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165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65B1
KR100735165B1 KR1020050051851A KR20050051851A KR100735165B1 KR 100735165 B1 KR100735165 B1 KR 100735165B1 KR 1020050051851 A KR1020050051851 A KR 1020050051851A KR 20050051851 A KR20050051851 A KR 20050051851A KR 100735165 B1 KR100735165 B1 KR 10073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fan
compressor
flow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416A (ko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65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일측에 연결된 연결관을 베이스팬에 고정시키는 유동규제수단이 구비되어 연결관의 유동이 방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150)과; 상기 베이스팬(150) 일측에 장착되고,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70)와;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고, 팬모터(164)에 의해서 회전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162)과; 상기 송풍팬(162)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압축기(170)로부터 유동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60)와; 상기 압축기(17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연결관(174)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연결관(174)의 유동을 규제하는 유동규제수단(2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어 체결부재(260)가 관통됨으로써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이 베이스팬(150)에 장착되도록 하는 관통공(22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기 운반시에 연결관의 유동이 규제되어 부품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베이스팬, 유동규제수단, 탄성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유동규제수단이 베이스팬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유동규제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외기 110. 전방좌측판넬
112. 토출구 114. 토출그릴
116. 오리피스 120. 전방우측판넬
122. 컨트롤관통구 124. 컨트롤커버
130. 후방판넬 132. 공기흡입구
140. 상면판넬 150. 베이스팬
152. 고정다리 154. 분리벽
154'. 컨트롤안착부 156. 보강리브
157. 체결볼트 158. 체결공
160. 열교환기 162. 송풍팬
164. 팬모터 166. 모터마운트
168. 모터지지대 170. 압축기
172. 장착판 172' 홀
174. 연결관 176. 배관지지대
177. 배관연결부 179. 서비스밸브
180. 컨트롤박스 182. 방열수단
184. 보조박스 190. 어큐뮬레이터
200. 유동규제수단 220. 구속구
222. 관통공 240. 이격구
242. 절제부 260. 체결부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 일측에 연결된 연결관이 베이스팬에 고정되도록 하는 유동규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연결관의 유동 및 진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형상의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판넬(20)과, 하면을 차폐하는 베이스팬(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여러개 판넬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사각판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판넬(12)과, 상방에서 봤을 때 "
Figure 112005031867778-pat00001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실외기의 좌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후방판넬(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판넬(14)의 후면에는 사각모양으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실외기 내부가 외부로 개구되도록 하는 흡입공(14')이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실외기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방판넬(12)의 전면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3)에는 토출구(13)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토출그릴(13')이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13)를 통해서 실외기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3)의 토출그릴(13')을 통해서 실외기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토출그릴(13')의 후방에는 오리피스(4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 (40)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50)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상기 토출구(13)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가 원형으로 천공되고, 원통 모양의 구조물이 천공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40)의 후방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회전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팬모터(52)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공기는 유동이 강제되며,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40)와 토출그릴(13')을 차례로 지나 상기 실외기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5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54)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54)는 상단부가 상기 후방판넬(14)의 상단부 일측에,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팬(30)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된 팬모터(52)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54)의 후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판넬(14)과 지지대(54) 사이에는 열교환기(60)가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60)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4)의 우측에는 컨트롤판넬(7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은 실외기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전자부품(72)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은 후방판넬(14)의 측면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후방판 넬(14)의 우측면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컨트롤커버(16)에 의해서 개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커버(16)를 후방판넬(14)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판넬(70)에 구비된 전자부품(72)은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의 하측에는 압축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는 실내기(미도시)와 실외기 사이를 유동하면서 열교환을 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3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의 외측에는 연결관(82)이 둘러진다. 상기 연결관(82)은 상기 압축기(8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82)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80)에 의해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액상(液狀)으로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84)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80)를 경유한 냉매는 상기 연결관(82)을 통해서 상기 응축기(84)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82)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팬(30)의 상면 우측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배관지지부(86)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실내기(미도시)와 연통되는 배관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관(82) 내부의 냉매는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유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80)의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80)가 베이스팬(30)에 장착 가능하도록 대략 삼각형 모양의 장착판(88)이 부착된다. 