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665B1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665B1
KR100737665B1 KR1020050079860A KR20050079860A KR100737665B1 KR 100737665 B1 KR100737665 B1 KR 100737665B1 KR 1020050079860 A KR1020050079860 A KR 1020050079860A KR 20050079860 A KR20050079860 A KR 20050079860A KR 100737665 B1 KR100737665 B1 KR 10073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clasp
pieces
area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796A (ko
Inventor
나오키 스기시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66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꼭지쇠를 원인으로 하는 제광체(制光體)의 제광편(制光片)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기구 본체(11)와, 이 본체에 설치된 고리형 형광램프(21)와, 간격적으로 나열된 다수의 배플편(제광편)(44)을 가져 램프(21)와 대향하도록 기구 본체(11)에 설치된 배플(제광체)(41)을 구비한다. 램프(21)에, 고리형상의 벌브(22)의 양 끝단부에 걸쳐 꼭지쇠(23)가 장착됨과 동시에, 벌브(22)의 일끝단부에 설치된 제 1 전극의 마운트 높이보다도 벌브(22)의 다른끝단부에 설치된 제 2 전극의 마운트 높이를 높게 한 램프(21)를 이용한다. 램프(21)에 대한 배플(41)의 배치를, 각 배플편(44) 중에서 꼭지쇠(23)에 대향하는 1매의 배플편(제광편)(44a)을, 꼭지쇠(23)의 센터(C)보다 제 2 전극측에 가까이 한 배치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Lighting fix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가 시스템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조명기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 중의 F4-F4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조명기구가 구비한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 주위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명기구 11 : 기구 본체
21 : 고리형 형광램프 22 : 벌브
22a : 최냉부 23 : 꼭지쇠
30 : 제 1 전극 31 : 제 2 전극
32 : 마운트 높이가 낮은 마운트 33 : 마운트 높이가 높은 마운트
A, B : 마운트 높이 41 : 배플(제광체)
44 : 배플편(제광편)
44a : 기준이 되는 1매의 배플편(제광편)
C : 꼭지쇠의 센터 D : 가까이 한 치수
E1, E2 : 배플편(44a)을 경계로서 인접하는 배플편 사이 영역(제광편 사이 영역)
[특허문헌 1] 일본 실개평6-50142호공보(청구항 1, 도 1-도 2)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2-237275호 공보(단락 0008, 0030 도 2)
본 발명은, 고리형 형광램프와 이것에 대향하는 제광체를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격적으로 설치된 다수의 제광편 예를 들면 배플편을 가진 배플을 램프에 대향시켜 배치한 조명기구에서는, 램프 소켓에 지지된 램프의 꼭지쇠를, 배플편 사이의 영역에 대향시킨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고리형 형광램프에서는, 그 벌브(투광성 방전용기) 내의 수은증기압을 벌브의 최냉부의 온도에 의해서 대략 최적의 값으로 규제하여, 높은 발광효율을 얻 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벌브의 일끝단부에 설치한 제 1 전극의 마운트 높이보다도 벌브의 다른 끝단부에 설치한 제 2 전극의 마운트 높이를 높게 하여, 제 2 전극의 마운트 높이에 상당하는 벌브의 다른 끝단부에서, 그 관벽 온도가 가장 낮아지게 되는 최냉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제 1 전극의 마운트는 로우 마운트라고 불리며, 제 2 전극의 마운트는 하이 마운트라고 불린다. 그리고, 로우 마운트측의 벌브 끝단부로부터 제 1 전극까지의 밝기는, 하이 마운트측의 벌브 끝단부로부터 제 2 전극까지의 밝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밝고, 따라서, 그 반대로, 하이 마운트측의 벌브 끝단부로부터 제 2 전극까지의 밝기는, 로우 마운트측의 벌브 끝단부로부터 제 1 전극까지의 밝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어두운 것도 알려져 있다.
