪽에서는) X자로 교차되어 배치된다.
이에, 제1 어깨끈부(120A)와 제2 어깨끈부(120B)의 일단부들(EA1, EB1, 도 3 참조)이 밑단부(110)의 앞쪽에 연결되고, 나란하게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 등에서 X자로 교차한 이후 그 타단부들(EA2, EB2, 도 4 참조)이 밑단부(110)의 뒤쪽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일단부들(EA1, EB1)과 타단부들(EA2, EB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단부들(EA1, EB1)이 밑단부의 앞쪽에 연결되는 부위가 도면에서 제1 지점(PT1) 및 제2 지점(PT2)으로 도시된다. 타단부들(EA2, EB2)이 밑단부의 뒤쪽에 연결되는 부위가 도면에서 제3 지점(PT3) 및 제4 지점(PT4)로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어깨끈부(120A)의 일단부(EA1)와 밑단부(110)의 제1 지점(PT1)이 박음질로 서로 견고히 연결된다. 제2 어깨끈부(120B)의 일단부(EA2)와 밑단부(110)의 제2 지점(PT2)이 박음질로 서로 견고히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어깨끈부(120A)의 타단부(EA2)와 밑단부(110)의 제3 지점(PT3)이 박음질로 서로 견고히 연결된다. 제2 어깨끈부(120B)의 타단부(EB2)와 밑단부(110)의 제4 지점(PT4)이 박음질로 서로 견고히 연결된다.
밑단부에 제공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들이 한 방향으로 돌아가며 순서대로 배치됨을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내지 제4 지점들에 각각 상술한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이 연결된다.
계속하여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어깨끈부 및 제2 어깨끈부는 각각 어깨보호대(122) 및 후크용 고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보호대는 박음질(STI)을 통해 견고히 상의에 고정된다. 후크용 고리(124)도 박음질을 통해 견고히 제1 어깨끈부 및 제2 어깨끈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다만 후크용 고리의 고정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크용 고리는 죔줄(300)의 후크(330)의 연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네스 일체형 상의를 구성하기 위해, 박음질을 통해 밑단부, 한 쌍의 어깨끈부들 및 한 쌍의 가슴끈부들이 견고히 상의에 고정된다.
고정패널부(130)는 한 쌍의 어깨끈부들(120)이 X자로 교차한 지점에 배치되어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X자 교차를 고정한다.
D링부(140)는 고정패널부(130)에 연결되어 죔줄(300)의 카라비너(31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공간을 제공한다.
한 쌍의 가슴끈부들(150)은 한 쌍의 어깨끈부들(120)의 중간 지점에 연결되어 한 쌍의 어깨끈부들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한 쌍의 가슴끈부들의 일단부들은 한 쌍의 어깨끈부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그 중간 지점에 연결되고, 한 쌍의 가슴끈부들의 타단부들은 제5 체결부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5 체결부에 상술한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 탈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부 하네스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하네스(200)는 윗단부(210),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220) 및 보조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모두는 박음질(STI)을 통해 견고히 하의에 고정된다.
윗단부(210)는 하의(BC)의 윗단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윗단부는 버클(BU)을 통해 길이 조정을 할 수 있는 허리띠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윗단부는 허리 보호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윗단부는 상술한 밑단부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다만, 허리띠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면에서는 윗단부의 띠의 너비(도면상 높이)와 밑단부의 띠의 너비가 대체로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허리 보호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윗단부가 밑단부보다 더 큰 너비와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윗단부는 하의 탈착을 위한 앞쪽 버클 부위를 제외하고는 하의의 윗단 둘레를 따라 거의 360도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하의 윗단 전체에 박음질을 통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밑단부(110)에 제공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들(PT1, PT2, PT3, PT4)에 대응하여, 윗단부(210)에도 제1 내지 제4 지점들(PB1, PB2, PB3, PB4)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윗단부의 제1 내지 제4 지점들에 각각 상술한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이 연결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밑단부의 제1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윗단부의 제1 지점이 배치된다. 도면에서 PB1으로 참조된다. 밑단부의 제1 지점(PT1)과 윗단부의 제1 지점(PB1)이 제1 체결부(F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밑단부의 제2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윗단부의 제2 지점이 배치된다. 도면에서 PB2로 참조된다. 밑단부의 제2 지점(PT2)와 윗단부의 제2 지점(PB2)가 제2 체결부(F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밑단부의 제3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윗단부의 제3 지점이 배치된다. 도면에서 PB3로 참조된다 .밑단부의 제3 지점(PT3)과 윗단부의 제3 지점(PB3)이 제3 체결부(F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밑단부의 제4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윗단부의 제4 지점이 배치된다. 도면에서 PB4로 참조된다. 밑단부의 제4 지점(PT4)과 윗단부의 제4 지점(PB4)이 제4 체결부(F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밑단부에 제공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들은 밑단부와 상술한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일단부들과 타단부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두껍게 보강된다. 두 겹으로 겹쳐져 박음질 됨을 생각하면 된다. 이에 비해, 윗단부에 제공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들은 윗단부 단독이므로(즉, 한 쌍의 어깨끈부들과 같은 요소가 없으므로) 보강을 위해 별도의 보강부(212)가 덧대어질 수 있다. 한 겹의 윗단부로만 된 제1 내지 제4 지점들을 여러 겹으로 만드는 보강 조각(212)들이라 보면 된다. 즉, 윗단부에 제1 내지 제4 지점들마다 4개의 보강 조각들(상술한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역할을 하는 것들처럼)이 덧대어져 박음질 됨을 생각하면 된다.
