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16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164A
KR20070073164A KR1020060000741A KR20060000741A KR20070073164A KR 20070073164 A KR20070073164 A KR 20070073164A KR 1020060000741 A KR1020060000741 A KR 1020060000741A KR 20060000741 A KR20060000741 A KR 20060000741A KR 20070073164 A KR20070073164 A KR 20070073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heat exchanger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164A/ko
Publication of KR2007007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열교환기가 실내공기와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로 강제 유동시켜 실외열교환기가 냉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실내열교환기(150)가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100)와, 상기 실내기(100)와 냉매관(110)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실외열교환기(260)가 구비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실외기(200) 내부로 유동하며, 상기 실외기(200)의 내부 일측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실외드레인팬(3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의 내부 일측에는 실내기(100)로부터 유동하는 응축수를 흡입 및 배수하는 실외펌프(3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은 실외열교환기(26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외곽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응축수, 실외열교환기, 실외펌프, 수냉(水冷)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일 구성인 실내기 내부 일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다른 구성인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실외드레인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실외드레인팬이 실외열교환기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냉매관
120. 드레인호스 130. 전면플레이트
132. 흡입구 134. 토출구
136. 루버 140. 실내팬
142. 실내모터 150. 실내열교환기
160. 실내드레인팬 162. 실내집수공간
170. 실내펌프 172. 실내흡입부
174. 실내배수부 176. 배수관
200. 실외기 210. 전방좌측판넬
212. 송풍구 214. 토출그릴
216. 오리피스 220. 전방우측판넬
222. 컨트롤관통구 224. 컨트롤커버
230. 후방판넬 232. 공기흡입구
240. 상면판넬 250. 베이스팬
252. 고정다리 254. 분리벽
254'. 컨트롤안착부 256. 보강리브
260. 실외열교환기 262. 송풍팬
264. 팬모터 266. 모터마운트
268. 모터지지대 270. 압축기
272. 연결관 274. 어큐뮬레이터
276. 배관지지대 277. 배관연결부
279. 서비스밸브 280. 컨트롤박스
282. 방열수단 284. 보조박스
290. 응축기 320. 실외펌프
322. 실외흡수부 324. 실외배수부
340. 실외드레인팬 342. 실외집수공간
344. 분배공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열교환기가 실내공기와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로 강제 유동시켜 실외열교환기가 냉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냉매가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를 거치게 되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O)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I)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O) 내부에는 압축기(80)와 실외열교환기(60)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I) 내부에는 증발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O)와 실내기(I)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O)와 실내기(I)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는 설치되는 위치 또는 형상에 따라, 액자형, 벽걸이형, 스텐드형, 천장덕트형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다양한 실내기(I)는 냉매관(P)에 의해 실외기(O)와 연결됨으로써 냉매사이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분리형이며, 상기 실내기(I)는 천장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천장형이다.
즉, 상기 실내기(I)는 바닥면에 흡입구(2)가 천공되고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실내팬(미도시)이 장착되며, 상기 실내팬에 의해서 실내기(I)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서 열교환된 후에 상기 흡입구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조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실내공기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실내드레인팬(미도시)에 집수되었다가 실내펌프(미도시)에 의해 강제되어 드레인호스(6)를 따라 실외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O)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형상의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판넬(20)과, 하면을 차폐하는 베이스팬(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여러개 판넬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사각판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O)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판넬(12)과, 상방에서 봤을 때 "
Figure 112006000420556-PAT00001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실외기(O)의 좌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후방판넬(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판넬(14)의 후면에는 사각모양으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실외기(O) 내부가 외부로 개구되도록 하는 흡입공(14')이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실외기(O)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방판넬(12)의 전면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실외기(O)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3)에는 토출구(13)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토출그릴(13')이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13)를 통해서 실외기(O)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O)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3)의 토출그릴(13')을 통해서 실외기(O)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토출그릴(13')의 후방에는 오리피스(4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40)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50)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상기 토출구(13)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가 원형으로 천공되고, 원통 모양의 구조물이 천공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40)의 후방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회전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팬모터(52)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공기는 유동이 강제되며, 상기 흡입공(14')을 통해서 실외기(O)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40)와 토출그릴(13')을 차례로 지나 상기 실외기(O)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5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54)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54)는 상단부가 상기 후방판넬(14)의 상단부 일측에, 그리 고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팬(30)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된 팬모터(52)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54)의 후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판넬(14)과 지지대(54) 사이에는 실외열교환기(60)가 장착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60)는 실외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압축기(80)로부터 유동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60)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켜 저온 고압의 기/액 상태로 응축하게 되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기(I)의 증발기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판넬(14)에는 실외 공기가 실외기(O)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공(14')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4)의 우측에는 컨트롤판넬(7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은 실외기(O)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전자부품(72)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은 후방판넬(14)의 측면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후방판넬(14)의 우측면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컨트롤커버(16)에 의해서 개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커버(16)를 후방판넬(14)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판넬(70)에 구비된 전자부품(72)은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판넬(70)의 하측에는 압축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는 실내기(I)에서 냉매관을 따라 실외기(O)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3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의 외측에는 연결관(82)이 둘러진다. 