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161B1 - 세정박리장치 - Google Patents

세정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161B1
KR100747161B1 KR1020010077697A KR20010077697A KR100747161B1 KR 100747161 B1 KR100747161 B1 KR 100747161B1 KR 1020010077697 A KR1020010077697 A KR 1020010077697A KR 20010077697 A KR20010077697 A KR 20010077697A KR 100747161 B1 KR100747161 B1 KR 10074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liquid
injection nozzle
pressurized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284A (ko
Inventor
하기와라코이치
와타나베지로
Original Assignee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31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eans for supplying an additional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1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for supply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2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for supply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ingle spray outlet a condition of a first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first supply line controlling a condition of a second one in a second supply line
    • B05B12/143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for supply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ingle spray outlet a condition of a first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first supply line controlling a condition of a second one in a second supply line the controlling condition of the first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first supply line being its flow rate or it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24C7/007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the blasting medium being a liquid strea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정박리장치는 분사노즐에 또는 그 근방의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에 배치되는 핸드밸브와, 상기 가압기체의 유통로상의 적절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대해 가압기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개폐밸브와, 가압기체의 흐름통로 상의 적절위치에 배치되어 액체흐름의 유무를 검출하는 흐름검출수단과, 이 흐름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는 핸드밸브의 제어동작에 의해 발생된 가압액체의 흐름유무에 따라 가압기체를 공급 및 정지하도록 제어되며, 또한 흐름검출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검출결과에 따라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세정박리장치, 분립체(粉粒體), 예압관, 가압기체원, 릴리프밸브, 핸드밸브

Description

세정박리장치{CLEANSING AND RELEA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1. 세정박리장치의 장치본체 2. 분사노즐
3. 가압기체원 4. 가압기체공급관
5. 계폐밸브 6. 분립체 탱크
7. 송출장치 8. 주입부
9. 핀치밸브 10. 가입기체용 공급호스
11. 구동모터 12 예압관
13. 제어장치 14. 액체원
15. 액체탱크 16. 펌프
17. 가압액체공급관 18. 가압액체용 공급호스
19. 핸드밸브 20. 흐름검출수단
21. 릴리브 밸브 22. 복귀 파이프
23 볼 탭 24. 장치본체
25, 분사노즐 26. 흡인기체용 공급호스
본 발명은 일본특허출원 제2000-381741호의 기초출원이다. 본 발명은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액체혼합류 또는 이에 분립체를 가한 분사류를 피세정물에 분무하여 세정 또는 박리작업을 행하는 세정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분사노즐에 대해 가압기체나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에 대한 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사노즐을 통해 가압액체나 가압기체를 혼합하여 기체액체혼합류를 형성하고, 피세정물에 분무하여 세정 또는 박리작업을 실시하는 세정박리장치에 있어서는 분사노즐부분에 가압기체 및 가압액체의 기계식밸브를 배치하고, 이들 밸브의 조작을 통해 분사노즐로부터의 분사 및 정지조작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분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사노즐부분에 분립체의 송출장치나 분립체공급용의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무선 내지 유선 리모콘장치를 부설하고, 원격조작에 의해 분립체의 공급. 정지를 제어하는 수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분사노즐부분에 가압액체 및 가압기체의 쌍방의 기계식밸브, 또는 분립체용의 리모콘 장치를 배치하기 위해 분사노즐부분이 복잡화, 대형화하고, 또한 중량도 대형화하여 기술적인 난점이 있다. 또, 무선에 의한 리모콘 장치의 경우 에는 전송가능한 거리가 대략 20m 정도이고, 분사노즐까지의 길이가 제약될 뿐만 아니라 오동작을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 유선에 의한 경우에는 조작성이나 단선의 문제가 있다.
