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881A -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881A
KR20050101881A KR1020040027115A KR20040027115A KR20050101881A KR 20050101881 A KR20050101881 A KR 20050101881A KR 1020040027115 A KR1020040027115 A KR 1020040027115A KR 20040027115 A KR20040027115 A KR 20040027115A KR 20050101881 A KR20050101881 A KR 2005010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ber list
short message
mobile terminal
use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남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881A/ko
Publication of KR2005010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 회신 단문메시지를 사용자 자신과 같은 단문메시지를 받은 모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에 회신하는 방법은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하는 과정,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키는 과정, 및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회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METHOD OF SENDING AND RE-SENDING BY MERGING NUMBER LIST TO SMS MESSAG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동보 발신 및 동보 회신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문메시지 전송은 1:1 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물론 단문메시지 전송 시 발신자가 한번에 여러 사람의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지정하여 발신할 수는 있지만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측에서는 결국 한사람이 받는 것이므로 1:1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사람은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에 대한 회신이 필요한 경우 발신자 한 사람의 휴대단말기 번호밖에 알 수가 없으므로 발신자 한 사람에게만 회신을 할 수가 있다.
만일 같은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사람들중 어느 한 사람(이하 회신자라 함)이 같은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사람들 모두에게 회신을 하여 그 회신 단문메시지를 모두 공유해야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회신자는 어떤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회신이 불가능하다. 설령 같은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사람들을 안다 해도 회신하려는 여러 사람들의 휴대단말기 번호를 주소록에서 일일이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에 회신을 할 경우 종래의 불편함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휴대단말기 사이에서 단문메시지를 종래의 방식으로 동보 전송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발신측 휴대단말기 A는 한번에 여러 휴대단말기 번호를 지정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 B1~B5에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 SMS1을 발신한다. SMS1을 수신한 B1은 A뿐만 아니라 SMS1을 같이 수신한 B2~B5에 회신 단문메시지 rSMS1을 전송해 모두 공유하려 한다.
하지만 B1은 SMS1으로 A의 휴대단말기 번호밖에 알 수가 없어 A에만 rSMS1을 전송한다. 설령 B2~B5의 휴대단말기 번호를 안다 해도 사용자는 휴대단말기 번호를 주소록에서 일일이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동보 발신 및 동보 회신을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동보 발신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번호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키는 과정, 및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수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발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에 회신하는 방법은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하는 과정,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키는 과정, 및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회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휴대단말기 사이에서 단문메시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보 발신 및 동보 회신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발신측 휴대단말기 A는 한번에 여러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지정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 B1~B5에 후술할 도 3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 SMS2를 발신한다. SMS2를 수신한 B1은 A뿐만 아니라 SMS2를 같이 수신한 B2~B5에 회신 단문메시지 rSMS2를 전송해 모두 공유하려 한다. 후술할 도 3의 번호리스트를 이용해 B1은 A뿐만 아니라 B2~B5에게 rSMS2를 전송한다.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동보 발신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동보 발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S10).
내용 입력 후, 휴대단말기는 주소록 이용신호가 있는지 감지한다(S20).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내용을 작성 후, 동보 발신을 원하여 동보 발신하고자 하는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입력하기 위해 주소록을 이용하는지 감지하는 것이다.
주소록 이용신호를 감지하면,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에서 선택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번호리스트에 저장한다(S30). 여기서 사용자는 주소록에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일일이 선택할 수 있거나 수신측들이 속해있는 그룹명을 선택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주소록 이용신호를 감지 못하면,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1~n개)을 번호리스트에 저장한다(S40).
S30 혹은 S40 단계를 통해 번호리스트에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저장 후,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번호리스트의 전송 여부를 확인한다(S50). 휴대단말기는 번호리스트의 전송 여부를 항상 확인할 것인지 아니면 미리 설정해 정해진 대로 계속 번호리스트를 전송 혹은 비전송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S50 단계의 수행 여부는 선택적이다.
여기서 번호리스트를 전송하는 이유는 번호리스트를 수신측들에게 전송해야 수신측들이 상기 번호리스트를 이용하여 동보 회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동보 발신과의 차이는 여기에 있다.
