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360B1 -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360B1
KR100749360B1 KR1020027001106A KR20027001106A KR100749360B1 KR 100749360 B1 KR100749360 B1 KR 100749360B1 KR 1020027001106 A KR1020027001106 A KR 1020027001106A KR 20027001106 A KR20027001106 A KR 20027001106A KR 100749360 B1 KR100749360 B1 KR 10074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torage container
container
ope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580A (ko
Inventor
요시아끼 고바야시
시게루 고바야시
겐지 도꾸나가
고오지 가또
데루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1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5Doc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가 반도체 수납 용기의 덮개를 개방할 때에, 반도체 수납 용기와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의 벽면과의 간극으로부터 외부의 이물질이 반도체 수납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로 반도체 수납 용기를 개방할 때,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은 오프너를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로 인입할 때의 수평 이동의 최대 속도는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부의 압력과 외계의 압력과의 차압으로 상기 최대 속도를 나눈 속도 차압비가 0.06 [(m/s)/Pa] 이하가 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DEVICE FOR OPENING/CLOSING SEMICONDUCTOR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반도체 웨이퍼 수납 용기의 덮개를 개폐하는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 및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를 각 반도체 제조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수납 용기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의 반송을 행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제조 공장에서는 반도체 웨이퍼를 외부의 환경과 격리하는 덮개가 달린 반도체 수납 용기(이하 용기라 칭함)에 수납하여, 각 제조 장치 사이를 반송한다. 용기 내부는 외부에 비해 매우 청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 용기의 덮개를 개폐하지 않는 한, 용기 내부의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은 미소하다. 용기의 외부 환경은 클린도 IS06 정도이고, 이 환경에 웨이퍼를 방치해 두면 시간이 지나면서 웨이퍼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웨이퍼 위에 만들어져 있는 반도체 부품의 수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각 제조 장치에는 용기 개폐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제조 장치 내부는 외부에 비해 매우 청정한 클린도 ISO1 내지 2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웨이퍼를 용기로부터 제조 장치로, 또는 제조 장치로부터 용기로 이동할 때, 용기 개폐 장치를 거쳐서 제조 장치와 용기를 접속한 후에 용기의 덮개를 개폐함으로써, 제조 장치 내부의 청정한 영역과 용기 내부의 청정한 영역을 직접 접속하므로 웨이퍼가 외부의 분위기와 접촉할 가능성은 낮다.
종래의 용기 개폐 장치는, 용기의 덮개를 개방하는 속도는 동작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고속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 개폐 장치는 장치 배면의 구동계를 씌우기 위한 안전 커버가 있고, 이 안전 커버의 하부가 밀폐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용기 개폐 장치는 용기의 덮개를 개방하는 속도가 크므로, 용기의 덮개를 개방할 때에 용기 내부가 부압이 되어, 용기와 용기 개폐 장치의 벽면과의 간극으로부터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용기 개폐 장치는 장치 배면의 구동계를 씌우기 위한 안전 커버가 있고, 이 안전 커버의 하부가 밀폐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전 커버 내측으로 이물질이 퇴적한다. 덮개 승강부가 강하할 때, 안전 커버 내측으로 퇴적한 이물질이 말려 올라가 용기 내부로 진입해 웨이퍼에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개폐 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를 개방할 때,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안전 커버 내로 퇴적되거나, 이물질이 말려 올라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반도체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를 부착한 반도체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반도체 수납 용기를 개방하는 최대 속도와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의 용기를 개방하는 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6은 종래의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의 용기를 개방하는 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7은 반도체 수납 용기를 개방하는 최대 속도와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8은 반도체 수납 용기를 개방하는 최대 속도와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은, (a) 반도체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반도체 웨이퍼를, 측방에 덮개를 갖고 외계와 분리하여 청정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반도체 수납 용기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반도체 제조 장치로 반송하는 공정과, (b)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의 상기 덮개와,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오프너를 연결시키는 공정과, (c)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의 상기 덮개와,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상기 