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200B1 - 엔진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200B1
KR100749200B1 KR1020027001287A KR20027001287A KR100749200B1 KR 100749200 B1 KR100749200 B1 KR 100749200B1 KR 1020027001287 A KR1020027001287 A KR 1020027001287A KR 20027001287 A KR20027001287 A KR 20027001287A KR 100749200 B1 KR100749200 B1 KR 10074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cked
combustion chamber
injecte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748A (ko
Inventor
뵈어켈볼프강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3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7/00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 F02B17/005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having 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2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positive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23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2Other methods of operation
    • F02B2075/125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 spark ignition engines, i.e. not in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76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ditions for selecting a mode of combustion, e.g. for starting, for diagno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로틀 밸브(11)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제1 작동 모드에서 흡기 단계 중에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압축 단계 중에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연료가 직접 분사되어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될 수 있는 연소실(4)을 구비한 엔진(1), 특히 차량 엔진에 관한 것이다. 공기/연료 혼합기가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연소실(4)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엔진(1)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4) 내로 흡입되어 연소실(4) 내로 추가로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에 의하여 점화되도록 제어 및/또는 조절된다.
엔진, 연소실, 탱크 통기부, 스로틀 밸브, 점화 플러그

Description

엔진의 작동 방법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엔진, 특히 차량 엔진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고, 공기가 스로틀 장치, 특히 스로틀 밸브에 의하여 연소실 내로 흡입되고, 연료가 제1 작동 모드에서 흡기 단계 중에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압축 단계 중에 연소실 내로 직접 분사되어 점화되고, 공기/연료 혼합기가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연소실 내로 흡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특히 차량 엔진용 제어 장치 및 엔진, 특히 차량용 엔진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방법, 그러한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엔진은 예를 들어 소위 직접 연료 분사에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연료가 균질 작동에서 흡기 단계 중에 또는 성층 작동에서 압축 단계 중에 엔진의 연소실 내로 분사된다. 균질 작동은 양호하게는 엔진의 전부하 작동을 위하여 제공되고, 성층 작동은 희박 작동 및 부분 부하 작동에 대해 적합하다. 예를 들어, 그러한 직접 분사식 엔진에서 요구되는 토크에 따라 상기 작동 모드들 사이에 절환이 된다.
균질 작동에서,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 내로 공급된다. 스로틀 밸브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흡기 단계 중에 연소실 내로 직접 분사되는 연료량이 점화될 때까지 균일하게 와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질인 혼합기가 연소실 내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연소실 내의 공기/연료 혼합기의 람다비는 람다비-조절에 의하여 목표값으로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러한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균질 작동에서 연료로 충진된 활성탄 필터가 다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연료 탱크 내에서 증발하는 연료가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출은 비교적 긴 시간을 요구한다. 이는 엔진이 연료를 절약하는 성층 작동에서 단지 짧게 작동될 수 있는 결과를 낳는다.
성층 작동에서, 스로틀 밸브 및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추가로 흡입되는 공기/연료 혼합기가 그의 작은 연료 비율에 의하여 점화되지 않아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대기로 배출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를 가능한 적게 필요로 하며 동시에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가능한 적게 대기로 배출될 수 있는 엔진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처음 언급된 종류의 방법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에서 스로틀 밸브 및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 내로 흡입되고, 연소실 내로 추가로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점화됨으로써 달성된다. 각각의 처음 언급된 종류의 제어 장치 및 엔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이 상응하게 달성된다.
성층 작동에서 추가로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에 의하여 소위 스파크 점화가 일어난다. 이는 스로틀 밸브 및 탱크 통기 밸브에 의하여 흡입된 희박한 공기/연 료 혼합기를 점화시킨다.
이 때, 스로틀 밸브 및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연료 혼합기는 가능한 희박해야 한다. 점화 스파크에 의한 가연성이 필요하지 않다. 동시에, 공기/연료 혼합기는 또한 스파크에 의하여 점화될 때 전소되도록 농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스로틀 밸브와 탱크 통기 밸브가 상응하여 조절된다.