또, 분사노즐부분에 신호용 공기에 대한 제어밸브를 배설하고, 가입기체나 분립체에 관한 공급제어밸브를 원격조작하는 기술수단도 개시되어 있다(미심사 특개평제3-166057호공보).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분사노즐부분에 신호용공기의 관로 및 그 제어밸브를 배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분사노즐부분이 복잡화, 대형화하고, 또한 중량도 크게되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또, 분사노즐부분에 트리거와 연동하는 스위치를 배설하고, 그 스위치의 동작과 타이머의 설정에 의해 분사노즐에 대한 액체 및 분립체의 공급 타이밍이나 정지 타이밍을 제어하고, 분사개시시에 있어서의 액체의 정지 및 타이밍을 분립체의 정지 타이밍보다 지연시키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미심사일본특개평제10-156723호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분사노즐에 가압액체 및 가압기체를 공급하는 타입이나 분립체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가압액체의 분류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는 동시에 분립체를 공급하는 타입의 세정박리장치에 있어서 그 분사노즐부분에 배설되는 핸드밸브 등의 조작수단의 설치수를 삭감하고, 분사노즐부분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정박리장치는 피세정물에 분사류를 분출하여 피세정물에 대해 세정 및 박리를 행하며,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에 배치되어 이 분사노즐로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조작수단과,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에 대한 가압기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정박리장치는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의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에 배치되고, 이 분사노즐에 대해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핸드밸브와, 상기 가압기체의 유통로상의 적절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대해 가압기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개폐밸브와, 가압기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위치에 배치되어, 액체흐름의 유무를 검출하는 흐름검출수단과, 이 흐름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핸드밸브의 제어동작에 의해 발생된 가압액체의 흐름유무에 따라 가압기체를 공급 및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가압기체의 유통로 상에 배치되는 분립체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에 대한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에 관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분사개시 시에는 상기 분사노즐로의 가압기체의 공급검출에 기초하여 가압기체의 공급을 개시하는 동시에 분립체의 공급을 개시하고, 분사정지시에는 상기 분사노즐에 대한 가압액체의 공급정지검출에 기초하여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소정시간 경과 후에 가압기체 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특징을 갖는 세정박리장치는 분사노즐에 대하여 공급되는 가압액체의 분류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는 동시에 적절한 과정으로 분립체를 공급하여 형성된 분사류를 피세정물로 분출하여 세정 또는 박리작업을 실시하며,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에 배치되어 이 분사노즐로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다음에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백해 진다.
본 발명은 분사노즐에 가압액체 및 가압기체를 공급하는 타입이나 분립체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가압액체의 분류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는 동시에 분립체를 공급하는 타입의세정박리장치에 적용된다. 즉, 분사노즐에 최소한도 가압액체를 공급하여 얻어지는 분사류를 피세정물에 분사하여 세정 또는 박리작업을 실시하는 세정박리장치이면, 장치의 크기나 피세정물의 종류 등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세정박리장치에는 주작용이 세정작용인 작업형태로부터 주작용이 박리작용인 작업형태까지 임의의 작업형태를 선택적으로 실시하거나, 주로 세정작업을 행하는 것, 또는 주로 박리작업을 행하는 것 등, 광범위한 형태의 장치가 포함된다. 또, 상기 가압액체에 관해서는 물이나 세제액 등 경우에 따라 적절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가압기체로서는 공기의 사용이 일반적이지만 증기 등의 다른 기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의 가압액체나 가압기체의 압력이나 유량의 크기는 경우에 따라서 설정되고, 그 설정에 적합한 가압수단이 선정된다. 