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427B1 - 카세트 홀더 - Google Patents

카세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427B1
KR100749427B1 KR1020000066695A KR20000066695A KR100749427B1 KR 100749427 B1 KR100749427 B1 KR 100749427B1 KR 1020000066695 A KR1020000066695 A KR 1020000066695A KR 20000066695 A KR20000066695 A KR 20000066695A KR 100749427 B1 KR100749427 B1 KR 10074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lead
lid
casset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290A (ko
Inventor
오타슈이치
가토쿠다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92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inside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쉘의 앞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된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일부의 앞쪽을 개폐하는 프론트 리드가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앞쪽이 개방되도록 리드가 열릴 때에 위쪽으로 회동하면서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테이프형 카세트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 재생 장치의 소정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프론트 리드의 끝을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리드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카세트 홀더, 기록 재생 장치, 테이프형 기록 매체, 리드 가압 부재, 테이프 릴, 프론트 리드, 리드 오프너, 잠금 해제 캠.

Description

카세트 홀더 {CASSETTE HOLDER}
도 1은 프론트 리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에 따라 카세트 홀더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사시도.
도 2는 프론트 리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프론트 리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카세트 홀더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카세트 홀더가 배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배출 위치에 있는 카세트 홀더에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카세트 홀더가 하강하고, 슬라이딩 섀시가 인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슬라이딩 섀시가 기록 재생 위치까지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9는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에 삽입되기 시작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좌측면도.
도 10은 카세트 홀더에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11은 리드 잠금 부재에 의해 잠긴 프론트 리드가 열린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좌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이은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좌측면도.
도 13은 프론트 리드가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좌측면도.
도 14는 슬라이더가 후퇴하여 프론트 리드 및 백 리드가 개방되는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좌측면도.
도 15는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되기 시작한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좌측면도.
도 16은 슬라이더가 이동 범위의 최전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본 발명은 카세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리드가 닫힐 때 프론트 리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간단하게 하는 동시에 프론트 리드를 전방으로 안정되게 이동시키는 카세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의 기록의 밀도의 증가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카세트 쉘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리드라 부르는 덮개로 덮어 테이프형 기록 매체에 먼지가 부착되거나, 사람의 일부가 닿아 기름 등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있다.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에 있어서는, 카세트 쉘의 앞부분에 형성된 전방 및 상하로 개구된 마우스의 앞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앞쪽을 프론트 리드로 덮고, 사용 시에는 프론트 리드를 대략 90도 위쪽으로 회동시켜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노출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에 있어서는 프론트 리드를 열 때에 프론트 리드를 대략 90도 위쪽으로 회동시킬 뿐이므로, 마우스의 윗부분이 프론트 리드에 의해 여전히 덮혀 있기 때문에, 사용 시에 마우스 내에 배치되는 다양한 부재가 제약을 받는 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 시에 최소한 일부가 마우스 내에 위치하는 헤드 드럼의 크기나 기울기가 제약을 받는다.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리드가 열릴 때, 프론트 리드를 위쪽으로 회동하여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앞쪽을 개방할 뿐 아니라, 프론트 리드를 뒤쪽으로 이동시켜 마우스 부분의 윗부분도 개방하는 것이 고안된다.
리드가 열릴 때 프론트 리드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면서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경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앞면을 덮도록 리드가 닫힐 때에, 프론트 리드를 먼저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프론트 리드를 리드가 닫힐 때에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간단한 기구를 제공하고,프론트 리드가 안정된 방법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세트 홀더에는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될 때에 프론트 리드의 중앙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리드 가압 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세트 홀더에 있어서는, 카세트 홀더에 리드가 가압 부재를 설치한다는 간단한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할 때에 프론트 리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 가압 부재는 프론트 리드의 중앙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프론트 리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프론트 리드의 양측에 균등하게 걸려 프론트 리드가 전방으로 안정된 방법으로 이동된다.