상기 연결관(82)은 상기 압축기(8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82)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84)가 구비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84)는 실내기(I)로부터 유입된 기/액냉매 중에서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8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80)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82)는 상기 베이스팬(30)의 상면 우측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배관지지부(86)에 의해 지지되고, 연결관(82)의 단부는 상기 외부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매관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관(82) 내부의 냉매는 실내기(I)와 실외기(O) 사이를 유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60)는 압축기(80)로부터 전달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실외 공기의 대류에 의해 저온 고압 상태가 되도록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60)는 별도의 냉각수단 없이 송풍팬(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만으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무더운 여름에는 실외 공기 자체가 높은 열을 가지며 비록 송풍팬(50)에 의해 실외 공기가 빠른 속도로 송풍되더라도 결국 높은 열기를 가진 상태이므로 실외열교환기(60)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키는데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열교환기(60)의 열교환 효율 저하는 공기조화기 전체의 냉방 효율 저하로 이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열교환기가 실내공기와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로 강제 유동시켜 실외열교환기가 냉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열교환기의 상측에 실외드레인팬을 설치하여 응축수가 실외열교환기에 고르게 낙수되도록 함으로써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실내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냉매관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실외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실외기 내부로 유동하며, 상기 실외기의 내부 일측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실외드레인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드레인팬의 내부 일측에는 실내기로부터 유동하는 응축수를 흡입 및 배수하는 실외펌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드레인팬은 실외열교환기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외곽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드레인팬의 일측에는, 함몰 형성되어 응축수가 집수되는 실외집수공간과, 상기 실외공간의 일측에 천공 형성되어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가 실외열교환기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분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기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실내드레인팬과, 상기 실내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실내펌프와, 상기 실내펌프에 의해 실내드레인팬 외부로 배수된 응축수를 실외기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00)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200)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내기(100)와 실외기(200)는 냉매관(110)에 의해서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와 실외기(200) 사이에는 드레인호스(120)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호스(120)는 실내기(100)가 실내공기를 조화할 때 내부 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도 5의 도면부호 260)의 외면에 낙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내기(100)는 실내 공기를 하면 중앙부로 흡입하여 내부에서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된 실내공기는 실내기(100)의 하면 테두리 부위를 통해서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내기(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30)에는 흡입구(132)가 다수개 천공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 내부가 실내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구의 외측으로는 토출구(134)가 천공됨으로서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34)에는 사각판 모양의 루버(136)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루버(136)는 토출구(134)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간섭하여 넓은 영역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내기(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일 구성인 실내기 내부 일부분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실내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상측에는 실내팬(14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실내팬(140)은 실내모터(142)와 축결합되어 빠른 속도로 회동하며, 중 앙부로는 흡입력을 발생하고 외주면 방향으로는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40)이 회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실내팬(140) 중앙부로 흡입된다.
상기 실내팬(140)의 외측에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실내열교환기(15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50)는 실내팬(140)의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된 실내공기를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하여 형성되며,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50)는 냉매관(110)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50)를 경유한 냉매는 상기 냉매관(110)을 따라 상기 실외기(200)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실내드레인팬(160)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드레인팬(160)은 실내열교환기(150)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실내집수공간(16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50)를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는 실내집수공간(162)에 집수됨으로써 실내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실내드레인팬(160)의 선단(도 4에서 볼 때)에는 실내펌프(17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펌프(170)는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를 실내기(100)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실내흡입부(172)는 상기 실내집수공간(162) 내부에 위치하며, 응축수가 토출되는 실내배수부(174)는 실내집수공간(162) 상측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배수부(174)에는 배수관(176)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배수관(176)은 드레인호스(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드레인팬(160)에 집수된 응축수는 실내펌프(170)와 배수관 그리고 드레인호스(120)를 차례로 경유하여 상기 실외기(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외기(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다른 구성인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200)는 전방 좌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좌측판넬(210)과, 전방우측부 및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우측판넬(220)과, 후면 및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판넬(230)과,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240) 그리고, 바닥면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팬(25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좌측판넬(210)에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송풍구(212)가 상하에 쌍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송풍구(212)에는 토출그릴(214)이 구비되어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고, 이물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방좌측판넬(210)의 송풍구(212)에는 오리피스(216)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원형의 상기 송풍구(212) 테두리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오리피스(216)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방우측판넬(220)은 '』'자 형상(상방에 볼 때)으로 이루어져 실외기(200)의 전방 우측부 및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우측판넬(220)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박스(28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컨트롤관통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관통구(222)는 컨트롤관통구(222)와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컨트롤커버(224)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컨트롤관통구(222)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우측판넬(220)의 우측면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관지지대(276)가 장착되는 절개부(226)가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230)은 대략 '┌'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되며, 여기에는 다수의 공기흡입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232)는 외부의 공기가 실외기(2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판넬(230)의 후면 및 좌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200)의 하부외관은 베이스팬(250)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25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250)의 하부에는 고정다리(252)가 좌우에 쌍으로 구비되어 실외기(2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250)의 상측에는 분리벽(254)이 전후로 구비된다. 상기 분리벽(254)은 실외기(200)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방으로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분리벽(254)의 상단에는 컨트롤박스(280)가 안착되는 컨트롤안착부(254')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안착부(254') 내부에는 컨트롤박스(2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80)는 상기 실외기(200) 내부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벽(254)의 좌측과 우측에 걸쳐 설치되고, 이러한 컨트롤박스(280)의 저면에는 방열수단(282)과 보조박스(284)가 구비된다.