계속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 중 어느 하나(이하, 간단히 '체결부'라고도 함)는 제1 체결부재(Ff)와 제2 체결부재(Fm)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제1 체결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1 체결부재(Ff)는 도면상 위 쪽에 배치된다. 제1 체결부재는 밑단부의 제1 지점(PT1)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에서 암(female)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양쪽 스위치(ss)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카운터파트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부재는 자신에게 마련된 고리 구조(rst)를 통해 제1 어깨끈부의 일단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고리 구조에 제1 어깨끈부의 일단부가 끼워져 밑단부와 함께 박음질 될 수 있다. 이는 밑단부에 의한 한 겹, 제1 어깨끈부의 일단부에 의한 두 겹 해서 총 세 겹의 견고한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제1 체결부재의 고리 구조에 끼운 제1 어깨끈부의 일단부를 한 번 접어서 밑단부에 상의와 함께 박음질 한 것을 생각하면 된다).
제2 체결부재(Fm)는 도면상 아래 쪽에 배치된다. 제2 체결부재는 윗단부의 제1 지점(PB1)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에서 수(male)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재(ps)를 카운터파트로 밀어 넣어 체결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재의 암의 체결 구조와 암수 체결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체결부재도 자신에게 마련된 고리 구조(rsb)를 통해 보강 조각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고리 구조에 보강 조각이 끼워져 윗단부와 함께 박음질 될 수 있다. 이는 윗단부에 의한 한 겹, 보강 조각에 의한 두 겹 해서 총 세 겹의 견고한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제2 체결부재의 고리 구조에 끼운 보강 조각을 한 번 접어서 윗단부에 하의와 함께 박음질 한 것을 생각하면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 체결부(F1)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나머지 체결부들(F2 내지 F4)에도 순번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설명이 가능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는 제5 체결부(F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가슴끈부들(150) 중 도면상 우측 가슴끈부에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체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슴끈부들(150) 중 도면상 우측 가슴끈부에 상술한 것과 같은 제2 체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세 겹의 견고한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재의 고리 구조에 우측 가슴끈부가 끼워져 제2 어깨끈부와 함께 상의에 박음질 될 수 있다. 이는 제2 어깨끈부에 의한 한 겹, 우측 가슴끈부에 의한 두 겹 해서 총 세 겹의 견고한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제2 체결부재의 고리 구조에 좌측 가슴끈부가 끼워져 제1 어깨끈부와 함께 상의에 박음질 될 수 있다. 이는 제1 어깨끈부에 의한 한 겹, 좌측 가슴끈부에 의한 두 겹 해서 총 세 겹의 견고한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허리 보호대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에 의한 4점식 체결 시스템을 통해 상부 하네스와 하부 하네스가 서로 체결된다. 그리고 제5 체결부는 그러한 체결 시스템의 것과 동일한 체결 구조를 가짐으로써 탈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한다.
