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009B1 -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009B1
KR100746009B1 KR1020050101511A KR20050101511A KR100746009B1 KR 100746009 B1 KR100746009 B1 KR 100746009B1 KR 1020050101511 A KR1020050101511 A KR 1020050101511A KR 20050101511 A KR20050101511 A KR 20050101511A KR 100746009 B1 KR100746009 B1 KR 10074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ser interface
dimensional
graphical user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061A (ko
Inventor
김민철
서영완
우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009B1/ko
Priority to CNB2006101375344A priority patent/CN100543659C/zh
Priority to US11/586,513 priority patent/US20070101277A1/en
Publication of KR2007004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내에서 소정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1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제 1 방향키, 및 상기 평면과 직교하는 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2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방향키와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제 2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키신호 및 상기 제2 키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방향 이동을 처리하는 오브젝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3-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GUI), 네비게이션(navigation)

Description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Apparatus for navigation in 3-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키입력부의 배치 및 단면도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키입력부의 배치 및 단면도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키입력부의 배치 및 단면도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키입력부의 배치 및 단면도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 게이션 장치에서 일어나는 네비게이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210: 입력부
211: 제 1 키입력부
212: 제 2 키입력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생성부
250: 오브젝트 제어부
260: 출력부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z축 방향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장치에는 디지털 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가 사용된다. 사용자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움직이고, 포인터가 가리키는 오브젝트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동작을 디지털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GUI는 크게 2차원 GUI와 3차원 GUI로 분류된다. 2차원 GUI는 평면적이고 정적인데 비해 3차원 GUI는 2차원 GUI에 비해 입체적이고 동적이기 때문에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보다 시각적이고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되는 GUI는 2차원 GUI에서 3차원 GUI로 점차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디지털 장치의 GUI가 2차원 GUI에서 3차원 GUI로 대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디지털 장치의 입력 장치는 사방향키 및 조이스틱 등과 같이, 2차원 GUI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로 하여금 2차원적인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3차원 GUI를 네비게이션 하는데에 따른 혼란을 발생시키고, 2차원적인 입력 장치에 맞추어 개발된 제한적인 3차원 GUI만을 제공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GUI를 네비게이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여러 발명(예를 들면, 한국 공개 특허 2004-0090133 '3차원 이미지 제어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키버튼 할당방법' 발명)이 제시되었으나 상술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내에서 소정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1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제 1 방향키, 및 상기 평면과 직교하는 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2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방향키와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제 2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키신호 및 상기 제2 키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방향 이동을 처리하는 오브젝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 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이하, '네비게이션 장치'라고 한다)에서 제공되는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3차원 환경과 모션 그래픽스(Motion Graphics)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동적인 GU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UI 개념이다.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은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1. 3차원 공간 (space)
2. 오브젝트 (object)
3. 카메라뷰 (camera view)
4. 오브젝트를 배치(Presentation)하는 방식
먼저, 3차원 공간(100)은 3차원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공간 영역으로, 공간의 특성에 따라 활성 공간(active space; 110)과 비활성 공간(inactive space; 120)으로 나뉠 수 있다. UI를 디자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활성 공간(110)이다.
오브젝트(130)는 3차원 환경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면서 정보를 제공한다. 오브젝트(130)는 하나 이상의 정보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면이란,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어 가능한 메뉴 항목 또는 각 하위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정보면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정보면에는 정보면에는 2D 비주얼 정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2차원 위젯(Widget)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아이콘과 같이 입체형 정보도 정보면에 표시 가능하다.
오브젝트(130)의 형태는 예를 들어, 육각 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원기둥과 같은 다면체 입체 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구도 무수한 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입체 도형으로 볼 수 있다. 다면체 오브젝트는 식별자 및 크기 등의 속성을 갖고, 면에 대한 속성으로는 번호, 색상, 투명도, 정보면인지 여부 등의 속성을 갖는다. 이 때, 이러한 속성들은 앞서 언급한 요소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응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속성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브젝트(130)는 3차원 공간 내에서 고유의 모션(Mo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130)는 임의의 축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 및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오브젝트(130)는 위치 이동, 크기 확대 및 축소 등과 같은 모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메라 뷰(Camera View)는 3차원 공간 안에서의 시점(View point)을 말한다. 카메라 뷰는 3차원 공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카메라 뷰의 이동은 곧 공간 내에서 네비게이션(Navigation)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공간 전체적으로 모션이 발생하게 된다. 카메라 뷰는 오브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모션 속성과 함께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모션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다.
