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199B1 -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199B1
KR100736199B1 KR1020070007434A KR20070007434A KR100736199B1 KR 100736199 B1 KR100736199 B1 KR 100736199B1 KR 1020070007434 A KR1020070007434 A KR 1020070007434A KR 20070007434 A KR20070007434 A KR 20070007434A KR 100736199 B1 KR100736199 B1 KR 10073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ainer
particle size
composition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김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KR102007000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2Groove or hollow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가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둘레에 상기 체결돌부에 착탈되도록 체결편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의 수납수단에 수납되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몸체 및 용기뚜껑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와,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와,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혼합되어 성형된다.
따라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세라믹 물질인 토르말린과 은계 항균제 및 특정 제올라이트 A타입을 함께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기뚜껑과 용기몸체를 사출성형하고, 그 조성물 중 플라스틱 원료를 제외한 나머지 원료들을 세라믹 파우더 상태로 또는, 마스터뱃지 형상의 칩 형태로 제조하여 포장한 후 수납수단에 수납하므로, 밀폐용기의 벽면 주변은 물론 내부공간 전체의 선도유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내부에 잔존하거나 새로 유입된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 등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능력이 제한적이었던 종래와는 달리, 그 기능이 향상된 용기몸체, 용기뚜껑, 그리고 그 내부의 수납수단에 수납된 조성물팩에 의해 식품선도 보존기능의 임의 제어능력 설계가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식품의 선도유지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의 내부나 수납수단에 조성물팩과 함께 아이스팩을 수납시키면 식품선도 유지는 물론 냉장, 및 냉동 보관이 가능하므로 저온 보관이 필요한 용기들을 이 밀폐용기에 수납하여서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다.
토르말린, 용기몸체, 용기뚜껑, 손잡이, 수납부, 조성물팩, 보조커버, 통기구멍, 보조캡, 수납수단

Description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Superior vessels, to preserve food's freshness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의 용기뚜껑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용기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내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용기뚜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용기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용기몸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용기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용기몸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용기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용기몸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조성물팩의 여러 실시예들을 보인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60,80,110,140 : 용기몸체 11,41,61,81,111,141 : 체결돌부
20,50,70,90,120,150 : 용기뚜껑 21,51,71 : 체결편
21a,51a : 착탈구멍 22,52,72 : 패킹홈
23,53,73,117 : 패킹 24,54 : 손잡이
25,55,75,102,113 : 수납부 26 : 결합밴드
30 : 조성물팩 31 : 파우더
32 : 씰링팩 33 : 칩
34 : 수납팩 56,76 : 보조패킹
57,77,160 : 보조커버 57a,75a,84,114,161 : 통기구멍
82,112 : 밑면 83 : 결합부
85 : 암나사부 100,130 : 보조캡
101 : 수나사부 103 : 제1지지턱
104 : 제2지지턱 115 : 수납공간
116 : 체결홈 131 : 체결돌기
132 : 파지부 142 : 결합홈
본 발명은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품 등에 원적외선을 조사하고 이와 함께 특정 기공을 갖는 전기석(이하, "토르말린"으로 함) 및 은계 항균제를 혼합하여 용기 내의 선도유지 기능을 기본적으로 1차 부여하고, 이에 연계하여 2차적으로는 1차 방식에서 미처리되어 잔류하거나 내부의 공간에 새로 투과되는 다량의 산소 및 식품 등에서 유발되는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까지 흡착시킴으로써 부패방지 및 저온 관리로 신선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햄, 베이컨과 같은 육가공품과 과일, 야채 및 김치와 같은 발효 식품 등은 유통 과정 및 가정에서 각종 플라스틱 용기 또는 필름(이하, '플라스틱 제품'이라 한다)에 의해 포장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식품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유해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식품과 접촉시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여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완전 멸균 밀봉 포장인 것을 제외하고는 그 내부에 이미 존재하는 각종 박테리아, 곰팡이, 세균 등의 균주와 보관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균주들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품이 부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제품의 식품보존가능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맥반석과 은계 항균제 처방으로 제조된 단일 원료로된 플라스틱 제품이 다수 연구되어 왔다.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1997-51911호 " 맥반석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발명은, 다소 향상된 식품 보존능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그 효능이 미비하여 신선도 유지의 목적을 이룰 수 없었으며, 식품에 따라서는 오히려 부패를 촉진하는 반신선도적 요인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98-39855호에서는 맥반석, 청옥 또는 맥반석과 청옥의 혼합물 1∼5중량과, 제올라이트 A타입 1∼5중량 및 90∼98중량의 플라스틱 물질을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품 보존 능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제품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맥반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맥반석의 광물 특성상 경도가 강하여 제조공정 도중에 설비의 마모가 심하므로 작업성이 불량하였으며, 또한 양이온이 많아 소성과정을 거치면 양이온이 극대화되어서 식품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상당한 문제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맥반석 대신 옥을 사용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옥의 경우에는 석영의 결집상태이나 분말이 되었을 때는 유리섬유화되어 인체에 유해한 점이 지적되었다.
