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25B1 -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 Google Patents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25B1
KR101773325B1 KR1020170046531A KR20170046531A KR101773325B1 KR 101773325 B1 KR101773325 B1 KR 101773325B1 KR 1020170046531 A KR1020170046531 A KR 1020170046531A KR 20170046531 A KR20170046531 A KR 20170046531A KR 101773325 B1 KR101773325 B1 KR 10177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container
upper lid
wal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박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민 filed Critical 박정민
Priority to KR102017004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제습수단이 구비되어 용기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 탈취 기능을 가지는 규조토를 용기의 내부에 배치하되, 상기 규조토와 식품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뚜껑이 구비되되 용기와 상부 뚜껑 사이에 공기순환부가 형성된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벽이 구비된 상부 뚜껑과, 상기 수납부의 상방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에 함유된 수분이 이동하는 복수의 배수공과,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구와, 저면 테두리를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마찰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부 커버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어 수납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수납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제1구획판을 포함한 구획수단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저장공간에 보관된 식품에 함유된 수분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 정화 및 탈취하는 제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Containers with improved freshness retention}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제습수단이 구비되어 용기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 탈취 기능을 가지는 규조토를 용기의 내부에 배치하되, 상기 규조토와 식품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뚜껑이 구비되되 용기와 상부 뚜껑 사이에 공기순환부가 형성된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과일, 야채, 육류 등과 같이 수분이 함유된 식품의 경우 이를 적절한 온도에 보관해야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식품을 용기에 담은 후 이를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용기는 내부의 저장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하거나 뚜껑에 진공수단을 구비하여 결합된 용기의 저장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하는 용기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즉, 식품에 함유된 수분이 보관 중인 상태에서 식품으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수분에 의해 식품이 손상되고 심한 경우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내외부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 일반 용기의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된 습기에 의해 저장된 식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손상된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및 곰팡이 들이 냉장 또는 냉동 시설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73131호(1999.12.16.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가 있으며,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89837호(2002.09.06. 이하 ‘종래기술 2’라 함)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옥을 이용한 냉장고용 탈취구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된 케이스의 함실에 불규칙한 크기의 알갱이로 형성된 옥(玉)이 수납되고, 상기 함실의 상부에 여닫을 수 있게 구비된 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및 덮개에는 외부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종래기술 1은 수납된 옥으로부터 방사되는 파장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공기 중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나, 식품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바 없어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2는, 황토, 맥반석, 옥 등의 분말소성체 또는 그 원석판을 합성수지제 용기에 뚫린 체결공에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부재로부터 발휘되는 탈취와 항균 및 원적외선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유지 기능이 개선되었으나, 제습통이 용기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 중 상기 부재의 교체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재구매를 통한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173131호(1999.12.16.) 0002. 등록실용신안 제20-0289837호(2002.09.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내부에 제습, 항균, 탈취의 효과를 가지는 제습수단을 배치하여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고, 상기 제습수단의 교체 또는 교환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용기 내부의 세척시 상기 제습수단을 별도로 보관한 후 재사용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한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벽이 구비된 상부 뚜껑과, 상기 수납부의 상방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에 함유된 수분이 이동하는 복수의 배수공과,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구와, 저면 테두리를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마찰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부 커버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어 수납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수납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제1구획판을 포함한 구획수단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저장공간에 보관된 식품에 함유된 수분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 정화 및 탈취하는 제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상부 뚜껑이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와 저장공간이 연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상부 뚜껑의 차단벽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공기순환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뚜껑에는 종단면의 형상이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하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습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는, 측벽이 내벽과, 외벽의 2중 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상기 제습수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는 복수의 타공구멍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대한 제습, 