또, 가압액체에 관해서는 수도로부터 직접적으로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 상기 분립체는 그 분립체의 종류나 입자직경에 관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가네트(garnet)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적절한 분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의 형태로는 분사노즐의 내부나 분사구멍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가압기체나 가압액체를 혼합하여 액적류(液滴流)를 형성하고, 피세정물로 향하여 분사하는 것이나 가압액체의 분류에 의한 이젝터 효과(ejector effect)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기체액체혼합류를 형성하여 분사하는 것 등 적절한 형태의 분사노즐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 분사노즐로의 가압액체의 공급, 정지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으로서는 기계식 밸브 등의 핸드밸브의 조작부나 전자기밸브의 조작스위치부가 이것에 해당하며, 조작이 쉽도록 분사노즐부분 내지 그 근방에 배설된다. 그러나, 그 가압액체의 공급, 정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이나 상기 분사노즐로의 가압기체를 공급,정지하기 위한 개폐밸브는 경우에 따라서 가압액체 또는 가압기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노즐부분 내지 그 근방에는 분사노즐로의 가압액체공급,정지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배설하는 것만으로 족하므로 분사노즐부분 내지 그 근방에 배설하는 핸드밸브 등의 조작수단의 배설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사노즐부분의 구성을 간소화하 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핸드밸브나 개폐밸브에 관한 밸브기구로서는 최소한도 공급 및 정지기능을 갖는 것이면, 여러 종류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분사노즐로의 가압액체의 공급, 정지에 관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가압기체나 분립체의 공급, 정지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형태로서는 검출결과로부터 직접 가압기체 또는 분립체의 공급, 정지를 실시하는 제어형태 뿐만 아니라 검출결과로부터 소정의 시간지연을 설치하여 이것으로부터 공급,정지를 실시하는 등의 직접적인 제어형태도 포함한다. 또, 액체의 흐름 유무를 검출하는 흐름검출수단에 관해서는 결과적으로 가압액체의 흐름의 유무가 검출되면 되고, 흐름자체를 검출하는 것 뿐만아니라 압력값 등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것 등 적절한 검출수단의 채용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본실시예에 관한 세정박리장치의 장치본체이고, 2는 그 장치본체(1)에 호스로 접속되는 분사노즐이다. 장치본체(1)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구 등에 접속된 가압기체원(3)에 접속된 가압기체공급관(4)이 배관된다. 그 가압기체공급관(4)의 중도에는 전자기밸브 등으로된 가압기체의 공급,정지용의 개폐밸브(5)의 하류측에서 분립체탱크(6) 및 스크류식의 송출장치(7)로된 분립체공급수단의 주입부(8)가 접속된다. 또, 송출장치(7)로부터의 분립체의 주입부(8)의 하류측에는 핀치밸브(9)가 배설되고, 가압기체용의 공급호스(10)를 통해 분사노즐(2)에 접속된다. 도면에서 11은 송출장치(7)의 구동모터이고, 12는 분립체탱크(6) 내의 분립체의 상면에 인도되는 예압관이다. 또, 개폐밸브(5), 핀치밸브(9) 및 구동모터(11)는 각각 제어장치(13)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 된다. 참조부호 28은 공급호스(10)(18)를 장치본체(1)에 연결하는 커플러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본체(1)에는 수도 등의 액체원(14)에 접속된 액체탱크(15)가 배설되고, 이 액체탱크(15)에는 액체공급통로(27)를 통해 펌프(16)가 연결되며, 액체탱크(15) 내의 액체를 이 펌프(16)에 의해 가압하여 가압액체공급관(17) 및 공급호스(18)를 경유하여 분사노즐(2)에 가압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가압액체용의 공급호스(18)의 분사노즐(2)의 근방에는 기계식 밸브 등으로된 핸드밸브(19)가 배설되고, 그 상류측의 적절한 위치에 흐름검출수단(20)(유량 스위치, 유량계, 압력스위치 등과 같은 센서)을 배설하고 있다. 또, 핸드밸브(19)로서 기계식 밸브를 채용하면 배선이 불필요한 점에서 장점이 있으며, 핸드밸브(9) 대신에 전자기밸브의 조작스위치를 분사노즐(2) 부분에 배설하여 전자기밸브 자체는 다른부분에 배치하도록하면 분사노즐(2)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면에서 21은 펌프(16)와 흐름검출수단(2) 사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 22는 그 복귀관, 23은 볼 탭(ball tap)이다. 또,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검출된 검출결과는 신호선을 통해서 제어장치(13)로 송신된다. 또, 펌프(16)는 제어장치(13)에 의해 운전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액체공급관(17)에 흐름검출수단(20)을 설치하였지만 이것을 액체공급통로(27)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제어흐름도에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스위치를 입력하면 펌프(16)가 작동하여 액체공급통로(27)를 경유하여 액체펌프(15) 내의 액체를 흡입하여 가압한다. 