결과적으로 원적외선 방사 물질만으로는 식품 포장재의 선도 유지 효과를 가질 수 없으며, 특히 장기 보관을 요하는 식품의 경우에는 제조된 식품과 포장팩에 별도의 완전 살균처리를 거친다고 하더라도 보관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름의 가스 차단성으로 인하여 산소가 투과되어 부패하게 된다. 즉, 밀봉용기나 밀봉팩 내의 잔존 산소와 투과 산소들이 잔류 세균들에게 번식의 요건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보존능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플라스틱 제품'(공개특허 제10-2001-0104010호)과, '식품보존 능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제품'(공개특허 제10-2000-0020972호)를 개발하여 출원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들은, 원적외선 세라믹 물질과 은계 항균제가 더 포함되어서 식품의 선도 유지와 보존 기간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으나, 이러한 발명도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제조된 제품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부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선도 보존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용기의 투명도가 향상되도록 한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 보관용 식품들을 야외로 운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는,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고, 밑면에 통기구멍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보조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몸체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고, 상기 용기몸체에 착탈되는 용기뚜껑과;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35~4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25~35 중량%,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25~40중량%로 이루어진 파우더와, 상기 파우더가 수납되고 방습 및 가스흡착이 가능하도록 기공이 형성된 씰링팩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캡 내부에 수납되는 조성물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의 다른 특징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유리, 도자기, 토기 중 어느 하나의 원료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고, 밑면에 통기구멍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는 보조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몸체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고, 상기 용기몸체에 착탈되는 용기뚜껑과;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15~2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10~15 중량%,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15~25중량%, LDPE 수지 또는 PP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 45~55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압출된 마스터뱃지 형태의 칩과, 상기 칩이 수납되도록 그 내부가 개폐되고 가스 흡착이 가능하도록 미세 천공이 형성된 필름재질의 수납팩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조성물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세라믹 물질인 토르말린과 은계 항균제 및 특정 제올라이트 A타입을 함께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기뚜껑과 용기몸체를 사출성형하고, 그 조성물 중 플라스틱 원료를 제외한 나머지 원료들을 세라믹 파우더 상태로 또는, 마스터뱃지 형상의 칩 형태로 제조하여 포장한 후 수납수단에 수납하므로, 밀폐용기의 벽면 주변은 물론 내부공간 전체의 선도유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내부에 잔존하거나 새로 유입된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 등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능력이 제한적이었던 종래와는 달리, 그 기능이 향상된 용기몸체, 용기뚜껑, 그리고 그 내부의 수납수단에 수납된 조성물팩에 의해 식품선도 보존기능의 임의 제어능력 설계가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식품의 선도유지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의 내부나 수납수단에 조성물팩과 함께 아이스팩을 수납시키면 식품선도 유지는 물론 냉장, 및 냉동 보관이 가능하므로 저온 보관이 필요한 용기들을 이 밀폐용기에 수납하여서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조성물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와,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와,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물질과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으로된 특정 조성 물질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처리대상 내에 잔존하거나 새로이 투과하는 산소와 용기 내에서 유발되는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부패를 늦추게 된다.
이와 같은 선택적 흡착 반응은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그 중에서도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과 이에 추가된 토르말린의 지속적 흡착능력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즉, 분자 간 기공(pore)을 이용한 화학물질의 흡착 작용, 이온교환능력 및 기공 크기를 이용한 선택적 흡착작용에 의해 높은 시너지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중에서도 특히 선택적 흡착 작용을 이용한 것으로, 제올라이트 A타입의 기공 크기가 3∼5Å이므로, 이와 동일한 크기의 분자, 예를 들어 O2, CO, CO2 만을 선별 흡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식품 부패를 사전에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중 'A타입'이란, Na 12, (AlO2)12, (SiO2)12 를 의미한다.
상기 합성한 3Å의 제올라이트 A타입에 흡착 가능한 분자로는, He, Ne, Ar, Co, NH3, H2 , N2, H2O, O2 를, 4Å의 제올라이트 A타입에 흡착 가능한 분자는 Kr, Xe, CH2, C2H6 , CH3OH, CH3CN, CH3Cl, CH3NH2, CO, CO2, H2S, SO2, CS2 등을 그리고 5Å의 제올라이트 A타입에 흡착 가능한 분자는 C2H6, C2H5Cl, CHF2Cl, Freon 12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의 입경은 0.1∼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경을 갖는 합성 제올라이트 3∼5Å의 A타입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10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0중량% 이하이면 효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며, 10중량% 이상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되므로 경제적으로 실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분산 및 믹싱상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8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이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원적외선 물질인 토르말린은 0.06mA의 전기가 흐르는 광물로써 이것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의 효과가 크다. 따라서, 처리하고자 하는 용기 내부의 유해가스 원인물질인 양이온을 이 음이온이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분해하거나 중화한다.
이와 같이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과 원적외선 물질에 토르말린이 더 혼합됨으로 인하여 영구적으로 방출되는 전기적 음이온 방출되므로 내부 처리효능이 대폭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큰 장점은 종래 원적외선 물질은 광물 특성상 기본적으로 탁도를 가지고 있어서 투명한 제품을 제조하는 데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투명한 토르말린석을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 물질들이 용기 내부에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며,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에 대하여 미생물의 정균 작용과 연계해 유해가스들을 흡착, 제거함으로써 선도유지능력이 얻어진다.