본 출원인은 미리 하기의 두 가지 관련된 출원을 행하였다.
(1) 일본국 특원평 11(1999)-145535(현재 대응 미국 출원중임)
(2) 일본국 특원평 11(1999)-145533(현재 대응 미국 출원중임)
다음에, 본 발명의 카세트 홀더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키세트 홀더를 구비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10) 내에 얇은 상자형을 한 카세트 쉘(20) 내에 테이프형 기 록 매체인 자기 테이프(30)를 감은 테이프 릴(40, 50)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테이프 카세트(10)는 카세트 쉘(20)의 앞면을 따라 위치하는 자기 테이프(30)의 앞쪽을 덮는 프론트 리드(60) 및 상기 자기 테이프(30)의 뒤쪽을 덮는 백 리드(70)를 구비한다. 상기 백 리드(70)는 카세트 쉘(2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8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리드(60)는 상기 슬라이더(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카세트 쉘(20)은 얇은 상자형을 이루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쉘(20)의 앞부분에는 마우스라 불리는 큰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21)는 앞쪽 및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카세트 쉘(20)의 마우스(21)의 양 옆부분은 직사각형 튜브의 형상을 한 테이프 인출부(22, 22)로 되고, 상기 테이프 인출부(22, 22)의 전단(22a, 22a)이 개구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30)는 개구된 전단(22a, 22a)으로부터 외부로 당겨져 상기 마우스(21)의 앞면을 가로지르도록 전단(22a, 22a) 사이에 걸쳐져 있다.
상기 테이프 인출부(22, 22)의 전단면 중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22b, 22b)의 대략 상반 부분에는 앞쪽으로 돌출된 캠(23, 23)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쉘(20)의 저판에는 릴 기저 삽입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카세트(10)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기록 재생 장치에 형성된 릴 기저가 상기 릴 기저 삽입공(24, 24)을 통과하여 카세트 쉘(20) 내에 삽입되고, 상기 릴 지저에 설치된 결합축이 상기 테이프 릴(40, 50)에 아래쪽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릴 기저 결합공(40a, 50a)이 결합된다.
슬라이더(80)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80)는 십자 방향으로 긴 판형을 한 상면(81)과 이 상면(81)의 양측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측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측면은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의 부분으로부터 후단까지의 주요면(82, 82)과, 주요면보다 전방에 형성된 리드 지지부(83, 83)로 이루어진다.
리드 지지부(83, 83)는 주요면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 폭은 주요면(82, 82)의 대략 절반으로 되어 있다. 리드 지지부(83, 83)에는 아래쪽으로 개구된 대략 반원형의 축 지지부(83a, 83a)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81)의 전단 에지로부터 백 리드(70)가 아래쪽으로 매달려 있다.
프론트 리드(60)는 대략 십자 방향으로 긴 띠형을 한 앞면(61)과 그 앞면(61)의 좌우 양단 에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측면(62, 62)이 일체로 형성되어이루어진다. 앞면(61)의 상단부는 위쪽으로 감에 따라 뒤쪽으로 변위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측면(62, 62)과 앞면(61) 사이의 접합부에 접한 측면(62, 62)의 내면 부분에 두꺼운 벽 부분(63, 63)이 형성되고, 상기 두꺼운 벽 부분(63, 63)에 측으로부터 보아 원호면을 이루는 규제면(64, 64)이 형성된다. 측면(62, 62)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기 규제면(64, 64)에 대향한 부분에 회동 지점축(65, 66)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면(64, 64)은 회동 지점축(65, 6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측면(62)의 내면의 하단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부(62a)가 형성되 어 있다.
