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032B1 -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 Google Patents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032B1
KR100744032B1 KR1020060122980A KR20060122980A KR100744032B1 KR 100744032 B1 KR100744032 B1 KR 100744032B1 KR 1020060122980 A KR1020060122980 A KR 1020060122980A KR 20060122980 A KR20060122980 A KR 20060122980A KR 100744032 B1 KR100744032 B1 KR 10074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heel
auxiliary block
sliding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2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1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in alternative ways, e.g. glueing, welding, form-f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이송대차 레일이 교차하여 각각의 운송 기능을 수행할 때 레일의 교차부위에서 발생되는 공간부에 의해 레일과 대차 휠 간 발생되는 레일 및 휠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이 교차되는 지점에 발생되는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은 외측으로 상기 레일에서 활주되던 휠의 외측외주면이 활주되는 활주부가 마련되고, 내측 중심부로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가 돌출되어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일, 교차, 휠, 보조 블록

Description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Block for cross-rail}
도 1은 일반적인 레일 및 이동대차에 부착되는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레일의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레일의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11 : 활주면
13 : 고정부 15 : 지지부
20 : 휠 21 : 외측외주면
23 : 내측외주면 1,2,3 : 보조 블록
100,200,300 : 본체 101,201,301 : 활주부
110,210,310 : 돌출지지부 320 : 체결홈
본 발명은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이송대차 레일이 교차하여 각각의 운송 기능을 수행할 때 레일의 교차부위에서 발생되는 공간부에 의해 레일과 대차 휠 간 발생되는 레일 및 휠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쇳물인 용선 혹은 용강은 래들(LADLE)에 수강된 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에 실려 후속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일 및 이송대차에 부착되는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레일(10)은 알파벳 "I"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는 이송되는 대차의 휠(20)이 활주될 수 있는 활주면(11)이 구비되고, 하측으로는 레일(10)을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13)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3)와 활주면(11) 사이에는 이송되는 대차의 활주시 하중을 지지해 주는 지지부(15)가 수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면(11)에서 활주는 대차의 휠(20)은 그 외주연으로 상기 활주면(11)을 감싸면서 활주될 수 있도록 상기 활주면(11)의 상면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내측외주면(23)을 갖고, 상기 내측외주면(23)의 양측으로 상기 활주면(11)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외주면(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외주면(21)의 직경이 상 기 내측외주면(23)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와 같이 레일이 구성되고, 래들이 이송대차에 실리면 이송대차는 레일을 활주하면서 래들을 지정 장소로 이송시킨다. 하지만, 한정된 작업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레일의 교차지점이 발생되고, 이러한 레일의 교차지점에서는 레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없어, 짧은 구간이나마 레일과 레일 사이에 공간부(간격)가 발생된다.
그래서, 레일이 교차되는 지점을 이송대차가 활주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발생된 공간부를 지나는 동안 휠의 내측외주면과 레일의 활주면이 접촉할 수 없어 이 구간을 통과할 때 이송대차의 하중에 의한 휠과 레일 모서리부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휠과 레일의 손상에 의하여 이송대차의 탈선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일의 교차 지점에 발생되는 공간부에 휠이 연속적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보조 블록을 마련하여 레일 및 이송대차의 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은 레일이 교차되는 지점에 발생되는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본 체의 상면은 외측으로 상기 레일에서 활주되던 휠의 외측외주면이 활주되는 활주부가 마련되고, 내측 중심부로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가 돌출되어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블록의 활주부 높이는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레일 활주면의 상면보다 상기 휠의 외측외주면과 내측외주면의 높이차 만큼 낮은 것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각각의 레일 활주면이 연장되어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지지부 상면의 높이는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레일 활주면의 상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블록의 본체 측면에는 레일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보조 블록이 설치되는 레일 및 보조 블록을 활주하게 되는 이송대차의 휠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부분의 명칭에 대하여 정의하도록 한다.