오프너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프너를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를 향해 대략 수평하게 인입함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양 내부 공간을 청정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시키는 공정과, (d)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상기 개구부끼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내에 수납된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로 이송하는 공정과, (e) 상기 반도체 웨이퍼가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 대해 처리를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너를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로 인입할 때의 수평 이동의 최대 속도는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부의 압력과 외계의 압력과의 차압으로 상기 최대 속도를 나눈 속도 차압비가 0.06 m/sㆍ㎩ 이하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양 내부 공간의 청정도가 그들 외부의 청정도와 비교하여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양 내부 공간의 기압이 그들의 외부의 기압과 비교하여 양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에는, (i) 오프너 구동 기구 및 (ii) 상기 오프너 구동 기구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에는 상하로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는, 상기 커버의 상방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하방에는 배기 팬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오프너가 상기 덮개를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덮개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프너 승강 기구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도1 내지 도8)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이하, 개폐 장치라 칭함)의 사시도, 도2는 반도체 수납 용기(이하, 용기라 칭함)의 사시도, 도3은 개폐 장치를 부착한 반도체 제조 장치(이하, 제조 장치라 칭함)의 사시도, 도4, 도7, 도8은 용기를 개방하는 최대 속도와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폐 장치의 용기를 개방하는 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개념도, 도6은 종래의 개폐 장치의 용기를 개방하는 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1, 도2를 이용하여 개폐 장치(100), 용기(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개폐 장치(100)는 크게 나누어 용기(200)를 적재하는 스테이지(110)와, 용기(200)의 덮개(220)를 파지하여 개폐하는 오프너(120)로 구성된다. 스테이지(110)에는 용기(200)를 정확한 자세로 적재하기 위한 위치 결정핀(112)과, 용기(200)를 오프너(120)에 근접시키기 위한 슬라이더(111)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11)는 스테이지(110)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볼나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오프너(120)에는 회전키(121)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키(121)는 오프너(120) 내부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90°회전 가능하다. 오프너(120)의 이면에는 오프너(120)를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시켜 용기(200)의 덮개(220)를 개폐하는 오프너 개폐 기구(130)와, 오프너(120)를 승강시키는 오프너 승강 기구(131)를 설치하고 있다. 오프너 개폐 기구(130)와 오프너 승강 기구(131)는 모두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볼나사에 의해 동작하고, 오프너 개폐 기구(130), 오프너 승강 기구(131)의 구동 부분 전체에는 작업자가 쉽게 접촉되지 않도록 안전 커버(140)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200)는 용기 본체(210)와 덮개(220)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210)에는 4개의 래치홈(211)과, 용기 본체(210)의 주위에 플랜지(212)를 설치하고 있다. 용기 본체(210) 내부에는 웨이퍼(300)를 수평으로 수납하는 도시하지 않은 선반이 있어 웨이퍼(300)를 25매 수납 가능하다. 덮개(220)에는 개폐 장치(100)의 회전키(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키홈(221)이 있고, 키홈(221)에 개폐 장치(100)의 회전키(121)를 삽입하여 90°회전함으로써, 덮개(220)에 있는 4개의 래치(222)가 덮개(220)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캠기구에 의해 덮개(220)로부터 출입한다. 래치(222)는 용기 본체(210)의 래치홈(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용기 본체(210)에 덮개(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래치(222)를 덮개(220)의 주위로 나오게 하면, 덮개(220)를 용기 본체(210)에 고정할 수 있다.
실제로 용기(200)를 개방하는 동작은 이하와 같다. 용기(200)를 스테이지(110) 위에 적재한다. 스테이지(110) 위의 슬라이더(111)를 제조 장치측으로 평행 이동하고, 용기(200)의 덮개(220)의 표면과 개폐 장치(100)의 오프너(120)를 접촉시킨다. 이 때 용기(200)의 가공 정밀도의 문제로, 용기(200)의 플랜지(212)와 개폐 장치(100)의 표면판(150)은 일부 접촉하는 일은 있지만, 간극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덮개(220)와 오프너(120)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키(121)를 용기(200)를 향해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면, 덮개(220)의 키홈(221)이 회전하여, 덮개(220)가 오프너(120)에 고정되는 동시에, 래치(222)가 덮개(220)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캠기구에 의해 덮개(220) 내부에 수납된다. 그 후, 오프너 개폐 기구(130)를 제조 장치측으로 수평 동작함으로써 용기(200)의 덮개(220)를 용기 본체(210)로부터 이탈시킨다. 즉,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200)의 덮개(220)를 파지하여 용기(200)의 개구면에 대해 상기 덮개(220)를 수직으로 개방한다. 그 후, 오프너 승강 기구(131)로 오프너(120)를 하강시킨다.