좌측의 측면(62)의 내면에 형성된 회동 지점축(65)으로부터 뒤 아래쪽으로 이간된 위치에 지지축(67)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을 향한 위치에서 앞면의 양단에 전방과 측방으로 개구된 결합 오목부(61a, 61a)가 형성되고, 앞면(61)의 아래 에지의 좌단 가까이에 삽입 절결(61b)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리드(60)의 회전 지점축(65, 66)이 슬라이더(80)의 축 지지부(83a, 8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로써, 프론트 리드(60)는 슬라이더(80)의 전단에 형성된 리드 지지부(83, 8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론트 리드(60)의 좌측 측면(62)의 내측에는 리드 잠금 부재(90)가 부착되어 있다. 리드 잠금 부재(90)는 전체에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지지공(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공(91)을 통하여 프론트 리드(60)의 좌측 측면(62)에 형성된 지지축(67)이 삽입되고, 이로써 리드 잠금 부재(90)가 상기 측면(6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드 잠금 부재(90)가 좌측으로부터 보아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자세일 때(도 9 참조), 리드 잠금 부재(90)의 상단에 대략 앞쪽을 향해 돌출된 래칭 멈춤쇠(92)가 형성되고, 상기 래칭 멈춤쇠(92)가 상기 슬라이더(80)의 좌측 리드 지지부(83)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83b)의 상면에 뒤쪽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지공(91)과 리드 잠금 부재(90)의 하단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측면(62)에 대향한 면과 반대측의 리드 잠금 부재(90)의 면을 절결하여 형성한 스프링 보유면(9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 잠금 부재(90)의 하단면의 앞쪽 부분(94)은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단을 향한 리드 잠금 부재 부분의 좌측면, 즉, 프론트 리드(60)의 측면에 대향한 면에 잠금핀(95)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핀(95)은 프론트 리드(60)의 좌측 측면(62)에 형성된 오목부(62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100)이 형성됨으로써, 프론트 리드(60) 및 리드 잠금 부재(90)가 각각 소정 방향으로 편향된다.
비틀림 스프링(100)의 코일부(101)는 프론트 리드(60)의 좌측 측면(62)에 형성된 회동 지점축(65)에 외부 결합된다. 비틀림 스프링(100)의 한쪽 암 단편(102)은 슬라이더(80)의 좌측 리드 지지부(83)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83b)의 상면에 앞쪽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접해 있고, 다른 암 단편(103)은 리드 잠금 부재(90)의 스프링 유지면(93)에 탄력적으로 접해 있다.(도 9 참조). 이로써, 리드 잠금 부재(90)는 좌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편향되고, 프론트 리드(60)는 리드 잠금 부재(90) 및 지지축(67)을 통하여 좌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 즉, 앞면(61)에 의해 마우스(21)의 앞쪽을 폐쇄하는 폐쇄 방향으로 편향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 잠금 부재(90)가 프론트 리드(60)가 열리는 것을 잠그고 있는 동안에 프론트 리드(60)와 슬라이더(80)를 비틀림 스프링(100)의 힘으로 누르고 있게 되어 프론트 리드(60) 및 슬라이더(80)의 움직임이나 느슨해짐도 흡수된다.
기록 재생 장치(110)는 메인 섀시(12), 슬라이딩 섀시(130), 이동 프레임(140) 및 카세트 홀더(150)를 구비한다.
