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331B1 - 차량용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331B1
KR100748331B1 KR1020060037097A KR20060037097A KR100748331B1 KR 100748331 B1 KR100748331 B1 KR 100748331B1 KR 1020060037097 A KR1020060037097 A KR 1020060037097A KR 20060037097 A KR20060037097 A KR 20060037097A KR 100748331 B1 KR100748331 B1 KR 10074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blade
vehicle
arm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618A (ko
Inventor
히로아키 마키하라
마사유키 타지마
히토시 호시노
토오루 아키타
토시하루 카미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6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blades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wiper arms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ped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2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of windscreen w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조이며,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워셔액을 최적의 영역에 착수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1)에 의해 윈드 실드 글라스(21)에 부착한 부착물을 불식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10)로서, 와이퍼 블레이드(1)를 원호형상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30)을 가지며, 구동 수단(30)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제 1의 분사 노즐(11)을 마련하고, 와이퍼 블레이드(1)가 정지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닦아 올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을 분사시키고, 와이퍼 블레이드(1)가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여, 상기 워셔액을 최적의 영역에 착수하도록 하였다.
차량용 와이퍼 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장치{WINDSHILD WIPER DEVICE FOR AUTOMOBIL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와이퍼 장치를 갖는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와이퍼 장치의 설명도.
도 3은 도 2에서의 둘러싸는 선(Ⅲ)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서의 둘러싸는 선(Ⅳ)의 확대도.
<부호의 설명>
1 : 와이퍼 블레이드 2 : 구동용 피벗 3 : 구동용 암 헤드 4 : 구동용 리테이너 5 : 보조용 피벗 6 : 보조용 암 헤드 7 : 보조용 리테이너 8 : 스테이 9 : 블레이드 러버 10 : 차량용 와이퍼 장치 11 : 제 1의 분사 노즐 12 : 제 2의 분사 노즐 13 : 조인트 14 : 튜브 20 : 차량 21 : 윈드 실드 글라스 30 : 구동 수단 31 : 구동 와이퍼 암 32 : 보조 와이퍼 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차량의 윈드 실드 글라스 부근에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차량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된 블레이드 러버에 의해 윈드 실드 글라스의 표면에 부착한 비(雨)나 눈 등의 부착물을 불식(佛式)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윈드 실드 글라스의 표면에 워셔액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러버를 원활하게 동작시킴과 함께, 상기 부착물의 불식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워셔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로서는, 상기 와이퍼 암에 고정시킨 것이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스테이에 고정시킨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이나, 차량의 보닛(bonnet) 등에 고정시킨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를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0-17753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실개평10-6933호 공보
그러나, 와이퍼 암에 분사 노즐을 고정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닦아 내리고 있는 때에, 워셔액이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면, 상기 와이퍼 암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후방측에 상기 워셔액이 착수(着水)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와이퍼 암으로 닦아 올릴 때까지 상기 워셔액이 윈드 실드 글라스의 표화에 남아서,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악화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암이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때에, 상기 워셔액이 분사되면, 상기 블레이드 러버가 불식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워셔액을 여분으로 사용하여 버리게 되고, 작업성을 나쁘게 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서는, 분사 노즐로부터 워셔액을 분사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를 원활하게 움직여서 윈드 실드 글라스의 표면에 부착한 부착물을 용이하게 불식할 수 있는 것이지만, 와이퍼 암으로 닦아 내리고 있는 때에, 워셔액이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면, 상기 와이퍼 암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후방측에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여, 상기 와이퍼 암으로 닦아 올릴 때까지 상기 워셔액이 윈드 실드 글라스의 표면에 남아서,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악화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암이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때에 워셔액이 분사되면, 상기 와이퍼 암이 불식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여, 워셔액을 여분으로 사용하여 버리게 되고, 작업성을 나쁘게 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의 윈드 실드 글라스의 와이퍼 장치에서는, 와이퍼 암의 위치에 응하여 워셔액의 분사 위치 및 분사 시기를 제어할 수는 있지만, 워셔액 차단 부재가 워셔액 구동 모터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캠에 가세하여 마련됨과 함께, 워셔액을 분사하는 노즐 본체에 뚫려진 유로에 마련되어 있어서, 장치 자체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이한 구조이 며,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워셔액을 최적의 영역에 착수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1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윈드 실드 글라스에 부착한 부착물을 불식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원호형상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가지며, 상기 구동 수단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제 1의 워셔액 분사부를 마련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올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을 분사시키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을 분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2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제 1의 발명에 기재된 차량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구동 수단이, 구동용 피벗(pivot)에 기단(基端)이 부착된 구동 와이퍼 암과, 상기 구동용 피벗의 부근에 배치된 보조용 피벗에 기단이 부착된 보조 와이퍼 암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퍼 암의 선단과 상기 보조 와이퍼 암 선단을 연결하는 스테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3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제 1 또는 제 2의 발명에 기재된 차량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구동 와이퍼 암은 상기 보조 와이퍼 암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제 2의 워셔액 분사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4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제 2 또는 제 3의 발명에 기재된 차량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및 상기 보조 와이퍼 암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같은 측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5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제 2 내지 제 4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차량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및 상기 보조 와이퍼 암이 굴곡하여 형성시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에 의해,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및 상기 보조 와이퍼 암이 정지 위치에 배치될 때에 제 1의 워셔액 분사부가 차실 내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된다.