계속하여 도면을 참조하면,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220)은 제1 대퇴부끈부 및 제2 대퇴부끈부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을 기준으로, 전자가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후자가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1 대퇴부끈부와 제2 대퇴부끈부들의 일부분들이 윗단부(210)의 원위단부들(도면상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라 보면 된다)에 각각 연결되어 작업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대퇴부끈부들의 일부분들과 윗단부의 원위단부들간 연결에도 박음질이 적용되어 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보조끈부(230)는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220) 사이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하체 하중을 분산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보조끈부와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의 연결에도 박음질이 적용되어 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죔줄(300)은 카라비너(310), 로프(320) 및 후크(3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후크(330)를 후크용 고리(124)에서 빼내어 작업장의 고정시설물(핸드레일과 같은)에 걸어 놓고 고소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시 죔줄과 연결된 D링부(140)와 고정패널부(130), 그리고, 이들이 다시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네스와 상의, 그리고 다시 이들에 연결된 하부 하네스와 하의를 통해 안정적으로 공중에 매달리게 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야간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상술한 상부/하부 하네스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광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밑단부, 한 쌍의 어깨끈부들, 한 쌍의 가슴끈부들, 윗단부,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 및 보조끈부 중 하나 이상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하여 배치되는 띠 형태의 축광부(SLB, 도 1 또는 도 2)를 포함할 수 있다. 축광부는 배치되는 곳(즉, 밑단부, 한 쌍의 어깨끈부들, 한 쌍의 가슴끈부들, 윗단부,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 및 보조끈부 중 하나 이상)에 레이어 형태로 덧대어질 수 있다. 축광부는 배치되는 곳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야간 시인성을 위해 필요한 폭만큼만 형성되어도 된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어깨끈부들과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의 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의 후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은 상부 하네스(100)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상의(TC) 및 하부 하네스(200)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하의(BC)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일체형을 이루는 방식에서 상술한 것과 다르게, 별도의 거치부들을 이용한다.
이하 거치부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하네스는 상의에 마련된 벨크로 여닫이 방식의 다수의 거치부(VE)들을 통해 상의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동일하게, 하부 하네스는 하의에 마련된 벨크로 여닫이 방식의 다수의 거치부(VE)들을 통해 하의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거치부들은 하네스와 피복의 결합이 필요한 곳곳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복에 박음질(STI, 도 7) 되어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하네스가 피복에 박음질 된 것에 비해, 도 5 내지 도 6에서는 거치부들이 피복에 박음질 되는 차이가 있다. 하네스는 단지 거치부들에 거치될 뿐이다. 한편, 거치부들은 크기에서 차이가 있을 뿐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어느 하나의 거치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부(VE)는 여닫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크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상부에 벨크로 구조 중 부드러운 걸림고리(sh)쪽이, 하부에 벨크로 구조 중 뾰족한 갈고리(hh)쪽이 도시된다. 그 배치된 방향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의에 고정된 거치부들의 여닫이 구조를 모두 열어서 거치부들 각각의 내부 공간(IS)에 상부 하네스를 거치하고 여닫이 구조를 모두 닫음으로써 상부 하네스를 상의와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동일하게 하의에 고정된 거치부들의 여닫이 구조를 모두 열어서 거치부들 각각의 내부 공간(IS)에 하부 하네스를 거치하고 여닫이 구조를 모두 닫음으로써 하부 하네스를 하의와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구조 대비 추락시 지지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나 세척의 편리함은 높아진다. 또한, 허리 보호대가 여전히 작업자의 체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하네스에 요구되는 적정 안정성도 확보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거치부들의 배치 위치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하네스를 피복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곳에 적절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하네스가 피복에 박음질 되어야 하는 구조상 4점식 체결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들에서 여러 겹을 피복에 함께 박음질 하게 되나, 도 5 내지 도 6에서는 거치부만이 피복에 박음질 되면 족하므로 4점식 체결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들에서 여러 겹은 피복 없이 그들간에만 박음질 되면 충분하다(예를 들어, 밑단부와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일단부들과 타단부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는 상의 없이 그들간에만 박음질 되면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보다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간 보다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착의 편의뿐만 아니라 착용 후 휴식시간에도 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원래의 착용법대로 착용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TC : 상의
BC : 하의
100 : 상부 하네스
110 : 밑단부
120, 120A, 120B : 한 쌍의 어깨끈부들
122 : 어깨보호대
124 : 후크용 고리
130 : 고정패널부
140 : D링부
150 : 한 쌍의 가슴끈부들
200 : 하부 하네스
210 : 윗단부
220 : 한 상의 대퇴부끈부들
230 : 보조끈부
300 : 죕줄
310 : 카라비너
320 : 로프
330 : 후크
STI : 박음질
F1, F2, F3, F4 :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
F5 : 제5 체결부
EA1, EA2 : 제1 어깨끈부의 일단부, 타단부
EB1, EB2 : 제2 어깨끈부의 일단부, 타단부
PT1, PT2, PT3, PT4 : 밑단부의 제1 내지 제4 지점들
PB1, PB2, PB3, PB4 : 윗단부의 제1 내지 제4 지점들
VE : 거치부
Ff : 제1 체결부재
Fm : 제2 체결부재

Claims (13)

  1. 고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으로서,
    상부 하네스(100)가 외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상의(TC); 및