항균 및 탈취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몸체에 보관된 식품이 장기간 보관 중인 상태에서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에 구비된 제습수단을 통해 제습, 항균, 탈취가 이루어지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이때 저장공간과 외부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공기순환홈을 통해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식품이 완전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보관 중인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수단이 규조토를 알갱이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사용 중 적은 비용으로도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고 교체 및 교환을 위한 내부 커버의 착탈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획수단 및 내부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상부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뚜껑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이하, ‘용기’라 약칭함)(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상부 뚜껑(20)과, 내부 커버(30)와, 구획수단(40)과, 제습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식품(F)이 보관되는 저장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1)의 상단은 개구된 출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상부 테두리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13)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단에는 제습수단(50)이 배치되는 수납부(14)와 상기 수납부(14)를 개폐하는 내부 커버(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면(15) 및 상기 수납부(14)의 바닥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횡단면이 사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원형, 삼각, 다각 또는 별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또는 요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를 형성하는 소재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는 것으로, 합성수지, 금속, 자기재, 목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입구(12)를 통해 식품은 저장공간(11)에 보관되거나 배출되는 것으로, 출입구(12)와 저장공간(11)의 구성은 통상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치턱(13)은 상기 몸체(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저장공간(11)측으로 즉,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상부 뚜껑(20)의 테두리가 안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부 뚜껑(20)이 출입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11)으로 외부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홈(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홈(17)은 상기 몸체(10)의 상부 테두리에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요입 형성된 것으로, 외부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11)측으로 유입되고 저장공간(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전체적으로 저장공간(11)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저장공간(11)에 저장된 식품(F)이 밀폐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습기가 제거되면서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14)는,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더 정확하게는 저장공간(11)의 하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14)는, 후술하는 제습수단(50)이 배치되되 후술하는 구획수단(40)을 통해 배치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며, 후술하는 내부 커버(30)에 의해 상방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제습수단(50)의 교체 및 탈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저장공간(11)의 횡단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기 저장공간(11)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면(15)은, 상기 몸체(10)의 내벽에 형성되어 내부 커버(3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내벽에서 상기 수납부(14)의 둘레를 따라 직상방에 형성되되 저장공간(11)측을 향해 요입 형성되어 종단면의 형상이 완만한 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결합면(15)은 후술하는 내부 커버(30)에 형성된 마찰면(34)이 맞닿아 고정되는 것으로, 맞닿은 마찰면(34)이 일정한 높이 이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사용자가 내부 커버(3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힘을 가하지 않아도 마찰면(34)이 결합면(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완만한 호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30)의 마찰면(34)은 상기 결합면(15)에 전체가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되는데, 이는 몸체(10)의 결합면(15)이 상기 내부 커버(30)가 진입하는 과정에서 맞닿은 마찰면(34)에 의해 외측으로 인장되었다가 다시 복귀하는 탄성복귀력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다. 이는 몸체(10)를 형성하는 소재가 자체적으로 가지는 탄성력이며 이러한 탄성력은 자기재를 제외한 모든 소재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를 자기재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내부 커버(30)를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내부 커버(30)가 수축되거나 상방 또는 하방으로 휘어진 후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면(15)이 완만한 호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는 것은, 상기 마찰면(34)이 결합면(15)과 맞닿는 면적(B)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정확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면(34)의 상하 면적을 전체 100(A)으로 설정했을 때, 60~80%의 면적만이 마찰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사용 중 내부 커버(30)가 수납부(1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내부 커버(3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찰면(34)의 맞닿는 면적(B)을 60~80%로 한정하는 것은, 60% 이하의 면적일 경우 사용 중 몸체의 흔들림에 의해 내부 커버(30)가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60% 이상의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으로 맞닿는 경우 사용자가 내부 커버(30)를 분리하고 할 때 무리하게 힘을 가해야 함으로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돌부(16)는, 상기 몸체(10)의 바닥면 즉, 상기 수납부(14)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내부 커버(3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내부 커버(30)가 안치되는 걸림턱(16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뚜껑(20)은, 상기 몸체(10)의 상방 출입구(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치턱(13)에 테두리의 저면이 맞닿아 출입구(12)를 폐쇄한다.
이때, 상기 상부 뚜껑(20)의 저면에는 상기 공기순환홈(17)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벽(21)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차단벽(21)은 상부 뚜껑(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나.
