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250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250B1
KR100881250B1 KR1020077007154A KR20077007154A KR100881250B1 KR 100881250 B1 KR100881250 B1 KR 100881250B1 KR 1020077007154 A KR1020077007154 A KR 1020077007154A KR 20077007154 A KR20077007154 A KR 20077007154A KR 100881250 B1 KR100881250 B1 KR 10088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anel
main body
air conditioner
makeup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231A (ko
Inventor
세이이찌 고가
노부히로 오구라
미쯔오 구니사다
요시노부 하마다
진 요시다
모리노부 이이지마
마사즈미 마끼노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5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85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5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5561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화장 패널의 나사 고정 부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또는 취출 덕트를 후부착하는 경우라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취출 덕트로의 풍량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화장 패널이 유닛 본체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 부재에 의해 응력이 발생되는 화장 패널의 부분이며, 고정 부재의 노출된 부분을 대략 밀폐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밀폐 수납부를 구비하도록 했다. 또한, 하우징에 있어서의 취출 덕트의 연결 예정면에, 취출 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복수의 개구 예정구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을 간격을 두고 형성했다.
Figure R1020077007154
공기 조화 장치, 유닛 본체, 프레임, 화장 패널, 취출 덕트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조화실의 천장에 매립되고, 대략 상자형의 하우징 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한 유닛 본체(공기 조화 장치 본체)를 갖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는, 취출구(取出口)를 갖는 화장 패널이 유닛 본체의 하면측에 나사로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는, 유닛 본체의 하우징의 측면에 덕트구를 구비하고, 이 덕트구에 연결된 취출 덕트(blowout duct)를 통해 조화 공기를 취출구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 취출 덕트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는, 덕트구에 회전 이동 가능한 원판을 배치하고, 이 원판에 의해 취출 덕트로의 풍량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9439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7-22344호 공보
그런데, 화장 패널에는, 미관, 성형의 용이 및 강도의 관점 등으로부터 플라스틱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이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에는,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PS)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스틸렌 수지는 성형이 용이한 동시에 강도도 높지만, 나사 고정 부분 등과 같이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유분 등이 부착되면, 유분과 응력에 의해 수지가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덕트구에 풍량 조정용의 원판을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부품 개수가 증가하고, 조립이 번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흡입구와 취출구를 갖는 화장 패널을 구비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취출 덕트를 연결하고, 이 취출 덕트와 화장 패널의 흡입구의 양방으로부터, 혹은 어느 한쪽으로부터 조화 공기를 취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경우, 이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취출 덕트의 후부착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취출 덕트를 연결한 경우에 있어서의 풍량 조정을 더욱 간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한층 더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화장 패널의 나사 고정 부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고, 또한, 제2 목적은, 취출 덕트를 후부착하는 경우라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취출 덕트로의 풍량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하면측을 덮는 수지제의 화장 패널(decorative panel)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장 패널이 상기 유닛 본체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응력이 발생되는 상기 화장 패널의 부분이며 상기 고정 부재가 노출된 부분을 대략 밀폐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밀폐 수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밀폐 수납부는, 고정 부재에 의해 응력이 발생되는 화장 패널의 부분이며 고정 부재가 노출된 부분을 대략 밀폐한 상태로 수납하므로, 응력이 발생한 부분에 공기 중의 유분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화장 패널은, 측부에 유지 보수용 개구가 마련된 화장 패널 본체와, 상기 유지 보수용 개구를 폐색하기 위해 상기 화장 패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을 갖고, 상기 밀폐 수납부는, 상기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밀폐 수납부는, 상기 화장 패널 본체의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된 부분 및 그 근방을 덮을 때에 상기 화장 패널 본체의 표면에 밀착하는 돌출 모서리부가 마련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화장 패널 본체에 설치된 결합 수용부에 측방으로부터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고, 상기 밀폐 수납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수용부에 결합할 때에, 상기 돌출 모서리부가 상기 화장 패널의 프레임이며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부분의 근방에 접촉한 상태로 미끄럼 이동되고,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된 부분 및 그 근방을 덮도록 해도 좋다.