    상기 상부 하네스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하네스(200)가 외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하의(BC);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네스와 상기 하부 하네스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작업자가 상기 상의 및 상기 하의를 입은 이후에 허리 보호대를 기준으로 4점식 체결 방식을 갖는 체결 시스템(4점식 체결 시스템)을 통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전체식 하네스 역할을 수행하며-상기 4점식 체결 시스템은 작업자의 앞쪽에 배치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및 작업자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3 체결부와 제4 체결부를 포함함-,
    상기 상부 하네스(100)는,
    상기 상의의 밑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밑단부(110);
    일단부들이 상기 밑단부의 앞쪽에 연결되고, 나란하게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 등에서 X자로 교차한 이후 타단부들이 상기 밑단부의 뒤쪽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어깨끈부들(120);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이 X자로 교차한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X자 교차를 고정하는 고정패널부(130);
    상기 고정패널부에 연결되어 죔줄(300)의 카라비너(31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공간을 제공하는 D링부(140); 및
    일단부들이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그 중간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부들이 제5 체결부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슴끈부들(15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네스(200)는,
    상기 하의의 윗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윗단부(210);
    일부분들이 상기 윗단부의 원위단부들에 각각 연결되어 작업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220); 및
    상기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 사이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하체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조끈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상의는 그 외면에 박음질 방식으로 고정되는 벨크로 여닫이 방식의 다수의 제1 거치부들(VE)을 포함하고,
    상기 하의는 그 외면에 박음질 방식으로 고정되는 벨크로 여닫이 방식의 다수의 제2 거치부들(VE)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네스의 밑단부, 한 쌍의 어깨끈부들, 고정패널부, D링부 및 한 쌍의 가슴끈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제1 거치부들에 여닫이 방식을 통해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의에 일체형으로 장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하부 하네스의 윗단부, 한 쌍의 대퇴부끈부들 및 보조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제2 거치부들에 여닫이 방식을 통해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의에 일체형으로 장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끈부들의 상기 일단부들과 상기 타단부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체결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부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체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체결부들 모두는 서로 동일한 체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은 상기 밑단부의 앞쪽 두 지점들과 상기 윗단부의 앞쪽 두 지점들을 서로 체결하고,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들은 상기 밑단부의 뒤쪽 두 지점들과 상기 윗단부의 뒤쪽 두 지점들을 서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들은 상기 제3 및 제4 체결부들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단부가 상기 허리 보호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128457A 2021-09-29 2021-09-29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KR10245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57A KR102455766B1 (ko) 2021-09-29 2021-09-29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57A KR102455766B1 (ko) 2021-09-29 2021-09-29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766B1 true KR102455766B1 (ko) 2022-10-18

Family

ID=8380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457A KR102455766B1 (ko) 2021-09-29 2021-09-29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7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23B1 (ko) * 2007-05-16 2007-08-22 손승봉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KR20190108876A (ko) *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JP2020162751A (ja) * 2019-03-28 2020-10-0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衣服、安全帯及び衣服本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23B1 (ko) * 2007-05-16 2007-08-22 손승봉 상하의가 착탈되는 작업복
KR20190108876A (ko) *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JP2020162751A (ja) * 2019-03-28 2020-10-0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衣服、安全帯及び衣服本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495B2 (en) Combined garment and safety harness
CA2709386C (en) Ventilated trousers
US7181774B2 (en) Ventilated safety outerwear
US5960480A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AU2003230632B2 (en) Turnout coat and pants with built-in harness
US9731152B2 (en) Accessory attachments for a welding garment
AU2012244322B2 (en) Modular cut and abrasion resistant protective garment and protective garment system
US7596815B2 (en) Protective garment having lower torso-covering and leg-covering portions and equipped with drag harness or drag harnesses
EP1902638A2 (en) Garment and removable liner system with indication of thermal properties
US8281894B2 (en) Floating harness
EP2293694A1 (en) Safety vest with integrated safety harness
JP7388823B2 (ja) 衣服、安全帯及び衣服本体
KR102455766B1 (ko) 산업용 안전벨트 일체형 작업복
JP2949101B1 (ja)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JP3226663U (ja) つなぎ作業服
JP5476018B2 (ja) インナー型のチェーンソー作業用防護衣
CN203763703U (zh) 马甲
JP6854017B2 (ja) 作業用衣服
AU2013100591A4 (en) Clothing with a harnessing function and use thereof as a harness
WO2010031087A1 (en) A safety garment
IES84120Y1 (en) Combined garment and safety harness
CA2485198A1 (en) Fire protective trousers with horizontal attachment loops for connection of suspenders
AU2003236606A1 (en) Safety clothing
MX2008005148A (es) Prenda de proteccion de corte modular y resistente a la abrasion y sistema de prenda de protec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