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027B1 -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027B1
KR100746027B1 KR1020060009741A KR20060009741A KR100746027B1 KR 100746027 B1 KR100746027 B1 KR 100746027B1 KR 1020060009741 A KR1020060009741 A KR 1020060009741A KR 20060009741 A KR20060009741 A KR 20060009741A KR 100746027 B1 KR100746027 B1 KR 10074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list
inpu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이영호
진영규
우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027B1/ko
Priority to US11/650,550 priority patent/US8984066B2/en
Priority to JP2007012714A priority patent/JP2007207230A/ja
Priority to CN200710006951XA priority patent/CN10102679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27Metals; Allo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가 부가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을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수신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도 4에 도시된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510: 입력부
520: 디스플레이부 530: 저장부
540: 제어부 550: 패킷 생성부
56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 570: 송신부
580: 수신부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공동으로 작성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PDA나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메시지 서비스는 크게 단문/장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분류된다.
여기서, 단문/장문 메시지 서비스(Sort Message Service: SMS, Long Message Service: LMS)란, 사용자들이 40 내외의 문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 서비스를 말한다. 이에 비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란, 단문/장문 메시지에 음악 파일, 음성 파일, 정지영상 및 동영상 파일 등의 에니메이션 파일이 첨부되는 문자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한 다음, 수신자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수신자 정보 입력이 완료된 후, 송신자의 단말에서 전송된 메시지는 기지국을 통해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달된다. 만약, 수신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수신자 정보가 입력된 경우라면, 복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메시지가 각각 전달된다. 한편, 수신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자들은 정보를 교환하거나 약속을 정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메시지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신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송할 뿐, 다수의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공동으로 작성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이에 여러 발명(예를 들면, 한국 공개 특허 2005-000832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그룹 약속 서비스 방법' 발명)이 제시되었으나 상술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공유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공동으로 작성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가 부가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을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수신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리스트로 멀티캐스팅하는 송신부, 상기 리스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합하여 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가 부가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을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수신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리스트로 멀티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합하여 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복수의 기지국(10, 20),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30, 40), 교환국(50) 및 메시지 전송센터(60)를 포함한다.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롤링 페이퍼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롤링 페이퍼 메시지 서비스란, 최초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에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통합하여, 지정된 사용자 그룹 내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여기서, 사용자 그룹은 최초 발신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사용자 그룹 내에서 메시지는 릴레이 방식으로 전송된다. 또한, 통합된 메시지가 전송될 때에는, 지정된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그리고, 통합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는 지정된 사용자 그룹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그룹으로 제2, 제3 및 제4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 800, 900)가 지정되어 있고,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전송된 메시지가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거쳐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800)로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 장치의 사용자는 각각 Joe, Aimee, Sue 및 Peter 라고 가정한다. 제1 메시지 서비 스 제공 장치(200) 및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5g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기지국(10, 20)은 무선 링크의 신호 포맷을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바꾸어 주므로써,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된 메시지를 교환국(5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지국(10, 20)은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송수신 전계 강도(전파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교환국(50)에 제공해준다. 또한, 기지국(10, 20)은 해당 기지국(10, 20)이 관리하는 영역(Cell) 내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착신, 발신 등의 제어와 해당 기지국(10, 20) 내의 무선 채널 등을 관리한다.
기지국 제어기(30, 40)는 복수의 기지국(10, 20)을 관리한다. 즉, 기지국 제어기(30, 40)는 기지국(10, 20)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고,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10, 20) 운용에 관한 정보 수립, 기지국(10, 20) 운용, 감시 및 고장에 관련된 하부 장치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국(50)은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30, 40) 및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교환국(50)은 부가적인 기능으로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시지 전송센터(60)는 소정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수신측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규격화한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센터(60)는 규격화된 메시지를 교환국(50)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 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디지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컴퓨터,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팩스, 디지털 복사기, 디지털 가전기기, 디지털 전화, 디지털 프로젝트, 홈서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셋탑박스,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노트북 및 휴대전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20), 패킷 생성부(250), 제어부(240) 및 송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210)는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받거나,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기능키 예를 들면,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키, 메뉴 선택을 위한 방향키,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실행키 및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입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에 구비된 기능키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경우 소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후술될 제어부(240)로 제공된다.
저장부(230)는 다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들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 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예로는 사용자의 이름이나 닉네임, 정지영상, 전화 번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입력된 키신호에 따른 명령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키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전술한 입력부(210)와 하드웨어적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부(210)와 복합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킷 생성부(250)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메시지 패킷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통합하는데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이하, '사용자 리스트' 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송신부(260)는 패킷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시지 패킷을 제2 메시 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메시지에 소정 컨텐츠 예를 들어,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이 첨부되어 있는 경우, 송신부(260)는 메시지와 함께 컨텐츠를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송신한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10)에서 제공되는 키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신호가 제공된 경우, 제어부(240)는 도 3a와 같이,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메뉴가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a에서 롤링 페이퍼 메시지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40)는 도 3b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리스트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240)는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할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이 차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g는 도 4에 도시된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입력부(510), 디스플레이부(520), 저장부(53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 패킷 생성부(550), 제어부(540), 수신부(580) 및 송신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510)는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입력부(510)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키, 메뉴 선택을 위한 선택키,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키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능키들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경우, 소정 키신호를 발생시킨다.
