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003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003A
KR20060117003A KR1020050039696A KR20050039696A KR20060117003A KR 20060117003 A KR20060117003 A KR 20060117003A KR 1020050039696 A KR1020050039696 A KR 1020050039696A KR 20050039696 A KR20050039696 A KR 20050039696A KR 20060117003 A KR20060117003 A KR 2006011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fan
air conditioner
base
bas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003A/ko
Publication of KR2006011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 상면에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선택적으로 안착 및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150)과; 상기 베이스팬(150)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부품의 유동을 규제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고, 팬모터(164)에 의해서 회전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162)과; 상기 송풍팬(162)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200)은 베이스팬(150)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팬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베이스팬, 지지수단, 공용화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팬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베이스팬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에서 지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외기 110. 전방좌측판넬
112. 토출구 114. 토출그릴
116. 오리피스 120. 전방우측판넬
122. 컨트롤관통구 124. 컨트롤커버
130. 후방판넬 132. 공기흡입구
140. 상면판넬 150. 베이스팬
152. 고정다리 154. 분리벽
154'. 컨트롤안착부 156. 보강리브
160. 열교환기 162. 송풍팬
164. 팬모터 166. 모터마운트
168. 모터지지대 170. 압축기
172. 장착판 172' 홀
174. 배관지지대 176. 배관연결부
178. 서비스밸브 180. 컨트롤박스
182. 방열수단 184. 보조박스
200. 지지수단 210. 장착홀
220. 보강부 230. 관통공
240. 체결볼트 242. 수나사
H . 구멍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외관 을 형성하는 베이스팬 상면에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선택적으로 안착 및 지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형상의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판넬(20)과, 하면을 차폐하는 베이스팬(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여러개 판넬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사각판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판넬(12)과, 상방에서 봤을 때 "
Figure 112005024894152-PAT00001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실외기의 좌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후방판넬(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판넬(14)의 후면에는 사각모양으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실외기 내부가 외부로 개구되도록 하는 흡입공(14')이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실외기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방판넬(12)의 전면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3)에는 토출구(13)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토출그릴(13')이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13)를 통해서 실외기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 구(13)의 토출그릴(13')을 통해서 실외기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토출그릴(13')의 후방에는 오리피스(4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40)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50)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상기 토출구(13)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가 원형으로 천공되고, 원기둥 모양의 구조물이 천공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40)의 후방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회전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팬모터(52)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공기는 유동이 강제되며,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40)와 토출그릴(13')을 차폐로 지나 상기 실외기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5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54)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54)는 상단부가 상기 후방판넬(14)의 상단부 일측에,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팬(30)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된 팬모터(52)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54)의 후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판넬(14)과 지지대(54) 사이에는 열교환기(60)가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60)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4)의 우측에는 컨트롤판넬(7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은 실외기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전자부품(72)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은 후방판넬(14)의 측면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후방판넬(14)의 우측면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컨트롤커버(16)에 의해서 개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커버(16)를 후방판넬(14)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판넬(70)에 구비된 전자부품(72)은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의 하측에는 압축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는 실내기(미도시)와 실외기 사이를 유동하면서 열교환을 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3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에는 냉매배관(82)이 연결 설치되어 냉매 유동을 안내하게 되는데, 이러한 냉매배관(82)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팬(30)의 상면 우측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배관지지부(8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실내기(미도시)와 연통되는 배관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냉매배관(82) 내부의 냉매는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유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80)의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80)가 베이스팬(30)에 장착 가능하도록 대략 삼각형 모양의 장착판(86)이 부착된다. 상기 장착판(86)에는 다수개의 홀(86')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30) 상면에 상방 돌출된 체결볼트(38)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압축기(80)의 유동은 규제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80)의 하측에는 베이스팬(3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실외기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상방 지지하며, 저면 좌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 게 고정다리(32)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팬(30)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다리(32)의 저면 전후방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34)가 스크류(미도시)에 의해서 장착된다. 