메인 섀시(12)는 회전 헤드 드럼(121), 테이프 인출 가이드(122, 122) 등 자기 테이프(30)를 카세트 쉘(20)로부터 끌어당겨 소정의 테이프 통로를 형성하여 주행시키기 위한 주요한 기구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섀시(130)는 메인 섀시(120)의 앞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메인 섀시(1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섀시(130)에는 상기한 테이프 카세트(10)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테이프 릴(40, 50)과 결합되어 회전시키기 위한 릴 기저(131, 131)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 프레임(140)은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을 한 상면(141)을 구비하고, 상면(141)의 양측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측면판(142, 14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142, 142)의 후단이 메인 섀시(12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비틀림 스프링(143)에 의해 위쪽으로 편향되어 있다. 측면판(142, 142)에는 세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안내 슬릿(142a, 142a)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150)에는 카세트 홀더(150)의 측면판(151, 151)의 상단의 대략 전반부가 앞쪽 상면판(152)에 의해 연결되고, 또, 측면판(151, 151)의 후단부 사이가 후단부 상면판(1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앞쪽 상면판의 후단 에지의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리드 가압 단편(154)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151, 151)의 하부 에지로부터는 서로 접근하도록 뒷받침판(155, 155)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150)는 이동 프레임(140)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홀더(150)를 이동 프레임(140)에 지지하기 위한 측면판(151, 151)에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드 핀(156, 156)이 이동 프레임(140)의 안내 슬릿(142a, 14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동 링크(160, 160)의 일단이 측면판(151, 151) 중 이동 프레임(140)의 측면판(142, 142)의 하부 에지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동 링크(160, 160)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섀시(130)의 전단에 부착된 앞면판(1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150)에는 프론트 리드(60) 및 백 리드(7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리드 오프너(170, 170)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 오프너(170, 170)는 긴 암과 같은 형상을 하고, 그 상단이 측면판(151, 151)의 내측 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드 오프너(170, 170)의 회동 단부의 내면에는 결합 돌기(171, 171)가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80, 180)의 코일부(181, 181)가 리드 오프너(170, 170)의 회동축(172, 172)에 외부 결합되고, 한쪽의 암(182, 182)이 측면판(151, 151)의 일부를 융기된 형태로 내측에 돌출시켜 형성된 스프링 유지 단편(151a, 151a)에 위쪽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다른 쪽 암(183, 183)이 리드 오프너(170, 170)의 전방 에지 중 회동 지점을 향한 위치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로써 리드 오프너(170, 170)는 왼쪽으로부터 보아(도 9 참조) 시계 회전 방향으로 편향된다. 그리고, 리드 오프너(170, 170)는 상단을 향한 부분이 스프링 유지 단편(151a, 151a)과 맞닿음으로써, 회동단이 하단에 위치하는 수직적인 자세로 유지된다.
리드 오프너(170)의 배치 위치에 대응한 좌측 뒷받침판(155)의 부분에 잠금 해제 캠(1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해제 캠(190)은 테이프 카세트(10)가 삽입되는 측의 단면이 경사부(191)로 되어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캠(190)의 폭은 프론트 리드(60)의 앞면(61)에 형성된 삽입 절결(61b)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1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딩 섀시(130)가 테이프 카세트의 인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140)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카세트 홀더(150)를 도 4에 나타낸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0)를 카세트 홀더(150)에 앞면측, 즉 프론트 리드(60)의 측으로부터 도 9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해 가면, 잠금 해제 캠(190)이 프론트 리드(60)의 앞면(61)에 형성된 삽입 절결(61b)로부터 프론트 리드(60)의 내측에 삽입된다(도 9 참조).
그리고, 리드 오프너(170, 170)의 결합 돌기(171, 171)가 프론트 리드(60)의 결합 오목부(61a, 61a)에 결합되고, 잠금 해제 캠(190)의 경사부(191)를 리드 잠금 부재(90)의 하단 원호면(94)이 윗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이로써, 리드 잠금 부재(90)가 도 1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래칭 멈춤쇠(92)와 슬라이더(80)의 슬라이딩 돌기(83b)의 결합이 풀린다. 따라서, 프론트 리드(60)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잠금이 해제된다(도 11 참조).
테이프 카세트(10)가 카세트 홀더(150) 내에 더욱 삽입되면, 즉, 도 12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면, 리드 오프너(170, 170)의 회동단에 형성된 연결 돌기(171, 17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도 12에서 반시계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돌기(171, 171)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 돌기(171, 171)와 연결 오목부(61a, 61a)가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리드(60)가 반시계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해 간다.