제 1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올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영역에 워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워셔액을 최적의 영역에 착수할 수 있고, 윈드 실드 글라스에 부착한 부착물을 효율 좋게 불식하여, 차량 전방의 양호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 자체가 간이하고,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는 착수점(着水点)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윈드 실드 글라스에 부착한 부착물을 소량의 워셔액에 의해 용이하게 불식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발명의 차량용 와 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외에, 간이한 구조이고, 그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1 및 제 2의 발명에 기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외에, 차량의 고속 주행시 등에서, 이 제 2의 워셔액 분사부로부터 워셔액을 분사시킴으로써, 윈드 실드 글라스의 광범위하게 걸치는 시야 영역에 워셔액을 착수시켜 불식할 수가 있어서, 차량의 온갖 상황에서 양호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4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2 및 제 3의 발명에 기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외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원호형상으로 회전 구동시킬 때, 와이퍼 암 및 보조 와이퍼 암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차실 내에서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2 내지 제 4의 발명에 기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구동 와이퍼 암 및 보조 와이퍼 암이 차실 내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차실 내에서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와이퍼 장치를 갖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둘러싸는 선(Ⅲ)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의 둘러싸는 선(Ⅳ)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0)의 윈드 실드 글라스(21)의 부근에 부착된다. 이 차량용 와이퍼 장치(10)는, 와이퍼 블레이드(1)와, 와이퍼 블레이드(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30)을 갖는다. 구동 수단(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카울(cowl)(20b)에 배치된 회동 가능한 구동용 피벗(2)과, 구동용 피벗(2)에 기단이 부착된 구동 와이퍼 암(31)과, 구동용 피벗(2)의 부근에 배치된 보조용 피벗(5)에 기단이 부착된 보조 와이퍼 암(32)과, 선단(8b)이 와이퍼 블레이드(1)에 부착되고(고정되고), 기단(8a)이 구동 와이퍼 암(31)의 선단과 보조 와이퍼 암(32)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연결하는 L자형의 스테이(8)를 갖는다.
단, 와이퍼 암(31) 및 보조 와이퍼 암(32)은, 와이퍼 블레이드(1)에 대해 같은 측에 배치되어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1)를 원호형상으로 회전 구동시킨 때, 와이퍼 암(31) 및 보조 와이퍼 암(32)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고, 차실 내에서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와이퍼 암(31) 및 보조 와이퍼 암(32)은,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1)가 정지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구동 와이퍼 암(31) 및 보조 와이퍼 암(32)이 차실 내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차실 내에서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 와이퍼 암(31)은, 구동용 피벗(2)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된 구동용 암 헤드(3)와, 구동용 암 헤드(3)의 선단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용 리테이너(4)를 가지며, 구동용 리테이너(4)의 선단(4a)은 스테이(8)의 기단(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 와이퍼 암(32)은, 보조용 피벗(5)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된 보조용 암 헤드(6)와, 보조용 암 헤드(6)의 선단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지지된 보조용 리테이너(7)를 가지며, 보조용 리테이너(7)의 선단(7a)이 스테이(8)의 기단(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동 수단(30)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는 원호형상으로 회전 구동한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정지 위치인 카울(20c)(차량의 보닛(20a)) 부근부터 방향(A)으로 닦아 올려지고, 프런트 필러(20c) 부근(반전 위치)에서 반전하여, 방향(B)으로 닦아 내려진다. 그 결과, 와이퍼 블레이드(1)에 부착된 블레이드 러버(9)에 의해 윈드 실드 글라스(21)에 부착한 부착물이 불식된다.