여기서, 토르말린은 0.1~5㎛정도로 미분한 다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10중량%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르말린의 입경이 0.1㎛이하이면 분체를 가공하기가 어려우며, 5㎛이상이면 효능 개선면에서 적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공정 및 외관상 문제가 있다.
또한 토르말린을 1.0중량% 이하로 첨가하면 효능 저하 문제가 있으며, 10중량% 이상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되므로 경제적으로 실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분산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토르말린의 첨가량으로 1.5~10중량%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를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은계 항균제의 입경이 0.1㎛이하이면 분체로 가공하기가 어려우며, 5㎛이상이면 용기의 외관상에 그 입자가 드러나게 되므로 효능 개선면이나 제품 공정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첨가되는 은계 항균제가 0.1중량% 이하이면 표면적 당 함량 부족으로 항균 및 항곰팡이의 능력부족이 발생되며, 0.6중량% 이상이면 적정량 이상으로 경제적 비용부담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플라스틱 수지는 79.4~97.9중량%가 혼합된다. 플라스틱 수지가 79.4중량% 이하이면 과다량 투입으로 필요 이상의 비용 부담 및 용기 특성상 투명도가 흐려지는 문제가 있으며, 97.9중량% 이상이면 조성물질의 기능 발휘가 미약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은계 처방의 항균효과는 실제 용기의 표면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담겨지는 내용물 전체를 커버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용물이 액상일 경우에는 비록 그 항균 성능은 표면에만 한정된다 해도 담겨지는 물은 실제로 전체 대류 운동을 하므로 결국은 물 분자가 계속 순환되면서 항균 표면에 닿아 멸균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즉, 조성물질인 세라믹이 물질들이 흡착하여 내부의 공간면적 상 존재하는 유해환경 요소들을 제거하였으나 식품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물은 이 은계 항균제가 효과적으로 기능하여 미생물들을 제거시킨 증류수 수준의 환경을 만들어 주어 전천후 효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와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와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을 이용하여서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한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는 물론 식품의 보관용기 성형하기에 적합한 각종 합성수지, 반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예스트(PET)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밀폐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지만 이 밀폐용기에 내장할 조성물팩을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즉, 동일 계열의 조성물을 파우더 형태 또는 마스터뱃지식의 칩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소포장의 팩에 담아 제조한 후 용기뚜껑이나 용기몸체의 내면에 수납,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아이스팩과 동시에 2개를 수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차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밀폐용기에서 선도유지 기능 및 항균효과를 기본적으로 수행하며, 2차적으로는 용기뚜껑 또는 용기몸체에 수납된 조성물팩에 의해 밀폐용기 내부 공간 및 처리대상물에서 발생하거나 새로이 투과되는 식품선도 관리에 유해한 요소들인 산소 및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선도유지 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성물의 1차 예속적 상태와 2차 독립적 상태의 기능을 동시에 부여하므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용기뚜껑이나 용기몸체에 수납된 조성물팩과 동시에 아이스팩을 수납하면 냉장고 내에서만 보관하는 음식물을 야외 나들이 중에 선도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밀폐용기 자체만으로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선도유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 내의 수납수단은, 선도유지 조성물팩과 밀폐용기 내의 저온 관리를 위한 아이스팩을 동시에 수납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수납하도록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납수단은, 용기뚜껑이나 용기몸체의 사출시 동시에 사출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제조되어서 이들에 조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밀폐용기 내의 수납수단의 위치는 용기몸체 내에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기술적으로 용기뚜껑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가스 등 유해가스들이 위로 뜨는 것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온관리용 아이스팩의 경우 냉기는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납수단에 수납되는 조성물팩은, 동일 계열의 조성물을 마스트뱃지 형태의 칩 상태로 가공하거나 세라믹 파우더 상태로 가공하여서 밀폐용기 내부에 두었을 때 가스흡착과 선도유지 능력 등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여러 차례의 시험으로 알 수 있었다.
즉, 내부 공간흡착용인 조성물을 분체한 형태의 파우더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와 같은 제조공법의 파우더와 수지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여 가공한 마스터뱃지 형태의 칩 상태로 제조하여서 종이 또는 미세한 천공이 형성된 필름 등의 포장재를 이용한 소포장 "팩"화한다. 그리고 이 조성물팩을 음식물과 함께 밀폐용기의 내부에 수납하고 냉장고 내부 온도가 섭씨 0~10℃를 유지하도록 한 후 120일 이상 경과한 결과, 확연한 선도유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년이 경과한 노후된 가정용 냉장고 내의 상부에 임의로 위치시키고 24시간이 경과된 후 냉장고 문을 열어 본 결과, 조성물이 노후 냉장고에서 베어 나오는 고유의 역한 냄새를 흡착하여서 산뜻한 상태로 변화시켜 놓았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흡착능력의 조성물이 마스터뱃지 형태의 칩 상태일 때에는 태양광에 보통 1시간 정도로 직접건조하여 재사용하면 거의 횟수에 관계없이 효능이 유지되며, 조성물이 파우더 상태일 경우에는 그 효능이 3~6개월 정도 지속된다.