오브젝트를 배치(Presentation)하는 방식이란 3차원 공간 속에서 한 개 이상의 오브젝트들이 그룹으로 묶여 어떠한 방식으로 조작되는지, 조작 과정에서 어떠한 동작이 일어나는지, 화면에 어떠한 방식으로 배열되는지를 정해주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0)는 디지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페이저, 디지털 카메라, 팩스, 디지털 복사기, 디지털 가전기기, 디지털 전화, 디지털 프로젝트, 홈서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TV 방송 수신기,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셋탑박스,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및 휴대전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시된 네비게이션 장치(200)는 생성부(240), 저장부(220), 출력부(260), 오브젝트 제어부(250), 제어부(230) 및 입력부(210)를 포함한다.
생성부(240)는 x축, y축 및 z 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 공간을 생성하고, 3차원 공간 내에 배치되는 다면체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저장부(220)는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3차원 공간, 다면체 오브젝트 및 각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를 이루는 면이 정보면인지의 여부, 면의 색상 및 투명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 (220)는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able ROM: P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력부(260)는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다면체 오브젝트 및 후술될 오브젝트 제어부(25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출력부(260)는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x-y 평면 내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 1 키입력부(211) 및 z축 방향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 2 키입력부(212)를 구비한다. 입력부(210)에 구비된 키들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경우 소정 키신호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230)는 네비게이션 장치(2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입력값에 대응되는 명령 코드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제어부(250)로 제공한다.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속성을 부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소정 오브젝트의 모션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회전 등의 모션을 처리한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강조하는 처리를 한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주변에 소정 표식을 형성하거나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및 투명도 등을 변화시켜 강조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비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및 투명도 등을 변화시키므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강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0)의 입력부(2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부(210)는 x-y 평면 내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 1 키입력부(211) 및 z축 방향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 2 키입력부(212)를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키입력부(211)는 좌향키, 우향키, 상향키 및 하향키를 구비한다. 여기서, 좌향키 및 우향키는 각각 x축을 따라 음의 방향 및 양의 방향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이다. 그리고, 상향키 및 하향키는 각각 y축을 따라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이다. 그리고, 제 2 키입력부(212)는 z축을 따라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키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키입력부(211) 및 제 2 키입력부(212)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 (310, 320, 330)은 사용자가 각 방향키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배치 영역의 모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배치 영역(310, 320, 330)이 육면체 도형이 2차원 평면에 투사된 형태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배치 영역(310, 320, 330)이 사각형의 제 1 영역(310)을 갖고, 제 1 영역(310)과 구별된 제 2 영역(320) 및 제 3 영역(330)이 제 1 영역(310)의 일측에 형성된 육면체 모양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모양의 배치 영역(310, 320, 330)에서 제 1 영역(310)에는 상향키(311), 하향키(313), 좌향키(312) 및 우향키(314)를 배치하고, 제 2 영역(320) 및 제 3 영역(330)에는 각각 z축 음의 방향 및 z축 양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역(310)에 배치된 키들(311, 312, 313, 314)은 사용자가 제 1 영역(310)의 키와 접촉하였을 때, x-y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각 키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제 2 영역(320) 및 제 3 영역(330)에 배치된 키는 사용자가 제 2 영역(320) 및 제 3 영역(330)의 키에 접촉하였을 때, z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제 1 영역(310)에 배치된 키 즉, 제 1 키입력부의 방향키로부터 멀어질수록 키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단면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영역(320) 및 제 3 영역(330)에 배치된 키(321, 331)에는 소정 표식(322, 332)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각 키의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320)에는 z축 양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키 또는 z축 음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키가 배치될 수 있는데, 만약, 제 2 영역(320)에 z축 음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키(321)가 배치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제 2 영역(320)의 키에는 z축 음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322)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 3 영역(330)의 키에는 z축 양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332)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배치 영역(310, 320, 330)의 모양 및 키에 표시된 표식에 따라 각 키에 대응되는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키입력부(211)와 제 2 키입력부(212)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배치 영역의 모양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배치 영역(410, 420, 430)이 마름모 꼴의 제 1 영역(410)을 갖고, 제 1 영역(410)과 구별되는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이 제 1 영역(410)의 일측에 배치된 육면체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모양의 배치 영역(410, 420, 430)에서 제 1 영역(410)에는 상향키(411), 하향키(413), 좌향키(412) 및 우향키(414)를 각 키의 제어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하고, 