그 결과 펌프(16)의 하류측 이 소정의 압력값에 도달하면 릴리프 밸브(21)가 작동하여 여분의 액체를 복귀관(22)을 통해 액체탱크(15) 내로 복귀시킴으로써 소정압력으로 유지시킨다. 도 2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시작은 이와같은 펌프(16)의 운전상태를 나타낸다. 스텝S0에서는 흐름검출수단(20)으로부터 제어장치(13)로 송신되는 검출결과를 감시하고, 흐름검출수단(20)으로부터의 검출결과가 오프, 즉 가압액체의 흐름이 검출되지 않고 공급이 중단되는 사이에는 이상의 감시를 계속한다. 그 후 상기 핸드밸브(19)를 개방하면 가압액체가 분사노즐(2)로 공급되고, 그 가압액체의 흐름이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장치(13)로 송신된다. 그것에 의해 스텝S01에 있어서의 흐름검출수단(20)으로부터의 검출결과가 온으로 변화하여 스텝S02로 진행하고, 개폐밸브(5) 및 핀치밸브(9)를 개방하여 가압기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그 후로부터 다시 스텝S03으로 진행하여 구동모터(11)를 시동하고 분립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또 스텝S02와 스텝S03 사이에 적당한 시간지연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핸드밸브(19)를 개방하여 가압액체를 분사노즐(2)로 공급하면 그 가압액체의 흐름이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개폐밸브(5) 및 핀치밸브(9)가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동시에 구동모터(11)가 시동하고, 분사노즐(2)에 대한 가압기체와 분립체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그러나, 분사노즐(2)에서는 공급된 가압액체와 분립체를 포함한 가압기체를 혼합하여 액적형상의 분사류를 형성하고 피세정물에 분사함으로써 세정박리작업이 실시된다. 이상의 세정박리작업은 핸드밸브(19)를 개방하여 가압액체의 공급을 정지할 때 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핸드밸브(19)를 개방하고, 가압액체의 공급을 정지하면 그 가압액체의 공급의 정지가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장치(13)에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S04의 흐름검출수단(20)으로부터의 검출결과가 오프되고, 조건이 충족되어 스텝S05로 진행하며, 구동모터(11)를 정지하여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그 결과 분사노즐(2)에는 가압기체만이 공급된다. 따라서, 그 운전상태에 있어서는 가압기체의 유통로인 가압기체공급관(4)이나 핀치밸브(9), 공급호스(10), 분사노즐(2)의 내부로 잔류하는 분립체가 가압기체와 함께 토출된다. 이 가압기체만을 공급하는 운전상태는 잔류분립체의 토출로 소정시간 동안 계속되고, 스텝S06에 있어서 그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을 판단하면 스텝S07로 진행하고, 개폐밸브(5) 및 핀치밸브(9)를 개방하여 가압기체의 공급을 정지하고, 분사노즐(2)로부터의 분사가 완전히 정지하여 세정박리작업이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핸드밸브(19)를 폐쇄하고 분사노즐(2)로의 가압액체의 공급을 정지하면, 그 가압액체의 흐름정지가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1)가 정지되며, 분립체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그 후 가압기체만을 공급하는 운전상태가 잔류분립체의 토출로 충분한 소정시간 동안 계속된 후 개폐밸브(5) 및 핀치밸브(9)가 자동적으로 폐쇄되며, 가압기체의 공급을 정지하여 세정박리작업이 완전히 자동적으로 종료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분사노즐로의 기체의 공급을 가압액체의 분류에 의한 이젝터 효과(ejector effect)에 기초하여 흡인작용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회로구성은 도 1에 나타낸 회로구성과 공통하는 부분이 많이 있으므로 같은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병기하여 전술한 설명을 채용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세정박리장치의 장치본체(24)의 요소인 분립체탱크(6) 및 스크류식 송출장치(7)로된 분립체공급수단의 주입부(8)와 분사노즐(25)을 연결하여 기체의 공급호스(공기공급통로)(26)의 상류측단부를 대기로 개방한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는 분사노즐(25)에 있어서 공급호스(18)를 통해 공급된 가압액체가 분사할 때의 이젝터 효과에 기초하여 흡인작용에 의해 공급호스(26)를 통해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기체액체혼합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그 공급호스(26)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때에는 분립체공급수단의 주입부(8)를 통해 분립체가 주입되고, 분립체를 포함한 기체로서 분사노즐(25)로 공급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핸드밸브(19)가 개방되어 분사노즐(25)에 대한 가압액체의 공급이 개시되어 분사가 개시되면 전술한 바와같이 그 가압액체의 분사류에 의한 이젝터효과에 기초하여 공급관(26)을 통해 공기가 흡인되어 분사노즐(25)로 공급된다. 