상기 방열수단(282)은 상기 컨트롤박스(280)의 저면에 부착되는 사각평판의 방열판(282')과, 상기 방열판(28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방열핀(28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282')과 방열핀(282")은 알루미늄(Al)과 같이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방열판(282')과 방열핀(282")을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컨트롤박스(28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벽(254)의 좌측,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팬(250)의 좌측단과 후단에는 실외열교환기(26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60)는 상기한 공기흡입구(23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판넬(2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방좌측판넬(210)의 후방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송풍팬(262)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62)은 상기 공기흡입구(2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외열교환기(260)를 경유한 다음 상기 송풍구(212)를 통해 외부 로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팬(262)의 후측에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264)가 구비된다. 상기 팬모터(264)는 송풍팬(262)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며, 모터마운트(266)에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262) 및 팬모터(264)는 상기 송풍구(212)와 같이 상하에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터마운트(266)는 후측의 모터지지대(268)에 체결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25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모터지지대(268)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모터지지대(268)는 상기 송풍팬(262)과 팬모터(264)를 지지한다. 상기 모터지지대(268)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250)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상면판넬(24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벽(254)의 우측에는 압축기(27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270)는 실내기(100)와 실외기(200) 사이를 유동하면서 열교환하는 냉매를 고온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25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270)의 이격된 외측에는 연결관(272)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272)은 상기 압축기(270)의 상단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72)의 일단에는 어큐뮬레이터(274)가 구비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74)는 실내기(100)로부터 유입된 기/액냉매 중에서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27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270)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272)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팬(250)의 상면 우측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배관지지대(276)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지지대(276)는 실내기(10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관연결부(277)와 서비스밸브(27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270)의 하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팬(25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250)은 실외기(200)의 하부외관을 형성함은 물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250)의 저면 좌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고정다리(252)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팬(250)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250)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256)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보강리브(256)는 상기 베이스팬(2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250)은 보강리브(256)에 의해서 강도가 보강되어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중량을 지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260)의 상측에는 실외펌프(320) 및 실외드레인팬(340)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펌프(320)와 실외드레인팬(34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상기 실내펌프(170)에 의해서 드레인호스(120)로 배수된 응축수를 흡입하는 역할과, 상기 실내펌프(170)에 의해서 실외기(200) 내부로 흡입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외드레인팬(340) 및 실외펌프(320)의 구성을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실외드레인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실외드레인팬이 실외열교환기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은 실외열교환기(26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외곽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00420556-PAT00002
"모양을 가지며, 전체적인 크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60)의 상면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실외집수공간(342)이 성형된다.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은 실내기(100)로부터 유동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의 내부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분배공(344)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분배공(344)은 실외집수공간(342)에 집수된 응축수가 실외열교환기(260)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미세하게 천공되며,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의 바닥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집수공간(342) 우측에 먼저 응축수가 집수되더라도 상기 분배공을 통해 모두 낙수되지 않고 응축수의 일부는 실외집수공간(342)의 좌측까지 유동하게 되며, 응축수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60)의 상단부에 고르게 분배된다.
또한,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에 집수된 응축수가 실외열교환기(260)에 낙수되면 실외열교환기(260)는 응축수의 냉기에 의해 냉각됨은 자명하다.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의 하면에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홈(미도시)은 실외드레인팬(340)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260)의 상단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실외열교환기(260) 상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드레인팬(340)은 실외열교환기(260)로부터 낙하되지 않게 되며,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의 우측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외펌프(32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펌프(320)는 전원을 인가받아 냉매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펌프(170)에 의해 배수되어 드레인호스(120) 내부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실외기(200) 내부로 흡입하게 되다.