제 2 영역(420) 및 제 3 영역(430)에는 각각 z축 음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421) 및 z축 양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431)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역(410)에 배치된 키(411, 412, 413, 414)들은 사용자가 제 1 영역(410)의 키와 접촉하였을 때, x-y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각 키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제 2 영역(420) 및 제 3 영역(430)에 배치된 키(421, 431)는 사용자가 제 2 영역(420) 및 제 3 영역(430)의 키에 접촉하였을 때, z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제 1 영역(410)에 배치된 키 즉, 제 1 입력부(211)의 키(411, 412, 413, 414)로부터 멀어질수록 키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단면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영역(420) 및 제 3 영역(430)에 배치된 키(421, 431)에는 소정 표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각 키의 기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420)에는 z축 음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42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430)에는 z축 양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432)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배치 영역(410, 420, 430)의 모양 및 키에 표시된 표식에 따라 각 키에 대응되는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배치 영역(510, 520, 530)이 원 모양의 제 1 영역(510)을 갖고, 제 2 영역(520) 및 제 3 영역(530)이 제 1 영역(510)의 일측에 배치된 원 기둥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모양의 배치 영역(510, 520, 530)에서 원 모양의 제 1 영역(510)에는 상향키(511), 하향키(513), 좌향키(512) 및 우향키(514)를 각 키의 제어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하고, 제 2 영역(520) 및 제 3 영역(530)에 각각 z축 음의 방향 및 z축 양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521, 531)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역(510)에 배치된 키들(511, 512, 513, 514)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 1 영역(510)의 키(511, 512, 513, 514)와 접촉하였을 때, x-y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각 키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제 2 영역(520) 및 제 3 영역(530)에 배치된 키(521, 531)는 사용자가 제 2 영역(520) 및 제 3 영역(530)의 키(521, 531)에 접촉하였을 때, z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제 1 영역(510)에 배치된 키 즉, 제 1 키입력부(211)의 방향키(511, 512, 513, 514)들로부터 멀어질수록 키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영역(520) 및 제 3 영역(530)에 배치된 키(521, 531)에는 사용자가 각 키의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정 표식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520)에는 z축 음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52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530)에는 z축 양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532)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배치 영역(510, 520, 530)의 모양 및 키에 표시된 표식에 따라 각 키에 대응되는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키입력부(211) 및 제 2 키입력부(212)의 배치를 예시한 배치도이고, 도 6 (b)는 도 6 (a)에서 Ⅵb-Ⅵb'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키입력부(211) 즉, 상향키(611), 하향키(613), 좌향키(612) 및 우향키(614)는 소정 배치 영역(610) 내에서 실행키(615)를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행키(615)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z축 음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621)는 실행키(615)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대각선 상에서 상향키(611)와 우향키(614) 사이에, z축 양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631)는 실행키(615)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대각선 상에서 좌향키(612)와 하향키(6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향키(611), 하향키(613), 좌향키(612) 및 우향키(614)는 x-y 평면 내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이므로 각 키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z축 음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621)는 사용자가 해당 키에 접촉하였을 때, z축 양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키임을 알 수 있도록 도 6 (b)와 같이, 실행키(615)로부터 멀어질수록 키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z축 양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631)는 사용자가 해당 키에 접촉하였을 때, z축 양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키임을 알 수 있도록 도 6 (b)와 같이, 실행키(615)로부터 멀어질수록 키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입력부(210)는 제 1 키입력부(211) 및 제 2 키입력부(212) 이외에도 네비게이션 장치(20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키(미도시) 및 숫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210)에 구비된 키들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경우, 소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키신호는 제어부(230)로 제공된다. 이러한 입력부(210)는 네비게이션 장치(200)와 하드웨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네비게이션 장치(200)와 분리된 별도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00)와 분리되어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값을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네 비게이션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일어나는 네비게이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일어나는 네비게이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x축 상에 제1, 제2 및 제3 다면체 오브젝트(710, 720, 730)가 배열되어 있고, 제2 다면체 오브젝트(720)를 중심으로 y축 상에는 각각 제 4 및 제 5 다면체 오브젝트(740, 750)가 배열되어 있으며, 제 2 다면체 오브젝트(720)를 중심으로 z축 상에는 각각 제 6 및 제 7 다면체 오브젝트(760, 770)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부(26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소정 입력값이 입력되면, 제어부(230)는 입력값에 대응되는 명령 코드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제어부(25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에서 우향키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230)는 우향키의 키신호에 대응하는 명령 코드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제어부(250)로 제공한다(S800).