구동용 리테이너(4)의 선단 부근에는, 워셔액을 분사하는 제 1의 워셔액 분사부인 제 1의 분사 노즐(11)이 부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분사 노즐(11)에 연결된 조인트(13)의 타단이 튜브(14)에 연결되고, 이 튜브(14)가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액 탱크(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가 정지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분사 노즐(11)의 선단(11a)이 와이퍼 블레이드(1)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가 정지 위치 부근부터 방향(A)으로 닦아 올려 가면, 그에 수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와 제 1의 분사 노즐(11)의 선단(11a)이 근접하여 가 고, 와이퍼 블레이드(1)의 반전 위치 부근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분사 노즐(11)이 와이퍼 블레이드를 방향(A)으로 닦아 올릴는 때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진행 방향 후방측(와이퍼 블레이드(1)를 방향(B)으로 닦아 내릴 때에는 진행 방향 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가 반전 위치 부근부터 방향(B)으로 닦아 내려 가면, 그에 수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와 제 1의 분사 노즐(11)의 선단(11a)이 근접하여 가고, 와이퍼 블레이드(1)의 정지 위치 부근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분사 노즐(11)의 선단(11a)이 와이퍼 블레이드(1)보다 상방에 재차 배치된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1)가 정지 위치로부터 반전 위치로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면, 제 1의 분사 노즐(11)은, 와이퍼 블레이드(1)의 전방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를 타고 올라가서, 와이퍼 블레이드(1)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와이퍼 블레이드(1)가 반전 위치로부터 정지 위치로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의 후방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를 타고 올라가서, 와이퍼 블레이드(1)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와이퍼 블레이드(1)가 정지 위치, 즉 카울(20b) 부근에 배치될 때, 워셔액이 분사되면, 와이퍼 블레이드(1)의 닦아 올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1)가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 워셔액이 분사되면, 와이퍼 블레이드(1)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이 착수한다. 따라서 워셔액은 최적의 영역에 착수한다.
또한, 제 1의 분사 노즐(11)은, 상술한 영역에 워셔액을 착수시킬 수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워셔액을 직선 상태로 분사하는 제트 타입의 분사 노즐이나, 미 스트(안개) 상태로 분사하는 미스트 타입의 분사 노즐이라도 좋다.
L자형의 스테이(8)의 선단(8b)과 기단(8a)과의 연결부에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셔액을 분사하는 제 2의 워셔액 분사부 제 2의 분사 노즐(12)이 부착된다. L자형의 스테이(8)는, 윈드 실드 글라스(21)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의 개략 정면이 되는 위치를 통과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2의 분사 노즐(12)를 상술한 위치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차량(20)의 고속 주행시 등에서, 이 제 2의 분사 노즐(12)로부터 워셔액을 분사시킴으로써, 윈드 실드 글라스(21)의 광범위하게 걸치는 시야 영역에 워셔액을 착수시켜서 불식할 수 있어서, 차량(20)의 온갖 상황에서 양호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10)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 1의 분사 노즐(11)로부터 워셔액을 분사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가 불식하고자 하는 최적의 영역에 워셔액이 착수하게 되어, 윈드 실드 글라스에 부착한 부착물을 효율 좋게 불식하여, 차량의 전방의 양호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10) 자체의 구조가 간이하기 때문에, 그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는 착수점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윈드 실드 글라스(21)에 부착한 부착물을 소량의 워셔액에 의해 용이하게 불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와이퍼 장치(10)에서는, 구동 와이퍼 암(31)에 제 1의 분사 노즐(11)을 마련하였지만, 와이퍼 블레이드(1)가 카울(20b)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의 반전 위치 부근에서는 반전 방향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보조 와이퍼 암(32)에 제 1의 분사 노즐(11)을 마련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라도 차량용 와이퍼 장치(1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차량용 와이퍼 장치(10)에서는, 카울(20b) 부근부터 운전석측의 프런트 필러(20c) 부근에 걸처서 원호형상으로 불식하고 있지만, 윈드 실드 글라스(21)를 불식할 수 있으면 좋고, 조수석측의 카울 부근부터 운전석측의 카울 부근까지 윈드 실드 글라스를 불식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적용하여도 차량용 와이퍼 장치(1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다.