레일(10) 및 휠(20)은 전술된 바와같은 일반적인 레일 및 휠이 사용되며, 전술된 바와같이 레일(10)은 알파벳 "I"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대차의 휠(20)이 활주되는 면을 활주면(11)이라 하고, 하측에 구비되어 레일(10)을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켜 주는 부분을 고정부(13)라 하며, 상기 고정부(13)와 활주면(11) 사이에 이송되는 대차의 활주시 하중을 지지해 주는 부분을 지지부(15)라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의 하면에서 부터 상기 활주면(11)의 상면까지 높이를 'h10'이라 정의하고, 상기 활주면(11)의 두께만큼의 높이를 'h11'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휠(20)은 주행에 의해 상기 레일(10)에 접촉되어 주행되는 원주방향의 외주연 중, 상기 활주면(11)에서 구름작용으로 활주되도록 상기 활주면(11)의 상면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부분의 외주연을 '내측외주면(23)'이라 하고, 상기 내측외주면(23)의 양측으로 상기 활주면(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외주면(23)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측 부분의 외주연을 '외측외주면(21)'이라 한다.
또한, 상기 외측외주연(21)과 내측외주연과(23)의 높이차를 'h20'이라 정의한다.
그러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1)은 레일이 교차되는 지점에 발생되는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100)가 설 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은 외측으로 상기 레일(10)에서 활주되던 휠(20)의 외측외주면(21)이 활주되는 활주부(101)가 마련되고, 내측 중심부로 상기 휠(20)의 내측외주면(23)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110)가 돌출되어 단차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높이(h1)는 상기 휠(20)의 내측외주면(23)이 지지되는 레일 활주면(11)의 상면(h10)보다 상기 휠(20)의 외측외주면(21)과 내측외주면(23)의 높이차(h20) 만큼 낮게 형성(h1=h10-h20)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돌출지지부(110)는 주행되는 휠(20)이 보조 블록(1)을 통과할 때 휠(20)의 외측외주면(21)이 지지되어 활주되는 것을 보조하고, 주행되는 휠(20)이 보조 블록(1)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휠(20)의 내측외주면(23)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형성위치는 상기 교차되는 각각의 레일 활주면(11)이 연장되어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지지부(110)는 레일 활주면(11)이 연장되어 교차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정사각형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활주되는 휠(2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부를 굴곡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110)의 폭은 상기 레일 활주면(11)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지지부(110,210)의 높이(h2)는 상기 레일 활주면의 높이(h11)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h2≤h11)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지지부(110)로 상기 휠(20)의 내측외주면(23)이 지지되도록 상기 돌출지지부(110)의 높이(h2)가 상기 레일 활주면(11)의 높이(h11)와 동일(h2=h11)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블록(1)의 상면인 활주부(101) 및 돌출지지부(110)는 모두 평평하게 구비되고, 활주부(101)는 상기 휠(20)의 외측외주면(21)이 충분히 지지될 수 있을 만큼의 크기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 블록(2)는 도 4a(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레일의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휠(20)의 외측외주면(21)이 지지되는 본체(200)의 활주부(201)가 휠(20)의 활주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 블록(2)의 본체(200) 상면으로는 돌출지지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블록(3)은 본체(300)의 측면으로 상기 레일(10)의 지지부(15)와 고정부(13)가 삽입되는 체결홈(32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레일의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조 블록(3)의 본체(300) 측면, 바람직하게 레일(10)이 접하는 본체(300)의 모든 측면으로 상기 레일(10)의 지지부(15) 및 고정부(1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체결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보조 블록(3) 설치시 상기 체결홈(320)에 상기 레일(10)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보조 블록(3)을 고정시키고, 본체(300)의 활주부(301)로 상기 레일(10)의 활주면(11)이 돌출되도록 하여 주행되는 휠(20)이 레일(10)에서 보조 블록(3)으로 진입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 블록(3)의 상면으로는 돌출지지부(310)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도 6a 및 도 7a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 단면도이다.
레일(10)의 교차지점에 보조 블록(3)을 설치한 다음 이송대차를 활주시키면,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휠(20)이 레일(10)의 활주면(11)을 활주하는 동안에는 휠(20)의 내측외주면(23)이 활주면(11)의 상면에 지지되고, 휠(20)의 외측외주면(21)이 활주면(11)의 측면을 감싸서 안정적으로 활주된다.
휠(20)의 활주가 계속되어 레일(10)의 교차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휠(20)의 내측외주면(23)은 활주면(11)의 상면을 벗어나지만, 휠(20)의 외측외주면(21)이 보조 블록(3)의 활주부(301)에 지지되어 연속적인 활주가 진행된다.
그리고, 좀더 휠(20)의 활주가 계속되어 보조 블록(3)의 중심부를 통과하게 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휠(20)의 외측외주면(21)은 보조 블록(3)의 활주부(301)에 계속 지지되고, 휠(20)의 내측외주면이 보조 블록(3)의 중심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지지부(110)의 상면에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활주가 진행된다.