상기 장착판(88)에는 다수개의 홀(88')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30) 상면에 상방 돌출된 체결볼 트(38)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압축기(80)의 유동은 규제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80)의 하측에는 베이스팬(3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실외기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상방 지지하며, 저면 좌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고정다리(32)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팬(30)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다리(32)의 저면 전후방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34)가 스크류(미도시)에 의해서 장착된다. 상기 탄성체(34)는 상기 실외기의 최하측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실외기 바닥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유동되지 않도록 규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36)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보강리브(36)는 베이스팬(30) 상면에 장착되는 부품의 하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부품의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팬(30)의 하방향 처짐을 보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30)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는 다수개의 체결볼트(38)가 부착된다. 상기 체결볼트(38)는 압축기(80)가 베이스팬(30)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30)과 점용접에 의해서 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38)가 장착판(88)의 홀(88')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압축기(80)는 상기 베이스팬(30) 상면에서 전후좌우 어떠한 방향으로도 유동이 규제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실외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연결관(82)은 압축기(80)와 응축기(84)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며,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 압축기(80)의 외측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기를 운반하거나 이동시에 응축기(84)를 비롯한 연결관(82)이 흔들리게 되어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흔들림에 의한 피로로 연결관(82) 및 응축기(84)의 파괴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고객들로 하여금 제품 만족도 저하를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기 이동시에 연결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유동규제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흔들림에 의한 부품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 일측에 장착되고,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고, 팬모터에 의해서 회전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연결관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연결관의 유동을 규제하는 유동규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유동규제수단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어 체결부재가 관통됨으로써 상기 유동규제수단이 베이스팬에 장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규제수단은, 상기 연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팬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구속구와; 상기 구속구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속구와 연결관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은 구속구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구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구의 일측에는 절제(切除)되어 상기 연결관이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절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관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0)는 전방좌측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좌측판넬(110)과, 전방우측부 및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우측판넬(120)과, 후면 및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판넬(130)과,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40)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베이스팬(도 3의 도면부호 15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좌측판넬(110)에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토출구(112)가 상하에 쌍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토출구(112)에는 토출그릴(114)이 구비되어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고, 이물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좌측판넬(110)의 토출구(112)에는 오리피스(116)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원형의 상기 토출구(112)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오리피스(116)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방우측판넬(120)은 '』'자 형상(상방에 볼 때)으로 이루어져 실외기(100)의 전방 우측부 및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우측판넬(120)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박스(18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컨트롤관통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관통구(122)는 컨트롤관통구(122)와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컨트롤커버(124)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컨트롤관통구(122)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우측판넬(120)의 우측면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관지지대(176)가 장착되는 절개부(126)가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130)은 대략 '┌'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되며, 여기에는 다수의 공기흡입구(13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132)는 외부의 공기가 실외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판넬(130)의 후면 및 좌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100)의 하부외관은 베이스팬(150)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5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50)의 하부에는 고정다리(152)가 좌우에 쌍으로 구비되어 실외기(1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측에는 분리벽(154)이 전후로 구비된다. 상기 분리벽(154)은 실외기(100)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방으로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분리벽(154)의 상단에는 컨트롤박스(180)가 안착되는 컨트롤안착부(154')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안착부(154') 내부에는 컨트롤박스(1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80)는 상기 실외기(100) 내부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벽(154)의 좌측과 우측에 걸쳐 설치되고, 이러한 컨트롤박스(180)의 저면에는 방열수단(182)과 보조박스(184)가 구비된다.