용기(200)를 폐쇄하는 동작은 전술한 개방하는 동작과 반대로, 오프너 승강 기구(131)를 상승시킨 후, 오프너 개폐 기구(130)를 스테이지(110)측으로 수평 동작하여 오프너(120)에 고정하고 있는 덮개(220)를 용기 본체(210)에 접속한다. 그 후, 회전키(121)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면 덮개(220)의 래치(222)가 용기 본체(210)의 래치홈(211)으로 들어가, 덮개(220)가 용기 본체(210)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더(111)를 제조 장치와는 반대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용기(200)를 스테이지(1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제조 장치(400)에 개폐 장치(100)를 4대 부착한 예를 도3에 도시한다. 제조 장치(400) 내부는 다운플로우가 되어 있어, 클린도 ISO1 내지 2이며, 제조 장치(400) 외부의 클린도 ISO6에 비해 매우 청정한 상태이다. 클린도 ISO6의 환경에 웨이퍼(300)를 방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웨이퍼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웨이퍼 위에 만들어져 있는 반도체 부품의 수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용기(200) 내부는 외부와 차단되어 있어, 청정도가 높은 환경에서 웨이퍼(300)의 출입을 행하면 용기 내부의 청정도는 유지되어, 클린도 ISO6의 환경에 용기(200)를 방치해도 용기(200)의 덮개(220)를 개폐하지 않는 한, 용기(200) 내부의 웨이퍼(300)에 부착되는 이물질은 미소하다.
웨이퍼(300)를 용기(200)로부터 제조 장치(400)로, 또는 제조 장치(400)로부터 용기(200)로 이동할 때, 용기 개폐 장치(100)를 거쳐서 제조 장치(400)와 용기(200)를 접속시킨 후 용기(200)의 덮개(220)를 개폐함으로써, 제조 장치(400) 내부의 청정한 영역과 용기(200) 내부의 청정한 영역을 직접 접속한다. 제조 장치(400) 내부의 압력은 외부에 비해 약간 양압(陽壓)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용기(200)를 개폐하는 순간 이외는 용기(200)의 플랜지(211)와 개폐 장치(100)의 표면판(150)과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할 가능성은 낮다.
개폐 장치(100)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의 동작 속도가 크면, 용기 본체(210)로부터 덮개(220)를 당겨 빼는 순간, 용기(200) 내부가 부압이 되어, 용기(200)의 플랜지(211)와 개폐 장치(100)의 표면판(150)과의 간극으로부터 용기(2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하여 웨이퍼(300)에 부착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개폐 기구(100)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가 용기(200)를 개방할 때의 속도의 시간 변화를 도5에 도시한다. 횡축에 시간(s), 종축에 개방 속도(m/s)를 취하고, 최대 속도는 0.025 (m/s)이다. 종래의 개폐 장치(100)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가 용기(200)를 개방할 때의 속도의 시간 변화를 도6에 도시한다. 횡축에 시간(s), 종축에 개방 속도(m/s)를 취하고, 최대 속도는 0.15 (m/a)이다.
도4에 장치(400)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 1(Pa) 높은 상태에서의 용기 개방 속도의 최대치와 수납되어 있던 웨이퍼에 부착된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다. 횡축에 용기 개방시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의 최대 속도(m/s)를, 종축에 용기(200)에 수납된 가장 위의 웨이퍼(300) 표면에 용기(200) 개폐 1회당 부착되는 입경 0.12 ㎛ 이상의 이물질수(개/웨이퍼ㆍ회)를 취하고 있다. 도7에 장치(400)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 5(Pa) 높은 상태에서의 용기 개폐 최대 속도와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다. 종축과 횡축은 도4와 동일하다. 도8에 장치(400)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 10(Pa) 높은 상태에서의 용기 개방시 최대 속도와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와의 상관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다. 종축과 횡축은 도4, 도7과 동일하다.