한편,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제어부(230)에서 제공된 명령 코드가 제 1 키입력부(211) 및 제 2 키입력부(212)에 대한 명령 코드인지를 판단한다(S810).
판단 결과, 제 1 키입력부(211) 및 제 2 키입력부(212)에 대한 명령 코드가 아닌 경우(S810, 아니오), 예를 들어, 실행키(미도시) 또는 취소키(미도시)에 대한 명령 코드인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다면체 오브젝트와 연관된 명령을 실행시키거나 취소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a와 같이, '스케쥴'에 관한 제 2 다면체 오브젝트(720)가 선택된 상태에서 실행키(315, 415, 515, 615)가 인가된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스케줄'에 관한 상세 정보로서 도 7b와 같이, 달력을 표시한다.
판단 결과, 제 1 키입력부(211) 및 제 2 키입력부(212)에 대한 명령 코드인 경우(S810, 예),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제어부(230)에서 제공된 명령 코드의 종류에 따라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방향 이동을 처리한다(S830).
예를 들어, 제어부(230)에서 제공된 명령 코드의 종류가 제 1 키입력부(211)에 대한 명령 코드인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입력된 명령 코드의 종류에 따라 x-y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처리한다(S850).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a와 같이 제 2 다면체 오브젝트(720)가 선택된 상태에서 우향키(314, 414, 514, 614)가 인가된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도 7c와 같이, 제 3 다면체 오브젝트(730)의 주변에 테두리를 형성하여 제 2 다면체 오브젝트(720)를 강조한다.
만약, 제어부(230)에서 제공된 명령 코드의 종류가 제 2 키입력부(212)에 대한 명령 코드인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입력된 명령 코드의 종류에 따라 z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처리한다(S840).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a와 같이 제 2 다면체 오브젝트(720)가 선택된 상태에서 z축 음의 방향에 대응되는 키(322, 422, 522, 622)가 인가된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도 7d와 같이, 제 7 다면체 오브젝트(770)의 주변에 테두리를 형성하여 제 7 다면체 오브젝트(770)를 강조한다. 이 때, 오브젝트 제어부(250)는 z축 방향으로 줌 인(zoom in)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 7 다면체 오브젝트(770) 측으로 시점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S810 내지 S850)는 오브젝트 제어부(250)에 의해 이루어지며, 오브젝트 제어부(250)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출력부(260)를 통해 표시된다(S860).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해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입력 수단을 제공하므로써, x-y평면 및 z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x-y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방향키 및 z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방향키가 배치되는 배치영역의 모양에 의해 사용자가 각 방향키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z 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키에 원근감을 표시하므로써, 사용자가 촉감만으로도 키의 기능을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사용자가 2차원적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 스를 네비게이션하므로써 얻는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12)

  1.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내에서 소정 평면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1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제 1 방향키, 및 상기 평면과 직교하는 축 상에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제2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방향키와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제 2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키신호 및 상기 제2 키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방향 이동을 처리하는 오브젝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키의 일측은 상기 제 1 방향키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제 2 방향키의 타측은 상기 제 1 방향키의 두께와 다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키는 상기 평면 상에서 각각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및 우향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향키는 상기 축 상에서 각각 앞쪽 및 뒤쪽으로의 방향 이동을 위한 전방키 및 후방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및 우향키는 소정 면에 각 제어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십자형으로 배열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키는 상기 상향키 및 상기 우향키 사이에 위치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키는 상기 십자형으로 배열된 상기 제1 방향키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키는 상기 좌향키 및 상기 하향키 사이에 위치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키는 상기 십자형으로 배열된 상기 제1 방향키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키는 두께가 동일한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키는 소정 모양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키는 상기 제 1 면의 모서리와 맞닿은 제 2 면에 배치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키는 상기 제 1 방향키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내에 표시된 다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방향 이동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KR1020050101511A 2005-10-26 2005-10-26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KR10074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511A KR100746009B1 (ko) 2005-10-26 2005-10-26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CNB2006101375344A CN100543659C (zh) 2005-10-26 2006-10-25 用于三维图形用户界面的导航设备
US11/586,513 US20070101277A1 (en) 2005-10-26 2006-10-26 Navigatio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511A KR100746009B1 (ko) 2005-10-26 2005-10-26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061A KR20070045061A (ko) 2007-05-02
KR100746009B1 true KR100746009B1 (ko) 2007-08-06

Family

ID=3799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511A KR100746009B1 (ko) 2005-10-26 2005-10-26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01277A1 (ko)
KR (1) KR100746009B1 (ko)