활성탄 필터의 충진율은 짧은 시험 통기 및 배기 가스의 람다비에 대한 그의 효과에 의하여 검출된다. 여기서, 시험 통기는 가능한 한 균질 작동에서 수행되어야 하고, 이는 배기 가스의 람다비가 이 때 가장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엔진 효율의 관점에서, 스로틀링이 가능한 작게 조절된다. 경우에 따라서, 탱크 통기 밸브와 활성탄 필터는 필요한 연료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통상의 치수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통기는 활성탄 필터의 소정의 충진 상태에서부터 의미가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균질 작동뿐 아니라 성층 작동에서도 탱크 통기가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탱크 통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기의 완전 연소는 추가적으로 직접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량에 의하여 보장된다. 따라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생성되지 않는다.
동시에, 성층 작동에서의 엔진의 효율은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기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다. 성층 작동은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추가로 흡입되는 공기/연료 혼합기에 기초하여 더 큰 모멘트를 발생시키기 위 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가 많이 소모되는 균질 작동으로 절환될 필요가 거의 없다.
또한, 탱크 통기부의 작동에 의하여 성층 작동에서도 전체 탱크 통기가 더 효율적이 되고 이전보다 더 많은 증발 연료가 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발생되는 유해 물질의 감소와 동시에 추가적인 연료 절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층 작동에서의 탱크 통기의 적용은 공지된 균질 작동에서의 탱크 통기의 적용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체 분사 연료량은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흡입되는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의 양과 추가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으로 구성된다.
추가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이 전체 분사 연료량과 탱크 통기부에 의하여 흡입되는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의 양에 따라서 검출되는 것이 특히 양호하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된 모멘트가 제어 장치에 의하여 원하는 모멘트로 정확하게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여기서, 제어 장치는 한편으로는 공기/연료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모멘트와, 직접 분사된 연료량으로부터 생성된 모멘트도 고려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다른 실시예에서,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단독으로 점화 가능하면, 연료가 추가로 분사되지 않는다. 이는 탱크 통기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엔진의 균질 희박 작동을 의미한다.
여기서, 엔진의 효율은 성층 작동에서보다 나쁘지만, 효율이 더 좋지 않은 람다비가 1인 작동으로 절환하지 않고서 균질 희박 작동에서 활성탄 필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매우 낮은 부하 및 높은 외부 온도에서 장시간 주행하고 활성탄 필터가 과충진이 임박했을 때 특히 양호하고, 그러한 경우에 성층 작동에서 추가로 발생된 모멘트에 의하여 스로틀링이 없이는 탱크 통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성층 작동에서 스파크 점화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 및 탱크 통기 밸브는 단지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따라서 스로틀링된 작동으로 전환되는 다른 가능성이 존재한다.
두 가지 설명된 가능성들이 스로틀링되지 않는 성층 작동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설명된 예외적인 상태에서만 적용되어야 한다.
생성되는 모멘트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탱크 통기부 및/또는 스로틀 밸브가 스로틀링되는 것이 특히 양호하다. 따라서, 운전자가 원하는 모멘트를 넘어서는 엔진에서 발생된 모멘트의 상승이 방지된다.
활성탄 필터를 신속하게 재생하는 다른 가능성은 균질 작동에서 NOx 저장 촉매 컨버터의 방출 단계 중에 생긴다. 이러한 방출 단계 중에 람다비가 1로 주행되어야 한다. 농후화는 탱크 통기 연료의 도움으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밸브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의 공기/연료 혼합기도 희박할 수 있다.
엔진, 특히 차량 엔진의 제어 장치를 위해 제공되는 제어 요소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계산 장치, 특히 마이 크로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는 데 적합한 프로그램이 제어 요소 상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또한 제어 요소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되고, 프로그램을 구비한 이러한 제어 요소는 그러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적합한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어 요소로서 특히 예를 들어 롬(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전기 저장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적용 가능성 및 장점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진다. 여기서, 설명되거나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특허청구 범위 내의 상기 특징들의 요약 또는 청구항들의 인용관계와 무관하게 그리고 명세서 또는 도면 내의 상기 특징들의 설명 또는 도시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대상을 형성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에, 차량의 엔진(1)이 도시되어 있고, 피스톤(2)이 실린더(3) 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3)는 피스톤(2),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5),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6)에 의해 구획된 연소실(4)을 구비한다. 흡기 파이프(7)가 흡기 밸브(5)와 연결되고, 배기 파이프(8)가 배기 밸브(6)와 연결된다.
