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250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250A
KR20070078250A KR1020060008339A KR20060008339A KR20070078250A KR 20070078250 A KR20070078250 A KR 20070078250A KR 1020060008339 A KR1020060008339 A KR 1020060008339A KR 20060008339 A KR20060008339 A KR 20060008339A KR 20070078250 A KR20070078250 A KR 2007007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ain
main body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8250A/ko
Priority to ES07250303T priority patent/ES2333624T3/es
Priority to EP07250303A priority patent/EP1813880B1/en
Priority to CN2007100081653A priority patent/CN101008509B/zh
Publication of KR2007007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의 내측에 상부 열교환기와 하부 열교환기가 각각 배치되어 열교환 성능을 높이면서 실내기를 최대한 슬림화할 수 있고, 본체에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드레인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의 처리와 상부 열교환기의 지지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본체, 상부 열교환기, 하부 열교환기, 드레인, 지지수단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배면 공기 흡입구
4A: 좌측 공기 흡입구 4B: 우측 공기 흡입구
4C: 전면 공기 흡입구 4D: 상면 공기 흡입구
6: 상면 공기 토출구 8: 하면 공기 토출구
10: 섀시 12: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
13: 상부 드레인부 13A: 응축수 가이드
13A′: 상부 드레인 호스 14: 수평부
15: 경사부 16: 열교환기 지지부
17: 경사부 18: 수평부
30: 프론트 프레임 32: 프론트 패널
40: 상부 송풍기 42: 상부 송풍팬
44: 상부 모터 60: 하부 송풍기
62: 하부 송풍팬 64: 하부 모터
71: 하부 드레인부 71A: 하부 드레인 호스
80: 상부 열교환기 82: 상부 수직 열교환부
84: 상부 경사 열교환부 90: 하부 열교환기
92: 하부 수직 열교환부 94: 하부 경사 열교환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상부 열교환기와 하부 열교환기가 상하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 열교환 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할 뿐만 아니라 상부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와 사방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팽창 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와, 실내 팬 및 실내팬 모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장치와, 압축 장치와, 실외 팬 및 실외팬 모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형은 통상적으로 실내기가 실내의 내부에 세워지거나 벽에 걸거나 천정에 매립하여 설치되고, 일체형은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어 설치하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 설치하거나 실외에 배치되고 실내와 덕트로 연결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2)와, 상기 섀시(102)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104) 및 흡입 그릴(106)이 형성된 프론트 그릴(1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흡입 그릴(112)과, 상기 섀시(102)와 프론트 그릴(110)의 사이에 배치된 송풍팬(116)과, 상기 송풍팬(116)과 상기 공기 흡입구(104) 및 흡입 그릴(106)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10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면 흡입 그릴(106)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4)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에어 필터(105)가 배치된다.
상기 전면 흡입 그릴(112)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4) 및 에어 필터(105)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섀시(102)와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120)가 형성된 디스챠져(122)가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118)는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부 뒤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열교환부(118a)와, 상기 수직 열교환부(118a)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102)의 상단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면부 아래에 배치된 경사 열교환부(118b)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챠져(124)에는 상기 송풍팬(116)의 흡입 유로와 배기 유로를 구분하는 스테빌라이져(124)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챠져(124)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120)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13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송풍팬(116)이 회전되면, 상기 전면 흡입 그릴(112)의 전방의 공기가 상기 전면 흡입 그릴(112)을 통과하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공기 흡입구(104)를 통과하면서 상기 에어 필터(10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며, 상기 프론트 그릴(110)과 섀시(102)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측의 공기는 상기 상면 흡입 그릴(106)을 통과하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과 섀시(10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8)의 수직 열교환부(118a)와 경사 열교환부(118b)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이후 상기 송풍팬(116)으로 유입되어 하측으로 송풍되며, 상기 루버(130) 및 베인(140)의 안내를 받아 그 풍향이 조절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1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18)가 1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118)가 수직 열교환부(118a)와, 상기 수직 열교환부(118a)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 열교환부(118b)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열교환 성능을 높이거나 대용량화하기 위해서는 경사 열교환부(118b)의 높이나 전후 폭을 크게 하여야 하는데, 실내기의 전후 폭을 크게 하는 경우 슬림화되지 못하고 실내로 돌출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18)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에 상,하 2개 설치할 경우, 열교환 성능을 높이면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최대한 슬림화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부 열교환기의 지지와 상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부에 전면 공기 흡입구(104)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흡입 그릴(1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면부의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상하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의 처리와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 지지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 상부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 하부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드레인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안내되는 드레인부와; 상기 드레인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부는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는 상기 드레인부 일측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과 상기 본체를 잇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 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레인부와,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으로 낙하되어 드레인되는 응축수를 상기 하부 드레인부로 낙하시키는 응축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에 연결된 상부 드레인 호스와; 상기 하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 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레인부와; 상기 하부 드레인부에 연결된 하부 드레인 호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열교환기는 수직하게 배치된 상부 수직 열교환부와, 상기 상부 수직 열교환부의 하단에서 상기 섀시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 경사 열교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열교환기는 수직하게 배치된 하부 수직 열교환부와, 상기 하부 수직 열교환부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 열교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 상부 열교환기(80)와, 상기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와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 열교환 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배면부나 측면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면부와 하면부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부과 