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603B1 - 동박도금장치 - Google Patents

동박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603B1
KR100740603B1 KR1020050072273A KR20050072273A KR100740603B1 KR 100740603 B1 KR100740603 B1 KR 100740603B1 KR 1020050072273 A KR1020050072273 A KR 1020050072273A KR 20050072273 A KR20050072273 A KR 20050072273A KR 100740603 B1 KR100740603 B1 KR 10074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oll
belt
transfer means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718A (ko
Inventor
홍승유
Original Assignee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filed Critical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Priority to KR102005007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6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54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 C25D5/56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of plast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동박필름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는 필름형태의 기재의 표면에 미리 정해진 두께로 도전체를 도금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되고, 탄성력에 의해 기재의 일측단을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벨트형의 기재이송수단; 상기 기재이송수단을 순환시키는 다수의 구동롤; 상기 기재이송수단으로 도금되지 않은 기재를 공급하는 풀림롤; 상기 풀림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기재이송수단에 기재의 일측단이 파지되도록 하는 파지롤; 상기 기재이송수단으로부터 파지된 기재를 이탈시키는 이탈롤; 상기 이탈롤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도금이 완료된 기재를 감는 감기롤; 내부에 도금액이 수용되고, 상기 파지롤과 이탈롤 사이에 구비되어, 기재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기재의 표면에 동박을 도금시키는 다수의 도금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에 따라, 필름 형태의 기재의 표면에 용이하게 동박층을 도금하도록 하여,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반도체, F-PCB, 도금, 기재, 치합, 도피, 벨트, 핑거

Description

동박도금장치{ Apparatus for copper plating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의 기재이송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의 기재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의 기재이송수단에 기재가 파지되는 작동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의 도금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기재 10 : 프레임
11 : 기재이송수단 12 : 벨트
12a : 제1 삽입공 12b : 제2 삽입공
13, 13' : 핑거 13a, 13a' : 고정단부
13b, 13b' : 가동단부 13c, 13c' : 탄성부
13d': 보강재 21 : 구동롤
22 : 풀림롤 23 : 파지롤
23a : 가압부 24 : 감기롤
25 : 이탈롤 26 : 텐션롤
31 : 도금조 32 : 가이드
본 발명은 각종 전자소재가 표면 실장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기초를 이루는 기재의 표면에 구리를 도금시키는 동박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부품이 표면 실장(surface mounting)되는 리드 프레임, PCB와 같은 기판은 통상적으로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기판의 표면에 도전성이 우수한 동박층을 도금한 후, 필요한 패턴이 인쇄되도록 한 후 필요한 부품을 표면 실장시켜 모듈, 제품을 완성하고 있다.
경질의 기판에 동박을 도금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간단히 살펴보면, 무한히 순환하는 벨트에 일정한 단위로 절단된 기판을 파지시켜 이송시켜 표면에 동박층을 도금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같은 방식을 이용한 동박도금장치는 피도금물이 반도체 리드프레임과 같이 경질의 재료에는 용이하였으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Flexilbe Printed Circuit Board)에 동박을 도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최근에는 제품의 소형화, 슬림화 경향으로 인하여, 경질의 리드프레임, PCB 대신에 쉽게 휘어질 수 있는 F-PCB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구리합금체를 도금하여 동박필름을 형성한 후, 회로패턴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하여 패턴을 인쇄하고, 그 표면에 각종 부품을 표면 실장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F-PCB를 제조하기 위한 기재는 필름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속도에 한계가 있었다. 통상적으로 기재가 감겨진 풀림롤에서 풀려서 일련의 공정을 거친 후 다시 감김롤에 감겨지도록 하는 'roll-to-roll' 작업을 통하여 기재의 표면에 동박층을 도금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별도로 기재를 지지해주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대량생산을 위해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면, 기재가 절단되거나, 동박층이 고르게 도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F-PCB를 대량으로 신속하게 생산하지 못하고, 저속으로 생산할 수 밖에 없는 애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기초가 되는 필름형태의 기재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동박을 도금할 수 있는 동박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는 필름형태의 기재의 표면에 미리 정해진 두께로 도전체를 도금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되고, 탄성력에 의해 기재의 일측단을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벨트형의 