흡기 밸브(5) 및 배기 밸브(6)의 영역 내에서, 분사 밸브(9)와 점화 플러그(10)가 연소실(4) 내로 돌출된다.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연료가 연소실(4)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연료가 연소실(4) 내에서 점화될 수 있다. 흡기 파이프(7) 내에 회전 가능한 스로틀 밸브(11)가 설치되고, 그에 의해 흡기 파이프(7)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공기의 양은 스로틀 밸브(11)의 개도에 따른다. 배기 파이프(8) 내에 촉매 컨버터(12)가 설치되고, 이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피스톤(2)은 연소실(4)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고, 도시되지 않은 크랭크축으로 이어져서 크랭크축 상으로 토크를 전달한다.
배기 가스 복귀 파이프(13)가 배기 파이프(8)와 흡기 파이프(7)를 연결시킨다. 배기 가스 복귀 파이프(13) 내에 배기 가스 복귀 밸브(14)가 설치된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배기 가스 복귀가 달성된다. 배기 가스 복귀는 가능한 것일 뿐,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활성탄 필터(15)는 탱크 통기 파이프(16)에 의하여 흡기 파이프(7)와 연결된다. 탱크 통기 파이프(16) 내에 탱크 통기 밸브(17)가 설치된다. 활성탄 필터(15)가 연료 탱크에 배치된다. 연료 탱크로부터 증발된 연료가 활성탄 필터(15) 내에 수용되어 임시 저장된다. 탱크 통기 밸브(17)의 개방 시에, 임시 저장된 연료는 탱크 통기 파이프(16)를 통하여 흡기 파이프(7) 내로 흡입된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탱크 통기가 실현된다.
제어 장치(18)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엔진(1)의 작동 변수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19)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8)는 공기량 센서, 람다 센서, 회전수 센서 등과 연결된다. 또한, 제어 장치(18)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주행 페달의 위치 및 요구되는 토크를 지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운전자 페달 센서와 연결된다. 제어 장치(18)는 엔진(1)의 거동이 액츄에이터 또는 조절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출력 신호(20)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8)는 분사 밸브(9), 점화 플러그(10), 스로틀 밸브(11), 탱크 통기 밸브(17) 등과 연결되고 이들의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특히, 제어 장치(18)는 엔진(1)의 작동 변수를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분사 밸브(9)에 의해 연소실(4) 내로 분사되는 연료량이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특히 작은 연료 소비 및/또는 작은 유해 물질 발생의 관점에서 제어 및/또는 조절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어 장치(18)는 위에서 언급한 제어 및/또는 조절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저장 매체, 특히 플래쉬 메모리 내에 저장하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엔진(1)의 제1 작동 모드, 소위 균질 작동 모드에서, 스로틀 밸브(11)는 원하는 토크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연료가 분사 밸브(9)로부터 피스톤(2)에 의해 일어나는 흡기 단계 중에 연소실(4) 내로 분사된다. 스로틀 밸브(11)에 의하여 동시에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분사된 연료가 와류되어 연소실(4) 내에서 대체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그 후에, 연료/공기 혼합기는 압축 단계 중에 압축되어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된다. 점화된 연료의 팽창에 의하여, 피스톤(2)이 움직인다. 생성된 토크는 균질 작동에서 특히 스로틀 밸브(11)의 위치에 의존한다. 적은 유해 물질 배출의 관점에서, 연료/공기 혼합기는 가능한 한 람다비가 1로 조절된다.
이러한 제1 작동 모드에서, 탱크 통기 밸브(17)를 개방하여 직접 분사되는 연료량에 대해 추가로 공기/연료 혼합기를 활성탄 필터(15)로부터 연소실(4) 내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입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량은 제어 장치(18)에서 람다 센서에 의해 측정된 람다비의 변화에 의해 검출되어 직접 분사된 연료량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다.