종래의 동보 발신과 본 발명의 동보 발신의 차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와 본 발명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인 도 1의 SMS1과 본 발명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 SMS2는 똑같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이 저장되는 M1과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이 저장되는 M2로 구성된다. 번호리스트(100)에는 도 3의 S30 혹은 S40 단계를 통해 도 2의 수신측 휴대단말기 B1~B5의 휴대단말기 번호들이 저장된다.
SMS1이나 SMS2의 전송방식은 동일하다. 도 2의 발신측 휴대단말기 A는 번호리스트(100)에 저장된 휴대단말기 번호들 중 M2에 한 휴대단말기 번호만 저장한 후 그 휴대단말기 번호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A는 상기 방식을 번호리스트(100)에 저장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 모두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때까지 M2의 휴대단말기 번호를 변경하면서 반복한다. 즉 A는 M2에 한 휴대단말기 번호만 저장할 수 있어 동보 발신이라 해도 동시전송은 하지 못하고 순서대로 하나씩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하지만 SMS2의 M1에는 A가 번호리스트(100)를 저장하여 전송한다. 즉 SMS2를 수신한 B1은 A뿐만 아니라 번호리스트(100)를 이용해 SMS2를 같이 수신한 B2~B5에게 동보 회신을 한다.
다시 도 3의 S60 단계부터 설명한다.
번호리스트를 전송할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킨다(S60).
휴대단말기는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수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발신한다(S70).
S50단계에서 번호리스트를 전송 안할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단문메시지만 수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발신한다(S80).
다음으로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번호리스트를 이용해 동보 회신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에 동보 회신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단말기는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한다(S100).
단문메시지 수신 후,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발신자의 휴대단말기 번호 혹은 이름과 함께 표시한다(S110).
단문메시지 표시 후, 휴대단말기는 회신선택 신호가 있는지 감지한다(S120).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확인 후 동보 회신할 것인지 감지하는 것이다.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한다(S130).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인지 확인한다(S140).
번호리스트가 포함되지 않았거나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주소록 이용신호가 있는지 감지한다(S150).
여기서 번호리스트가 포함이 되지 않은 경우는 발신측에서 동보 전송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 시키지 않은 경우이다. 그리고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수신된 번호리스트에 저장된 휴대단말기들 모두에게 회신을 원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에게만 회신을 원하는 경우이다. 두 경우 모두다 사용자가 회신을 원하여 회신하고자 하는 회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입력하기 위해 주소록을 이용하는지 휴대단말기는 감지한다.
주소록 이용신호를 감지하면,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에서 선택된 회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번호리스트에 저장한다(S160).
주소록 이용신호를 감지 못하면,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회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1~n개)을 번호리스트에 저장한다(S170).
S140 단계에서 번호리스트를 회신에 이용할 것으로 확인되거나 S160 혹은 S170 단계를 통해 새로운 번호리스트를 작성 후,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S180).
내용 입력 후,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번호리스트의 전송 여부를 확인한다(S190).
번호리스트를 전송할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킨다(S200).
휴대단말기는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회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회신한다(S210).
S190단계에서 번호리스트를 전송 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단문메시지만 회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회신한다(S22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번호리스트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단말기는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한다(S300).
단문메시지 수신 후,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발신자의 휴대단말기 번호 혹은 이름과 함께 표시한다(S310).
단문메시지 표시 후, 휴대단말기는 종료신호 혹은 번호리스트 저장신호가 있는지 감지한다(S320).
여기서 번호리스트 저장신호는 사용자가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확인 후, 메뉴에서 번호리스트 저장을 선택할 경우 생성되는 신호이다. 그리고 종료신호란 사용자가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확인 후,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회신을 하지 않고 휴대단말기의 종료키를 누르거나 폴더 혹은 퓰립을 닫아서 단문메시지의 창이 닫히는 경우 생성되는 신호이다.