램프에 대향하여 배치된 다수의 제광편을 가진 제광체는, 그 제광편에 의해 소정의 차광각을 얻기 위해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광체를 구비한 조명기구로, 하나의 제광편 사이 영역에 램프의 꼭지쇠 전체가 대향하는 경우에는, 이 하나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크기를, 다른 제광편 사이 영역보다 크게 함으로써, 꼭지쇠 전체가 대향한 상기 하나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와 그 외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꼭지쇠 전체가 대향한 상기 하나의 제광편 사이 영역을 매우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제광편 간격이 고르지 못한 것이 눈에 띄기 쉬워져 기구 외관상 바람 직하지 않다. 그리고, 꼭지쇠 전체가 대향한 상기 하나의 제광편 사이 영역을 구분하는 제광편에 의한 제광기능, 예를 들면 소정의 차광각을 만드는 기능이, 다른 제광편이 만드는 차광각보다 크게 달라져 버림으로써, 제광체의 기능으로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각 제광편 사이 영역의 크기에 극단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특허문헌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1매의 제광편이 꼭지쇠와 대향하게 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조명기구에서는, 소켓에 지지된 램프의 꼭지쇠가 대향하는 배플편 사이 영역이, 이들 꼭지쇠 및 소켓의 존재에 의해서 어두워지고, 이 어두운 영역에 대해서, 꼭지쇠 및 소켓이 배치되지 않은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은 상대적으로 밝아지게 된다. 즉, 배플의 각 배플편 사이의 각각의 영역의 밝기가 불균일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고리형 형광램프에 대해서 배플이 어떻게 배치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기재가 없다. 고리형 형광램프에 대한 배플의 배치에 있어서,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적용한 경우에도, 이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가 배치된 배플편 사이 영역은, 그 외의 배플편 사이 영역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어두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의 센터에 1매의 배플편을 대향시켜, 인접한 2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에 걸쳐 꼭지쇠가 배치되는 구성의 조명기구를 시험 제작하였다. 이 경우, 꼭지쇠에 의한 밝기의 차이는 약간 개선되었지 만, 충분하지 않고,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리형 형광램프로서, 램프 내의 수은증기압을 벌브의 일부에 형성한 최냉부에 의해서 최적으로 규제하는 고리형 형광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벌브의 최냉부의 영향이 더해져, 꼭지쇠와 대향하는 배플편 사이의 각각의 영역의 밝기가 불균일하게 되므로, 더욱 더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최냉부는 하이 마운트 전극측에 있어서, 이 최냉부측의 벌브 끝단부로부터 제 2 전극까지의 밝기는, 로우 마운트 전극측의 벌브 끝단부로부터 제 1 전극까지의 밝기보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치로는, 꼭지쇠의 절반 부위와 어두운 최냉부가 대향하는 하나의 배플편 사이 영역이, 이것에 인접한 꼭지쇠의 다른 절반의 부위와 밝은 로우 마운트측이 대향하는 배플편 사이 영역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어두워지므로, 기구를 시각적으로 인식했을 때의 밝기의 불균일이, 눈에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꼭지쇠를 원인으로 하는 제광체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기구 본체와; 이 기구 본체에 설치되는 고리형 형광램프로서, 고리형상의 벌브의 양 끝단부에 걸쳐 꼭지쇠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벌브의 일끝단부에 설치된 제 1 전극의 마운트 높이보다 상기 벌브의 다른 끝단부에 설치된 제 2 전극의 마운트 높이를 높게 한 고리형 형광램프와; 간격적으로 나열된 다수의 제광편을 가져 상기 형광램프와 대향하도록 상기 기구 본체에 설치된 제광체로서, 상기 각 제광편 중에서 상기 꼭지쇠에 대향하는 1매의 제광편이, 상기 꼭지쇠의 센터보다도 상기 제 2 전극측에 가까이 배치된 제광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 및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 벌브는 투광성의 방전용기를 가리키고 있으며, 이 벌브의 양끝단은 일반적으로 스템에 의해서 구성되는 끝단판부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벌브가 관형상이라는 것은, 완전한 고리형 및 고리의 일부가 결여된 형상을 포함함과 동시에, 더욱 더 사각, 둥근 고리, 타원 기타 형상의 고리형상인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일부가 결여된 고리형상인 경우, 그 결여부를 덮는 합성수지제의 꼭지쇠를 벌브의 양 끝단부에 걸쳐 장착할 수 있다. 꼭지쇠는, 벌브의 고리모양의 형상에 따라 직관 형상 또는 만곡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및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은, 벌브의 양 끝단부에 개별적으로 봉입 장착되어, 그들 사이에서 수은증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필라멘트 전극, 세라믹스 전극 등의 기존의 전극을 이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 전극은, 텅스텐의 이중 코일 또는 삼중 코일에 전자방사 물질을 도포하여 이루어지고, 그 양끝단가 벌브의 끝단판부를 기밀로 관통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세라믹스 전극은, 예를 들면 개구부를 구비한 전기전도성의 용기 내에 알칼리 토류 원소 및 천이금속 원소의 산화물을 주체로 하여, 표면을 천이금속 원소 또는 질화물로 피복한 복합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열전자 방출물질을 수납시켜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1개의 도입선의 앞끝단에 지지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 및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 제광체는, 배플 또는 루버 등으로 서, 형광램프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차광각을 얻는 것이거나, 소정의 범위 외에서는 형광램프로부터의 직접광을 차단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각 제광편은 같은 간격으로 배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더 인접한 제광편 사이의 상호간격은 예를 들면 꼭지쇠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하면 좋다. 