도4에서는 웨이퍼(300)에 부착되는 이물질수가 최대 속도 0.06(m/s)에서는 0.01(개/웨이퍼ㆍ회)을 초과하고,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도7에서는 최대 속도 0.3(m/s)에서 이물질 증가수가 0.01(개/웨이퍼ㆍ회)을 초과하고, 도8에서는 최대 속도 0.6(m/s)에서 이물질 증가수가 0.01(개/웨이퍼ㆍ회)을 초과하고 있다. 도4, 도7, 도8로부터 장치(400)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과의 차압에 비례하여 이물질이 증가하는 최대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용기 개방시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의 최대 속도를 낮춤으로써, 웨이퍼(30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할 수 있지만, 개폐 장치(100) 각부의 동작 속도가 지연되면, 제조 장치(400)의 단위 시간당의 처리 능력에도 영향을 주므로, 동작 속도를 정확한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반도체 생산시의 처리 능력을 확보하는 데 충분한 범위로서, 도4, 도7, 도8에서 공통적으로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경계인 0.01(개/웨이퍼ㆍ회)일 때의 동작 속도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장치(400) 내의 압력과 외부 압력과의 차압과 이물질이 증가하는 최대 속도가 비례하고 있으므로, Vmax : 용기 개방시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의 최대 속도(m/s)와 △Pa : 장치(400) 내의 압력과 외부 압력과의 차압(Pa)의 비율(속도 차압비 Dvp)을 수학식 1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웨이퍼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수를 억제할 수 있다.
[수학식 1]
△Pa : 장치(400) 내의 압력과 외부 압력과의 차압(Pa)
Vmax : 용기 개방시의 오프너 개폐 기구(130)의 최대 속도(m/s)
Dvp : 속도 차압비(m/sㆍPa)
본 실시예에서는 수학식 1의 속도 차압비가 범위 내로 억제되어 있으므로, 용기(200) 내에 수납하고 있는 웨이퍼(30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부품의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클린도가 ISO6의 경우인 예이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 수반하여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도 변화하지만, 웨이퍼 부착 이물질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최대 속도는 동일하다.
개폐 장치(100)의 표면판(150)과 용기(200)의 플랜지(212)와의 접촉 부위에 패킹을 설치하고, 표면판(150)과 플랜지(212)와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용기(200)의 덮개(220)를 개방할 때의 유입 이물질을 없애, 웨이퍼(300)에 부착되는 이물질수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패킹을 설치한 경우, 패킹의 경시 변화, 반복 동작에 의한 열화 등으로 패킹 자체가 발진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수가 증가하는 문제와, 패킹 자체의 비용, 표면판의 가공, 패킹의 부착 등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개폐 장치는 패킹이 불필요하므로 신뢰성이 높으며, 저비용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에서는 개폐 장치(100)의 안전 커버(140) 하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 커버(140)는 개구부가 위에만 있으므로, 안전 커버(140) 내부에 오프너 개폐 기구(130)와 오프너 승강 기구(131) 등으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퇴적되고 있다. 이 이물질이 오프너 승강 기구(131) 하강시에 상방으로 말려 올라가고, 용기(200) 내부로 진입하여 웨이퍼에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 커버(140) 하부에 개구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안전 커버 내부로 이물질이 퇴적하지 않고, 이물질의 말려 올라감이 없어지므로 용기(200) 내에 수납하고 있는 웨이퍼(30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부품의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안전 커버(140)는 오프너 개폐 기구(130)와 오프너 승강 기구(131)의 구동계를 씌워,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개폐 장치(100) 반송시의 구동계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안전 커버(140) 하부에 개구를 설치해도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 커버(140) 하부에 개구부를 설치했을 뿐이지만, 안전 커버(140) 하부에 배기용 팬을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개방할 때에 용기 내로 유입하는 이물질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할 수 있어, 반도체 부품의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이 불필요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저비용의 개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커버 내로 이물질이 퇴적하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말려 올라가지 않아 웨이퍼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소할 수 있어, 반도체 부품의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반도체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반도체 웨이퍼를, 측방에 덮개를 갖고 외계와 분리하여 청정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반도체 수납 용기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반도체 제조 장치로 반송하는 공정과,
    (b)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의 상기 덮개와,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오프너를 연결시키는 공정과,