아이스팩은 시중의 연속사용성이 좋은 것을 선정하여 채용하며 밀폐용기의 용량에 따라 수납수단의 치수를 정하도록 하고 이를 준용해 특정 양의 아이스팩을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마스터뱃지 형태의 조성물팩은,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15~2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10~15 중량%와,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15~25중량%와, LDPE 수지 45~55중량%가 혼합되어 압출된 마스터뱃지 형태의 칩과, 상기 칩이 수납되도록 그 내부가 개폐되고 가스 흡착이 가능하도록 미세 천공이 형성된 필름재질의 수납팩으로 이루어진다.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은, 15~20중량%가 사용된다.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의 혼합비율이 15중량% 이하이면 효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며, 20중량% 이상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되므로 경제적으로 실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분산 및 믹싱상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토르말린은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10~15 중량%가 사용된다. 토르말린의 입경이 0.1㎛이하이면 분체를 가공하기가 어려우며, 5㎛이상이면 효능 개선면에서 적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공정 및 외관상 문제가 있다. 또한 토르말린을 10중량% 이하로 첨가하면 효능 저하 문제가 있으며, 15중량% 이상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되므로 경제적으로 실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분산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은, 15~25중량%가 포함되며 이를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화한다. 이러한 물질이 15중량% 이하이면 조성물질 중 흡착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25중량%이상이면 필요 이상의 과량으로 그 효능 향상에 비해 제품단가가 현저히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해야 하는데, 400℃ 이하나 2시간 이하로 소성하면 유해물질이 제대로 흡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800℃ 이상이나 5시간 이상 소성하면 유리화되어 흡착성능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혼합물질은 0.1~5㎛ 입도로 분체화한다. 이 물질이 0.1㎛이하로 분체화되면 가공 공정의 특성상 과다한 비용 문제가 발생되고, 5㎛ 이상으로 분체화되면 흡착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LDPE 수지 또는 PP 수지는 45~55중량%가 혼합된다. 이 수지가 45중량% 이하이면 흡착용 조성물질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되며, 55중량% 이상이면 무기물과 제대로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마스터뱃지 형태의 조성물팩 제조공법은 다음과 같다.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5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50중량 이상를 사용하게 되면 파우더 양이 상대적으로 과다하여 수지와의 혼합 및 분산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마스터뱃지를 가공할 때에는 투인 스크류의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적외선 물질로 처방되는 토르말린은 천연광물로 속성상 혹시 내포할 수 있는 미생물이나 인체 유해물질을 제거하지 위해 섭씨 400~800℃에서 2~5시간 이상 소성시킨 다음 분체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체입도는 0.1㎛~5㎛ 이 내가 적합하다.
이 같은 마스터뱃지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 조성물과 플라스틱 수지를 상기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분산제를 넣고 압출기에서 혼합하여 칩으로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분산제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에틸렌-비스-스테아릴 아마이드를 0.2중량 정도 사용하면 적합하다.
이때 마스터뱃지 제조용 압출기에서는 가급적 용융온도를 낮게 주어 압출기 시린더 내를 통과는 체류시간이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온도는 210~300℃가 적당하다.
상기 온도 범위는 플라스틱 수지의 용융 온도에 따라 설정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일반 수지작업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예를 들면 300℃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사출 공정을 거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우더 형태의 조성물팩은,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35~4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25~35 중량%와,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25~40중량%로 이루어진 파우더와, 이 파우더가 수납되고 방습 및 가스흡착이 가능하도록 기공이 형성된 씰링팩으로 이루어진다.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은, 35~40중량%가 사용된다.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의 혼합비율이 35중량% 이하이면 효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며, 40중량% 이상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되므로 경제적으로 실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분산 및 믹싱상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토르말린은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25~35 중량%가 사용된다. 토르말린의 입경이 0.1㎛이하이면 분체를 가공하기가 어려우며, 5㎛이상이면 효능 개선면에서 적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공정 및 외관상 문제가 있다. 또한 토르말린을 25중량% 이하로 첨가하면 효능 저하 문제가 있으며, 35중량% 이상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되므로 경제적으로 실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분산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은, 25~40중량%가 포함되며 이를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화한다. 이러한 물질이 25중량% 이하이면 그 효과가 미약하여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며, 40중량%이상이면 증가되는 효과에 비해 제조단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해야 하는데, 400℃ 이하나 2시간 이하로 소성하면 유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800℃ 이상이나 5시간 이상 소성하면 광물질의 유리화 또는 기공 및 양이온의 과다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혼합물질은 0.1~5㎛ 입도로 분체화한다. 이 물질이 0.1㎛이하로 분체화되면 과다한 제조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5㎛ 이상으로 분체화되면 조성물질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조성물팩의 조성물 제조방법은 특정 기공 사이즈의 제올라이트 A타입이 원적외선 물질 1 내지 2종 이상과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며 이에 토르말린이 더 혼합되는 바, 이 토르말린은 광물로 속성상 내포할 수 있는 미생물이나 인체 유해물질을 제거하지 위해 섭씨 400~800℃에서 2~5시간 이상 소성시킨 다음 분체공정을 거친다.