또한, 제광체는, 고리형 형광램프의 크기에 맞추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틀형상부에 다수의 제광편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구조의 것으로서도, 다수의 제광편을 가진 복수의 제광요소를 서로 연속시켜 고리형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도 좋다. 제광체를 기구 본체에 설치하는 수단은, 나사 고정, 또는 제광체에 설치한 갈고리를 기구 본체 등에 설치한 슬릿형상의 구멍 등 갈고리 받이에 거는 구성, 기타 기존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의 마운트 높이란, 전극이 필라멘트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극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이 전극이 설치된 벌브의 끝단판부의 바깥면까지의 거리를 가리키고 있으며, 전극이 세라믹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전자 방출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이 전극이 설치된 벌브의 끝단판부의 바깥면까지의 거리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의 마운트 높이는, 소정의 상대적인 높이의 차이를 두고 있으면 좋다. 한쪽의 전극의 마운트 높이를 높게 하려면, 예를 들면 벌브 내의 도입선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또는 도입선을 기밀로 관통시켜 지지하는 스템의 벌브 내에 돌출하는 높이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혹은, 이들 양자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꼭지쇠의 센터란, 꼭지쇠의 전체 길이의 정확히 1/2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꼭지쇠에 대향시킨 1매의 제광편을, 꼭지쇠의 센터보다 제 2 전극측 즉 하이 마운트측에 가까이 하는 치수는, 꼭지쇠와 대향하는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가 대략 같아지도록 정하면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에 대향시킨 1매의 제광편을, 꼭지쇠의 센터보다 형광램프의 제 2 전극측에 가까이 하였으므로, 상기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제광편 사이 영역 중의 한쪽의 영역에 대한 벌브의 최냉부로부터 벗어난 부위의 대향면적이 증가하여, 이 영역의 밝기가 향상됨과 동시에, 형광램프의 제 1 전극이 봉입 장착된 측의 벌브의 대향면적이 줄어들어, 이 영역의 밝기가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광편을 경계에 인접한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각각의 밝기의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2의 발명은, 기구 본체와; 이 기구 본체에 설치되는 고리형 형광램프와; 간격적으로 나열된 다수의 제광편을 가지며, 이들 제광편 중의 1매의 제광편을 상기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에 대향시켜 상기 형광램프와 대향하도록 상기 기구 본체에 설치된 제광체로서, 상기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각각의 간격이, 이들 한 쌍의 제광편 사이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 다른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제광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리형 형광램프에는, 그 수은증기압을 최냉부로 규제하는 형광램프, 또는 수은증기압을 규제하는 최냉부를 갖지 않는 형광램프의 어느 것 으로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꼭지쇠에 대향하는 1매의 제광편의 꼭지쇠에 대한 배치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그러나, 수은증기압을 최냉부로 규제하는 고리형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꼭지쇠에 대향하는 1매의 제광편을, 꼭지쇠의 센터보다도 최냉부를 형성하는 하이 마운트측의 전극(상기 제 2 전극)에 가깝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이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하는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꼭지쇠와 대향한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에 꼭지쇠가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이들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저하가 억제된다. 게다가,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간격이, 이들 두 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에 인접한 다른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간격보다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꼭지쇠와 대향한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에서의 벌브와의 대향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이들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에 대향하는 꼭지쇠에 의한 밝기의 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꼭지쇠에 대향하고 있지 않는 다른 제광편 사이 영역에 대해서, 꼭지쇠와 대향한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인접한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이 상대적으로 어두워지는 것이 억제되어, 제광체의 각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중에서 부호 1은 시스템 천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스템 천정(1)은, 도시하지 않은 천정틀을 격자형상으로 짜넣어, 그 나누어진 사각형상 공간부의 각각에 이 공간에 알맞은 형상의 천정 패널(2)을 주로 장착함과 동시에, 임의의 사각형상 공간부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3)를 장착하여 형성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기구(3)는, 기구 본체(11), 고리형의 형광램프(21), 및 제광체로서 예를 들면 배플(41)을 구비하고 있다.