상기 차단벽(21)은 공기순환홈(17)의 일부를 차단하여 공기순환홈(17)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공기순환홈(17)을 통해 저장공간(11)측으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21)은 공기순환홈(17)의 일부를 폐쇄하며, 이를 위해 차단벽(21)의 전체 면적은 공기순환홈(17)의 전체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벽(21)은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부 뚜껑(20)의 저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공기순환홈(17)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단벽(21)은 상기 공기순환홈(17)의 전체를 폐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관통된 복수의 구멍(22)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2의 원안 확대 참조)
상기 내부 커버(30)는, 상기 수납부(14)의 상방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저장공간(11)에 저장된 식품(F)에 함유된 수분이 이동하는 복수의 배수공(31)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결합돌부(16)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32)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구(33)가 구비되며, 저면 테두리를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마찰면(34)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공(31)은,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에서 함유된 수분이 수납부(14)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커버(30)의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되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31)이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장공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공(31)은 저장공간(11)측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의 하부의 확대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31)은 내면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되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311)이 더 형성되어 저장공간(11)측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배수공(31)이 상부에서 유입된 후 좁아지는 경사면(311)에 의해 이동속도 및 배출속도가 느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식품에 함유된 수분이 후술하는 제습수단(50)에 의해 제습되는 과정에서 단시간에 급격히 제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선도를 보다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끼움공(32)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결합돌부(16)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내부 커버(30)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파지구(33)는, 사용자가 내부 커버(30)를 수납부(14)의 상방으로부터 분리할 때 파지하는 것으로, 내부 커버(3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마찰면(34)은, 내부 커버(30)를 상기 수납부(14)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수납부(14)에 형성된 결합면(15)과 맞닿아 고정되는 부위로서, 내부 커버(30)의 테두리 저면에 형성되되, 테두리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면(34)의 종단면의 상하 전체 면적 중 일부가 상기 결합면(15)에 맞닿아 고정됨으로써, 사용 중 내부 커버(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분리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획수단(40)은, 상기 수납부(14)에 구비되어 수납부(14)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수납부(14)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수납부(14)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제1구획판(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수단(4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수납부(14)는 후술하는 제습수단(50)이 각각의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납부(14)에 수납된 제습수단(50)이 용기의 이동 중 일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납부(14) 전체가 균등한 제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구획판(41)은 상기 내부 커버(30)의 저면과 맞닿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구획판(41)의 상단과 내부 커버(30)의 저면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유통공간(42)을 형성함으로써 일측으로 집중되는 습기를 인접한 타 수납부(14)에 수납된 제습수단(50)을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습수단(50)은, 상기 수납부(14)에 배치되되 상기 구획수단(40)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공간에 동일한 비율로 배치되어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F)에 함유된 수분 및 저장공간(11)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습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기능을 하는 것으로, 규조토(Diatomite)를 알갱이 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규조토는 규조라 불리우는 수중 단세포 식물의 잔해가 해저(海底)나 호저(湖底)에 퇴적한 집합체로 일종의 화석토이다. 규조는 수중환경에서 실리카를 추출해내어 자신의 단단한 골격 구조를 구성하는 능력이 있는데, 규조 골격의 퇴적물이 속성 작용을 받아 굳어져 형성된 규조토 퇴적암은 대부분이 비정질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규모 응집상태로 산출된다.
이러한 규조토는 활성탄(숯)의 5천 배에 이르는 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통상 숯을 다공질체라고 한다면 규조토는 초다공질체라고 불리우며, 미세기공이 오염된 입자를 흡수한 후 여과한다.
또한, 규조토의 미세기공은 습도를 유지해 주거나,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으며, 표면적이 크고 밀도는 작고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습수단(50)으로 상술한 규조토를 알갱이 형태로 형성한 것을 이용하여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의 수분을 흡수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준다.