또한, 피조화실의 천장에 매립되고, 대략 상자형의 하우징 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한 유닛 본체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취출 덕트가 선택적으로 연결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 덕트의 연결 예정면에, 상기 취출 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복수의 개구 예정구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knockout holes)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에 있어서의 취출 덕트의 연결 예정면에, 취출 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복수의 개구 예정구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을 간격을 두고 형성했으므로, 취출 덕트를 후부착하는 경우라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취출 덕트로의 풍량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예정구의 모서리부를 따른 상기 녹아웃 홀의 일부가, 다른 개구 예정구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의 일부를 겸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단열재가 배치되고, 이 단열재가, 상기 녹아웃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천장면에 설치되고, 취출구 및 흡입구를 갖는 화장 그릴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 패널이 유닛 본체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 부재에 의해 응력이 발생되는 화장 패널의 부분이며 고정 부재가 노출된 부분을 대략 밀폐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밀폐 수납부를 구비하므로, 응력이 발생한 부분에 공기 중의 유분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있어서의 취출 덕트의 연결 예정면에, 취출 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복수의 개구 예정구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을 간격을 두고 형성했으므로, 취출 덕트를 후부착하는 경우라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취출 덕트로의 풍량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흡입 그릴을 개방한 상태의 화장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화장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공기 조화 장치 본체 및 화장 패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6은 사이드 커버를 제거했을 때의 공기 조화 장치를 바닥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7은 사이드 패널의 이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8은 사이드 패널을 화장 패널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유닛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유닛 본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취출 덕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유닛 본체에 취출 덕트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15는 유닛 본체에 취출 덕트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16은 변형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유닛 본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00 : 공기 조화 장치
2, 110 : 유닛 본체(공기 조화 장치 본체)
3, 120 : 화장 패널
3A : 프레임(밀폐 수납부)
4 : 흡입 그릴
7, 121 : 흡입구
8, 122 : 취출구
14, 125 : 플랩
19A, 19B : 사이드 패널
80A, 80B : 나사(고정 부재)
90 : 메인 플레이트부
91 : 서브 플레이트부
99 : 포켓부(밀폐 수납부)
99A : 돌출 모서리부
150 : 취출 덕트
160 : 녹아웃 홀
D1 내지 D4 : 덕트 예정구(개구 예정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1) 제1 실시 형태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이하, 공기 조화 장치라 함)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는, 유닛 본체(공기 조화 장치 본체)(2)와, 화장 패널(3)과, 흡입 그릴(4)을 구비하고 있다. 유닛 본체(2)는 천장 내에 수납되는 것이고, 판금제의 상자형의 본체 케이스(5)를 갖고, 이 본체 케이스(5)의 양 측면(5a)의 각각에는 현수 금속 부재(6)가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 현수 금속 부재(6)는, 천장 빔에 현수된 현수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것이다. 유닛 본체(2)를 천장 내에 수납할 때에는, 천장면에 마련된 천장 구멍으로부터 유닛 본체(2)를 천장 내에 도입하고, 현수 금속 부재(6)의 각각을 현수 볼트에 걸어 고정하여, 유닛 본체(2)를 천장 내부에 수납한다.
도2는 흡입 그릴(4)을 개방한 상태의 화장 패널(3)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3은 화장 패널(3)의 분해 사시도이다. 화장 패널(3)은, 폴리스틸렌(PS)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천장 구멍을 폐색하도록 천장면에 설치되는 것이고,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장 패널(3)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임시 걸이 금속 부재(30)에 의해 유닛 본체(2)에 계지되는 동시에, 나사(80A, 80B)(도6 참조)에 의해 유닛 본체(2)에 고정된다. 이 화장 패널(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7), 및 실내로 조화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8)가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흡입구(7), 취출구(8) 및 화장 패널(3)의 모서리가 단열재(3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흡입구(7)에는, 흡입 그릴(4)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화장 패널(3)의 취출구(8)에는, 플랩(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랩(14)에는 2개의 회전축(15)이 설치되고, 회전축(15)의 각각이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취출구(8)에는 발포재(17)가 설치되어, 냉방 운전시의 결로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화장 패널(3)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유닛 본체(2)의 현수 금속 부재(6) 부근에 액세스하여 유닛 본체(2)의 설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4개의 유지 보수용 개구(18)가 마련되고, 이들의 유지 보수용 개구(18)를 덮는 사이드 커버(19A, 19B)가 화장 패널(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사이드 커버(19A, 19B)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이상 서술한 것 외에도, 화장 패널(3)에는, 무선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20)가 끼워 넣어지는 수광부 설치 구멍 등이 마련되어 있다.