엔진(1)의 제2 작동 모드, 소위 성층 작동에서, 스로틀 밸브(11)가 더욱 개방된다. 연료는 분사 밸브(9)로부터 피스톤(2)에 의해 일어나는 압축 단계 중에 공간적으로는 점화 플러그(10)에 바로 인접하고 시간적으로는 점화 시점 이전에 적절한 시차를 두고 연소실(4) 내로 분사된다. 그 다음, 연료는 점화 플러그(10)의 도움으로 점화되어, 다음 작동 단계에서 피스톤(2)이 점화된 연료의 팽창에 의하여 움직인다. 발생된 토크는 성층 작동에서 대체로 분사된 연료량에 의존한다. 통상, 성층 작동은 엔진(1)의 희박 작동 및 부분 부하 작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제1 작동 모드에서, 그러나 필요하다면 제2 작동 모드에서 활성탄 필터(15)의 충진 상태가 계속해서 검사된다. 이를 위해, 탱크 통기 밸브(17)는 단시간 동안 개방되고, 이로부터 생성된 람다비의 변화가 람다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이로부터,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활성탄 필터(15)로부터 공기/연료 혼합기로서 흡입될 수 있는 연료량이 검출될 수 있다.
활성탄 필터(15)가 미리 주어진 충진 상태를 넘어서면, 탱크 통기 밸브(17)가 개방된다. 동시에, 스로틀 밸브(11)는 전체적으로 탱크 통기 밸브(17) 및 스로틀 밸브(11)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4) 내로 흡입되도록 제어 된다. 이러한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는 연소실(4) 내에서 대체로 균일하게 균질 분배된다. 따라서, 연소실(4) 내에 존재하는 공기/연료 혼합기는 그 자체로는 점화 스파크에 의해서 점화될 수 없게 희박할 수 있다.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추가의 연료량이 연소실(4) 내로 직접 분사된다. 이러한 연료량은 가능한 한 작게 선택된다. 이러한 연료량은 탱크 통기 밸브(17)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량과,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검출되는 원하는 모멘트를 생성하는 데 요구되는 분사되거나 공급될 전체 연료량에 의존한다.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추가로 직접 분사되는 연료량은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된다. 이는 소위 스파크 점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스파크 점화에 의하여, 활성탄 필터(15)로부터 연소실(4) 내로 흡입된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도 마찬가지로 점화된다.
따라서, 엔진(1)에서 생성된 모멘트는 활성탄 필터(15)로부터 흡입된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모멘트와, 연소실(4) 내로 추가로 직접 분사된 연료량으로부터 생성된 모멘트로 이루어진다. 설명된 엔진(1)의 작동 방식은 엔진(1)이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로부터 생성된 모멘트보다 큰 모멘트를 요구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엔진(1)의 작동 모드들은 효율의 관점에서 위에서 설명된 작동 방식보다 덜 양호하다. 그러므로, 이하의 작동 모드들은 위에서 설명된 작동 모드가 엔진(1)에 존재하는 매우 낮은 부하 및 완전히 충진된 활성탄 필터(15)로 인하여 수행될 수 없을 때만 제공된다.
엔진(1)이 예를 들어 매우 낮은 부하에서 매우 오랫동안 작동되는 경우 그리고 활성탄 필터(15)가 예를 들어 높은 온도에서의 긴 노출 시간 이후에 과충진이 임박한 경우, 탱크 통기 밸브(17)의 대응 조절에 의하여 균질이며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를 탱크 통기부 및 스로틀 밸브(11)를 통한 공기의 도움으로만 연소실(4) 내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활성탄 필터(15)로부터 연소실(4) 내로 흡입되는 이러한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는 추가로 직접 분사되는 연료량 없이 점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연료량이 추가로 분사되지 않고, 공기/연료 혼합기가 직접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된다. 이는 탱크 통기에 의해서만 실현되는 엔진(1)의 균질인 희박 작동을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된 엔진(1)의 작동 방식들에 있어서 요구되는 것보다 더 큰 모멘트가 생성된 경우, 탱크 통기 밸브(17) 및/또는 스로틀 밸브(11)의 대응 조절에 의하여 생성된 모멘트가 원하는 값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스파크 점화에 의한 스로틀링된 성층 작동을 설명한다. 따라서, 원치 않는 너무 높은 모멘트의 생성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성층 작동에서의 탱크 통기의 적용은 위에서 설명된 균질 작동에서의 탱크 통기의 적용과 조합될 수 있다.