이때, 800℃를 넘으면 세라믹 물질의 특성상 유리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분체 시 입도 사이즈가 0.1㎛~5㎛일 때 본 발명의 조건상 가장 바람직한 흡착능력을 얻으며, 이 용도의 조성 물질 조건으로는 은계 항균제를 혼합하지 않아도 사용은 가능하다.
이러한 조성물팩은 밀폐용기의 용기뚜껑이나 용기몸체에 구비된 수납수단에 수납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수납수단없이 음식물과 함께 밀폐용기 내에 자유롭게 수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밀폐용기 및 그 내부의 조성물팩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은, 압출 필름과 시트류에 적용하여 식품포장재, 농산물포장재, 건축자재, 산업자재용 등의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주방용기, 물병, 식음료 용기 등의 주방용품, 비닐지, 전자제품 성형물, 운송용 농산물 박스 성형물, 의료용품 성형물, 냉장고용 성형물, 건축자재 파이프 및 그 성형물, 자동차 관련 부품 성형물 등과, 화학 섬유, 부직포 내지는 혼방섬유, 섬유 표면 코팅공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밀폐용기 및 그 조성물팩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1 및 도2에서, 밀폐용기는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11)가 형성된 용기몸체(10)와, 이 용기몸체(10)의 상부를 개폐하고 둘레에 체결돌부(11)에 착탈되도록 체결편(21)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뚜껑(20)과, 이 용기뚜껑(20)의 수납수단에 수납되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기몸체(10) 및 용기뚜껑(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와,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와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혼합되어 성형된다.
그리고 조성물팩(30)은, 도 13과 같이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35~40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25~35 중량%와,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25~40중량%로 이루어진 파우더(31)와, 이 파우더(31)가 수납되고 방습 및 가스흡착이 가능하도록 기공이 형성된 포장재 형태의 씰링팩(3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성물팩(30)은, 도 14와 같이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15~20 중량%와,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10~15 중량%와,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15~25중량%와, LDPE 수지 또는 PP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 45~55중량%가 혼합되어 압출된 마스터뱃지 형태의 칩(33)과, 칩(33)이 수납되도록 그 내부가 개폐되고 가스 흡착이 가능하도록 미세 천공이 형성된 필름재질의 수납팩(3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성물팩(30)은 도 13 및 도 14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용기뚜껑(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납수단은, 조성물팩(30)이 수납되도록 용기뚜껑(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그 내부가 용기몸체(10)의 내부와 연결된 수납부(25)와, 수납부(25)에 결합되어서 이에 안착된 조성물팩(30)을 수납부(25) 측으로 지지하는 결합밴드(2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뚜껑(20)의 체결편(21)의 착탈구멍(21a)을 용기몸체(10)의 체결돌부(11)에 체결시키면 패킹홈(22)의 패킹(23)이 용기몸체(10)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면서 그 내부가 밀폐되며 용기뚜껑(20)에 수납된 조성물팩(30)에 의해 그 내부의 선도유지 및 냉장 유지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용기뚜껑(20) 상부에는 손잡이(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24)에 의해 밀폐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용기몸체(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유리, 도자기, 토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용기몸체(10)를 성 형하기 위한 조성물 중에서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 대신에, 유리, 도자기, 토기 중 어느 하나의 원료 79.4~97.9 중량%가 혼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밀폐용기는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41)가 형성된 용기몸체(40)와, 용기몸체(40)의 상부를 개폐하고 둘레에 체결돌부(41)에 착탈되도록 체결편(51)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뚜껑(50)과, 용기뚜껑(50)의 수납수단에 수납되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다. 용기몸체(40) 및 용기뚜껑(50)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조성물팩(30)은 도 13 및 도 14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밀폐용기의 수납수단은, 조성물팩(30)이 수납되도록 용기뚜껑(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그 내부가 용기몸체(40)의 내부와 연결되며 둘레에 보조패킹(56)이 구비되는 수납부(55)와, 수납부(55)를 개폐하도록 그 일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통기구멍(57a)들이 형성된 보조커버(5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기뚜껑(50)의 체결편(51)의 착탈구멍(51a)을 용기몸체(40)의 체결돌부(41)에 체결시키면 패킹홈(52)의 패킹(53)이 용기몸체(40)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면서 그 내부가 밀폐되며 용기뚜껑(50)에 수납된 조성물팩(30)에 의해 그 내부의 선도유지 및 냉장 유지가 가능해진다. 용기뚜껑(50) 상부에는 손잡이(54)가 형성되어서 밀폐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61)가 형성된 용기몸체(60)와, 용기몸체(60)의 상부를 개폐하고 둘레에 상기 체결돌부(61)에 착탈되도록 체결편(71)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뚜껑(70)과, 용기뚜껑(70)의 수납수단에 수납되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다. 용기몸체(60) 및 용기뚜껑(70)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조성물팩(30)은 도 13 및 도 14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용기뚜껑(70)의 수납수단은, 조성물팩(30)이 수납되도록 용기뚜껑(70)의 외면에 형성되어서 그 내부가 용기뚜껑(70)의 외부와 연결되고 그 바닥에 용기뚜껑(70)의 외부와 용기몸체(60)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다수의 통기구멍(75a)이 형성되며 둘레에 보조패킹(76)이 구비된 수납부(75)와, 수납부(75)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수납부(75)를 개폐하는 보조커버(7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기뚜껑(70)의 체결편(71)의 착탈구멍(71a)을 용기몸체(60)의 체결돌부(61)에 체결시키면 패킹홈(72)의 패킹(73)이 용기몸체(60)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면서 그 내부가 밀폐되며 용기뚜껑(70)에 수납된 조성물팩(30)에 의해 그 내부의 선도유지 및 냉장 유지가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8에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81)가 형성되며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몸체(80)와, 용기몸체(80)의 상부에 개폐되는 용기뚜껑(90)과, 용기몸체(80)의 수납수단에 수납되 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다.