계속해서, 유닛 본체(2)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유닛 본체(2)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5는 유닛 본체(2) 및 화장 패널(3)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6은 사이드 커버(19)를 제거했을 때의 공기 조화 장치(1)를 바닥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2)의 본체 케이스(5)는, 그 내부에 구획판(40)이 설치되고, 이 구획판(40)에 의해, 기계실(41)과 열 교환실(42)로 구획되어 있다. 기계실(41)에는 송풍기 유닛(50) 및 전장(電裝) 상자(51)가 배치된다. 화장 패널(3)의 흡입구(7)는 기계실(41)을 덮는 부위에 설치되고(도6 참조), 송풍 기 유닛(50)의 송풍 동작에 의해, 흡입구(7)로부터 실내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 본체(2)에 도입된다. 이 송풍기 유닛(50)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원심 송풍기(52)와, 이들의 원심 송풍기(52) 사이에 설치되어 원심 송풍기(52)의 각각을 동축으로 구동하는 모터(53)를 구비하고 있다.
원심 송풍기(52)는, 원통재의 내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설치되고 모터(53)에 의해 원통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는 멀티 블레이드 팬(54)과, 이 멀티 블레이드 팬(54)을 수납하는 단면으로부터 보아 소용돌이 나선 형상의 케이싱(55)을 구비한다. 케이싱(55)의 양측에는 멀티 블레이드 팬(54)의 직경에 상당하는 크기의 공기 흡입구(56)가 마련되고, 이 공기 흡입구(56)가 유닛 본체(2)의 측방을 향하도록 원심 송풍기(52)가 기계실(41)에 배치된다. 또한, 원심 송풍기(52)의 케이싱(55)의 내부에는 단면으로부터 보아 소용돌이 나선 형상의 통풍로(57)가 형성되고, 이 통풍로(57)의 토출구(출구)가 덕트(58)를 통해 구획판(40)에 형성된 공기 도입구(43)(도5 참조)에 접속된다. 따라서, 도4 중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심 송풍기(52)의 멀티 블레이드 팬(54)의 회전에 의해, 원심 송풍기(52)의 양 측면의 공기 흡입구(56)로부터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58) 및 구획판(40)을 통해 열 교환실(42)에 토출된다. 또한, 열 교환실(42)에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60)나 드레인 팬(62)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사이드 패널(19A, 19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사이드 패널(19A) 및 사이드 패널(19B)은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 서는 사이드 패널(19A)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사이드 패널(19A)의 이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사이드 패널(19A)은, 크게 구별하면 대략 평판형의 메인 플레이트부(90)와, 메인 플레이트부(90)의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서브 플레이트부(91)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플레이트부(90)에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A)에 결합하는 결합부(92A, 92B)와,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B)에 결합하는 결합부(93)와,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C)에 결합하는 결합부(94)와,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E)에 결합하는 결합부(95)와,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F)에 결합하는 결합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서브 플레이트부(91)에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D)(도6)에 결합하는 결합부(97)와,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G)(도6)에 결합하는 결합부(98)와, 화장 패널(3)을 공기 조화 장치 본체(2)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80B)(도6)의 주위를 대략 밀폐 상태로 덮은 포켓부(9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포켓부(99)의 화장 패널(3)측의 주연부는, 돌기 형상을 이루는 돌출 모서리부(99A)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제의 사이드 패널(19A)의 화장 패널(3)로의 설치는, 사이드 패널(19A)을 도6 및 도7에 나타내는 화살표 D1 방향[화장 패널(3)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화장 패널(3)이 소정 위치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사이드 패널(19A)을 화장 패널(3)에 접촉시킨 상태로 화살표 D2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된다.
도8은 사이드 패널(19A)을 화장 패널(3)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9A)의 돌출 모서리부(99A)는, 화장 패널(3)에 있어서의 나사(80B)의 주변 부분의 평판형의 프레임부(3A)에 접촉하고, 벽부(99B)(도7)와 협동하여, 나사(80B)를 대략 밀폐 상태로 덮는 것으로 된다.