탱크 통기의 다른 적용은 NOx 저장 촉매 컨버터의 균질 작동에서 방출 단계 중에 가능하다. 추가적인 탱크 통기에 의하여, 균질 작동 중의 이러한 경우에 공기/연료 혼합기의 농후화가 달성되고, 이는 NOx 저장 촉매 컨버터의 공지된 방출을 보조한다.

Claims (9)

  1. 공기가 스로틀 장치, 특히 스로틀 밸브(11)에 의하여 연소실(4) 내로 흡입되고, 연료가 제1 작동 모드에서 흡기 단계 중에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압축 단계 중에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연소실(4) 내로 직접 분사되어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되고, 공기/연료 혼합기가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연소실(4) 내로 흡입되는, 엔진(1), 특히 차량 엔진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에서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4) 내로 흡입되고,
    추가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은 전체 분사 연료량과,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흡입되는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량에 따라 검출되고,
    탱크 통기부(15, 16, 17)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연료의 양이 미리 검출되고,
    연소실(4) 내로 추가로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분사 연료량은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흡입되는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의 양과, 추가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단독으로 점화 가능하면, 연료가 추가로 분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생성되는 모멘트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탱크 통기부(17) 및/또는 스로틀 밸브(11)가 스로틀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엔진(1), 특히 차량 엔진(1)의 제어 장치(18)를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이며, 계산 장치,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하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
  6. 연소실(4)을 포함하고, 연소실 내로 스로틀 밸브(11)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제1 작동 모드에서 흡기 단계 중에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압축 단계 중에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연료가 직접 분사되어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될 수 있고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공기/연료 혼합기가 흡입될 수 있는, 엔진(1), 특히 차량 엔진의 제어 장치(18)에 있어서,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제2 작동 모드에서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4) 내로 흡입되고,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추가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이 전체 분사 연료량과,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흡입되는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의 양에 따라 검출되고,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탱크 통기부(15, 16, 17)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연료의 양이 미리 검출되고,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연소실(4) 내로 추가로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에 의해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스로틀 밸브(11)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제1 작동 모드에서 흡기 단계 중에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압축 단계 중에 분사 밸브(9)에 의하여 연료가 직접 분사되어 점화 플러그(10)에 의하여 점화될 수 있고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공기/연료 혼합기가 흡입될 수 있는 연소실(4)과, 제어 장치(18)를 구비한 엔진(1), 특히 차량 엔진에 있어서,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제2 작동 모드에서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연소실(4) 내로 흡입되고,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추가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이 전체 분사 연료량과, 스로틀 밸브(11) 및 탱크 통기부(15, 16, 17)에 의하여 흡입되는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 내에 포함된 연료의 양에 따라 검출되고,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탱크 통기부(15, 16, 17)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연료의 양이 미리 검출되고,
    제어 장치(18)에 의하여 연소실(4) 내로 추가로 분사되어 점화되는 연료에 의하여 희박한 공기/연료 혼합기가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8. 삭제
  9. 삭제
KR1020027001287A 1999-07-31 2000-07-19 엔진의 작동 방법 KR100749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6202A DE19936202A1 (de) 1999-07-31 1999-07-31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936202.5 199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748A KR20020033748A (ko) 2002-05-07
KR100749200B1 true KR100749200B1 (ko) 2007-08-13

Family

ID=791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287A KR100749200B1 (ko) 1999-07-31 2000-07-19 엔진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25836B1 (ko)
EP (1) EP1206635B1 (ko)
JP (1) JP4563634B2 (ko)
KR (1) KR100749200B1 (ko)
CN (1) CN1165679C (ko)
BR (1) BR0012886A (ko)
DE (2) DE19936202A1 (ko)
RU (1) RU2270928C2 (ko)
WO (1) WO2001009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8004A1 (de) * 2002-06-22 2004-01-15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Beladung eines Aktivkohlebehälters eines Tankentlüftungssystems
KR100685644B1 (ko) * 2002-07-10 2007-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차지 펌프 회로
DE10308650B3 (de) 2003-02-27 2004-12-30 Siemens Ag Motorsteuerung und zugehörige Betriebsverfahren
DE10332701A1 (de) * 2003-07-18 2005-02-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Tankentlüftung für eine direkteinspritzende Brennkraftmaschine