기재이송수단; 상기 기재이송수단을 순환시키는 다수의 구동롤; 상기 기재이송수단으로 도금되지 않은 기재를 공급하는 풀림롤; 상기 풀림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기재이송수단에 기재의 일측단이 파지되도록 하는 파지롤; 상기 기재이송수단으로부터 파지된 기재를 이탈시키는 이탈롤; 상기 이탈롤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도금이 완료된 기재를 감는 감기롤; 내부에 도금액이 수용되고, 상기 파지롤과 이탈롤 사이에 구비되어, 기재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기재의 표면에 동박을 도금시키는 다수의 도금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이송수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텐션롤이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재이송수단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 삽입공이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공에 대응하도록 일측단부에 제1 삽입공과 동수로 제2 삽입공이 형성되는 벨트와, 일단부는 상기 제1 삽입공에 관통되어 체결되어 고정단부가 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삽입공을 관통하여 벨트에 선택적으로 이격되는 가동단부가 되며, 중앙부는 상기 벨트와 이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가 되어, 가동단부와 벨트 사이에 기재를 파지하는 핑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는, 스트립을 절곡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는, 와이어를 수회 회전시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재이송수단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기재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박도금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는 도 1에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태의 기재(1)를 이동시키는 기재이송수단(11), 이를 순환시키는 다수의 구동롤(21), 기재(1)를 공급하는 풀림롤(22), 기재(1)를 기재이송수단(11)에 파지시키는 파지롤(23), 동박도금이 완료된 기재(1)를 기재이송수단(11)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롤(25), 이탈롤(25)에서 이탈된 기재(1)를 감는 감기롤(24), 기재이송수단(11)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26) 및 상기 파지롤(23)과 이탈롤(25) 사이에 구비되는 도금조(3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제조에 사용되는 동박필름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기재(1)를 'roll-to-roll' 방식으로 이송시키면서 그 표면에 동박층을 도금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재이송수단(11)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필름형태의 기재(1)를 파지하거나, 이탈시키는 수단이다.
기재이송수단(11)의 자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금속판재 형태의 벨트(12)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핑거(13, 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2)는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박판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벨트(12)의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벨트(12)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벨트(12)의 중심에 제1 삽입공(12a)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벨트(12)의 일측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삽입공(12a)과 같은 수로 제2 삽입공(12b)을 형성한다. 상기 벨트(12)의 폭은 사용하는 구동롤(21), 파지롤(23), 이탈롤(25), 텐션롤(24)의 폭 및 이송하려는 기재(1)의 폭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의 제1 삽입공(12a)과 제2 삽입공(12b)은 서로 짝을 이루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벨트(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되는 벨트(12)는 중심부분을 따라 제1 삽입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공(12a)에 대응하여 벨트(12)의 하단부에 제2 삽입공(12b)이 형성된다.
상기의 제1 삽입공(12a)과 제2 삽입공(12b)에 핑거(13, 13')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기재이송수단(11)을 이룬다. 핑거(13, 13')는 중앙부분이 절곡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V'자와 같이 되도록 한다. 핑거(13, 13')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삽입공(12a)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단부(13a, 13a')가 되고, 타단부는 제2 삽입공(12b)에 삽입되는 가동단부(13b, 13b')가 되며, 중앙부분은 벨트(12)와 이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13c, 13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핑거(13, 13')는 벨트(12)에 체결된 고정단부(13a, 13a')를 중심으로 선회가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핑거(13, 13')의 탄성부(13c, 13c') 또는 탄성부(13c, 13c')와 가동단부(13b, 13b') 사이에 외부에서 외력을 가하면, 일시적으로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벨트(12)와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핑거(13, 13')의 중간부분에 외력이 가해져 가동단부(13b, 13b')와 벨트(12)와 이격되어 간극이 발생하면, 이 간극에 기재(1)의 일단을 삽입하거나 이탈시켜 기재이송수단(11)이 기재(1)의 일측단을 파지하거나, 파지된 기재(1)를 이탈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핑거(13, 13')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는데, 도 2에서와 같이, 박판의 판재(板材)를 소성가공하여 핑거(13)가 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와 이어를 가공하여 핑거(13')가 될 수도 있다.