또한, 결합부(92A, 92B)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A)에 결합하고, 결합부(93)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B)에 결합하고, 결합부(94)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C)에 결합하고, 결합부(95)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E)에 결합하고, 결합부(96)는 화장 패널(3)의 결합 수용부(81F)에 결합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장 패널(3)을 유닛 본체(2)에 고정하는 나사(80B)가, 사이드 패널(19A, 19B)의 포켓부(99)에 의해 대략 밀폐 상태로 덮이므로, 나사(80B)에 의해 화장 패널(3)에 응력이 인가되어 있는 부분에 공기 중에 떠도는 유분이 부착되는 일이 없어져, 화장 패널(3)을 구성하고 있는 폴리스틸렌(PS) 등의 수지의 열화(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에 의한 균열 등)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제2 실시 형태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이하, 공기 조화 장치라 함)(10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0은 공기 조화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송풍기(102)나 열교환기(103)를 수용하는 유닛 본체(공기 조화 장치 본체)(110)와, 이 유닛 본체(110)의 하방에 나사로 고정되는 화장 패널(120)을 구비하고 있다. 유닛 본체(110)는 판금제의 상자형의 하우징(111)을 갖고, 이 하우징(111)의 외벽면에는, 천장 빔에 설치된 현수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복수의 현수 금속 부재(112)가 설치되고, 이 현수 금속 부재(112)에 의해 유닛 본체(110)가 피조화실의 천장 공간 내에 배치된다.
화장 패널(120)은, 유닛 본체(110)의 하우징(111)보다 큰 대략 사각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고,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를 천장(104)에 삽입할 때의 천장 구멍(105)을 폐색하도록 천장(104)에 설치되고, 화장 패널(120)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모서리부를 따라, 피조화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모서리부를 따라 공기의 취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패널(120)의 흡입구(121)에는, 필터(123)를 지지하는 흡입 그릴(124)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화장 패널(120)의 취출구(122)에는, 화장 패널(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랩(125)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플랩(125)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축(126)을 지지점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화장 패널(120)은,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현수 금속 부재(1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한 사이드 패널(127)을 구비하고, 이 사이드 패널(127)을 제거하면, 현수 금속 부재(112)가 노출되고, 작업자가 실내로부터 유닛 본체(1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에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을 기계실(130)과 열 교환실(131)로 구획하는 구획판(132)이 설치되고, 기계실(130)에는, 송풍기(102) 및 전장 상자(106)가 배치되고, 열 교환실(131)에는 열교환기(103) 및 열교환기(103)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107)이 배치된다. 이 냉매 배관(107)은, 도시하지 않는 실외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기(103)로 이송하는 냉매 이송관이나, 열교환기(103)를 순환한 냉매를 실외 유닛으로 복귀하는 냉매 복귀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송풍기(102)는, 멀티 블레이드 팬(135)을 수용하는 2개의 팬 유닛(136)과, 각 팬 유닛(136)의 멀티 블레이드 팬(135)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137)를 구비하고, 전장 상자(106)에 수용된 제어 기판으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137)가 구동하고,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 패널(120)의 흡입구(121)를 통해 피조화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123)에 의해 청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실(131)을 향해 송풍한다.