GB2460053B (en) * 2008-05-14 2012-06-13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GR and the throttle valv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9007764A1 (de) 2009-02-06 2010-08-12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Abgasreinigungsanlage
US9352249B2 (en) * 2013-07-01 2016-05-31 Colorado Lining International, Inc. Cover with gas permeable layer
US9784235B2 (en) * 2015-06-16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lot fuel injection adap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3593A2 (en) * 1997-07-25 1999-01-27 Hitachi, Ltd.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erforming stratified charge combustion
JPH1162731A (ja) 1997-08-08 1999-03-05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H11132097A (ja) 1997-10-28 1999-05-18 Nissan Motor Co Ltd 車両制御用メモリ書き換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339A (en) * 1988-11-18 1990-09-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700128B2 (ja) * 1990-08-08 1998-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制御装置
US5245975A (en) * 1990-11-28 1993-09-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rect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18295A (ja) * 1991-07-12 1993-01-2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2806224B2 (ja) * 1992-10-21 1998-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JP3322004B2 (ja) * 1993-11-09 2002-09-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蒸発ガス処理装置
JP3166538B2 (ja) * 1995-03-14 2001-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供給系の故障診断装置
JP2774779B2 (ja) * 1995-03-27 1998-07-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リーンバーンエンジン
JP3315025B2 (ja) * 1995-07-26 2002-08-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DE19617386C1 (de) * 1996-04-30 1997-07-24 Siemens Ag Tankentlüftungssystem für eine direkteinspritzende Brennkraftmaschine
JPH1018890A (ja) * 1996-06-28 1998-01-20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DE19728112A1 (de) * 1997-07-02 1999-01-07 Bosch Gmbh Robert System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JP3385919B2 (ja) * 1997-07-10 2003-03-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パージ処理制御装置
JP3525688B2 (ja) * 1997-07-22 2004-05-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EP0969197B1 (de) * 1998-07-02 2004-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rbrennugs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JP3503479B2 (ja) * 1998-07-15 2004-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希薄燃焼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3593A2 (en) * 1997-07-25 1999-01-27 Hitachi, Ltd.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erforming stratified charge combustion
JPH1162731A (ja) 1997-08-08 1999-03-05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H11132097A (ja) 1997-10-28 1999-05-18 Nissan Motor Co Ltd 車両制御用メモリ書き換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679C (zh) 2004-09-08
JP2003506609A (ja) 2003-02-18
JP4563634B2 (ja) 2010-10-13
US6725836B1 (en) 2004-04-27
DE50009656D1 (de) 2005-04-07
EP1206635B1 (de) 2005-03-02
WO2001009501A9 (de) 2001-05-03
EP1206635A1 (de) 2002-05-22
DE19936202A1 (de) 2001-02-08
WO2001009501A1 (de) 2001-02-08
BR0012886A (pt) 2002-04-16
RU2270928C2 (ru) 2006-02-27
KR20020033748A (ko) 2002-05-07
CN1367862A (zh) 200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088B2 (ja) 圧縮自己着火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4047752B (zh) 真空控制方法和系统
US20030145837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69528B2 (ja) 内燃機関の動作のための方法
JP2004504539A (ja) 酸化窒素(NOx)吸蔵型触媒装置の作動方法及び制御装置
US20040154585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specially of a motor vehicle
US6758034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49200B1 (ko) 엔진의 작동 방법
US6278933B1 (en) Rapid transient torque management in DISI engines
US20040011029A1 (en) Method for heating a catalyst used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fuel injection
KR20010034653A (ko) 엔진 작동 방법
KR20030036812A (ko) 엔진 작동 방법
US6321714B1 (en) Hybrid operating mode for DISI engines
KR20020072567A (ko) 엔진 작동 방법
US680509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fuel content of the regeneration ga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direct fuel-injection with shift operation
US10066560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rrespond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98189B1 (en) Method for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25974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88459B2 (ja) 内燃機関の作動方法
JP2004509279A (ja) 内燃機関の作動方法
KR100749591B1 (ko) 엔진 작동 방법
JP4413430B2 (ja) 特に自動車の内燃機関の運転方法
JP2001003802A (ja) 内燃機関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内燃機関のための制御装置並びに内燃機関
JPH05216776A (ja) 自動車用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2000314366A (ja) 内燃機関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