이 가압액체의 공급개시에 따라서,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가압액체의 공급이 검출되면 그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직접 또는 소정의 시간지연을 경과하고난 후 제어장치(13)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모터(11)가 구동을 개시하여 분립체의 공급을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분사노즐(25)로부터는 분립체를 포함한 기체액체혼합류가 세정용의 분사류로서 분사되고, 통사의 세정박리작용이 행해진다. 따라서 당해 세정 박리작업이 종료하여 핸드밸브(19)가 개방되고, 분사노즐(25)에 대한 가압액체의 공급이 정지되면 흐름검출수단(20)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결과가 제어장치(13)로 송신된다. 제어장치(13)에서는 상기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1)를 정지하고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액체의 공급정지에 따라서 기체의 흡인작용이 종료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 상기 가압액체나 가압기체 또는 흡인기체의 공급관에 관하여서는 경우에 따라서 1개의 공급호스(10)(18)(26)를 장치본체(1)(24)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장치본체(1)(24)의 내부는 강관 등의 별도의 공급관을 사용하고, 장치본체(1)(24)의 외부에 관하여 공급호스(10)(18)(26)를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노즐로의 가압액체의 공급, 정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서 가압기체나 분립체의 공급,정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분사노즐 내지 그 근방에는 가압액체의 공급, 정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배설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분사노즐 내지 그 근방에 배설하는 조작수단의 설치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부분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더나아가서는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분사노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분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분립체의 공급, 정지에 관하여도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자동화가 가능하다.
핸드밸브를 채용하면 공급호스를 연장하는 것만으로 장치본체와 분사노즐 사이의 길이를 종래와 같은 지장을 수반하지 않고도 연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도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피세정물에 분사류를 분사하는 세정박리장치로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에 배치되어 이 분사노즐로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조작수단과;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에 대한 가압기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의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에 배치되고, 이 분사노즐에 대해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핸드밸브와;
    상기 가압기체의 유통로상의 적절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대해 가압기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개폐밸브와;
    가압기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위치에 배치되어, 액체흐름의 유무를 검출하는 흐름검출수단과;
    이 흐름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핸드밸브의 제어동작에 의해 발생된 가압액체의 흐름유무에 따라 가압기체를 공급 및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박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체의 유통로 상에 배치되는 분립체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에 대한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에 관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는 세정박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분사개시 시에는 상기 분사노즐로의 가압기체의 공급검출에 기초하여 가압기체의 공급을 개시하는 동시에 분립체의 공급을 개시하고, 분사정지시에는 상기 분사노즐에 대한 가압액체의 공급정지검출에 기초하여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소정시간 경과 후에 가압기체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박리장치.