외형이 평면에서 보아 사각 예를 들면 정방형을 이루는 기구 본체(11)는, 중앙부가 정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본체 틀(12)과, 이 본체 틀(12)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부의 개구를 덮은 센터 플레이트(13)를 가지고 있다. 센터 플레이트(13)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또는 연기 감지기 등의 각종 센서나 비상등 등의 기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체 틀(12)내에는, 그 각 측벽(12a)(도 4에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측벽만 도시한다)과 센터 플레이트(13)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반사판(14)(도 4에 두 개만 대표적으로 도시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직각으로 인접하는 반사판(14)의 단면끼리는 본체 틀(12)의 네 모서리에서 서로 연속하고 있다.
형광램프(21)는 기구 본체(11)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형광램프(21)는, 예를 들면 관지름이 16㎜로 가느다란 벌브(22)를 가로세로 각 500㎜의 사각고리형상으로 구부림과 동시에, 이 벌브(22)의 서로 접근한 양 끝단부에 걸쳐서 장착한 합성수지제의 꼭지쇠(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광램프(21)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천정에 장착되는 조명기구(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꼭지쇠(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을 지지하는 도입선에 접속되 는 꼭지쇠 핀(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 꼭지쇠 핀에는 램프 소켓(S)(도 2 참조)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꼭지쇠(23)의 길이는 (40∼50)㎜이다.
형광램프(21)는, 본체 틀(12)의 천정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램프 홀더에 지지됨과 동시에, 반사판(1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기구 본체(11)에 내장되어 있다. 이 경우, 본체 틀(12)의 측벽(12a)과 센터 플레이트(13)의 사이에 배치된 형광램프(21)는, 그 꼭지쇠(23)를 본체 틀(12)의 하나의 측벽(12a)과 평행하고 또한 측벽(12a)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하여 내장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브(22)의 양끝단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에는 스템(24) 또는 스템(25)이 봉입 장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스템(24, 25)은, 플레어 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스템용 유리관의 일끝단에 핀치 시일부(24a 또는 25a)를 형성하고, 다른 끝단에 플레어부(24b 또는 25b)를 형성하고 있다. 스템(24)의 핀치 시일부(24a)에는 한 쌍의 도입선(26)이 기밀로 관통되고, 마찬가지로 스템(25)의 핀치 시일부(25a)에는 한 쌍의 도입선(27)이 기밀로 관통되어 있다.
스템(24, 25)은 세관(28 또는 29)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세관(28)은 벌브(22)의 일끝단에 배열 설치되고, 다른 한쪽의 세관(29)은 벌브(22)의 다른 끝단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세관(28, 29)은, 모두 기초끝단이 플레어부(24b 또는 25b)의 안쪽의 핀치 시일부(24a 또는 25a)의 근방 부분에 개구를 형성하여 용착되고, 선단이 기밀인 칩 오프부(28a 또는 29a)를 형성하여 스템(24 또는 25)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세관(28, 29)은, 그 개구를 통하여 벌브(22) 내에 연이 어 통하고 있다.