스트립과 같은 판재를 소성가공하여 핑거(13)가 되는 경우에는, 양단부와 중앙부분을 절곡하여, 양단부(13a, 13b) 즉, 고정단부(13a)와 가동단부(13b)는 벨트(12)의 제1 삽입공(12a) 및 제2 삽입공(12b)에 각각 삽입시키고, 틴상부(13c)는 벨트(12)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단부(13a), 가동단부(13b)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하여 핑거(13)를 완성한다.
또한, 와이어를 가공하여 핑거(13')가 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단부(13a')가 되도록 하고, 중앙부분이 가동단부(13b')가 되도록하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고정단부(13a')와 가동단부(13b')의 양쪽 중간부분을 각각 수회 회전시키고, 고정단부(13a')와 가동단부(13b')와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핑거(13')가 완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와이어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하여 'ㄷ'자 형상이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한다.
와이어의 중앙부분은 가동단부(13b')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소정의 폭을 갖도록 한다.
상기 가동단부(13b')에서 연장된 와이어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삽입공(12a)에 삽입되는 고정단부가 된다.
상기 고정단부와 가동단부(13b')는 핑거에서 각각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고, 가동단부(13b')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았을 때 벨트(12)와 밀착되도록 하기위하여 일정한 경사각으로 굴절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가동단부(13b')에서 양단이 연장된 와이어는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가동단부(13b)와 와이어의 고정단부 사이의 중간지점에서 코일의 형태로 수 회 권취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13c')를 형성한다.
이렇게 와이어로 가공된 핑거(13')는 고정단부가 벨트(12)의 제1삽입공(12a)을 관통하고 체결되고, 가동단부(13b')를 제2 삽입공(12b)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핑거(13')가 벨트(12)에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고정단부 및 가동단부(13b)가 벨트(12)를 기준으로 탄성부(13c')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탄성부(13c')를 가압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단부(13b')가 벨트(12)와 선택적으로 이격된다.
이때, 고정단부(13')에는 보강재(13d')를 구비하여 고정단부(13a')의 강성을 유지하고, 고정단부(13a')의 양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핑거(13, 13')의 양단을 벨트(12)에 형성된 제1 삽입공(12a)과 제2 삽입공(12b)에 각각 관통하여 삽입시킨다. 제1 삽입공(12a)으로 삽입되는 핑거(13, 13')의 고정단부(13a, 13a')는 벨트(12)에 고정시키고, 제2 삽입공(12b)에 삽입되는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는 제2 삽입공(12b)을 관통하되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핑거(13, 13')는 고정단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선회할 수 있고, 가동단부(13b, 13b')는 평소에는 벨트(12)에 밀착되어 있다가 핑거(13, 13')의 중간부분에 외력이 작용하면, 일시적으로 벨트(12)와 이격된다.
이러한 핑거(13, 13')가 벨트(12)에 형성된 전체 제1 삽입공(12a)과 제2 삽입공(12b)에 각각 삽입되어 기재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구동롤(21)은 구동수단(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입력받아 상기 기재이송수단(11)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에 다수가 구비되고, 구동롤(21)의 외주면에 상기 벨트(12)가 접하도록 하여 벨트(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구동롤(21)의 회전축은 지면과 수직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벨트(12)는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된다. 구동롤(21)의 외주면에는 벨트(12)로부터 돌출된 핑거(13, 13')의 탄성부(13c, 13c')를 수용할 수 있는 홈(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롤(21)에 벨트(12)가 접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파지롤(23)은 구동롤(21)에 의해 무한히 순환중인 벨트(12)에서 벨트(12)에 구비된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일시적으로 벨트(12)의 표면에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구동롤(21)과 마찬가지로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파지롤(23)은 외측면에 벨트(12)의 일측면이 접합도록 하여 순환되는 벨트(12)를 지지하되, 외측면에 홈 형태의 가압부(23a)를 형성하여 핑거(13, 13')를 가압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벨트(12)로부터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이탈되도록 한다.