슬라이더(80)는 프론트 리드(60)를 통하여 리드 오프너(170, 170)의 연결 돌기(171, 171)에 의해 카세트 쉘(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슬라이더(80)가 규제면(64, 64)과 카세트 쉘(20)의 캠(23, 23)의 접촉에 의해, 카세트 쉘(2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할 수 없어 프론트 리드(60)만이 위쪽으로 회동해 간다(도 11, 도 12 참조).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는, 리드 잠금 부재(90)의 잠금핀(95)은 프론트 리드(60)의 좌측 측면(62)에 형성된 오목부(82a)의 뒤쪽 내측면에 맞닿아 있고, 이 상태로부터 프론트 리드(60)가 화살표 B 방향으로 더욱 회동함에 따라, 잠금핀(95)이 오목부(62a)의 뒤쪽 내측면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로써, 리드 잠금 부재(130)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해 가게 된다.
그리고, 프론트 리드(60)가 최초의 상태(도 9에 나타낸 폐쇄 상태)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90도 회동하면, 프론트 리드(60)의 규제면(64, 64)과 카세트 쉘(20)의 캠(23, 23)의 결합이 해제되고(도 13 참조), 슬라이더(80)가 카세트 쉘(2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13에 나타낸 상태에서, 카세트 홀더(150)의 앞쪽 상면판(152)에 형성한 리드 가압 단편(154)은 프론트 리드(60)의 앞면부(61)의 상단에 뒤쪽으로부터 근접한 상태로 된다.
테이프 카세트(10)를 더욱 카세트 홀더(150)의 안쪽으로,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결합 오목부(61a, 61a)에 리드 오프너(170, 170)의 결합 돌기(171, 171)가 결합되기 때문에, 프론트 리드(60) 및 이 프론트 리드(60)가 지지되고 있는 슬라이더(80)는 화살표 A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슬라이더(80)와 프론트 리드(60)가 카세트 쉘(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백 리드(70)도 카세트 쉘(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0)의 카세트 홀더(150)에 대한 삽입이 완료된다(도 14 참조).
프론트 리드(60)는 카세트 쉘(20)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180)의 탄발력이 카세트 쉘(20)을 카세트 홀더(150)로부터 부상시키도록 작용하지 않는다. 즉, 비틀림 스프링(180)의 탄발력은 프론트 리드(60)를 카세트 쉘(20)의 상면에 접촉시키도록 작용할 뿐이다.
테이프 카세트(10)가 카세트 홀더(150)에 삽입 위치까지 완전히 삽입되면, 이동 프레임(140)이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카세트 홀더(150)도 하강해 간다. 카세트 홀더(150)가 하강 범위의 최하단까지 하강하면(도 7 참조), 슬라이딩 섀시(130)에 형성된 릴 기저(131, 131)가 릴 기저 삽입공(24, 24)으로부터 카세트 쉘(20) 내에 삽입되고, 릴 기저(131, 131)의 릴 결합축(131a, 131a)이 테이프 릴(40, 50)의 릴 기저 결합공(40a, 50a)과 연결된다. 또, 테이프 인출 가이드(122, 122), 도시하지 않은 핀치 롤러 등이 마우스(21) 내에 위치된다.
이어서, 슬라이딩 섀시(130)가 메인 섀시(120)의 내부로 이동해 가서 소정의 후퇴한 위치에 도달한다(도 8 참조).
그리고, 슬라이딩 섀시(130)가 후퇴한 위치에 도달하면, 테이프 인출 가이드(122, 122)나 핀치 롤러 등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30)를 카세트 쉘(20)로부터 끌어당겨 자기 테이프(30)를 회전 헤드 드럼(121)에 소정의 감음각으로 감는 동시에 소정의 테이프 통로를 형성한다.
자기 테이프(30)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되면, 테이프 인출 가이드(122, 122)나 핀치 롤러 등이 마우스(21) 내로 이동하고, 한쪽의 테이프 릴(40)에 여분의 자기 테이프(30)가 감긴다.