이때, 상기 제습수단(50)을 알갱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 중 손상된 알갱이의 교체 및 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기존 제습수단이 하나의 큰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 중 손상되는 경우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나, 본 발명의 제습수단(50)은 필요한 양만큼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10)의 결합돌부(16)의 상단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62)가 더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볼록부(162)는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이 상기 결합돌부(16)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습 및 탈취의 효과를 적용받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162)를 통해 제습수단(50)이 배치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이 균일한 제습 및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획수단 및 내부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구획수단(40)은 몸체(10)에 형성된 수납부(14)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2구획판(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구획판(43)은, 하단면은 몸체(10)의 수납부(14) 및 몸체(10)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면(15)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단면은 중앙에 하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좌우 양측단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공기유통공간(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 커버(30)는 상기 제2구획판(43)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공(35)이 형성되어 내부 커버(30)가 제2구획판(43)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유통공간(42)의 양측에는 내부 커버(30)가 결합될 때 내부 커버(3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턱(4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획수단 및 내부 커버는 수납부(14)에 결합돌부(16)를 제거함으로써 제습수단(50)을 보다 넓은 면적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 및 항균, 탈취 효과가 상승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 뚜껑(20)은 상면 및 하면이 각각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저장공간(11)에 저장된 식품을 담는 접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10)의 저면이 상부 뚜껑(20)의 상면에 안치되어 다수개의 용기(1)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뚜껑(20)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적층용 결합돌기(23)가 구비되고, 몸체(10)의 저면에 상기 적층용 결합돌기(23)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적층용 결합홈부(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적층용 결합돌기(23)의 최상단 높이는 상부 뚜껑(20)의 테두리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뚜껑(20)의 중앙부는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상부 뚜껑(20)의 상면은 테두리가 높고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뚜껑(20)의 하면에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구획돌기(24)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획돌기(24)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식품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뚜껑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 뚜껑의 하면에 제습수단(50)을 배치하여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의 제습, 탈취 및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부 뚜껑(20)의 하부에는 제습수단(5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5)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25)을 개폐하는 하부덮개(26)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덮개(26)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습공(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공간(25)은 종단면의 형상이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납공간(25)의 하단부가 편평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저장공간(11)의 면적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제습수단(50)과 식품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충분한 제습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7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제습수단(50)이 집중적으로 분포됨으로써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제습, 항균 및 탈취의 효과 상승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공간(11)의 면적 중 일부만을 차지함으로써 저장공간(11)의 보관량을 줄이는 것을 최소화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덮개(26)는 일단은 상기 상부 뚜껑(20)에 형성된 차단벽(21) 중 일측의 차단벽(21)과 힌지(261)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차단벽(21)과 걸쇠(262) 및 걸쇠홈(263)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제습수단(50)의 교체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몸체(10)를 복수의 벽으로 형성하고, 벽 사이에 제습수단을 배치한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내벽(191)과 외벽(19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191)과 외벽(192)사이에 제습수단(5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93)이 형성되며, 상기 내벽(191)에는 복수의 타공구멍(194)이 형성되어 수용공간(193)에 수용된 제습수단(50)을 통해 저장공간(11)의 식품에 대한 제습, 항균 및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용기 F : 식품
10 : 몸체 11 : 저장공간
12 : 출입구 13 : 안치턱
14 : 수납부 15 : 결합면
16 : 결합돌부 17 : 공기순환홈
18 : 적측용 결합홈부
20 : 상부 뚜껑 21 : 차단벽
23 : 적층용 결합돌기 24 : 구획돌기
25 : 수납공간 26 : 하부덮개
27 : 제습공
30 : 내부커버 31 : 배수공
32 : 끼움공 33 : 파지구
34 : 마찰면 35 : 체결공
40 : 구획수단 41 : 제1구획판
42 : 공기유통공간 43 : 제2구획판
44 : 제한턱
50 : 제습수단

Claims (4)

  1. 상단에 출입구(12)가 형성되고 하부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13)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출입구(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벽(21)이 구비된 상부 뚜껑(20);과,
    상기 수납부(14)의 상방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된 식품(F)에 함유된 수분이 이동하는 복수의 배수공(31)과,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구(33)와,