상기 방열수단(182)은 상기 컨트롤박스(180)의 저면에 부착되는 사각평판의 방열판(182')과, 상기 방열판(18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방열핀(18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82')과 방열핀(182")은 알루미늄(Al)과 같이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방열판(182')과 방열핀(182")을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컨트롤박스(18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벽(154)의 좌측,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팬(150)의 좌측단과 후단에는 열교환기(160)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160)는 상기한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6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기(160) 내부에는 압축기(17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60)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판넬(1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방좌측판넬(110)의 후방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송풍팬(162)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62)은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60)를 경유한 다음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팬(162)의 후측에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64)가 구비된다. 상기 팬모터(164)는 송풍팬(162)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며, 모터마운트(166)에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162) 및 팬모터(164)는 상기 토출구(112)와 같이 상하에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터마운트(166)는 후측의 모터지지대(168)에 체결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모터지지대(168)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모터지지대(168)는 상기 송풍팬(162)과 팬모터(164)를 지지한다. 상기 모터지지대(168)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150)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상면판넬(14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벽(154)의 우측에는 압축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70)는 실내기(미도시)와 실외기(100) 사이를 유동하면서 열교환하는 냉매를 고온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5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압축기(170)의 하단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상기 압축기(170)가 베이스팬(150)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판(172)이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판(172)의 네 모서리부분에 스크류가 관통 가능하도록 홀(172')이 천공되어 상기 베이스팬(150) 상면과 장착판(172) 저면이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170)의 이격된 외측에는 연결관(174)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174)은 상기 압축기(170)의 상단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74)의 일단부에는 상기 압축기(17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 중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장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1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74)의 양단부는 압축기(170)와 어큐뮬레이터(190) 내부에 각각 연통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190)에 의해 액냉매가 걸러진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170) 내부로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삭제
한편, 상기 압축기(170)의 하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150)은 실외기(100)의 하부외관을 형성함은 물론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상방 지지하며, 저면 좌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고정다리(152)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팬(150)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50)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56)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보강리브(156)는 상기 베이스팬(1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150)은 보강리브(156)에 의해서 강도가 보강되어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중량을 지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50)의 우측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57)가 장착된다. 상기 체결볼트(157)는 상기 장착판(172)에 천공 성형된 홀(172')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70)가 베이스팬(1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팬(150)의 대략 중앙부에는 천공 성형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관통공(도 5의 도면부호 222)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60)로 체결되는 체결공(158)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158)은 상기 체결부재(260)를 내부에 수용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구속구(220)가 베이스팬(1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158)은 관통공(222)과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222)과 대응되는 갯수 및 크기로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체결공(158)의 상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유동규제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은 상기 연결관(174)이 외부의 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74)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팬(150) 일측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연결관(174)의 유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유동규제수단이 베이스팬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유동규제수단(200)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은 상기 연결관(174)을 구속하여 베이스팬(150)으로부터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구속구(220)와, 상기 구속구(220)와 연결관(17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174)과 구속구(2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속구(220)는 길이가 긴 직사각판을 대략 "
Figure 112005031867778-pat00002
" 모양으로 성형하여 라운드진 내부에 상기 연결관(174)이 수용 가능하며, 중앙부의 곡률이 상기 연결관(174)의 외경보다 크게 성형됨으로써 상기 구속구(220)의 내주면은 연결관(174)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둘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구(220)의 좌우측에는 관통공(도 5의 도면부호 2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2)은 상기 구속구(220)가 베이스팬(150)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222)을 관통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60)가 상기 배이스팬의 체결공(158)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구속구(220)는 베이스팬(1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구속구(220)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한 이격구(240)가 삽입된다. 상기 이격구(240)는 상기 연결관(174)과 구속구(22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이격구(240)의 상면은 상기 구속구(22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구(240)는 외형이 상기 연결관(174)의 라운드진 부분 하부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구속구(220) 내부에 이격구(2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기(1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충격이 상기 구속구(220)와 연결관(174)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이격구(24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이 상기 연결관(174)에 전달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가 동시에 충족되는 고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100)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미도 시)와 연동하여 작동되는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팬모터(164)가 회전한다.
상기 팬모터(164)의 회전에 따라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송풍팬(162)이 회전하고, 이러한 송풍팬(162)에 의해 공기의 강제유동이 시작된다. 상기 송풍팬(1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외기(100)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열교환기(160)를 거치면서 외부 공기는 열교환을 한다.