    (c)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의 상기 덮개와,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상기 오프너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프너를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를 향해 대략 수평하게 인입함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양 내부 공간을 청정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시키는 공정과,
    (d)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상기 개구부끼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내에 수납된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로 이송하는 공정과,
    (e) 상기 반도체 웨이퍼가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 대해 처리를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너를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로 인입할 때의 수평 이동의 최대 속도는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 내부의 압력과 외계의 압력과의 차압으로 상기 최대 속도를 나눈 속도 차압비가 0.06 m/sㆍ㎩ 이하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양 내부 공간의 청정도는 그들 외부의 청정도와 비교하여 높은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 및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양 내부 공간의 기압은 그들의 외부의 기압과 비교하여 양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에는,
    (i) 오프너 구동 기구, 및
    (ii) 상기 오프너 구동 기구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에는 상하로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에는,
    (i) 오프너 구동 기구, 및
    (ii) 상기 오프너 구동 기구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상방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하방에는 배기 팬이 설치되어 있는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는 상기 덮개를 상기 반도체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덮개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프너 승강 기구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반도체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027001106A 1999-07-27 2000-07-27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49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11724 1999-07-27
JP21172499A JP4260298B2 (ja) 1999-07-27 1999-07-27 半導体部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580A KR20020019580A (ko) 2002-03-12
KR100749360B1 true KR100749360B1 (ko) 2007-08-16

Family

ID=1661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106A KR100749360B1 (ko) 1999-07-27 2000-07-27 반도체 수납 용기 개폐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7048493B2 (ko)
JP (1) JP4260298B2 (ko)
KR (1) KR100749360B1 (ko)
TW (1) TW476729B (ko)
WO (1) WO2001008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0298B2 (ja) * 1999-07-27 2009-04-3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部品の製造方法
KR100876446B1 (ko) * 2001-11-28 2008-12-29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트세이사쿠쇼 반송 용기의 덮개 착탈 장치
US7344349B2 (en) 2001-11-30 2008-03-18 Right Mfg. Co., Ltd. Pod cover removing-installing apparatus
JP2005026513A (ja) * 2003-07-03 2005-01-27 Tokyo Electron Ltd 処理装置
KR100702844B1 (ko) * 2005-11-1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드락 챔버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설비
WO2009081746A1 (ja) * 2007-12-21 2009-07-02 Tokyo Seimitsu Co., Ltd. ダイシング装置及びダイシング方法
TWI611987B (zh) * 2017-05-12 2018-01-21 可自動啟閉外蓋之基板容器結構
JP2023018522A (ja) * 2021-07-27 2023-02-08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ウェーハ搬送方法およびウェーハ搬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191A (ko) * 1997-03-13 1998-11-25 히가시 데츠로 카셋트 반출입 기구 및 반도체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580B2 (ja) * 1990-06-28 1999-01-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JP3162704B2 (ja) 1990-11-28 2001-05-0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
JPH05226205A (ja) 1991-11-12 1993-09-03 Nec Corp ロードロック型真空処理装置
JPH0632449A (ja) * 1992-05-19 1994-02-08 Ebara Corp 半導体製造プロセスにおけるウエハ搬送・保管システム
ES2229247T3 (es) * 1995-03-28 2005-04-16 Brooks Automation Gmbh Estacion de carga y descarga para instalaciones de tratamiento de semiconductores.