상면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하면부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면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하면부를 통해 토출하거나 하면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면부를 통해 토출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흡/토출 방향 이외의 다양한 흡/토출 방향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2)는 전면부를 통해 공기가 토출시키는 경우 토출된 공기 특히 온기가 사용자의 얼굴 등에 직접 닿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간접풍의 유도를 위해 전면부에는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지 않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본체(2)는 배면부에 배면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상부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하면부에 하부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되어, 배면 공기 흡입구(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상부 열교환기(70)와 하부 열교환기(8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열/냉각시키고 상부 공기 토출구(6)와 하부 공기 토출구(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2)는 실내의 바닥에 세우는 스탠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 벽걸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본체(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와, 상기 섀시(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30)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섀시(10)는 실내의 벽면에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으로 장착되는 설치 판(미도시)에 걸어 장착하거나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판에 장착된다.
상기 섀시(10)는 실내의 벽면이나 설치판과의 사이에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로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게 하는 별도의 공기 흡입 유로를 갖도록 바, 섀시(10)의 측면부 등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거나 섀시(10)의 일부가 설치판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고, 설치판에 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게 하는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거나 설치판의 일부가 벽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섀시(10)는 중앙측에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가 좌우로 길고 전후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섀시(10)는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의 상부에 후술하는 상부 송풍팬(42)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유로 가이드(11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의 하부에 후술하는 하부 송풍팬(62)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유로 가이드(11B)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드레인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의 하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12)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12)은 상기 본체(2)의 중앙부근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 이하 상기 섀시(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12)은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 열교환기(70)나 하부 열교환기(80)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4) 보다 위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12)은 상기 섀시(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좌우 중 일측으로 안내되는 드레인부(13)와; 상기 드레인부(13)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80)가 접촉되는 열교환기 지지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부(13)는 상기 섀시(10)에 대해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14)와, 상기 수평부(14)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6)는 상기 드레인부(13)의 수평부(14) 일측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7)와, 상기 경사부(17)의 상단과 상기 본체(2), 특히 섀시(10)를 잇는 수평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상면부에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6)가 대략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면부에 상기 공기 토출구(8)가 대략 상하 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32)은 평판형의 판체로서, 사진 등이 담겨지는 액자로 이루어지거나 색상 변경이 가능한 색상 패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엘시디 등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배면에 엘시디 등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표시창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송풍기(40) 및 상부 토출부(50)와, 하부 송풍기(60) 및 하부 토출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송풍기(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특히 섀시(10)의 상부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크로스 플로우팬인 상부 송풍팬(42)과, 상기 상부 송풍팬(4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섀시(10)의 전면측 상부 좌,우 중 일측에 설치된 상부 모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토출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시(10)의 상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부 공기 토출구(6)를 형성하는 상부 디스챠저(52)와, 상기 상부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풍향 조절하기 위한 상부 풍향 조절 부재(53)와, 상기 상부 풍향 조절 부재(53)를 회전시키는 풍향 조절 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디스챠저(52)는 상기 상부 송풍팬(42)의 흡입 유로와 배기 유로를 구분하는 스테빌라이져(53)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디스챠저(52)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별도로 성형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상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거나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송풍기(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특히 섀시(10)의 하부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크로스 플로우팬인 하부 송풍팬(62)과, 상기 하부 송풍팬(6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섀시(10)의 전면측 하부 좌,우 중 일측에 설치된 하부 모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시(10)의 하부와의 사이에 상기 하부 공기 토출구(8)를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하부 열교환기(9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드레인하는 드레인부(71)가 형성된 하부 디스챠저(72)와, 상기 하부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풍향 조절하기 위한 하부 풍향 조절 부재(74)와, 상기 하부 풍향 조절 부재(74)를 회전시키는 하부 풍향 조절 모터(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디스챠저(72)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별도로 성형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하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거나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디스챠저(72)는 상기 하부 송풍팬(62)의 흡입 유로와 배기 유로를 구분하는 스테빌라이져(73)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와 하부 열교환기(90)는 냉매관이 직렬로 연결되어 상부 열교환기(80)를 통과한 냉매가 하부 열교환기(90)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거나 그 반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매관이 병렬로 연결되어 냉매가 상부 열교환기(80)와 하부 열교환기(90)로 분배된 후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와 하부 열교환기(90)를 통과하여 다시 합쳐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냉매관이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와 하부 열교환기(90)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열교환기(80)는 수직하게 배치된 상부 수직 열교환부(82)와, 상기 상부 수직 열교환부(82)의 하단에서 상기 섀시(1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 경사 열교환부(8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수직 열교환부(82)는 상기 상부 송풍팬(42)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경사 열교환부(84)는 하부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6)의 경사부(17)에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상부 경사 열교환부(84)는 하부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6)의 경사부(17)에 올려져 지지된다.