용기몸체(80)의 수납수단은, 용기몸체(80)의 밑면(82)에 형성된 통기구멍(84)과 밑면(82)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부(85)로 이루어진 결합부(83)와, 결합부(83)의 암나사부(85)에 체결되도록 둘레에 수나사부(10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 조성물팩(30)이 수납되도록 제1지지턱(103) 및 제2지지턱(104)으로 이루어진 수납부(102)가 형성된 보조캡(10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조캡(100)의 수나사부(101)를 결합부(83)의 암나사부(85)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켜서 수납수단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과 비교할 때, 조성물팩(3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수단이 용기몸체(80)에 구비된 점만 다르며, 나머지 작용,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에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111)가 형성되며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몸체(110)와, 용기몸체(110)의 상부에 개폐되는 용기뚜껑(120)과, 용기몸체(110)의 수납수단에 수납되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납수단은, 용기몸체(110)의 밑면(112) 하부에 외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서 조성물팩(3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15)과 수납공간(115)의 둘레에 형성되는 체결홈(116)들과 수납공간(115)과 용기몸체(110)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밑면(112)에 형성된 통기구멍(114)들으로 이루어진 수납부(113)와, 수납부(113)의 체결홈(116)들에 착탈되어서 수납부(113)의 수납공간(115)을 개폐하도록 둘레에 체결 돌기(131)들이 형성되고 저면에 파지부(132)가 형성되는 보조캡(130)과, 수납부(113)와 보조캡(130) 사이에 구비되어서 수납공간(115)을 밀폐하는 패킹(117)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조캡(130)의 체결돌기(131)들을 수납부(113)의 체결홈(116)들에 대향시킨 후 삽입시키고 보조캡(13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체결돌기(131)들이 체결홈(116)들의 내측에 지지되므로 보조캡(130)이 용기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과 비교할 때, 수납수단을 개폐하기 위한 구서만 다를 뿐, 나머지 작용,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내부에 선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고 둘레에 체결돌부(141)가 형성되며 수납수단이 구비된 용기몸체(140)와, 용기몸체(140)의 상부에 개폐되는 용기뚜껑(150)과, 용기몸체(140)의 수납수단에 수납되며 선도유지 조성물이 포장된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다.
용기몸체(140)의 수납수단은, 용기몸체(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42)들에 결합되고 내부에 조성물팩(30)이 수납되며 측면에 다수의 통기구멍(161)들이 형성된 보조커버(16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10에 비해 수납수단이 용기몸체(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점과 조성물팩(30)을 이 수납수단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수납 및 분리시킬 수 있다는 점이 다르며, 용기뚜껑(150), 용기몸체(140), 조성물팩(30)을 만들기 위한 조성물의 혼합비율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의 사진들은 본 발명의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조성물 및 그 밀폐용기의 효과를 순차적으로 보인 사진들이다. 시험 조건은 2℃∼7℃, 습도 45%∼60%의 상태에서 진행하였고, 시험 대상은 배이며, 2006년 8월 31일에 시험을 시작하였다. 두 개의 배 중에서 하나는 일반적인 밀폐용기(왼쪽 사진 참조)에 넣고 143일을 경과시켰고, 나머지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오른쪽 사진 참조)에 본 발명의 조성물팩을 넣은 상태에서 투입한 후 143일을 경과시켰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07238663-pat00001
위의 사진들 중 두 번째 사진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을 시작한 지 85일 정도 경과하자 종래의 밀폐용기에 수납된 배의 일부가 부패되기 시작하였 으나, 본 발명의 밀폐용기에 수납된 배는 초기의 신선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을 시작한지 122일 정도 경과하자 종래의 밀폐용기 내에 수납된 배는 그 부패의 범위가 비교적 넓게 증가하였으며 상품으로서의 가치는 물론 섭취할 수 있는 부위가 급격히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밀폐용기에 수납된 배는 여전히 초기의 신선한 상태가 유지된 것을 볼 수 있다.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 여섯 번째 사진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을 시작한지 131일, 138일, 143일이 경과하는 동안 종래의 밀폐용기 내에 수납된 배는 폐기해야 할 정도로 대부분 부패된 반면에 본 발명의 밀폐용기에 수납된 배는 여전히 초기의 신선한 상태가 유지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세라믹 물질인 토르말린과 은계 항균제 및 특정 제올라이트 3∼5Å인 A타입을 함께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기뚜껑과 용기몸체를 사출성형하고, 그 조성물 중 플라스틱 원료를 제외한 나머지 원료들을 세라믹 파우더 상태로 또는, 마스터뱃지 형상의 칩 형태로 제조하여 포장한 후 수납수단에 수납하므로, 밀폐용기의 벽면 주변은 물론 내부공간 전체의 선도유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내부에 잔존하거나 새로 유입된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 등 유 해가스를 흡착하는 능력이 제한적이었던 종래와는 달리, 그 기능이 향상된 용기몸체, 용기뚜껑, 그리고 그 내부의 수납수단에 수납된 