즉, 상기 실외펌프(320)의 상부 좌측으로는 실외흡수부(322)가 돌출되어 상기 드레인호스(120)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실외펌프(320)의 하측으로는 실외배수부(324)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펌프(320)의 흡입력에 의해 드레인호스(120) 내부에서 실외기(200)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실외흡수부(322)와 실외배수부(324)를 경유하여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으로 집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내팬(140)은 회동하여 중앙부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실내 공기는 흡 입구를 통해 실내기(100)로 흡입된 다음 실내팬(140)의 외주면 방향으로 토출되어 실내열교환기(150)에 의해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50)에 의해 열교환되어 차가워진 실내공기는 상기 토출구(134)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간을 조화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외기(200)에서는 송풍팬(262)이 회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262)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 유동을 강제하여 실외 공기가 실외기(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실외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서 실외기(20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260)를 지나면서 실외열교환기(260)를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송풍구(212)를 통해 실외기(200) 외부로 송풍된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 작동시에 냉매 및 응축수의 흐름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내열교환기(150)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게 되며, 이런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50)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어 상기 실내집수공간(162)에 집수된다.
상기 실내집수공간(162)에 집수된 응축수는 실내펌프(170)에 의해 흡입 및 배수되어 상기 드레인호스(120)를 경유한 뒤에 상기 실외기(2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5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냉매는 냉매관(110)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압축기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기(200)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실외펌프(320)에 의해서 강하게 흡입된 후에 실외드레인팬(340)의 상면 즉, 실외집수공간(342)에 집수되며, 상기 실외기(200) 내부의 압축기로 유입된 냉매는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되어 실외열교환기(26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60)로 이동한 냉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262)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에 의해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게 되어 냉각된 후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50)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외집수공간(342)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분배공(344)에 의해 안내되어 하방향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260)의 상측에 낙수되며, 응축수와 접촉한 실외열교환기(260)는 응축수의 냉기에 의해 더욱 더 냉각되어 냉매를 한층 더 응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60)를 냉각시킨 후에 하방향으로 유동한 응축수는 베이스팬(250) 쪽으로 유동하게 되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팬(250)에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실외기(200) 외부로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응축수안내수단을 상기 실외열교환기(260) 하측에 구성하여 실외기(200)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실내열교환기가 실내공기와 열교환시 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로 강제 유동시켜 실외열교환기가 냉각되도록 하였으며, 실외열교환기의 상측에 실외드레인팬을 설치하여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가 실외열교환기에 고르게 낙수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가 실외공기의 유동에 의해 열교환될 뿐만 아니라, 응축수에 의해서 한번 더 냉각되므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향상은 결국 공기조화기의 냉방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만족도 향상이 기대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실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실내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냉매관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실외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실외기 내부로 유동하며, 상기 실외기의 내부 일측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실외드레인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드레인팬의 내부 일측에는 실내기로부터 유동하는 응축수를 흡입 및 배수하는 실외펌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드레인팬은 실외열교환기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외곽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드레인팬의 일측에는,
    함몰 형성되어 응축수가 집수되는 실외집수공간과,
    상기 실외공간의 일측에 천공 형성되어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가 실외열교환기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분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실내드레인팬과,
    상기 실내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실내펌프와,
    상기 실내펌프에 의해 실내드레인팬 외부로 배수된 응축수를 실외기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000741A 2006-01-04 2006-01-04 공기조화기 KR20070073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41A KR20070073164A (ko) 2006-01-04 2006-01-0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41A KR20070073164A (ko) 2006-01-04 2006-01-0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164A true KR20070073164A (ko) 2007-07-10

Family

ID=3850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41A KR20070073164A (ko) 2006-01-04 2006-01-0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1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3596A (zh) * 2013-04-22 2013-12-18 河南省佰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给空调外机降温的上盖
CN104896711A (zh) * 2015-06-11 2015-09-0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自动清洗系统、空调器和控制方法
CN105953398A (zh) * 2016-07-06 2016-09-21 福州幻科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空调机及其清洗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3596A (zh) * 2013-04-22 2013-12-18 河南省佰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给空调外机降温的上盖
CN104896711A (zh) * 2015-06-11 2015-09-0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自动清洗系统、空调器和控制方法
CN105953398A (zh) * 2016-07-06 2016-09-21 福州幻科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空调机及其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8224B (zh) 空调器
CN103608629A (zh) 嵌入式空调装置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2013004343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316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CN211575530U (zh) 热泵机组用吊挂安装组件、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0U (zh) 一种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KR2007007825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601109U (zh) 一种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3U (zh) 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2U (zh) 多功能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575529U (zh) 吊顶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1U (zh) 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112984795B (zh) 室内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KR2013004343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538127B1 (ko) 제습장치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7817099U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CN217817103U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CN112984792B (zh) 顶置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112984791A (zh) 一种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CN112984793A (zh) 用于吊挂安装的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