열교환기(103)는 핀(fin)ㆍ튜브형의 열교환기가 적용되고, 열교환 면적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열 교환실(131)에 비스듬하게 배치(경사 배치)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103)의 하방에는 발포 폴리스틸렌제의 드레인 팬(138)이 설치되고, 열교환기(103)의 결로수가 피조화실에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이 드레인 팬(138)이 열 교환실(131)을 단열하는 단열재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이 열 교환실(131)은, 드레인 팬(138) 이외에, 하우징(111)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발포 폴리스틸렌제의 단열재(140)에 의해 단열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 공기 조화 장치(100)에 있어서는, 피조화실의 실내 공기가, 도10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102)에 의해 화장 패널(120)의 흡입구(121)로부터 필터(123)를 통해 유닛 본체(110) 내에 흡입된 후, 열교환 기(103)를 향해 취출되고, 열교환기(103)에서 열교환된 후에, 유닛 본체(110)의 내벽면(110A)에 충돌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고, 화장 패널(120)의 취출구(122)로부터 취출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 공기가 유닛 본체(110) 내의 열교환기(103)를 순환하고, 실내 온도의 조정(실내 공조)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공기 조화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요망 등에 따라서 유닛 본체(110)의 하우징(111)의 측벽(111X)에 취출 덕트(150)(도13)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이 취출 덕트(150)를 통해, 열교환기(103)에서 열교환된 조화 공기가 피조화실에 취출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 덕트(150)가 연결되는 측벽(111X)의 외벽면(연결 예정면)(111A)에는, 취출 덕트(150)의 덕트 예정구(D)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16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 녹아웃 홀(160)을 연결하도록 녹아웃 홀(160) 사이의 부재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취출 덕트(150)의 덕트구(D0)(도14, 도15)를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 예정구(D)로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종 2열, 횡 2열의 4개의 덕트 예정구(D1 내지 D4)를 상정하고 있고, 각 덕트 예정구(D1 내지 D4)의 모서리부를 따라 미세 구멍 형상의 녹아웃 홀(16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종으로 배열하는 덕트 예정구(D1 및 D2)에 대해서는, 상방의 덕트 예정구(D1)의 하부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160)이, 하방의 덕트 예정구(D2)의 상부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160)을 겸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덕트 예정구(D1과 D2)가 이격하도록 녹아웃 홀(160)을 각각 형성한 경우에 비해, 녹아웃 홀(160)의 개수를 저감할 수 있어, 녹아웃 홀(160)의 가공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종으로 배열하는 덕트 예정구(D3, D4)에 대해서도, 덕트 예정구(D1, D2)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덕트 예정구(D3)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160)이, 다른 덕트 예정구(D4)의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160)을 겸용하도록 되어 있어, 녹아웃 홀(160)의 가공의 수고를 경감하고 있다. 또한, 이들 녹아웃 홀(160)의 내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열재(14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 단열재(140)에 의해, 녹아웃 홀(160)을 통해 외기가 유닛 본체(110) 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유닛 본체(110) 내의 단열이 유지된다.
도13은 취출 덕트(15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취출 덕트(150)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유닛 본체(110)에 연결되는 금속제의 하우징(151)과, 천장 등에 마련한 개구(취출 덕트 송풍구)에 연통되는 금속제의 하우징(152)과, 이들 하우징(151, 152)을 연결하고, 유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체(153)로부터 개략 구성되고, 이 연결체(153)에 의해 한쪽의 하우징(153)의 방향을 다른 쪽의 하우징(152)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하우징(151)의 개구부(151A)에는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플랜지(154)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154)에는 복수의 핀 구멍(155)이 마련되는 동시에, 걸림 부재(156)가 간격을 두고 핀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156)는, 금속제의 판 부재를 대략 역ㄷ자형으로 굴곡하여 형성되고, 이 역ㄷ자 부분이 유닛 본체(110)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156)는, 역ㄷ자 부분이 유닛 본체(110)에 걸리는 것에 의해, 취출 덕트(150)의 개구부(151A)측을 유닛 본체(110)의 설치 위치에 임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4 및 도15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유닛 본체(110)에 취출 덕트(150)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에 취출 덕트(15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유닛 본체(110)의 덕트 예정구(D1 내지 D4) 중 어느 1개 이상을 덕트구(D0)로서 개구시키는 동시에, 이 덕트구(D0)를 차단하고 있었던 단열재(140)의 일부를 절단하여 덕트구(D0)와 열 교환실(131)을 연통시킨 후, 또한, 이 유닛 본체(110)의 연결 예정면(111A)에, 취출 덕트(150)의 핀 구멍(55)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이 암나사 구멍에 핀 구멍(155)을 통해 취출 덕트(150)를 핀 체결하는 것에 의해, 유닛 본체(110)에 취출 덕트(150)가 연결된다. 