파지롤(23)의 외주면에는 형성되는 가압부(23a)는 대체로 핑거(13, 13')의 고정단부(13a, 13a')와 가동단부(13b, 13b')를 제외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탄성부(13c, 13c')에서 가동단부(13b, 13b')를 이르는 부분은, 핑거(13, 13')가 밀착되었을 때,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를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핑거(13, 13')의 탄성부(13c, 13c')에서 가동단부(13b, 13b')에 이르는 경사각보다, 파지롤(23)의 경사각을 약간 완만하게 하여 핑거(13, 13')가 파지롤(23)의 가압부(23a)에 밀착되었을 때, 양자간의 각도차이로 인하여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벨트(12)로부터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풀림롤(22)은 동박을 코팅하려는 기재(1)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파지롤(23)에 인접하여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의 기초가 되는 기재(1)가 필름 형태로 감겨져 있는 풀림롤(22)은 상기 파지롤(23)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파지롤(23)에서 접한 상태에서 이송중인 기재이송수단(11)의 핑거(13, 13')가 벨트(12)와 일시적으로 이격되어 간극이 발생하면, 이 간극으로 기재(1)를 공급하여 기재이송수단(11)에 기재(1)가 파지되도록 한다.
이탈롤(25)은 상기 파지롤(23)과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데, 상기 파지롤(23)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이탈롤(25)은 상기 파지롤(23)과 같은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이탈롤(25)의 외주면에 기재이송수단(11)이 접하여 회전하면 일시적으로 벨트(12)에서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이격되어 간극이 발생하는데, 이 간극을 통하여 기재이송수단(11)에 파지된 기재(1)를 기재이송수단(11)으로부터 이탈시킨다.
한편, 상기 이탈롤(25)과 인접하도록 프레임의 일측으로 감기롤(24)을 배치하여, 상기 이탈롤(25)에서 기재이송수단(11)과 분리된 기재(1)를 순차적으로 감게 된다.
아울러, 구동롤(21), 파지롤(23), 이탈롤(25) 등을 순환하는 기재이송수단(11)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다수의 텐션롤(26)을 구비한다. 텐션롤(26)은 순환하는 기재이송수단(11) 즉, 벨트(12)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하는 기재이송수단(11)이 구동롤(21), 파지롤(23) 및 이탈롤(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히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파지롤(23)과 이탈롤(25)의 사이에는 다수의 도금조(31)가 구비된다. 상기 기재(1)의 표면에 도금될 도전체가 이온형태로 존재하는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31)가 위치한다.
이러한 도금조(31)를 기재(1)가 기재이송수단(11)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구간이 파지롤(23)과 이탈롤(25) 사이에 다수 배치하여, 기재(1)가 반복해서 도금되도록 함으로써, 기재(1)의 표면에 도금되는 동박층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기재(1)가 통과하는 도금조(31)의 길이를 이용하여 동박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도금조(31)의 내부에는 지면과 수직방향인 가이드(32)가 구비되도록 한다. 가이드(32)는 서로 한 쌍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지면과 수직하게 벨트(12)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2)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기재(1)는 서로 이격된 가이드(32)사이를 통과한다.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이드(32)는 벨트(12)와 핑거(13, 13')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기재(1)가 이탈 또는 요동되거나 기재(1)의 하단이 말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32)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기재(1)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있는 벨트(12)가 캐소드가 되고, 가이드(32)가 애노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박도금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면이 도금되지 않은 채로 풀림롤(22)에 감긴 필름 형태의 기재(1)를 벨트(12)에 의해 도금조(31)를 통과하도록 하여 기재(1)의 표면을 도금시키게 된다.
우선, 구동롤(21)을 이동하여 벨트(12)를 순환시킨다. 무한궤도 형태의 벨트(12)를 구동시키면, 벨트(12)는 구동롤(21), 텐션롤(26), 파지롤(23), 이탈롤(2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한다. 상기 구동롤(21), 텐션롤(26), 파지롤(23) 및 이탈롤(25)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각 롤의 외주면에 기재이송수단(11)이 접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기재이송수단(11)도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한다.