JP3069945B2 (ja) * 1995-07-28 2000-07-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
JP3237741B2 (ja) 1995-11-30 2001-12-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クリーン度の高い検査装置
US5910727A (en) * 1995-11-30 1999-06-08 Tokyo Electron Limited Electrical inspecting apparatus with ventilation system
KR980008317A (ko) 1996-07-12 1998-04-30 김영귀 차량용 촉매 변환기의 담체
TW344847B (en) * 1996-08-29 1998-11-11 Tokyo Electron Co Ltd Substrate treatment system, substrate transfer system,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JP3283798B2 (ja) 1996-08-29 2002-05-2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
JP3425592B2 (ja) 1997-08-12 2003-07-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
US6183358B1 (en) 1997-11-17 2001-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solated multilevel fabricating facility with two way clean tunnel transport system with each tool having adjacent support skid
WO1999028952A2 (en) * 1997-11-28 1999-06-10 Fortrend Engineering Corporation Wafer-mapping load port interface
WO1999028965A1 (fr) 1997-12-01 1999-06-10 Dainichi Shoji K.K. Recipient et chargeur de substrat
US6082951A (en) 1998-01-23 2000-07-04 Applied Materials, Inc. Wafer cassette load station
US6142722A (en) * 1998-06-17 2000-11-07 Genmark Automation, Inc. Automated opening and closing of ultra clean storage containers
US6281516B1 (en) 1998-07-13 2001-08-28 Newport Corporation FIMS transport box load interface
US6220808B1 (en) 1998-07-13 2001-04-24 Asyst Technologies, Inc. Ergonomic, variable size, bottom opening system compatible with a vertical interface
US6502869B1 (en) * 1998-07-14 2003-01-07 Asyst Technologies, Inc. Pod door to port door retention system
US6161575A (en) 1998-08-28 2000-12-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hamber contamination
US6042324A (en) * 1999-03-26 2000-03-28 Asm America, Inc. Multi-stage single-drive FOUP door system
JP4260298B2 (ja) * 1999-07-27 2009-04-3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部品の製造方法
JP2001110663A (ja) 1999-10-08 2001-04-20 Hitachi Ltd 試料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並びに磁気ヘッドの製作方法
US6553332B2 (en) 1999-12-22 2003-04-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evaluating process chambers used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US6543981B1 (en) * 2001-03-30 2003-04-08 Lam Research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 ultra-clean mini-environment through localized air flow augmentation
JP3880343B2 (ja) * 2001-08-01 2007-02-1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ロードポート、基板処理装置および雰囲気置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191A (ko) * 1997-03-13 1998-11-25 히가시 데츠로 카셋트 반출입 기구 및 반도체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580A (ko) 2002-03-12
TW476729B (en) 2002-02-21
JP2001044256A (ja) 2001-02-16
WO2001008212A1 (fr) 2001-02-01
JP4260298B2 (ja) 2009-04-30
US20060182541A1 (en) 2006-08-17
US20100086392A1 (en) 2010-04-08
US7314345B2 (en) 2008-01-01
US20080107517A1 (en) 2008-05-08
US20050111937A1 (en) 2005-05-26
US7048493B2 (en)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324B1 (ko) 진공일체형표준메카니컬인터페이스시스템
US5746008A (en) Electronic substrate processing system using portable closed containers
US5621982A (en) Electronic substrate processing system using portable closed containers and its equipments
JP2002502113A (ja) ウェハ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ステーション
TWI523140B (zh) Loading port
US7314345B2 (en) Semiconductor containe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1613544B1 (ko) 기판 처리 장치
US6533521B1 (en) Integrated substrate handler having pre-aligner and storage pod access mechanism
US7607880B2 (en) Wafer processing apparatus having dust proof function
JP2000150613A (ja) 被処理体の搬送装置
KR100717990B1 (ko) 반도체 자재 처리를 위한 이송 시스템
US7537425B2 (en) Wafer processing apparatus having dust proof function
JP4601683B2 (ja) 半導体収納容器開閉装置
KR20030065275A (ko) 비마찰식 도어를 갖는 기판 저장 용기
JPH08195426A (ja) 真空搬送用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JP2005277291A (ja) 半導体基板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2006216992A (ja) 半導体収納容器開閉装置
JPS62252128A (ja) 半導体製造装置の基板導入装置
JP2002203887A (ja) ミニエンバイロン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操作方法
KR20080058690A (ko) 기판 처리 장치
KR20240040682A (ko) 웨이퍼 반송방법 및 웨이퍼 반송장치
JP2011159833A (ja) クリーンゲートを備えたロードポート並びに搬送装置
JP2004140378A (ja) 防塵機能を備えた半導体ウェーハ処理装置
WO2002080232A2 (en) Substrate storage pod access device
KR19980079659A (ko) 밀폐형 유리기판 카셋트를 위한 스토커 및 자동반송차와, 그것들을 사용한 액정표시 디바이스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