이 경우, 취출 덕트(150)로부터 취출하는 풍량을 좌우에 균등하게 하기 위해, 덕트 예정구(D1)를 덕트구(D0)로 하는 경우에는 덕트 예정구(D3)도 덕트구(D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찬가지로, 덕트 예정구(D2)를 덕트구(D0)로 하는 경우에는 덕트 예정구(D4)도 덕트구(D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에 취출 덕트(150)를 연결할 때에는, 취출 덕트(150)의 걸림 부재(156)를 인출하여, 유닛 본체(110)의 덕트구(D0)의 하부 모서리부(D0L)에 단열 쿠션재(157)를 통해 거는 것에 의해, 취출 덕트(150)의 덕트구측을 뜨게 한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취출 덕트(150)의 위치 맞춤을 행하여 핀 연결한다. 이를 위해, 취출 덕트(150)의 덕트구측을 1회 들어 올리면, 걸림 부재(156)에 의해 덕트구측을 뜨게 한 상태로 임시 계지시킬 수 있어, 취출 덕트(150)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열 쿠션재(157)는, 취출 덕트(150)와 유닛 본체(110)와의 간극을 매립하는 쿠션성을 갖는 단열재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열 쿠션재(157)를 취출 덕트(150)와 유닛 본체(110)와의 사이에 개재 삽입하는 것에 의해, 취출 덕트(150)와 유닛 본체(110)와의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차단하는 동시에, 충분한 단열 대책이 실시된다.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덕트 예정구(D2, D4)만을 덕트구(D0)로 한 경우, 취출 덕트(150)에 공급되는 풍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 덕트(150)와 화장 패널(120)의 취출구(122)에 공급되는 조화 공기의 배분 비율을 취출구(122)측의 쪽을 많게 할 수 있다.
한편,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모든 덕트 예정구(D1 내지 D4)를 덕트구(D0)로 한 경우, 도14의 경우보다 덕트구(D0)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 덕트(150)에 공급되는 풍량을 많게 할 수 있고, 취출 덕트(150)와 화장 패널(120)의 취출구(122)에 공급되는 조화 공기의 배분 비율을 취출 덕트(150)측의 쪽을 많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덕트 예정구(D1 내지 D4)에 모서리부를 따른 녹아웃 홀(160)을 간격을 두고 하우징(111)에 미리 형성해 두고, 이들 덕트 예정구(D1 내지 D4)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덕트구(D0)로 하므로, 취출 덕트(150)로의 공급 풍량을 조정할 수 있어, 취출 덕트(150)와 화장 패널(120)의 취출구(122)에 공급되는 조화 공기의 배분 비율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덕트구(D0)를 형성하는 경우, 하우징(111)에 형성된 녹아웃 홀(160) 사이만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면 되므로, 취출 덕트로의 풍량 조정용의 원판을 구비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취출 덕트로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어, 취출 덕트의 후부착도 용이하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취출 덕트(150)를 연결한 경우, 화장 패널(120)의 취출구(122)를 소정의 폐색 부재로 폐색하고, 취출 덕트(150)만으로부터 조화 공기를 취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인 나사(80B)의 사이드 패널(19A)측에 노출된 부분을 대략 밀폐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밀폐 수납부로서, 포켓부(99)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나사의 헤드부가 오목부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를 덮개 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밀봉하고, 오목부 및 덮개 부재로 밀폐 수납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포켓부(99)의 형상은, 실시 형태와 같이 상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유닛 본체(110)에, 종 2열, 횡 2열의 4개의 덕트 예정구(D1 내지 D4)를 용이하게 개구 가능하게 하는 녹아웃 홀(160)을 미리 형성해 두는 경우에 대해 예시했지만, 덕트 예정구의 개수 및 형상은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횡 4열의 덕트 예정 구(D1 내지 D4)에 대응하는 녹아웃 홀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취출 덕트(150)의 분출 풍량을 작게 하는 경우에는 덕트 예정구(D2 및 D3)를 덕트구(D0)로 하고, 분출 풍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모든 덕트 예정구(D1 내지 D4)를 개방시켜 덕트구(D0)로 하면 좋다. 또한, 녹아웃 홀의 형상도 미세 구멍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구멍 등의 다양한 구멍 형상을 적용해도 좋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하면측을 덮는 수지제의 화장 패널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장 패널이 상기 유닛 본체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응력이 발생되는 상기 화장 패널의 부분이며, 상기 고정 부재의 노출된 부분을 밀폐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밀폐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장 패널은, 측부에 유지 보수용 개구가 마련된 화장 패널 본체와, 상기 유지 보수용 개구를 폐색하기 위해 상기 화장 패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을 갖고,
    상기 밀폐 수납부는 상기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밀폐 수납부는, 상기 화장 패널 본체의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된 부분 및 그 근방을 덮을 때에 상기 화장 패널 본체의 표면에 밀착하는 돌출 모서리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화장 패널 본체에 설치된 결합 수용부에 측방으로부터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고,
    상기 밀폐 수납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수용부에 결합할 때에, 상기 돌출 모서리부가 상기 화장 패널의 프레임이며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부분의 근방에 접촉한 상태로 미끄럼 이동되고,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된 부분 및 그 근방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7007154A 2004-09-30 2005-06-27 공기 조화 장치 KR100881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5809 2004-09-30