  5. 분사노즐에 대하여 공급되는 가압액체의 분류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는 동시 에 적절한 과정으로 분립체를 공급하여 형성된 분사류를 피세정물로 분출하여 세정 또는 박리작업을 실시하는 세정박리장치로서,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에 배치되어 이 분사노즐로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가압액체의 유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박리장치.
  6.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탱크와;
    가압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액체탱크의 액체를 가압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액체탱크를 상기 펌프로 연결하기위한 액체공급통로와;
    가압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과;
    상기 펌프를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하기 위한 가압액체 유통로와;
    가압기체원과;
    상기 가압기체를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하기 위한 가압기체공급통로와;
    상기 액체공급통로 및 상기 가압액체유통로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탱크로부터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분사노즐 근방의 가압액체 유통로 상에 배치되어 가압 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조작부와;
    상기 센서 및 상기 가압기체공급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고, 이 센서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압기체공급통로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가압기체를 공급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박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체의 유통로에 연결되는 분립체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분립체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는 세정박리장치.
  8.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탱크와;
    가압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액체탱크의 액체를 가압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액체탱크를 상기 펌프로 연결하기위한 액체공급통로와;
    가압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과;
    상기 펌프를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하기 위한 가압액체 유통로와;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가압액체의 분사류의 이젝터 효과(ejector effect)에 기초하여 외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공기공급통로와;
    상기 액체공급통로 및 상기 가압액체유통로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탱크로부터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공기공급통로에 연결되어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탱크와;
    상기 분사노즐에 또는 이 분사노즐 근방의 상기 가압액체유통로 상에 배치되어 가압액체를 공급 및 정지하는 조작부와;
    상기 센서 및 상기 가압기체공급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액체의 공급 및 정지를 검출하고, 이 센서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분립체 탱크로부터 상기 공기공급통로로 분립체를 공급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박리장치.
KR1020010077697A 2000-12-15 2001-12-10 세정박리장치 KR100747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1741A JP4412571B2 (ja) 2000-12-15 2000-12-15 洗浄剥離装置
JPJP-P-2000-00381741 2000-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84A KR20020048284A (ko) 2002-06-22
KR100747161B1 true KR100747161B1 (ko) 2007-08-07

Family

ID=1884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697A KR100747161B1 (ko) 2000-12-15 2001-12-10 세정박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48081B2 (ko)
EP (1) EP1214989B1 (ko)
JP (1) JP4412571B2 (ko)
KR (1) KR100747161B1 (ko)
DE (1) DE60107190T2 (ko)
TW (1) TW503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1525B (en) * 2006-09-07 2011-08-03 Whirlwind Utilities Ltd Pipe cleaning apparatus
US8535113B2 (en) * 2007-06-07 2013-09-17 Shell Oil Company Methods to control a process
US20100084485A1 (en) * 2008-09-29 2010-04-08 The Andersons, Inc. Quenched solids applicator
MY160996A (en) * 2009-01-08 2017-03-31 Aker Subsea As A device for liquid treatment when compressing a well flow
NL2014884B1 (en) * 2015-05-29 2017-01-31 S Nooijens Beheer B V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ensing bead insulation into cavity walls for providing insulation between two skins of the walls.