한 쌍의 도입선(26)의 선단에 필라멘트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30)의 양끝단을 계선(繼線)하는 것에 의해서, 이 전극(30)이 벌브(22)의 일끝단측에 봉입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한 쌍의 도입선(27)의 선단에 필라멘트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31)의 양 끝단을 계선하는 것에 의해서, 이 전극(31)이 벌브(22)의 다른 끝단측에 봉입 장착되어 있다.
스템(24), 세관(28), 및 제 1 전극(30)은, 로우 마운트(32)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스템(25), 세관(29), 및 제 2 전극(31)은, 하이 마운트(33)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마운트(32, 33)는 모두 꼭지쇠(23)의 끝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전극(31)을 가진 하이 마운트(33)의 마운트 높이 A는, 제 1 전극(30)을 가진 로우 마운트(32)의 마운트 높이 B보다 높다. 또한, 하이 마운트(33)의 스템(25)에 대향하는 벌브(22)의 끝단부의 관벽은, 형광램프(21)의 점등 상태에서 관벽 온도가 가장 낮아지는 최냉부(22a)를 형성하고 있다.
배플(41)은, 도시하지 않은 설치수단에 의해 형광램프(21)와 대향하여 기구 본체(11)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플(41)은, 제광요소(制光要素)서 예를 들면 4개의 배플 요소(42)를 사각 고리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플 요소(42)는 동일한 구성이며,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의 틀(43)에, 이 틀(43)의 짧은 방향으로 늘어나는 다수매의 제광편으로서 예를 들면 배플편(44)을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배플편(44)은 서로 평행으로서 또한 등간격으로 설치 되어 있다. 이들 배플편(44)은 형광램프(21)의 벌브(22)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하는 위치 관계로 벌브 바로 아래에 대향하고 있다. 배플(41)은, 그것이 가진 다수의 배플편(44)에 의해서 소정의 차광각을 얻고 있으며, 이 차광각은 배플편(44) 사이의 상호 간격의 크기 등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다. 또, 각 배플편(44)이 같은 간격인 것은, 각 배플편(44)에서의 차광각을 같이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양호하게 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서로 다른 간격으로 각 배플편(44)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4개의 배플 요소(42)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 본체(11)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한 개의 배플 요소(42)의 1매의 배플편(다른 배플편과의 식별을 위해서 부호 44a로 나타낸다)이 꼭지쇠(23)와 대향한다. 이 배플편(44a)은 하나의 측벽(12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배플편(44a)을 기준으로 그 외의 배플편(44)이 같은 거리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다른 배플 요소(42)가 각각 가진 배플편(44)도 상기 같은 거리마다 배열 설치되어 있다.
꼭지쇠(23)와 대향하는 배플편(44a)을 가진 1개의 배플 요소(42)에 있어서, 그 배플편(44a)은 꼭지쇠(23)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배치되지만, 그 이외의 배플편(44)은 꼭지쇠(23)의 아래쪽으로의 투영영역으로부터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플편(44a)은, 꼭지쇠(23)의 센터(C)를 기준으로 하여, 이 센터(C)보다 제 2 전극(31)측, 즉 하이 마운트(33) 측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가까이 하는 치수 D는,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배플편 사이 영역(제광편 사이 영역)(E1, E2)의 밝기가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이 가까이 한 치수 D는 여러 가지 실험의 결과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플편 사이 영역(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란, 형광램프(21)로부터의 직접광 및 반사판(14)으로 반사된 반사광에 의해 초래되는 밝기를 가리키고 있다.
상기 구성의 조명기구(3)는, 그 고리형 형광램프(21)와 대향한 배플(41)이 가진 다수의 배플편(44) 상호간의 영역의 하나에, 형광램프(21)의 꼭지쇠(23) 전체가 대향하지 않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하나의 배플편 사이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어두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3)는, 꼭지쇠(23)에 대향시킨 1매의 배플편(44a)을, 꼭지쇠(23)의 센터(C)보다 형광램프(21)의 제 2 전극(31) 측에 가까이 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꼭지쇠(23)에 대향시킨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배플편 사이 영역(E1, E2) 중의 한쪽, 구체적으로는 가까운 측의 배플편 사이 영역(E1)에 대해서는, 그 영역(E1)으로의 꼭지쇠(23)의 대향면적이 줄어듬과 동시에, 벌브(22)의 최냉부(22a)로부터 벗어난 부위의 대향 면적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이 배플편 사이 영역(E1)에 최냉부(22a)가 대향하는 것에 관계없이, 이 영역(E1)의 밝기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가깝게 한 구성에 의해, 다른 쪽의 배플편 사이 영역(E2)에 대해서는, 그 영역(E2)으로의 꼭지쇠(23)의 대향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형광램프(21)의 제 1 전극(30)이 봉입 장착된 로우 마운트(32)측의 벌브(22)의 대향 면적이 줄어든다. 그 때문에, 이 배플편 사이 영역(E2)의 밝기가 저하한다.