여기서, 구동롤(21)은 외부에서 동력이 입력받아 기재이송수단(11)을 순환시키고, 파지롤(23)과 이탈롤(25)에서는 각각 기재이송수단(11)을 치합하고 이탈시키며, 기재이송수단(11)이 상기 구동롤(21), 파지롤(23) 및 이탈롤(25)을 따라 순환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롤(26)을 이용하여 기재이송수단(11)을 적절히 가압하도록 한다.
구동롤(21)을 통과한 기재이송수단(11)은 텐션롤(26)을 통과한 후, 파지롤(23)로 유입 된다.
이때, 벨트(12)가 파지롤(23)을 통과할 하는 순간에는 일시적으로 가압부(23a)에 의해서, 벨트(12)에 결합된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벨트(12)로부터 이격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도 4a와 같이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와 벨트(12)가 접해 있지만, 도 4b에서와 같이, 벨트(12)가 파지롤(23)의 외주에 접하여 순환하면, 파지롤(23)에 형성된 가압부(23a)에 의해서 핑거(13, 13')의 탄성부(13c, 13c') 및 그 주변을 가압하게 된다. 핑거(13, 13')의 탄성부(13, 13')가 가압되면, 일시적으로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벨트(12)의 표면에서 이탈되어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격으로 풀림롤(22)에 감겨진 기재(1)의 상측단이 유입되도록 하여, 기재이송수단(11)이 벨트(12)와 핑거(13, 13')에 지속적으로 기재(1)가 파지되도록 한다.
벨트(12)와 핑거(13, 13')에 파지된 기재(1)는 도금조(31)로 이송된다.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31)에 기재(1)의 상측단이 파지된 채로 이송되어 기재(1)가 침지되면, 캐소드인 벨트(12)와 애노드인 가이드(32)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벨트(12)와 가이드(32)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금조(31)에 수용된 도금액으로부터 필름형태의 기재(1)의 표면에 구리가 미리 정해진 두께, 즉 연성회로기판으로 완성되었을 때 요구되는 두께로 도금된다. 상기의 두께는 치수에 구체적인 한정에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기재(1)는 벨트(12)와 핑거(13, 13')에 파지된 채로 도금조(31)를 통과하면서, 순차적으로 도금된다.
상기의 도금과정은 도금조(31)를 다수 설치하여 반복함으로써, 기재(1)의 표면에 도금되는 동박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금조(31)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도면의 좌측에서 도금이 완료된 기재(1)를 다시 한 번 더 도금시키도록 하여, 기재(1) 표면의 동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금조(31)를 통과하면서,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동박이 도금된 기재(1)는 기재이송수단(11)과 함께 이탈롤(25)을 회전하면서, 기재이송수단(11)으로부터 분리된다. 파지롤(23)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이탈롤(25) 상에서, 벨트(12)가 회전하면 핑거(13, 13')의 가동단부(13b, 13b')가 일시적으로 벨트(12)의 표면과 이격된다. 이때, 벨트(12)와 핑거(13, 13')에 의해서 파지되었던 기재(1)를 이탈시켜 감기롤(24)에서 감도록 한다.
지속적으로 도금조(31)에서 도금이 완료된 기재(1)는 이탈롤(25)에서 기재이송수단(11)과 분리되도록 하고, 기재이송수단(11)과 분리된 기재(1)는 감기롤(24)에 감긴다.
한편, 이탈롤(25)에서 기재(1)와 분리된 기재이송수단(11) 즉, 벨트(12)와 핑거(13, 13')는 계속해서 텐션롤(26), 구동롤(21)을 따라 순환하면서, 파지롤(23)에서 기재(1)를 파지하고, 이를 도금조(31)로 이송시켜 표면을 도금시키며, 이탈롤(25)에서 기재(1)를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기재(1)의 표면에 동박을 도금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기재의 표면에 동박을 도금한 후 필요한 패턴을 기재(1)의 표면에 인쇄한 후, 이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표면에 각종 부품을 표면 실장시켜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사용하게된다.
특히, 이때, 패턴으로 인쇄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표면에 수지등을 도포시킨 상태에서 기재(1)의 표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박을 도금시키면, 바로 기재(1)의 표면에 패턴이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박도금장치에 따르면, 필름 형태의 기재를 신속하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이송시켜면서 표면에 미리 정해진 두께로 동박을 도금함으로써,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기재를 이송시키는 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장비의 유지보수가 간단해진다.