그러면, 슬라이딩 섀시(130)가 테이프 카세트의 인출 위치까지 되돌아오고, 이어서 이동 프레임(140)이 위쪽으로 회동하여 카세트 홀더(150)가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그래서, 테이프 카세트(10)의 카세트 홀더(15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붙잡아 카세트 홀더(150)로부터 끌어당기도록 하면, 테이프 카세트(10)가 인출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C 방향으로 인출된다(도 15 참조).
테이프 카세트(1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면, 카세트 홀더(150)의 앞쪽 상면판(152)의 중앙부에 형성된 리드 가압 단편(154)이 화살표 C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프론트 리드(60)의 앞면(61)의 상단의 중앙부를 가압하고, 이로써, 프론트 리드(60)와 슬라이더(80)(그리고 백 리드(70))가 카세트 쉘(20)의 전단을 향해 이동한다. 이 경우, 프론트 리드(60)가 앞면(61)의 상단의 중앙부에서 가압되므로, 프 론트 리드(60)를 이동시키는 힘이 프론트 리드(60)의 양측에 균등하게 걸린다.
슬라이더(80)가 이동 범위의 최상단에 도달하면(도 16 참조), 두꺼운 벽 부분(63, 63)의 하단이 카세트 쉘(2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어 프론트 리드(60)가 아래쪽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될 것이다. 프론트 리드(60)가 리드 잠금 부재(90)를 통하여 실린 비틀림 스프링(100)의 탄발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리드 폐쇄 위치에 도달하여 앞선 백 리드(70)와 함께 자기 테이프(30)를 덮는다. 그러면, 리드 잠금 부재(90)의 래칭 멈춤쇠(92)가 슬라이더(80)의 슬라이딩 돌기(83b)의 상면과 결합하여, 테이프 카세트(10)가 카세트 홀더(150)로부터 인출된다.
상기한 카세트 홀더(150)에 있어서, 카세트 홀더(150)에 리드 가압 단편(154)을 형성하는 간단한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10)가 카세트 홀더(150)로부터 인출될 때 프론트 리드(6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리드 가압 단편(154)이 프론트 리드(60)의 중앙부를 가압하므로, 프론트 리드(6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프론트 리드(60)의 양측에 균등하게 실리고, 이로써, 프론트 리드(60)가 안정한 방법으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형태와 구조는 본 발명을 실행하고 구체화하기 위한 하나의 예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형태와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세트 홀더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쉘의 앞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된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일부의 앞쪽을 개폐하는 프론트 리드가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앞쪽을 개방하는 리드를 열 때에 위쪽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동시에 그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 재생 장치의 소정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홀더로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될 때에 상기 프론트 리드의 끝을 전방을 향해 가압하는 리드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발명의 형태는 다음의 이점을 제공한다. 카세트 홀더에 리드 가압 부재를 설치하는 간단한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될 때에 프론트 리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 가압 부재가 프론트 리드의 중앙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프론트 리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좌우 균등하게 걸려 프론트 리드가 안정된 방법으로 전방으로 이동된다.

Claims (7)

  1.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쉘의 앞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된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일부의 앞쪽을 개폐하는 프론트 리드가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앞쪽이 개방되도록 리드가 열릴 때에 위쪽으로 회동하면서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테이프 카세트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 장치의 설정된 장착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홀더로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홀더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프론트 리드의 단부를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리드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 가압 부재는 상기 카세트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드 가압 부재는 상기 프론트 리드의 중앙부를 가압하고,
    상기 카세트 홀더는 잠금 해제 캠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 가압 부재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가로질러 잠금 해제 캠과 대향하는 카세트 홀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캠은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 가압 부재는 상기 경사부의 최상단부와 대향하는 잠금 해제 캠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리드를 개폐하기 위한 회동 가능한 리드 오프너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리드 가압 부재의 부근에 상기 리드 오프너의 회동 지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리드 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 오프너의 돌기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리드를 상기 리드 가압 부재에 가깝게 이동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홀더.