상기 탄성체(34)는 상기 실외기의 최하측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실외기 바닥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유동되지 않도록 규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팬(3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팬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30)은 사각판의 테두리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얕은 깊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36)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보강리브(36)는 베이스팬(30) 상면에 장착되는 부품의 하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부품의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팬(30)의 하방향 처짐을 보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30)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는 다수개의 체결볼트(3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볼트(38)는 압축기(80)가 베이스팬(30)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30)과 점용접에 의해서 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38)는 하부가 상기 홀(도 1의 도면부호 86')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수나사(38')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38')는 너트(미도시)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압축기(80)의 상방 유동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30)에서 체결볼트(38)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장착판(86)의 홀(86')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86') 내부에 체결볼트(38)가 삽입되면 상기 압축기(80)는 베이스팬(30) 상면에서 전후좌우 어떠한 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실외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베이스팬(30)은 크기가 동일한 실외기,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팬(30)의 사이즈가 동일 하더라도 실외기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팬(30)은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베이스팬(30)에 장착되어 하중이 지지되는 부품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베이스팬(30)에 체결되는 위치 및 개소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팬(30)에 장착되는 체결볼트(38)의 위치가 실외기의 모델에 따라 다르게 되어 베이스팬(30)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체결볼트(38)의 부착 위치가 다양하게 구비되어야 하며 보강리브(36)의 형성 위치 역시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베이스팬(30)의 구비로 인하여 부품의 보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외기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은 보강리브(36)에 의해서 하중 지지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대부분 중량물이므로 효과적인 지지가 어려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베이스팬(30)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기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 상면에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베이스팬의 공용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팬을 지지하여 부품 하중에 의한 베이스팬의 하방향 처짐이 규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부품의 유동을 규제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고, 팬모터에 의해서 회전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베이스팬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방 돌출되어 상기 부품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부품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팬의 하방향 처짐을 규제하는 보강부와; 천공 성형되어 상기 부품 일측과 결합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에는 체결볼트가 상기 부품의 고정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은 다수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팬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0)는 전방좌측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좌측판넬(110)과, 전방우측부 및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우측판넬(120)과, 후면 및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판넬(130)과,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40)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베이스팬(도 4의 도면부호 15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좌측판넬(110)에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토출구(112)가 상하에 쌍으 로 형성되며, 이러한 토출구(112)에는 토출그릴(114)이 구비되어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고, 이물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좌측판넬(110)의 토출구(112)에는 오리피스(116)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원형의 상기 토출구(112)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오리피스(116)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방우측판넬(120)은 '』'자 형상(상방에 볼 때)으로 이루어져 실외기(100)의 전방 우측부 및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우측판넬(120)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박스(18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컨트롤관통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관통구(122)는 컨트롤관통구(122)와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컨트롤커버(124)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컨트롤관통구(122)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우측판넬(120)의 우측면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관지지대(174)가 장착되는 절개부(126)가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130)은 대략 '┌'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되며, 여기에는 다수의 공기흡입구(13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132)는 외부의 공기가 실외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판넬(130)의 후면 및 좌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100)의 하부외관은 베이스팬(150)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5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 스팬(150)의 하부에는 고정다리(152)가 좌우에 쌍으로 구비되어 실외기(1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측에는 분리벽(154)이 전후로 구비된다. 상기 분리벽(154)은 실외기(100)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방으로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분리벽(154)의 상단에는 컨트롤박스(180)가 안착되는 컨트롤안착부(154')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안착부(154') 내부에는 컨트롤박스(1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80)는 상기 실외기(100) 내부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벽(154)의 좌측과 우측에 걸쳐 설치되고, 이러한 컨트롤박스(180)의 저면에는 방열수단(182)과 보조박스(184)가 구비된다.
상기 방열수단(182)은 상기 컨트롤박스(180)의 저면에 부착되는 사각평판의 방열판(182')과, 상기 방열판(18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방열핀(18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82')과 방열핀(182")은 알루미늄(Al)과 같이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방열판(182')과 방열핀(182")을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컨트롤박스(18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벽(154)의 좌측,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팬(150)의 좌측단과 후단에는 열교환기(160)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160)는 상기한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판넬 (1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방좌측판넬(110)의 후방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송풍팬(162)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62)은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60)를 경유한 다음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팬(162)의 후측에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64)가 구비된다. 상기 팬모터(164)는 송풍팬(162)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며, 모터마운트(166)에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162) 및 팬모터(164)는 상기 토출구(112)와 같이 상하에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터마운트(166)는 후측의 모터지지대(168)에 체결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모터지지대(168)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모터지지대(168)는 상기 송풍팬(162)과 팬모터(164)를 지지한다. 상기 모터지지대(168)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150)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상면판넬(14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벽(154)의 우측에는 압축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7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170')와 가변속 열펌프(Variable Speed Heat Pump)인 인버터압축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70)의 하단에는 압축기(170)가 상기 베이스팬(150)에 장착 가능하도록 대략 삼각형 모양의 장착판(172)이 부착된다. 상기 장착판(172)에 는 다수개의 홀(172')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홀(172') 내부에 상기 베이스팬(150) 상면에서 상방 돌출된 체결볼트(24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70)는 유동이 규제된다.