따라서, 이상의 이유에 의해, 꼭지쇠(23)에 대향시킨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각각의 밝기가 같아져서, 이들 한 쌍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이,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에 대해서 눈에 띄게 어두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꼭지쇠(23)를 원인으로 하는 각 배플편 사이 영역에서의 밝기의 차이에 기인하는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1매의 금속제 배플편(44a)을 하이 마운트(33)측의 제 2 전극(31)에 가까이 한 것에 의해, 제 2 전극(31)측의 벌브 끝단부 주변영역의 열이 상기 1매의 배플편(44a)을 통하여 방열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 2 전극(31)측의 최냉부(22a)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기 쉬워짐과 동시에, 형광램프(21)의 발광 효율이 향상하고 기구 효율도 향상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이하 설명하는 사항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고리형 형광램프(21)에 대향하여 기구 본체(11)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 배플(41)이 가진 다수의 배플편(44) 중의 1매의 배플편(44a)이, 고리형 형광램프(21)의 꼭지쇠(23)에 대향되고 있다. 배플편(44a)의 꼭지쇠(23)에의 대향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리형 형광램프(21)가 최냉부(22a)에 의한 램프 내 수은증기압을 규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꼭지쇠(23)의 센터(C)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이 한 치수 D만큼, 하이 마운트(33)측의 제 2 전극(31)에 가까이 한 위치에서 꼭지쇠(23)에 대향하도록 배플편(4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하여 꼭지쇠(23)의 일부가 각각 대향한 2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제광편 사이 영역)(E1, E2)의 간격 X는 같다. 이들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을 사이에 두도록 그 양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Y는 같다. 배플편(44a) 이외의 다른 배플편(44)은 같은 간격마다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또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4)의 간격 Z는, 상기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Y와 같다.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간격 X는,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Y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조명기구(3)에서의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Y가 (80∼100)㎜라고 하는 조건 하에서는, 간격 X를 간격 Y보다(30±10)㎜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설정 범위를 밑돌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플편 사이 영역(E1, E2)과 배플편 사이 영역(E3)과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지기 쉽고, 상기 범위를 넘으면, 배플편(44)의 배치가 고르지 못한 것이 눈에 띄어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손상하기 쉬워진다.
또, 또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4)의 간격 Z는, 간격 Y와 같지 않아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간격 Y와 같게 하는 것은, 배플편(44a) 이외의 각 배플편(44)에서의 차광각을 같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배플편(44)의 배치가 고르게 되어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양호하게 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사항 이외에는, 도 6에 나타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여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꼭지쇠(23)와 대향한 1매의 배플편(44a) 을 경계로 인접한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에 걸치도록 꼭지쇠(23)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이들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밝기가 꼭지쇠(23)를 원인으로 하여 저하하고,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 E4)보다 어두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2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간격 X를, 이들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Y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꼭지쇠(23)와 대향한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이 벌브(22)와 대향하는 면적이 넓어진다. 