AT519719B1 (de) * 2017-02-27 2019-01-15 Bft Gmbh Dosiereinrichtung für Abrasivmittel in Wasserstrahl-Schneidanla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71A (ko) * 1996-08-23 1998-05-25 김광호 반도체 웨이퍼의 ipa 건조장치
KR20010042806A (ko) * 1998-04-17 2001-05-25 가케히 데츠오 경화성 조성물 및 그의 경화 성형품
KR20010049864A (ko) * 1999-07-26 2001-06-15 시부야 히로토시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0339A (en) * 1959-03-10 1961-04-18 Bok Hendrik Frederik Paint spraying apparatus
US4238073A (en) * 1979-03-26 1980-12-09 Miroslav Liska Paint spray apparatus having pressure actuated control
US4478368A (en) 1982-06-11 1984-10-23 Fluidyne Corporation High velocity particulate containing fluid jet apparatus and process
JPH07108926B2 (ja) 1985-11-26 1995-11-2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イン重合体の製造方法
JP2694997B2 (ja) 1989-03-06 1997-12-24 東京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スプレーガン吐出量制御装置
JPH03166057A (ja) 1989-09-29 1991-07-18 Whitemetal Inc 研摩材送給システム
US5551909A (en) 1990-12-28 1996-09-03 Bailey; Donald 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ith high pressure liquid at low flow rates
US5312040A (en) * 1992-11-13 1994-05-17 Aqua-Dyne, Inc. Non-clogging slurry nozzle apparatus and method
DE69507738T2 (de) 1994-05-13 1999-10-07 Cinomatic Srl Hydrosandstrahlmaschine und/oder Hydroreinigungsmaschine mit hohem Wirkungsgrad
DE4440146C2 (de) 1994-11-10 1999-07-22 Kaercher Gmbh & Co Alfred Strahl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Gegenständen
JPH10156723A (ja) 1996-12-02 1998-06-16 Ebara Corp 高圧水ジェット利用加工装置
JPH11104964A (ja) 1997-10-06 1999-04-20 Taisei:Kk ブラスト剤供給装置を有する洗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421695B2 (ja) 1998-07-08 2003-06-30 辻田 裕美 ウォータージェット装置
US6270020B1 (en) * 1999-12-28 2001-08-07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Roadway deic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71A (ko) * 1996-08-23 1998-05-25 김광호 반도체 웨이퍼의 ipa 건조장치
KR20010042806A (ko) * 1998-04-17 2001-05-25 가케히 데츠오 경화성 조성물 및 그의 경화 성형품
KR20010049864A (ko) * 1999-07-26 2001-06-15 시부야 히로토시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4989A2 (en) 2002-06-19
JP4412571B2 (ja) 2010-02-10
US20020088872A1 (en) 2002-07-11
DE60107190T2 (de) 2005-04-14
EP1214989A3 (en) 2004-01-14
KR20020048284A (ko) 2002-06-22
US7648081B2 (en) 2010-01-19
JP2002178262A (ja) 2002-06-25
EP1214989B1 (en) 2004-11-17
DE60107190D1 (de) 2004-12-23
TW503132B (en) 200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5661B1 (en)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both wet and dry blasting and method for oprrating such an apparatus
KR100747161B1 (ko) 세정박리장치
JPH10156723A (ja) 高圧水ジェット利用加工装置
JP5438187B2 (ja) 給水ポンプ装置
JP4421695B2 (ja) 液体吐出装置
JPH07266274A (ja) 真空吸着装置
JP3378899B2 (ja) 洗浄装置
US5060866A (en) Device at washing and rinsing apparatuses for producing a foam
JP4509763B2 (ja) 気液混合流噴射装置
JPH0721238Y2 (ja) 液体噴射装置
KR100450446B1 (ko) 반도체 공정용액 분사노즐용 잔류액 흡입장치
KR101889461B1 (ko)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직분사 세척장치
JP2006026615A (ja) 気液混合流噴射装置
JPH061270Y2 (ja) 洗浄装置
KR100348755B1 (ko) 세제액과 물을 분사하는 세척장치
KR100639151B1 (ko) 공압과 이젝터를 이용한 액체 흡,배기장치
CN220879685U (zh) 一种水气混合卷管清洗装置
KR200386730Y1 (ko) 공압과 이젝터를 이용한 액체 흡,배기장치
JP3240674U (ja) 噴射切換装置
CN220742980U (zh) 一种水气混合清洗机的洗车、吹尘、轮胎打气切换装置
KR200482407Y1 (ko) 액체 토출장치
JP2540172Y2 (ja) 塗料経路の洗浄装置
JPH0440763Y2 (ko)
JP2000280172A (ja) ブラスティング装置における閉塞防止装置
CN117962815A (zh) 一种清洁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