그런데 종료신호를 생성시킨 원인이 휴대단말기의 종료키가 아닌 폴더 혹은 퓰립이 닫힌 경우는 화면 확인이 불가능 하므로, 휴대단말기가 다음의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번호리스트 저장을 원하면 다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확인 후, 휴대단말기의 종료키를 누르거나 메뉴에서 번호리스트 저장을 선택해야 한다.
감지된 신호가 종료신호이면,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한다(S330).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번호리스트의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S340).
번호리스트를 저장할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번호리스트를 주소록에 저장한다(S350).
S330 단계에서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 되지 않았거나 S340 단계에서 번호리스트를 저장 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 표시를 종료한다.
S320 단계에서 감지된 신호가 번호리스트 저장신호이면,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한다(S360).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휴대단말기는 번호리스트를 주소록에 저장한다.
번호리스트가 포함 되지 않았으면, 휴대단말기는 번호리스트 부재를 표시한다(S37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 회신 단문메시지를 사용자 자신과 같은 단문메시지를 받은 모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회신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 번호를 새로 지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도 1은 휴대단말기 사이에서 단문메시지를 종래의 방식으로 동보 전송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휴대단말기 사이에서 단문메시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보 발신 및 동보 회신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동보 발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와 본 발명의 동보 전송 단문메시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에 동보 회신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번호리스트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9)

  1.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동보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을 번호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단문메시지에 상기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키는 과정; 및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수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발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리스트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주소록에서 선택한 수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번호리스트를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단문메시지만 수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발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한 동보 전송된 단문메시지에 회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회신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상기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할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상기 단문메시지에 상기 번호리스트를 포함시키는 과정; 및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회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 되지 않았거나 포함됐으나 상기 번호리스트를 동보 회신에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번호리스트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주소록에서 선택된 회신측 휴대단말기 번호들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 표시 후 종료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사용자에게 상기 번호리스트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번호리스트를 저장할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번호리스트를 주소록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 되지 않았거나, 포함됐으나 상기 번호리스트를 저장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 표시를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 표시 후 번호리스트 저장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가 포함됐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됐으면 상기 번호리스트를 주소록에 저장하고
    상기 번호리스트가 포함 되지 않았으면 번호리스트 부재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번호리스트를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단문메시지만 회신측 휴대단말기들에게 동보 회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27115A 2004-04-20 2004-04-20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KR20050101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115A KR20050101881A (ko) 2004-04-20 2004-04-20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115A KR20050101881A (ko) 2004-04-20 2004-04-20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81A true KR20050101881A (ko) 2005-10-25

Family

ID=3728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115A KR20050101881A (ko) 2004-04-20 2004-04-20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8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341B1 (ko) * 2004-10-06 2007-01-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양방향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46027B1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57147B1 (ko) * 2006-12-26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다자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00461891C (zh) * 2006-09-08 2009-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群发短消息业务中的号码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354672B1 (ko) * 2007-05-03 2014-01-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체 회신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341B1 (ko) * 2004-10-06 2007-01-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양방향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46027B1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984066B2 (en) 2006-02-01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CN100461891C (zh) * 2006-09-08 2009-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群发短消息业务中的号码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857147B1 (ko) * 2006-12-26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다자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354672B1 (ko) * 2007-05-03 2014-01-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체 회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0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essag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091800B1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KR100500537B1 (ko) 하나의 문자 메시지를 다수의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방법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3973B1 (ko) 원터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50101881A (ko) 단문메시지에 번호리스트를 포함시켜 발신 및 회신하는 방법
KR100350454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옵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56322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수신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80453B1 (ko) 문자메시지 회신방법
KR200700286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KR100748991B1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10898B1 (ko) 음성메모 입력시 지정한 이미지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00785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채팅 방법
KR100648353B1 (ko)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즉시 회신 방법.
KR20070010374A (ko) 동보 전송시 수신자별 이름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3653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30063062A (ko) 단문 메시지 저장 및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40229636A1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5151B1 (ko) 단축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2291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호설정 요청신호 재전송방법
KR1005757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자동 전송 방법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100775380B1 (ko) 문자 메시지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JP2002111798A (ja) 携帯電話機
KR100531945B1 (ko) 회신 또는 전달된 문자 메시지의 아이콘에 의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