수신부(580)는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된 제1 메시지 패킷은 제어부(540)로 제공된다.
제어부(540)는 제1 메시지 패킷을 분석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로 제공한다. 그 결과, 제1 메시지 패킷과 관련된 요약 정보 예를 들면, 메시지 작성자의 식별 정보 및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40)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540)는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삭제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할 수 없도록 한다.
이외에도 제어부(540)는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40)는 수신부(580)를 통해 제1 메시지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메시지 패킷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표식이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어부(540)에서 제공된 분석 결과 에 따라 제1 메시지 패킷과 관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1 메시지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와 송신자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한다.예를 들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1, 제2, 제3 및 제4 사용자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나뭇잎 모양의 그래픽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각 그래픽 객체를 통해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 각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 및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각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는 각 그래픽 객체의 속성, 예를 들면 색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이, 나뭇잎 모양의 각 그래픽 객체를 통해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그래픽 객체의 속성 예를 들면, 그래픽 객체 면의 색상을 이용하여 각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1 메시지 패킷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포함하므로,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면은 소정 색상, 예를 들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이에 비해 제1 메시지 패킷은,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에 각각 대응하는 나뭇잎 모양의 그래픽 객체의 면은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에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 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의 면에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므로써,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0)는 명령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520)는 도 5a와 같이, 제1 메시지 패킷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530)는 제1 메시지 패킷과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첨부되는 컨텐츠 예를 들면,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5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패킷 생성부(550)는 제2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메시지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에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통합하여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한다.
송신부(570)는 패킷 생성부(550)에 의해 생성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시스템 내의 다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예를 들어,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80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 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는 재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d,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은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롤링 페이퍼 메시지 서비스 제공 과정은 크게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받는 단계(S410),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롤링 페이퍼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참여할 사용자 리스트를 입력받는 단계(S420),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S430), 사용자 리스트 중에서,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440),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사용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S4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받는다(S410).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은 메뉴 리스트에서 롤링 페이퍼 메시지 서비스 메뉴를 선택받는다.
롤링 페이퍼 메시지 서비스 메뉴를 선택받은 후,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롤링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참여할 사용자 리스트를 입력받는다(S420). 예를 들면, 도 3b와 같이,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리스트를 입력받는 단계가 완료되면,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2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다(S430). 예를 들면, 도 3c와 같이,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제1 사용자는 메시지의 타이틀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제1 사용자는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예를 들면,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첨부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는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저장부(230) 이외에 별도의 서버에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첨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컨텐츠만이 첨부될 수도 있다.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가 완료되면,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와 사용자 리스트를 수신할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리스트 중에서 입력받는다(S440).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와 사용자 리스트를 수신할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된 후, 메시지를 전송하는 키신호가 제공되면, 패킷 생성부(250)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사용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생성한다. 패킷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시지 패킷은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송신부(260)를 통해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전송된다(S450).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g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은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동작 과정은 크게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710),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통합하는 단계(S720), 사용자 리스트 중에서 통합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를 입력받는 단계(S730) 및 통합된 메시지 및 사용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S740)로 이루어진다.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S710)는,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수신부(580)를 통해 이루어진다. 수신부(580)를 통해 제1 메시지 패킷이 수신되면,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제어부(540)는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 예를 들면, 편지 모양의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수신된 메시지 패킷의 내용을 확인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40)는 제1 메시지 패킷을 분석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로 제공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어부(540)에서 제공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1 메시지 패킷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1 메시지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 및 송신자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1, 제2, 제3 및 제4 사용자에 대응하는 나뭇잎 모양의 그래픽 객체를 생성한다.
이 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각 그래픽 객체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 정보,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 및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는 그래픽 객체의 속성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소정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면이 특정 색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의 면은 녹색을 나타내도록 하고, 메시지 작성에 아직 참여하지 않은 사용자 즉, 제2, 제3 및 제4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의 면은 투명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에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면에 해당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에 이미지 파일이 첨부되어 있다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의 면에 카메라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 결과, 도 5a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와 같이, 제1 메시지 패킷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객체는 강조하는 처리를 하며, 제어부(5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메뉴를 제공한다.