그에 따라, 이들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에 대향하는 꼭지쇠(23)에 의한 밝기의 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꼭지쇠(23)에 대향하고 있지 않는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 E4)에 대해서, 꼭지쇠(23)와 대향한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2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이, 상대적으로 눈에 띄게 어두워지는 것이 억제되어, 배플(41)의 각 배플편 사이 영역의 밝기를 대략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1매의 금속제 배플편(44a)을 제 2 전극(31)측에 가까이 한 것에 의해, 이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각각의 밝기가 같아지고, 이들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이,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 E4)에 대해서 눈에 띄게 어두워지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31)측의 벌브 끝단부 주변영역의 열이 상기 1매의 배플편(44a)을 통하여 방열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 2 전극(31)측의 최냉부(22a)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기 쉬워져, 형광램프(21)의 발광 효율이 향상하고 기구 효율도 향상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실시형태는 이하에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고리형 형광램프(21)에 대향하여 기구 본체(11)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 배플(41)이 가지는 다수의 배플편(44) 중의 1매의 배플편(44a)이, 고리형 형광램프(21)의 꼭지쇠(23)에 대향되고 있다. 배플편(44a)의 꼭지쇠(23)에의 대향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예를 들면 꼭지쇠(23)의 센터(C)에 위치되도록 배플편(4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하는 꼭지쇠(23)의 일부가 각각 대향한 2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제광편 사이 영역)(E1, E2)의 간격 X, Y는, X<Y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간격이 좁은 배플편 사이 영역(E1)에는 고리형 형광램프(21)의 벌브(22)의 일끝단부에 형성된 로우 마운트(32)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간격이 넓은 배플편 사이 영역(E2)에는 형광램프(21)의 벌브(22)의 다른 끝단부에 형성된 하이 마운트(33)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배플편(44a) 이외의 다른 배플편(44)은 같은 간격마다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을 사이에 두도록 그 양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배플편 사이 영역을 포함한 다른 배플편 영역(E3)의 간격 Z는 모두 같음과 동시에, 이들 간격 Z는 배플편 사이 영역(E1)의 간격 X와 같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조명기구(3)에서의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Z가(80∼100)㎜라고 하는 조건 하에서는, 간격 Y를 간격 X보다 (30±10)㎜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설정 범위를 밑돌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플편 사이 영 역(E1, E2)과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지기 쉽고, 상기 범위를 넘으면, 배플편의 배치가 고르지 못한 것이 눈에 띄어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손상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의 간격 Z는, 간격 X와 같지 않아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간격 Z를 간격 X와 같게 하는 것은, 배플편(44a) 이외의 각 배플편(44)에서의 차광각을 같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배플편(44)의 배치가 고르게 되어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양호하게 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사항 이외에는, 도 7에 나타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여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꼭지쇠(23)와 대향한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에 걸치도록 꼭지쇠(23)가 배치되므로, 이들 두 개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밝기가 저하하여 다른 영역(E3)보다 어두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형광램프(21)의 제 2 전극(31)에 대향하는 배플편 사이 영역(E2)은, 그 이외의 배플편 사이 영역(E1, E3)보다 넓기 때문에, 이 배플편 사이 영역(E2)으로의 벌브(22)의 대향면적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배플편 사이 영역(E2)에 하이 마운트(33)에 기초한 최냉부(22a)가 대향하는 것에 관계없이, 이 영역(E2)의 밝기가 향상된다.
따라서, 이상의 이유에 의해, 꼭지쇠(23)에 대향시킨 1매의 배플편(44a)을 경계로 인접한 배플편 사이 영역(E1, E2)의 각각의 밝기가, 다른 배플편 사이 영역(E3)에 대해서 눈에 띄게 어두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꼭지쇠(23) 및 하 이 마운트(33)를 원인으로 하는 각 배플편 사이 영역에서의 밝기의 차이에 기인하는 조명기구(3)의 겉모양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조명기구에 의하면, 효율 향상을 위한 최냉부를 가진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에 대향시킨 제광체의 1매의 제광편의 배치에 의해서, 꼭지쇠를 원인으로 하는 제광체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조명기구에 의하면, 고리형 형광램프의 꼭지쇠에 대향시킨 제광체의 1매의 제광편을 경계로 하는 2개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간격을, 이들에 인접한 다른 제광편 사이 영역의 간격보다 크게 한 것에 의해서, 꼭지쇠를 원인으로 하는 제광체의 제광편 사이 영역의 밝기의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

  1. 기구 본체와;
    이 기구 본체에 설치되는 고리형 형광램프로서, 고리형상의 벌브의 양 끝단부에 걸쳐 꼭지쇠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벌브의 일끝단부에 설치한 제 1 전극의 마운트 높이보다 상기 벌브의 다른 끝단부에 설치한 제 2의 전극의 마운트 높이를 높게 한 고리형 형광램프와;