조성물팩에 의해 식품선도 보존기능의 임의 제어능력 설계가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식품의 선도유지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의 내부나 수납수단에 조성물팩과 함께 아이스팩을 수납시키면 식품선도 유지는 물론 냉장, 및 냉동 보관이 가능하므로 저온 보관이 필요한 용기들을 이 밀폐용기에 수납하여서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구성요소가 인체에 무해한 물질들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에는 산소, 수분,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할 목적으로 금속가루, 실리카겔, 생석회 등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물질들이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물질들을 사용하므로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되, 둘레에 체결돌부(81)가 형성되고, 밑면(82)에 형성된 통기구멍(86)과 밑면(82)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부(85)로 이루어진 결합부(8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83)의 암나사부(85)에 체결되도록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부(101)와 내부 바닥에 조성물팩(30)이 수납되도록 제1지지턱(103) 및 제2지지턱(104)으로 이루어진 수납부(102)가 형성된 보조캡(100)으로 이루어진 용기몸체(80)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고, 상기 용기몸체(80)에 착탈되는 용기뚜껑(90)과;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35~4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25~35 중량%,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25~40중량%로 이루어진 파우더(31)와, 상기 파우더(31)가 수납되고 방습 및 가스흡착이 가능하도록 기공이 형성된 씰링팩(3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캡(100) 내부에 수납되는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4.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유리, 도자기, 토기 중 어느 하나의 원료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되, 둘레에 체결돌부(111)가 형성되고, 밑면(112) 하부에 외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서 조성물팩(3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15)과 상기 수납공간(115)의 둘레에 형성되는 체결홈들(116)과 상기 수납공간(115)과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밑면(112)에 형성된 통기구멍(114)들로 이루어진 수납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3)의 체결홈(116)들에 착탈되어서 상기 수납부(113)의 수납공간(115)을 개폐하도록 둘레에 체결돌기(131)들이 형성되고 저면에 파지부(132)가 형성되는 보조캡(130)이 구비된 용기몸체(110)와;
    입자크기가 0.1~5㎛인 투명한 토르말린 1.0∼10중량%, 기공 크기가 3∼5Å인 합성제올라이트 A타입 1.0∼1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임의의 은계 항균제 0.1∼0.6중량%, 플라스틱 수지 79.4~97.9 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성형되고, 상기 용기몸체(110)에 착탈되는 용기뚜껑(120)과;
    3∼5Å인 합성 제올라이트 A타입 15~20중량%, 입자크기가 0.1~5㎛인 토르말린석 10~15 중량%, 맥반석, 황토, 게르마늄석, 일라이트, 숯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종 이상의 물질을 400~800℃에서 2~5시간 동안 소성한 후 0.1~5㎛ 입도로 분체한 혼합물 15~25중량%, LDPE 수지 또는 PP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 45~55중량%가 각각 혼합되어 압출된 마스터뱃지 형태의 칩(33)과, 상기 칩(33)이 수납되도록 그 내부가 개폐되고 가스 흡착이 가능하도록 미세 천공이 형성된 필름재질의 수납팩(34)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납부(113)에 수납되는 조성물팩(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07434A 2007-01-24 2007-01-24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KR10073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434A KR100736199B1 (ko) 2007-01-24 2007-01-24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434A KR100736199B1 (ko) 2007-01-24 2007-01-24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199B1 true KR100736199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434A KR100736199B1 (ko) 2007-01-24 2007-01-24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19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75B1 (ko) 2009-09-04 2011-06-02 전순희 음이온 항균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선도 유지 음이온 항균 수지 필름
KR101198579B1 (ko) * 2012-04-17 2012-11-06 이재문 밀폐 용기 및 밀폐 용기용 신선도 유지제 보관부재
KR101264313B1 (ko) 2012-06-27 2013-05-27 임혁열 식품포장용 가스흡착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물
KR101285817B1 (ko) * 2011-04-26 2013-07-12 주식회사 아이팩피앤디 선도유지제케이스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KR101459384B1 (ko) * 2013-02-06 2014-11-07 김매화 식품저장용기 뚜껑구조