CN (1) CN1005436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9692A1 (en) * 2007-09-28 2009-04-02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8181120B2 (en) * 2009-04-02 2012-05-15 Sony Corporation TV widget animation
TWI459212B (zh) * 2011-08-19 2014-11-01 Giga Byte Tech Co Ltd 參數設定方法及系統
KR2014013335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CN105879352B (zh) * 2016-04-13 2018-04-27 上海趣定向体育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定向运动线路组合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383A (en) 1998-06-29 2000-12-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polyhedra for a three-dimensional (3D) user interface
KR20010102683A (ko) * 2000-05-04 2001-11-16 김유영 컴퓨터용 입력장치
JP2002288690A (ja) 2001-03-26 2002-10-04 Jinyama Shunichi 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装置、サーバ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用ソフトウェア
KR20040090133A (ko) * 2003-04-16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 차원 이미지 제어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키버튼 할당방법
KR20050031335A (ko) * 2003-09-29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777A (en) * 1991-11-16 1993-11-16 Sri International Device for generating multidimensional input signals to a computer
US5335557A (en) * 1991-11-26 1994-08-09 Taizo Yasutake Touch sensitive input control device
US6597347B1 (en) * 1991-11-26 2003-07-22 Itu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sensitive input in multiple degrees of freedom
US6347997B1 (en) * 1997-10-01 2002-02-19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JP3628358B2 (ja) * 1994-05-09 2005-03-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US5844560A (en) * 1995-09-29 1998-12-01 Intel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element
JPH11508385A (ja) * 1996-04-19 1999-07-21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データ処理装置
JPH1115593A (ja) * 1997-06-19 1999-01-22 Alps Electric Co Ltd データ入力装置
JP3968873B2 (ja) * 1998-06-18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4107785B2 (ja) * 2000-03-30 2008-06-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
US6766023B2 (en) * 2001-02-12 2004-07-20 Molex Incorporated Telephone key arrangement with tactile indicating means
US6925315B2 (en) * 2001-10-30 2005-08-02 Fred Langford Telephone handset with thumb-operated tactile keypad
US6947028B2 (en) * 2001-12-27 2005-09-20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gadgets
KR100608589B1 (ko) * 2004-07-24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43276B1 (ko) * 2004-08-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20060062626A1 (en) * 2004-09-22 2006-03-23 Symbol Technologies, Inc. Keypad ergonomics
US20060146026A1 (en) * 2004-12-30 2006-07-06 Youngtack Shim Multifunctional keys and methods
TWM294676U (en) * 2005-03-21 2006-07-21 Compal Electronics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009138B2 (en) * 2005-05-09 2011-08-30 Sandio Technology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input device
KR100791287B1 (ko) * 2005-10-2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객체의 3차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383A (en) 1998-06-29 2000-12-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polyhedra for a three-dimensional (3D) user interface
KR20010102683A (ko) * 2000-05-04 2001-11-16 김유영 컴퓨터용 입력장치
JP2002288690A (ja) 2001-03-26 2002-10-04 Jinyama Shunichi 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装置、サーバ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用ソフトウェア
KR20040090133A (ko) * 2003-04-16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 차원 이미지 제어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키버튼 할당방법
KR20050031335A (ko) * 2003-09-29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061A (ko) 2007-05-02
CN1955897A (zh) 2007-05-02
US20070101277A1 (en) 2007-05-03
CN100543659C (zh)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00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100714707B1 (ko)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방법
KR100679039B1 (ko)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JP627185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3607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100631763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20100050129A1 (en) 3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imultaneous Management Of Applications
KR100746009B1 (ko)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US20130326426A1 (en)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JP5790578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操作装置
JP2008171416A (ja) 傾き基盤リスト探索においてカーソル位置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4816377B2 (ja) 情報処理装置の表示方法
US113857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displayed items
KR100772860B1 (ko)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80064056A (ko) 3차원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3차원 메뉴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4907156B2 (ja) 3次元ポインティング方法および3次元ポインティング装置ならびに3次元ポインティングプログラム
KR10093107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
JP2010039985A (ja) 操作画面入力装置及び操作画面入力方法
JP2016146105A (ja) 入力装置
KR20060058082A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201500066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