제 1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올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반전 위치 부근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영역에 워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워셔액을 최적의 영역에 착수할 수 있고, 윈드 실드 글라스에 부착한 부착물을 효율 좋게 불식하여, 차량 전방의 양호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 자체가 간이하고,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워셔액이 착수하는 착수점(着水点)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윈드 실드 글라스에 부착한 부착물을 소량의 워셔액에 의해 용이하게 불식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발명의 차량용 와 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외에, 간이한 구조이고, 그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1 및 제 2의 발명에 기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외에, 차량의 고속 주행시 등에서, 이 제 2의 워셔액 분사부로부터 워셔액을 분사시킴으로써, 윈드 실드 글라스의 광범위하게 걸치는 시야 영역에 워셔액을 착수시켜 불식할 수가 있어서, 차량의 온갖 상황에서 양호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4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2 및 제 3의 발명에 기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외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원호형상으로 회전 구동시킬 때, 와이퍼 암 및 보조 와이퍼 암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차실 내에서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의 발명에 관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제 2 내지 제 4의 발명에 기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구동 와이퍼 암 및 보조 와이퍼 암이 차실 내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차실 내에서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윈드 실드 글라스(21)상의 원호형상의 불식(拂拭) 영역 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를 왕복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마련되고 워셔액을 분사하는 제 1의 워셔액 분사부(11)를 가지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윈드 실드 글라스를 불식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구동 수단은, 구동용 피벗(2)에 기단이 부착된 구동 와이퍼 암(31)과, 상기 구동용 피벗의 부근에 배치된 보조용 피벗(5)에 기단이 부착된 보조 와이퍼 암(32)과, 상기 와이퍼 암의 선단과 상기 보조 와이퍼 암의 선단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pivotally) 지지됨과 함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스테이(8)를 갖고서 구성되고,
    제 1의 워셔액 분사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 부근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올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을 분사시키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반전 위치 부근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닦아 내리는 방향의 영역에 상기 워셔액을 분사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워셔액 분사부는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또는 상기 보조 와이퍼 암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워셔액 분사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 부근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상기 제 1의 워셔액 분사부를 지지하는 상기 와이퍼 암의 측과는 반대측에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및 상기 보조 와이퍼 암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양측면중의 한쪽의 측면의 측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워셔액 분사부는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및 상기 보조 와이퍼 암 중,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가까운 측의 암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와이퍼 암 선단과 상기 보조 와이퍼 암 선단과의 상하 위치 관계가, 상기 구동용 피벗과 상기 보조용 피벗과의 상하 위치 관계와는 역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에는 제 2의 워셔액 분사부(1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와이퍼 암 및 상기 보조 와이퍼 암의 적어도 한쪽은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20060037097A 2005-06-15 2006-04-25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0748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4691A JP4622693B2 (ja) 2005-06-15 2005-06-15 車両用ワイパ装置
JPJP-P-2005-00174691 2005-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18A KR20060131618A (ko) 2006-12-20
KR100748331B1 true KR100748331B1 (ko) 2007-08-09

Family

ID=3697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097A KR100748331B1 (ko) 2005-06-15 2006-04-25 차량용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8367B2 (ko)
EP (1) EP1733940B1 (ko)
JP (1) JP4622693B2 (ko)
KR (1) KR100748331B1 (ko)
CN (1) CN100579835C (ko)
DE (1) DE602006017773D1 (ko)
TW (1) TWI2936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9703B2 (ja) * 2007-01-12 2011-11-24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
ITMI20090134A1 (it) * 2009-02-04 2010-08-04 Gallinea S R L Tergicristallo per parabrezza di mezzi nautici, in particolare natanti, imbarcazioni, motoscafi e simili
DE102009059118A1 (de) * 2009-12-19 2011-06-22 Daimler AG, 70327 Wisch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schanlage für einen Kraftwagen
DE102010000726B4 (de) * 2010-01-07 2018-05-03 Robert Bosch Gmbh Wischerantrieb für eine Scheibenwischanlage eines Fahrzeugs
JP5324516B2 (ja) * 2010-04-20 2013-10-23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5122666B2 (ja) * 2011-04-20 2013-01-16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
PL224050B1 (pl) * 2011-11-02 2016-11-30 Valeo Autosystemy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Pantograf wycieraczek, zwłaszcza samochodowych, oraz adapter do pantografu
JP5468103B2 (ja) * 2012-03-30 2014-04-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ウォッシャ装置
DE102012216487A1 (de) * 2012-09-17 2014-03-20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DE102012216486A1 (de) * 2012-09-17 2014-03-20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FR3015944A1 (fr) * 2012-09-27 2015-07-03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ntrainement d'un balai d'un systeme d'essuyage d'une vitre, notamment pare-brise de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d'essuyage comprenant un tel bras
US9937899B2 (en) 2013-10-28 2018-04-10 Asmo Co., Ltd. Wiper arm and vehicle wiper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CN103569059A (zh) * 2013-10-31 2014-02-12 昆山市大久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副臂的汽车雨刮臂
JP6029695B2 (ja) * 2015-01-20 2016-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ウォッシャ噴射装置
US9994088B2 (en) * 2016-03-31 2018-06-12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Wiper assembly for a windshield of a vehicle
CN109153371B (zh) * 2016-05-11 2021-11-30 株式会社电装 车辆用刮水器装置
JP2017144998A (ja) * 2017-06-06 2017-08-24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ア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ワイパ装置
JP6332712B2 (ja) * 2017-06-06 2018-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ア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ワイ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1933U (ko) 1975-03-28 1976-10-02
JPS56168449U (ko) 1980-05-17 1981-12-12
JPH04124568U (ja) * 1991-05-01 1992-11-1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ウオツシヤノズル内蔵式ワイパ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72939A (de) * 1958-10-01 1963-10-31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anlage an der Windschutz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US3793670A (en) * 1971-08-09 1974-02-26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asher assembly
JPS54170541U (ko) * 1978-05-23 1979-12-01
JPH0544217Y2 (ko) * 1987-07-08 1993-11-09
JP2655897B2 (ja) * 1988-12-20 1997-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イパ
JPH0478752A (ja) * 1990-07-20 1992-03-12 Hino Motors Ltd ワイパ装置
FR2675101B1 (fr) * 1991-04-11 1993-08-06 Belles Ondes Forges Bras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 grande vitesse.