KR101773325B1 (ko) * 2017-04-11 2017-08-31 박정민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KR101954350B1 (ko) * 2018-01-08 2019-03-05 울산과학기술원 자동화 착즙기
KR102121961B1 (ko) * 2018-12-11 2020-06-11 대한민국 신선도 유지 밀폐용기
KR102194633B1 (ko) * 2019-06-28 2021-01-06 권기택 쌀독
KR102227694B1 (ko) * 2020-12-09 2021-03-12 문종호 농산물 포장용 용기
KR102271397B1 (ko) 2021-02-09 2021-06-30 (주)누리팩 용기캡 및 그 용기캡의 제조를 위한 금형
CN116751500A (zh) * 2022-12-26 2023-09-15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氧离子环氧卷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010A (ko) * 2000-05-12 2001-11-24 김상근 식품 선도 보존능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로부터 제조된기능성 플라스틱 제품
KR200386492Y1 (ko) 2005-03-16 2005-06-13 정 민 임 냉장고용 김치통
KR200410741Y1 (ko)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도원 맥반석이 든 생수병
KR200411607Y1 (ko) 2005-12-20 2006-03-16 이상연 옹아리 형태 저장용기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010A (ko) * 2000-05-12 2001-11-24 김상근 식품 선도 보존능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로부터 제조된기능성 플라스틱 제품
KR200386492Y1 (ko) 2005-03-16 2005-06-13 정 민 임 냉장고용 김치통
KR200411607Y1 (ko) 2005-12-20 2006-03-16 이상연 옹아리 형태 저장용기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KR200410741Y1 (ko)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도원 맥반석이 든 생수병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75B1 (ko) 2009-09-04 2011-06-02 전순희 음이온 항균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선도 유지 음이온 항균 수지 필름
KR101285817B1 (ko) * 2011-04-26 2013-07-12 주식회사 아이팩피앤디 선도유지제케이스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KR101198579B1 (ko) * 2012-04-17 2012-11-06 이재문 밀폐 용기 및 밀폐 용기용 신선도 유지제 보관부재
KR101264313B1 (ko) 2012-06-27 2013-05-27 임혁열 식품포장용 가스흡착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물
KR101459384B1 (ko) * 2013-02-06 2014-11-07 김매화 식품저장용기 뚜껑구조
KR101773325B1 (ko) * 2017-04-11 2017-08-31 박정민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KR101954350B1 (ko) * 2018-01-08 2019-03-05 울산과학기술원 자동화 착즙기
KR102121961B1 (ko) * 2018-12-11 2020-06-11 대한민국 신선도 유지 밀폐용기
KR102194633B1 (ko) * 2019-06-28 2021-01-06 권기택 쌀독
KR102227694B1 (ko) * 2020-12-09 2021-03-12 문종호 농산물 포장용 용기
KR102271397B1 (ko) 2021-02-09 2021-06-30 (주)누리팩 용기캡 및 그 용기캡의 제조를 위한 금형
CN116751500A (zh) * 2022-12-26 2023-09-15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氧离子环氧卷材及其制备方法
CN116751500B (zh) * 2022-12-26 2024-02-20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氧离子环氧卷材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199B1 (ko)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KR20010104010A (ko) 식품 선도 보존능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로부터 제조된기능성 플라스틱 제품
CN101269719A (zh) 一种气调保鲜袋及其无菌气调保鲜法
US20050106380A1 (en) Gas generating polymers
KR102020183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밀키트
JP2017516602A (ja) 貯蔵装置及び方法
KR101264313B1 (ko) 식품포장용 가스흡착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물
TW334395B (en) Method for preservation of articles
KR20130048652A (ko) 다공성 광물질을 이용한 식품 포장재
KR20140042292A (ko) 철이 코팅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19187A (ko) 이산화탄소 흡수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탄산나트륨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JPH1045177A (ja) 物品の保存方法
JP3107659U (ja) 機能性積層シート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包装容器、仕切り材、緩衝材又は鮮度保持材
CN210285353U (zh) 一种真空抑菌保鲜盒
KR20090074534A (ko) 세라믹 밀폐 용기
KR101712943B1 (ko) 항균성이 향상된 기능성 선도 유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2551B1 (ko) 점토광물이 함유된 주방용 비닐
JPH09202361A (ja) 鮮度保持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成形した鮮度保持用フィルム・シート或いは鮮度保持用容器
JP2002112697A (ja) 動物系の生鮮食品の鮮度保持機能を有する複合材およびその加工法、並びに食品の鮮度保持方法
WO2020080542A1 (ja) 鮮度保持フィルム及び鮮度保持容器
JPS5925310A (ja) 保存用組成物
JP2004043005A (ja) 食品収納容器
TR2022000201A2 (tr) Zeoli̇t ve granül karbon i̇çeren yeni̇ bi̇r gida depolama kabi
KR100593874B1 (ko) 과채류 및 식품 저장용기
JPH073908Y2 (ja) 密封してなる有臭性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