상기 압축기(170)의 우측단에는 배관지지대(174)가 설치된다. 상기 배관지지대(174)는 실내기(미도시)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미도시)이 연결 설치되는 배관연결부(176)와 서비스밸브(17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170)의 하측에는 상기한 베이스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실외기(10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상방 지지하며, 저면 좌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고정다리(152)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팬(150)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팬(15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베이스팬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에서 지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150)은 사각판의 테두리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얕은 깊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전술한 바 와 같이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56)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보강리브(156)는 상기 베이스팬(1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150)은 보강리브(156)에 의해서 강도가 보강되어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중량을 지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지지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200)은 상기 베이스팬(150) 상면에 부착된 상태로 부품의 하부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부품이 상기 베이스팬(15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으로, 다양한 부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팬(150) 상면에 다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200)의 네모서리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성형되어 상기 지지수단(200)이 베이스팬(150)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장착홀(21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홀(210)은 베이스팬(150)에 천공 성형된 구멍(도 5의 도면부호 H)과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홀(210)과 구멍(H)을 동시에 관통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지지수단(200)은 베이스팬(150)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수단(200)의 상면에는 보강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220)는 유동을 규제하게 될 부품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상방으로 돌출 성형됨으로써, 저면이 상기 베이스팬(15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전술한 베이스팬 (150)의 보강리브(156)와 동일한 역할 즉, 부품 하중에 의한 하방향 처짐 규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200) 상면에 중량의 부품이 장착되면, 상기 지지수단(200)은 보강부(220)에 의해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수단(200)에 의해서 지지된 부품의 하중은 분산되어 상기 베이스팬(150)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220)의 상면에는 천공 성형된 관통공(230)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230)은 부품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체결볼트(240)가 관통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다수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220)에 안착되는 부품의 크기와 체결 위치가 결정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관통공(230)에 상기 체결볼트(240)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220)는 부품의 유동 규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다수개 관통공(230)에는 부품의 형상 및 고정위치에 따라서 체결볼트(240)가 선택적으로 부착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체결볼트(240)는 하부가 상기 관통공(230)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수나사(24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242)는 너트(미도시)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 상면에 안착된 부품은 상방 유동이 규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작동되는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팬모터(164)가 회전한다.
상기 팬모터(164)의 회전에 따라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송풍팬(162)이 회전하고, 이러한 송풍팬(162)에 의해 공기의 강제유동이 시작된다. 상기 송풍팬(1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외기(100)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열교환기(160)를 거치면서 열교환을 한다.
한편,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압축기(170)도 작동되며, 이러한 압축기(170)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60)는 물론 실내기(미도시)로도 유동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60)를 경유하는 냉매는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외부공기는 상기 송풍팬(162)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오리피스(11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다시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조화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베이스팬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형상의 압축기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에서 지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00)의 상측에는 도 4에 도시된 압축기(170)의 장착판(172)과 형상이 상이한 압축기(17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는 장착판(172)의 형상이 삼각형이 아닌 대략 사각형을 가지며, 홀(172')의 개수도 3개가 아닌 4개가 천공된다.
이런 형상의 장착판(172)을 가지는 압축기(170)는 도 6에 도시된 지지수단(200)에 장착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240)는 상기 홀(도 5의 도면부호 172')의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홀(172')의 위치가 상기 지지수단(20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230) 중에서 도 7과 같이 네모서리에 위치한 관통공(230)과 일치하면, 상기 체결볼트(240)를 지지수단(200)의 네 모서리 부분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240)가 도 7과 같이 부착되면 상기 지지수단(200)을 베이스팬(150)에 장착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150)에 형성된 구멍(H)과 장착홀(210)을 관통하여 볼트(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은 베이스팬(150) 상면에 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70)의 홀(172')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24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70)는 상기 지지수단(200) 상면에서 전후좌우방향의 유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나사(242)에 너트(미도시)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70)는 상방유동도 규제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에 장착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따르면,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 상면에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선택적으로 안착 및 지지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베이스팬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팬에 안착되는 부품이 지지수단에 의해서 견고히 지지됨으로써 베이스팬의 하방향 처짐현상이 현저히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베이스팬의 처짐으로 인하여 빈번하게 발생되는 부품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고객으로 하여금 제품만족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

Claims (5)

  1.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부품의 유동을 규제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고, 팬모터에 의해서 회전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베이스팬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방 돌출되어 상기 부품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부품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팬의 하방향 처짐을 규제하는 보강부와;
    천공 성형되어 상기 부품 일측과 결합되도록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부품의 고정위치 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다수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50039696A 2005-05-12 2005-05-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6011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696A KR20060117003A (ko) 2005-05-12 2005-05-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696A KR20060117003A (ko) 2005-05-12 2005-05-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003A true KR20060117003A (ko) 2006-11-16

Family

ID=3770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696A KR20060117003A (ko) 2005-05-12 2005-05-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0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15B1 (ko) * 2006-12-18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기 베이스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8731134A (zh) * 2018-07-30 2018-11-0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底盘结构与空调室外机及空调器
KR20210037434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15B1 (ko) * 2006-12-18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기 베이스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8731134A (zh) * 2018-07-30 2018-11-0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底盘结构与空调室外机及空调器
CN108731134B (zh) * 2018-07-30 2024-02-0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底盘结构与空调室外机及空调器
KR20210037434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WO2021060812A3 (ko) * 2019-09-27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US11140468B2 (en) 2019-09-27 2021-10-05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US11570535B2 (en) 2019-09-27 2023-01-31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6558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its mounting mechanism
JP502820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881250B1 (ko) 공기 조화 장치
JP4663182B2 (ja) 電装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6011700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10038403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JP437316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908546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3575943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200726337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2006013141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73164A (ko) 공기조화기
JP4523822B2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2000266401A (ja) 壁埋込形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66464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N218093629U (zh) 一种散热风扇固定架及其电脑机箱
CN216953261U (zh) 空调器
KR101880482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JP3035947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WO202024084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室内機の付加装置
KR100678316B1 (ko) 공기조화기
KR10063566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JPH1151461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101630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서비스밸브 설치구조
KR2002008897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