한편,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압축기(170)도 작동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190)는 액체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170)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70)의 작동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60)를 경유한 후 실내기(미도시)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60)를 경유하는 냉매는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외부공기는 상기 송풍팬(162)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오리피스(11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다시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조화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174)이 흔들리지 않도록 베이스팬(150)에 고정 장착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베이스팬(150)과 압축기(170) 그리고 유동규제수단(200)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먼저 상기 압축기(170)를 체결볼트(157)에 체결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172')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157)를 삽입한 후에 체결볼트(157)와 너트(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압축기(170)는 베이스팬(150)으로부터 이탈이 규제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70)는 연결관(174)과 어큐뮬레이터(190)가 서로 연통되도록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관(174)은 베이스팬(15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며, 외부 충격이 전달될 시에는 크게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74)이 외부 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을 베이스팬(150)에 장착하게 된다.
먼저, 상기 연결관(174)을 절제부(242) 내부에 삽입하여 연결관(174)과 이격구(24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74)의 외주면은 상기 이격구(240)의 절제부(242) 내면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런 후에 상기 구속구(220)를 도 5와 같은 상태로 하방 유동시켜 상기 이격구(240)의 상면에 안치시킴으로써 상기 구속구(220) 중앙부 저면과 이격구(240) 상면이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60)를 상기 관통공(222)에 관통시킨 후에 상기 체결공(158)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구속구(220)는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어 베이스팬(1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며, 상기 유동규제수단(200)에 의한 연결관(174) 유동 구속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따르면, 베이스팬 상면에 유동규제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압축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된 연결관이 실외기 이동시에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외기 이동시에 발생되는 연결관의 흔들림이 규제되어 연결관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동규제수단의 완충 작용으로 실외기 이동시에 취급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관 파손 방지로 인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 만족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 일측에 장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고, 팬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인가받아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와 압축기로부터 유동한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연결관을 내부에 수용하여 연결관의 유동을 규제하는 유동규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유동규제수단은,
    상기 연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팬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구속구와; 상기 구속구 내부에 수용되어 구속구와 연결관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동규제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구속구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천공되어 체결부재가 관통됨으로써 상기 유동규제수단이 베이스팬에 장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구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구의 일측에는 절제(切除)되어 상기 연결관이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절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50051851A 2005-06-16 2005-06-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735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51A KR100735165B1 (ko) 2005-06-16 2005-06-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51A KR100735165B1 (ko) 2005-06-16 2005-06-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416A KR20060131416A (ko) 2006-12-20
KR100735165B1 true KR100735165B1 (ko) 2007-07-03

Family

ID=3781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851A KR100735165B1 (ko) 2005-06-16 2005-06-16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388A (ko) * 2008-10-27 201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093U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9990037817U (ko) 1998-03-13 1999-10-15 윤종용 에어컨의 진동 감쇠 구조
KR20020095309A (ko) 2001-06-14 200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배관 및 어큐물레이터 고정 방법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093U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9990037817U (ko) 1998-03-13 1999-10-15 윤종용 에어컨의 진동 감쇠 구조
KR20020095309A (ko) 2001-06-14 200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배관 및 어큐물레이터 고정 방법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80053093
20199900378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416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820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EP1918657A2 (en) Air conditioner
KR10213325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105737274B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07351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7942222B2 (en) Swing-type operation machine
JP530396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2242017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06011700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10432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0908546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768159B1 (ko) 패키지 에어컨에서 송풍팬 모터의 방진구조
CN210239952U (zh) 空压设备及其箱体组件
KR101015433B1 (ko) 팬 조립체의 고정장치
KR101314915B1 (ko) 공기조화기
JP6444114B2 (ja) コンバイン
KR20170085896A (ko) 공기 조화기
CN212619202U (zh) 空调室内机的壳体组件及空调室内机
US20070130987A1 (en) Condensing unit and cooling apparatus equipped with condensing unit
KR101308339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3164A (ko) 공기조화기
JP39278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20750260U (zh) 立式空调
CN214231003U (zh) 料理机底座及料理机
CN217206794U (zh) 一种气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