JP2004285684A JP4658552B2 (ja) 2004-09-30 2004-09-30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285684 2004-09-30
JP2004285809A JP4805561B2 (ja) 2004-09-30 2004-09-30 空気調和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515A Division KR20080045301A (ko) 2004-09-30 2005-06-27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231A KR20070054231A (ko) 2007-05-28
KR100881250B1 true KR100881250B1 (ko) 2009-02-05

Family

ID=361424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154A KR100881250B1 (ko) 2004-09-30 2005-06-27 공기 조화 장치
KR1020087011515A KR20080045301A (ko) 2004-09-30 2005-06-27 공기 조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515A KR20080045301A (ko) 2004-09-30 2005-06-27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1795819B1 (ko)
KR (2) KR100881250B1 (ko)
WO (1) WO2006038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5722B2 (ja) 2007-12-17 2009-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590632B1 (ko) * 2008-11-10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06123263B (zh) * 2016-06-20 2019-06-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吊顶式空调及其出风装置
JP2018091508A (ja) * 2016-11-30 2018-06-14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外面パネル、空気調和機の室内機、ノックアウト方法、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据付方法
JP6945616B2 (ja) * 2017-03-14 2021-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20220154971A1 (en) * 2020-11-16 2022-05-19 Martin Sr Lendell Enclosures for air systems, air systems having enclosures, and methods of using enclosures
WO2023187873A1 (ja) * 2022-03-28 2023-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543A (ja) 2001-09-26 2003-06-20 Toto Ltd 空調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738Y2 (ko) * 1986-12-19 1991-08-15
JP3095583B2 (ja) * 1993-08-06 2000-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の天井パネル
JPH0722344U (ja) * 1993-09-20 1995-04-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H08233305A (ja) * 1995-02-28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943717B2 (ja) * 1996-08-30 1999-08-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TW384374B (en) * 1996-10-03 2000-03-11 Toshiba Corp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3477416B2 (ja) * 1998-12-02 2003-1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1235177A (ja) * 2000-02-21 2001-08-31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IT249452Y1 (it) * 2000-03-21 2003-05-07 P D R Di Pistillo Ciro & C Snc Struttura di cassetta per l'unita' interna ad incasso di condizionatori d'aria.
JP2002276990A (ja) * 2001-03-23 2002-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構造
JP3843011B2 (ja) 2001-12-28 2006-11-08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205891B2 (ja) * 2002-05-22 2009-0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2004176975A (ja) * 2002-11-26 2004-06-2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543A (ja) 2001-09-26 2003-06-20 Toto Ltd 空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5819A1 (en) 2007-06-13
KR20080045301A (ko) 2008-05-22
EP2163831A1 (en) 2010-03-17
KR20070054231A (ko) 2007-05-28
WO2006038352A1 (ja) 2006-04-13
EP1795819A4 (en) 2009-11-11
EP2163831B1 (en) 2018-11-07
EP1795819B1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250B1 (ko) 공기 조화 장치
AU2019242466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7049600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910001554Y1 (ko) 공기조화장치
JP5061928B2 (ja) 換気装置
JP465855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7093502B2 (ja) 空気調和機
JP7161667B2 (ja) 空気調和機
JP4523822B2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466464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7093501B2 (ja) 空気調和機
JP679220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EP3779315B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5067180B2 (ja) 換気装置
JP4805561B2 (ja) 空気調和装置
WO202024084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室内機の付加装置
JP201917882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5214470A (ja) 換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