KR1020000066695A 1999-11-12 2000-11-10 카세트 홀더 KR100749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24999A JP2001143339A (ja) 1999-11-12 1999-11-12 カセットホルダー
JP99-322249 1999-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290A KR20010060290A (ko) 2001-07-06
KR100749427B1 true KR100749427B1 (ko) 2007-08-14

Family

ID=1814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695A KR100749427B1 (ko) 1999-11-12 2000-11-10 카세트 홀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41993B1 (ko)
EP (1) EP1100082B1 (ko)
JP (1) JP2001143339A (ko)
KR (1) KR100749427B1 (ko)
CN (1) CN1174419C (ko)
DE (1) DE60035659T2 (ko)
ES (1) ES228699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0487B2 (ja) * 1999-11-17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2001319456A (ja) * 2000-05-12 2001-11-16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KR100424575B1 (ko) * 2001-10-20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밀림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644A (ja) * 1983-03-30 1984-10-09 Imazaike Seikou Kk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カセツトの蓋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0952A1 (fr) * 1974-07-30 1976-02-27 Staar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e cassettes pour des appareils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a bandes magnetiques
JPS61170951A (ja) * 1985-01-23 1986-08-01 Sony Corp カセツトホルダ−
US5214548A (en) * 1987-12-09 1993-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loading mechanism in tape player
DE3853638T2 (de) * 1987-12-09 1996-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Bandkassette-Lademechanismus in einem Bandwiedergabegerät.
US5289324A (en) * 1989-12-06 1994-02-22 Sony Corporation Cassette holder with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sure member of a cassette
JPH0741735U (ja) * 1993-12-24 1995-07-21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カセットコンパートメント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644A (ja) * 1983-03-30 1984-10-09 Imazaike Seikou Kk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カセツトの蓋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290A (ko) 2001-07-06
EP1100082B1 (en) 2007-07-25
EP1100082A3 (en) 2002-10-16
CN1174419C (zh) 2004-11-03
EP1100082A2 (en) 2001-05-16
DE60035659D1 (de) 2007-09-06
ES2286992T3 (es) 2007-12-16
CN1301021A (zh) 2001-06-27
JP2001143339A (ja) 2001-05-25
DE60035659T2 (de) 2008-05-21
US6441993B1 (en)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565357A3 (ru) Кассета дл магнитной ленты
NZ200993A (en) Tape cassette:front and rear covers openable for access
US4673145A (en) Cassette holder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underside-covering sliding shutter member
KR940006360B1 (ko) 자기 테이프 레코오더용 테이프 카세트, 그 도어작동기구 및 도어 작동방법
US5103357A (en) Tape recorder including a device for opening a lid of tape cassette during the loading thereof
KR100749427B1 (ko) 카세트 홀더
US4954916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improved access
US5784351A (en) Loading apparatus for disk cartridge
JP2006127745A (ja) カートリッジローディング装置
JPH06259920A (ja) テープカセット
KR100466472B1 (ko) 크기가다른복수종류의카세트를장착할수있는카세트콘테이너
EP0419195A2 (en) Cassette holder for tape player
US6452749B1 (en) Tape cassette
US6456462B1 (en) Tape cassette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345778B1 (en) Tape cassette with pivoting lid lock within front lid
US4311286A (en) Fixed reel type endless tape cassette
EP0323576B1 (en) Tape cassette loading mechanism in tape player
JP2006127744A (ja) カートリッジローディング機構
JP2001357654A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カセットホルダー
JPH06295556A (ja) テープカセット
KR900010126Y1 (ko) 자기테이프 카세트 장치
JP3121170B2 (ja)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H04195762A (ja) ディスク装置
JP2001344934A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カセットホルダー
JP3453817B2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