Claims (6)

  1. 필름형태의 기재의 표면에 미리 정해진 두께로 도전체를 도금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게 순환되고, 탄성력에 의해 기재의 일측단을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벨트형의 기재이송수단;
    상기 기재이송수단을 순환시키는 다수의 구동롤;
    상기 기재이송수단으로 도금되지 않은 기재를 공급하는 풀림롤;
    상기 풀림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기재이송수단에 기재의 일측단이 파지되도록 하는 파지롤;
    상기 기재이송수단으로부터 파지된 기재를 이탈시키는 이탈롤;
    상기 이탈롤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도금이 완료된 기재를 감는 감기롤;
    내부에 도금액이 수용되고, 상기 파지롤과 이탈롤 사이에 구비되어, 기재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기재의 표면에 동박을 도금시키는 다수의 도금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이송수단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 삽입공이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공에 대응하도록 일측단부에 제1 삽입공과 동수로 제2 삽입공이 형성되는 벨트와,
    일단부는 상기 제1 삽입공에 관통되어 체결되어 고정단부가 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삽입공을 관통하여 벨트에 선택적으로 이격되는 가동단부가 되며, 중앙부는 상기 벨트와 이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가 되어, 가동단부와 벨트 사이에 기재를 파지하는 핑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도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이송수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텐션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도금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스트립을 절곡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도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와이어를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단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와이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벨트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가동단부와,
    상기 고정단부와 가동단부의 사이를 수회 권취시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도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이송수단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기재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도금장치.
KR1020050072273A 2005-08-08 2005-08-08 동박도금장치 KR10074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273A KR100740603B1 (ko) 2005-08-08 2005-08-08 동박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273A KR100740603B1 (ko) 2005-08-08 2005-08-08 동박도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718A KR20070017718A (ko) 2007-02-13
KR100740603B1 true KR100740603B1 (ko) 2007-07-19

Family

ID=4163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273A KR100740603B1 (ko) 2005-08-08 2005-08-08 동박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24B1 (ko) * 2007-08-06 2010-01-12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KR101220868B1 (ko) * 2010-12-21 2013-02-15 (주)포인텍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
US11598018B2 (en) * 2018-03-30 2023-03-07 Sunpower Corporation Dual wafer plating fixture for a continuous plating l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089A (ja) 1983-12-26 1985-07-22 Kawasaki Steel Corp 片面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KR20000059567A (ko) * 1999-03-05 2000-10-05 이형도 기판의 균일 도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089A (ja) 1983-12-26 1985-07-22 Kawasaki Steel Corp 片面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KR20000059567A (ko) * 1999-03-05 2000-10-05 이형도 기판의 균일 도금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718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85323A (ja) 基板材のコンベア
KR100740603B1 (ko) 동박도금장치
KR100884304B1 (ko) 무장력 롤투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료의 이송방법
KR100634233B1 (ko) 라미네이트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장치
JP4010962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220868B1 (ko)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
JP2006283044A (ja) フィルムへの連続めっき装置および方法
KR102000988B1 (ko) 박막필름 이송장치
JP6115309B2 (ja) 化学処理装置
JPH07237746A (ja) 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装置
JP4364743B2 (ja) 長尺薄帯状部材用搬送装置を備えた長尺薄帯状部材用処理装置及び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用搬送装置を備えたスクリーン印刷機
KR101421058B1 (ko) 부분 도금 시스템 및 방법
JP2006312515A (ja) 薄物基板材の搬送装置
JP5720424B2 (ja) 化学処理装置
KR100936424B1 (ko)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JP2015067854A (ja) 化学処理装置
JP5761124B2 (ja) 連続めっき装置および連続めっき方法
TWI327485B (en) Conveyer of surface treatment device
CN213266750U (zh) 镀覆装置
JPH0587197B2 (ko)
JP5630657B2 (ja) 化学処理装置
JP6662231B2 (ja) 給電治具、ワーク保持治具、化学処理装置
KR20230103528A (ko) 솔더 레지스트 인쇄 장치
KR20030069044A (ko)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00064099A (ja) 金属の剥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