    저면 테두리를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마찰면(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부 커버(30);와,
    상기 수납부(14)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수납부(14)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제1구획판(41) 또는
    상기 수납부(14)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하단면은 몸체(10)의 수납부(14) 및 몸체(10)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면(15)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단면은 중앙에 하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좌우 양측단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공기유통공간(42)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2구획판(43)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부(14)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수단(40); 및
    상기 수납부(14)에 배치되어 저장공간(11)에 보관된 식품에 함유된 수분 및 상기 저장공간(11)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 정화 및 탈취하는 제습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는,
    상기 상부 뚜껑(20)이 출입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와 저장공간(11)이 연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상부 뚜껑(20)의 차단벽(21)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공기순환홈(17)이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에는 측벽이 내벽(191)과, 외벽(192)이 서로 이격되어 2중 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191)과 외벽(192) 사이에 상기 제습수단(5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9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191)에는 복수의 타공구멍(194)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11)에 대한 제습, 항균 및 탈취가 가능하고,
    상기 상부 뚜껑(20)에는
    종단면의 형상이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25)과,
    상기 수납공간(25)을 개폐하는 하부덮개(26)와,
    상기 하부덮개(26)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습공(27)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기능이 개선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46531A 2017-04-11 2017-04-11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KR10177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31A KR101773325B1 (ko) 2017-04-11 2017-04-11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31A KR101773325B1 (ko) 2017-04-11 2017-04-11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325B1 true KR101773325B1 (ko) 2017-08-31

Family

ID=5976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31A KR101773325B1 (ko) 2017-04-11 2017-04-11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3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9374A (zh) * 2019-04-26 2019-08-30 岭南师范学院 一种自动加米的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68491B1 (ko) 2018-11-09 2020-01-2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보관용기
KR20200087443A (ko) 2019-01-11 2020-07-21 강순동 음식물 신선도유지 보관용 자기장 용기
KR102279364B1 (ko) * 2020-10-21 2021-07-21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소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252A (ja) * 1998-06-26 2002-07-02 マクスウェル チェイス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スィー 吸収剤材料を有する容器
KR100736199B1 (ko) * 2007-01-24 2007-07-06 김종태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KR101375167B1 (ko) * 2012-11-06 2014-03-26 권태형 식품 용기
KR101578672B1 (ko) * 2014-06-11 2015-12-21 이은철 소금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252A (ja) * 1998-06-26 2002-07-02 マクスウェル チェイス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スィー 吸収剤材料を有する容器
KR100736199B1 (ko) * 2007-01-24 2007-07-06 김종태 식품선도 보존기능이 우수한 밀폐용기
KR101375167B1 (ko) * 2012-11-06 2014-03-26 권태형 식품 용기
KR101578672B1 (ko) * 2014-06-11 2015-12-21 이은철 소금 보관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91B1 (ko) 2018-11-09 2020-01-2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보관용기
KR20200087443A (ko) 2019-01-11 2020-07-21 강순동 음식물 신선도유지 보관용 자기장 용기
CN110179374A (zh) * 2019-04-26 2019-08-30 岭南师范学院 一种自动加米的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79364B1 (ko) * 2020-10-21 2021-07-21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소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325B1 (ko)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EP2843335B1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982919B1 (en) Refrigerator
AU2016433678B2 (en) A crisper
KR20110087961A (ko)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
DE4040341A1 (de) Mit einem deckel verschliessbarer behaelter
KR101720853B1 (ko)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
KR20130098623A (ko) 저장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EP1328448A1 (en) Apparatus for moisture absorption
KR101724244B1 (ko) 통풍기능을 갖춘 사물함용 도어 손잡이
CN113969693A (zh) 一种密封性良好的骨灰盒存放架
KR20060126002A (ko) 실링누름판이 구비된 김치용기
CN205010763U (zh) 一种蔬菜果品过滤式保鲜盒
JPH1194417A (ja) 冷蔵庫の製氷貯氷箱
KR100704554B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 보관 비닐팩
KR100750601B1 (ko) 진공포장용 비닐팩
CN214127617U (zh) 一种防潮防虫档案管理柜
KR101147678B1 (ko) 냉장고 탈취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8854B1 (ko)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KR200378400Y1 (ko) 방습, 탈취 및 항균기능을 갖는 수납장
CN207653815U (zh) 一种防潮绿色装置
KR200398353Y1 (ko) 보관함
KR101584958B1 (ko) 소금 보관 상자
KR100607096B1 (ko) 수분제거가 가능한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