    간격적으로 나열된 다수의 제광편을 갖고서 상기 형광램프와 대향하도록 상기 기구 본체에 설치된 제광체로서, 상기 각 제광편 중에서 상기 꼭지쇠에 대향하는 1매의 제광편이, 상기 꼭지쇠의 센터보다도 상기 제 2 전극측에 가까이 배치된 제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삭제
KR1020050079860A 2004-08-31 2005-08-30 조명기구 KR100737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3042 2004-08-31
JPJP-P-2004-00253042 2004-08-31
JP2005221687A JP4492478B2 (ja) 2004-08-31 2005-07-29 照明器具
JPJP-P-2005-00221687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796A KR20060050796A (ko) 2006-05-19
KR100737665B1 true KR100737665B1 (ko) 2007-07-09

Family

ID=3623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860A KR100737665B1 (ko) 2004-08-31 2005-08-30 조명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92478B2 (ko)
KR (1) KR1007376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142U (ja) * 1992-12-18 1994-07-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ダウンライト
JPH0845320A (ja) * 1994-07-29 1996-02-16 Inter Raito Kk 天井照明用ルーバー
JPH11134922A (ja) 1997-10-31 1999-05-21 Iwasaki Electric Co Ltd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用の遮光ル−バ−
JP2004265649A (ja) 2003-02-28 2004-09-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05100720A (ja) 2003-09-24 2005-04-1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931Y2 (ko) * 1984-10-08 1989-03-02
JPS6288305U (ko) * 1985-11-25 1987-06-05
JPS6370606U (ko) * 1986-10-29 1988-05-12
JPH0751690Y2 (ja) * 1988-06-27 1995-11-22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H0727724B2 (ja) * 1989-03-30 1995-03-29 株式会社テック バッフル付き照明器具
JPH0389405A (ja) * 1989-08-31 1991-04-1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JP4178439B2 (ja) * 2001-12-17 2008-11-1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環形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2002245808A (ja) * 2001-12-25 2002-08-3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環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4171963A (ja) * 2002-11-20 2004-06-1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142U (ja) * 1992-12-18 1994-07-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ダウンライト
JPH0845320A (ja) * 1994-07-29 1996-02-16 Inter Raito Kk 天井照明用ルーバー
JPH11134922A (ja) 1997-10-31 1999-05-21 Iwasaki Electric Co Ltd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用の遮光ル−バ−
JP2004265649A (ja) 2003-02-28 2004-09-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05100720A (ja) 2003-09-24 2005-04-1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796A (ko) 2006-05-19
JP4492478B2 (ja) 2010-06-30
JP2006100253A (ja)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6935A (en)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having cold cathode
US4281267A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coating on arc discharge tube
EP021241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39314B2 (en) Multi-ringed fluorescent lamp and lighting apparatus utilizing same
JP2004510307A (ja) 支持要素を配置した誘電体バリア放電用放電ランプ
JPH05258736A (ja) 改良されたレンズを有するリフレクタランプ
KR100737665B1 (ko) 조명기구
JP3816465B2 (ja) 蛍光ランプ
KR200170646Y1 (ko) 고압 방전 램프 및 조명 시스템
EP0903772B1 (en) Direct current discharge lamp and light source having the discharge lamp attached to reflector
CA2624733A1 (en) Faceted par lamp
US8102121B2 (en) Single-ended ceramic discharge lamp
US5521458A (en) Electric discharge lamp assembly
JP2006310084A (ja) 蛍光ランプ及び照明器具
CN100523592C (zh) 照明器具
JPH0361307B2 (ko)
US7476005B2 (en) Vehicle headlamp
US5936341A (en) Single-ended discharge lamp
US20050200257A1 (en) Fluorescent lamp with reduced end blackening and mount therefor
US6121728A (en) Fluorescent lamp having the cathode and anode with particular angular arrangement
JP2520230B2 (ja) 低圧水銀蒸気放電灯
CN100358086C (zh) 多重环形荧光灯和照明装置
KR200200889Y1 (ko) 메탈할라이드램프
JP4449567B2 (ja) 照明器具
JPH04276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