US5203049A (en) * 1991-05-20 1993-04-20 Jidosha Denki Kogyo Kabushiki Kaisha Wiper apparatus with mechanism for switching spraying direction of washing fluid
JPH05286417A (ja) * 1992-04-07 1993-11-02 Nissan Motor Co Ltd ワイパー装置
DE4445417A1 (de) * 1994-12-20 1996-06-27 Teves Gmbh Alfred Koppelglied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KR100217093B1 (ko) * 1995-12-28 1999-10-01 정몽규 차량용 와셔 노즐 작동장치
AUPO696897A0 (en) * 1997-05-26 1997-06-19 Trico Pty. Ltd. Improved washing apparatus for a vehicle windshield
ES2227898T3 (es) * 1997-12-02 2005-04-01 Robert Bosch Gmbh Dispositivo de toberas y brazo del limpiaparabrisas para alojar el dispositivo de toberas.
US6094772A (en) * 1998-01-30 2000-08-0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ndshield wiper arm retainer with integral nozzle bracket
JP2000177539A (ja) 1998-12-16 2000-06-27 Asmo Co Ltd 車両用ワイパ装置
JP2003048517A (ja) * 2001-08-03 2003-02-18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ウォッシ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1933U (ko) 1975-03-28 1976-10-02
JPS56168449U (ko) 1980-05-17 1981-12-12
JPH04124568U (ja) * 1991-05-01 1992-11-1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ウオツシヤノズル内蔵式ワイ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18A (ko) 2006-12-20
US8028367B2 (en) 2011-10-04
JP2006347302A (ja) 2006-12-28
TW200642885A (en) 2006-12-16
DE602006017773D1 (de) 2010-12-09
EP1733940B1 (en) 2010-10-27
CN100579835C (zh) 2010-01-13
US20060282971A1 (en) 2006-12-21
JP4622693B2 (ja) 2011-02-02
TWI293612B (en) 2008-02-21
EP1733940A2 (en) 2006-12-20
CN1880134A (zh) 2006-12-20
EP1733940A3 (en)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331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JP2008137459A (ja) 車両用ワイパ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6992682B2 (ja) 車両用洗浄装置
JP5327387B1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JP2002302019A (ja) ワイパアーム
JP4819703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6578771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H10194091A (ja) ウインドウウォッシャ装置
JP2002321599A (ja) ワイパアーム及びウォッシャノズル
CN214689395U (zh) 一种新型汽车雨刮器
KR101241032B1 (ko) 세정액 분사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가진 와이퍼 장치
JPH0810047Y2 (ja) 3連式ワイパ装置
KR20060110436A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장치
KR100580029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KR20050064165A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JPH0647061U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KR19980027988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와셔액 공급장치
JP2005096720A (ja) 車両用ウォッシャノズル
KR19990010802A (ko) 자동차용 와이퍼에 내장된 워셔액 분사구조
KR100578061B1 (ko) 차속 연동형 와셔노즐장치
KR19980055081U (ko) 자동차의 와이퍼 성능향상 구조
KR19980022810A (ko) 자동차용 와셔 노즐
JP2002283973A (ja) ワイパアーム
KR19980065865U (ko)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
JPH07309213A (ja) フロントガラスの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