이 단계에서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S720).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포커싱되면, 도 5a와 같이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 는 메뉴가 제공된다. 이때,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는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560)는 5b와 같이,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확대하여 메시지의 상세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만약,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를 확인하는 신호가 제공되면, 도 5c와 같이,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 도 5a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포커싱되면, 도 5d와 같이, 제2 사용자가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된다. 이때, 제2 사용자는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여, 도 5e와 같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S720). 이 단계에서, 제2 사용자는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첨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첨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첨부된다.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가 완료되면, 도 5f와 같이, 제1 메시지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제1 메시지 패킷의 송신자 즉,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 리스트에서 각 사용자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이미지, 아이콘, 전화 번호, 이름 등은 다수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영역(614) 및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영역(613)은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제2 사용자는 도 5g와 같이,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S730).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를 입력받는 단계가 완료되면,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사용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 패킷이 생성된다. 이 후, 제2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메시지 패킷은 송신부(570)를 통해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800)로 전송된다(S740).
한편,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800)는,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800)는 전술한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와 유사한 동작 과정을 거쳐, 제2 메시지 패킷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8a 및 도 8b는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800)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8a은 제2 메시지 패킷에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는 컨텐츠로서, 음악 파일이 첨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도 8b는 제2 메시지 패킷에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는 없으나, 컨텐츠로서 음악 파일이 첨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서는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 의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9)는 도 2에 도시된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수신부(97)를 더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입력부(91)는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입력받는다.
패킷 생성부(95)는 입력된 메시지 및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생성부(95)는 수신자 리스트로부터 제1 메시지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합하여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한다.
송신부(96)는 패킷 생성부(95)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자 리스트로 멀티캐스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송신부(96)는 패킷 생성부(95)에 의해 생성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수신자 리스트로 멀티캐스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메시지 패킷은, 수신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에게만 전송될 수 있다.
수신부(97)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한 수신자 리스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수신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9)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9)는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수신자 리스트로서 제2, 제3 및 제4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다(S11).
이 후, 메시지를 전송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패킷 생성부(95)에 의해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이 생성되고, 제1 메시지 패킷은 송신부(96)를 통해 수신자 리스트로 멀티캐스팅된다(S12). 즉, 제1 메시지 패킷은 제2, 제3 및 제4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로 각각 멀티캐스팅된다.
이 후, 수신자 리스트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13), 수신된 응답 메시지가 통합된 제2 메시지 패킷이 패킷 생성부(95)에 의해 생성된다(S14).
제2 메시지 패킷이 생성된 후, 제2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메시지 패킷은 송신부(96)를 통해 수신자 리스트로 전송된다(S15). 다른 실시예로써, 제2 메시지 패킷은 수신자 리스트에서 개별적으로 지정된 수신자, 또는 수신자 리스트 이외의 다른 수신자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메시지 패킷을 수신한 수신자 예를 들면, 제2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는, 다른 수신자 즉, 제3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 및 제4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통합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메시지 작성자의 식별 정보 및 해당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의 종류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메시지 작성에 참여하는 사용자마다 컨텐츠를 첨부할 수 있으므로, 단발성 메시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사용자들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3)

  1.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리스트로 멀티캐스팅하는 송신부;
    상기 리스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합하여 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통합 메시지를 상기 리스트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가 부가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을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수신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은 상기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영역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에 각각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수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수신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자에 의해 첨부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는 상기 그래픽 객체의 속성을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14.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리스트로 멀티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합하여 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리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가 부가된 제2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을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수신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 패킷은 상기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음성 파일, 음악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를 통해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수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수신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의 유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자에 의해 첨부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영역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009741A 2006-02-01 2006-02-0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4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41A KR100746027B1 (ko) 2006-02-01 2006-02-0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650,550 US8984066B2 (en) 2006-02-01 2007-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JP2007012714A JP2007207230A (ja) 2006-02-01 2007-01-23 メッセージ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
CN200710006951XA CN101026796B (zh) 2006-02-01 2007-01-31 提供消息服务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41A KR100746027B1 (ko) 2006-02-01 2006-02-0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027B1 true KR100746027B1 (ko) 2007-08-06

Family