이렇게 휠(20)은 레일(10)의 활주면(11)이나 보조 블럭(3)의 활주부(301) 및 돌출 지지부(310)를 지날 때 내측외주면(23) 또는 외측외주면(21)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활주면(11) 또는 보조 블럭(3)에 지지됨으로써 덜컹거림 없이 연속적으로 활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을 사용하게 되면, 레일의 교차 구간에서 발생되는 공간부를 메울 수 있고, 보조 블록의 상면으로 휠의 외측외주면이 지지되어 연속적인 활주가 가능해져서 레일과 휠에 발생되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 및 휠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에서도 이송대차의 탈선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레일이 교차되는 지점에 발생되는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은 외측으로 상기 레일에서 활주되던 휠의 외측외주면이 활주되는 활주부가 마련되고, 내측 중심부로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가 돌출되어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록의 활주부 높이는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레일 활주면의 상면보다 상기 휠의 외측외주면과 내측외주면의 높이차 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각각의 레일 활주면이 연장되어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 상면의 높이는 상기 휠의 내측외주면이 지지되는 레일 활주면의 상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록의 본체 측면에는 레일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보조 블록.
KR1020060122980A 2006-12-06 2006-12-06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KR10074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980A KR100744032B1 (ko) 2006-12-06 2006-12-06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980A KR100744032B1 (ko) 2006-12-06 2006-12-06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032B1 true KR100744032B1 (ko) 2007-08-01

Family

ID=3860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980A KR100744032B1 (ko) 2006-12-06 2006-12-06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62B1 (ko) 2015-12-31 2017-03-24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교차 레일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365A (en) 1973-02-26 1976-04-20 Mitsui Shipbuilding & Engineering Co., Ltd. Rail crossover arrangement
JPS546212A (en) 1977-06-16 1979-01-18 Kawasaki Steel Corp Device for turning running direction of truck
US5845881A (en) 1997-08-29 1998-12-08 Abc Rail Products Corporation Railroad trackwork intersections
KR200389989Y1 (ko) 2005-04-12 2005-07-14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이동레일의 교차부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365A (en) 1973-02-26 1976-04-20 Mitsui Shipbuilding & Engineering Co., Ltd. Rail crossover arrangement
JPS546212A (en) 1977-06-16 1979-01-18 Kawasaki Steel Corp Device for turning running direction of truck
US5845881A (en) 1997-08-29 1998-12-08 Abc Rail Products Corporation Railroad trackwork intersections
KR200389989Y1 (ko) 2005-04-12 2005-07-14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이동레일의 교차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62B1 (ko) 2015-12-31 2017-03-24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교차 레일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4834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CN110831881A (zh) 用于电梯系统中旋转平台的支撑装置
KR0152010B1 (ko) 언더컷 반경부를 갖는 조향암 조립체의 측방암 구조
KR100744032B1 (ko) 교차 레일용 보조 블록
CN203960688U (zh) 一种道岔及其基本轨的固定装置
TW201400340A (zh) 用於保護導向車輛免於失去導引的方法及裝置
US10913469B2 (en) Railroad car truck bolster
CN104477185A (zh) 轨道连接装置及长钢轨运输车组
JP5204545B2 (ja) 台車
JP6054636B2 (ja) 鉄道分岐器、鉄道分岐器用トングレール
CN110453545B (zh) 用于改装单轨导梁的方法以及改装的单轨导梁
JP2024009425A (ja) トンネル用台車の車輪
RU2477693C1 (ru) Адаптер подшипникового узла боковой рамы тележк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US10471975B2 (en) Railway vehicle and derailment safety device thereof
JP2006347426A (ja) 軌道系車両の操舵案内装置
JP2010189132A (ja) 移動装置及びコンテナクレーン
RU2223189C2 (ru) Надбуксовая накладка боковой рамы вагонной тележки
RU198385U1 (ru) Колпак скользуна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CN220483283U (zh) 转向架及具有其的铁路货车
KR20230089674A (ko) 철도차량용 윤축의 비대칭 방지 구조
KR100747766B1 (ko) 레일 분기기의 멈춤쇠
JPS631305A (ja) リニアモ−タカ−の可撓式台車構造
JPH06239233A (ja) 走行用車輪のガイド機構
CN211199928U (zh) 轨道
JPS61206785A (ja) ケ−ブルキヤリヤレ−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