ID=3832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741A KR100746027B1 (ko) 2006-02-01 2006-02-01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84066B2 (ko)
JP (1) JP2007207230A (ko)
KR (1) KR100746027B1 (ko)
CN (1) CN10102679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77B1 (ko) 2009-09-04 2011-02-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법
KR101922485B1 (ko) * 2012-07-31 2018-11-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메시지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748B1 (ko) * 2003-11-27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싱크 방법 및 시스템
US10523606B2 (en) 2018-01-02 2019-12-31 Snap Inc. Generating interactive messages with asynchronous media content
US10567321B2 (en) * 2018-01-02 2020-02-18 Snap Inc. Generating interactive messages with asynchronous media content
US11223596B2 (en) * 2018-11-19 2022-01-11 Stubhub, Inc. Generation of composite messages using qualifying events and actions
US11061778B2 (en) * 2019-01-18 2021-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toration of a messaging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359B1 (ko) 2003-02-18 2005-06-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동보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및 동보 전송정보를 이용한 회신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21033B1 (ko) 2003-05-21 2005-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20050101881A (ko) * 2004-04-20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KR20060006575A (ko) * 2004-07-16 2006-01-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메시지 통합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795A (ja) 1991-10-30 1993-08-13 Hitachi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H06216935A (ja) * 1993-01-18 1994-08-05 Fujitsu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US5878230A (en) * 1995-01-05 1999-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mail messages wherein the sender designates whether the recipient replies or forwards to addresses also designated by the sender
US6252588B1 (en) * 1998-06-16 2001-06-26 Zentek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dio visual e-mail system
JP2000330892A (ja) 1999-05-24 2000-11-30 Nec Corp 電子メール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719335B2 (ja) 2000-04-13 2011-07-06 楽天株式会社 寄せ書き管理装置及び寄せ書き管理方法
JP2002007387A (ja) 2000-06-23 2002-01-11 Sony Corp 寄せ書き支援装置および寄せ書き支援方法
US7222156B2 (en) * 2001-01-25 2007-05-22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ing collaborative messaging into an electronic mail program
JP2002342240A (ja) 2001-05-17 2002-11-29 Casio Comput Co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リレーメール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346560B1 (ja) 2001-07-10 2002-11-18 学校法人慶應義塾 コンテンツ作成配信支援方法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
JP2003167826A (ja) 2001-12-03 2003-06-13 Toshiaki Murakami 電子メール内容表示プログラム
JP2003263390A (ja) 2002-03-08 2003-09-19 Ricoh Co Ltd 通信装置
US20040044735A1 (en) * 2002-08-30 2004-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an email thread
JP2004164407A (ja) 2002-11-14 2004-06-10 Seiko Epson Corp 寄せ書きメッセージ作成システム、メッセージ作成設備、寄せ書きメッセージ作成プログラム及び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寄せ書きメッセージ作成方法
JP2004334505A (ja) 2003-05-07 2004-11-25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メールアドレス入力支援プログラム
KR20050006575A (ko) 2003-07-09 2005-01-1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KR100556872B1 (ko) 2003-07-15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그룹 약속 서비스 방법
US20050047362A1 (en) 2003-08-25 2005-03-03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ler information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US7644118B2 (en) * 2003-09-11 2010-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media to enhance persistence of a message
US7646741B2 (en) * 2003-10-23 2010-01-12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client-based multicast message transmission
US7447226B2 (en) * 2003-10-31 2008-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onnectivity between mobile device and network using dynamic connection spreading
US7461151B2 (en) * 2003-11-13 2008-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future messaging directives based on past participation via a history monitor
KR101034066B1 (ko) 2004-02-2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견수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359B1 (ko) 2003-02-18 2005-06-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동보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및 동보 전송정보를 이용한 회신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21033B1 (ko) 2003-05-21 2005-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20050101881A (ko) * 2004-04-20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KR20060006575A (ko) * 2004-07-16 2006-01-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메시지 통합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77B1 (ko) 2009-09-04 2011-02-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법
KR101922485B1 (ko) * 2012-07-31 2018-11-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메시지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07230A (ja) 2007-08-16
CN101026796B (zh) 2013-06-19
US8984066B2 (en) 2015-03-17
US20070180038A1 (en) 2007-08-02
CN101026796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188B2 (en) Interface for managing messages in a mobile terminal
KR100746027B1 (ko)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86369B1 (ko) 소셜 파라미터, 시간 파라미터 및 공간 파라미터에 기초한 데이터 객체들의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관리
CN103124283B (zh) 可协同复数个行动装置进行协同编辑的电子装置与方法
KR20190126066A (ko) 예측된 중요도에 기반하여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94971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air service using official account
US20080305832A1 (en) Sharing profile mode
CN103577042A (zh) 用于提供消息功能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20130052751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아이콘 배열 방법
CA2916110C (en) Group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i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US20090125806A1 (en) Instant message system with personalized object and method thereof
CN101771953A (zh) 一种多移动终端间信息交互实现方法及网络设备
KR1006544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템플릿에 콘텐츠를 표시하는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EP30130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ickly sending messages
KR20070042130A (ko)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단말기
CN1964536B (zh) 用于收发即时消息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KR200700051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4468705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陌生人信息交流的方法和系统
CN114860370B (zh) 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软件开发工具包切换方法
KR100763204B1 (ko)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63486B1 (ko)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35767B1 (ko) 기하 형상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70727B1 (ko) 소셜 파라미터, 시간 파라미터 및 공간 파라미터에 기초한 데이터 객체들의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관리
KR1006919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38016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구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