상기 하부 열교환기(90)는 수직하게 배치된 하부 수직 열교환부(92)와, 상기 하부 수직 열교환부(82)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1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 열교환부(9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수직 열교환부(92)는 상기 하부 송풍팬(62)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 수직 열교환부(9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하부 디스챠저(72)의 드레인부(71)에 올려져 지지된다.
상기 하부 경사 열교환부(94)는 상부가 상기 섀시(10)의 배면 공기 흡입구(4) 하측 위치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상기 섀시(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송풍팬(42)과 하부 송풍팬(62) 좌측을 막도록 돌출된 좌측 격벽(21)과, 상기 상부 송풍팬(42)과 하부 송풍팬(62) 우측을 막도록 돌출된 우측 격벽(22)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 격벽(21)의 상부와 우측 격벽(22)의 상부 중 일측에는 상기 상부 송풍팬(42)의 일측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23)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격벽(21)의 상부 좌측이나 우측 격벽(22)의 상부 우측 중 일측에는 상기 상부 송풍팬(42)을 회전시키는 상부 모터(44)가 안치되어 설치되는 상부 모터 안치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격벽(21)의 하부와 우측 격벽(22)의 하부 중 일측에는 상기 하부 송풍팬(62)의 일측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2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격벽(21)의 하부 좌측이나 우측 격벽(22)의 하부 우측 중 일측에는 상기 하부 송풍팬(62)을 회전시키는 하부 모터(64)가 안치되어 설치되는 하부 모터 안치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격벽(21)에는 상기 좌측 격벽(21)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격벽(21)과 함께 상부 송풍팬(42)의 좌측 유로를 형성하는 좌측 상부 서포터(21A)와, 상기 좌측 격벽(21)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격벽(21)과 함께 하부 송풍팬(62)의 좌측 유로를 형성하는 좌측 하부 서포터(21B)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격벽(22)에는 상기 우측 격벽(2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 어 상기 우측 격벽(22)과 함께 상부 송풍팬(42)의 우측 유로를 형성하는 우측 상부 서포터(22A)와, 상기 우측 격벽(22)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우측 격벽(22)와 함께 하부 송풍팬(62)의 우측 유로를 형성하는 우측 하부 서포터(22B)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 열교환기(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경사 열교환부(84)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6)의 경사부(17)에 올려져 지지되는 이외에, 그 좌측단이 좌측 격벽(21)이나 좌측 상부 서포터(21A)에 걸림되고 그 우측단이 우측 격벽(22)나 우측 상부 서포터(21B)에 스크류 체결되거나, 그 우측단이 우측 격벽(22)나 우측 상부 서포터(21B)에 걸림되고 그 좌측단이 좌측 격벽(21)이나 좌측 상부 서포터(21A)에 스크류 체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 열교환기(90)는 상기 하부 수직 열교환부(92)가 상기 하부 토출부(70)의 드레인부(71)에 올려져 지지되는 이외에, 그 좌측단이 좌측 격벽(21)이나 좌측 하부 서포터(21B)에 걸림되고 그 우측단이 우측 격벽(22)나 우측 하부 서포터(22B)에 스크류 체결되거나, 그 우측단이 우측 격벽(22)나 우측 하부 서포터(22B)에 걸림되고 그 좌측단이 상기 좌측 격벽(21)이나 좌측 하부 서포터(21B)에 스크류 체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에서 상기 섀시(10)에 돌출된 드레인부(13: 이하,‘상부 드레인부’라 칭함)로 낙하된 응축수와 상기 하부 열교환기(90)에서 상기 하부 토출부(70)의 드레인부(71: 이하 ‘하부 드레인부’라 칭함)로 낙하된 응축수가 상부 드레인부(13)와 하부 드레인부(71) 중 어느 하나로 모여서 합쳐지고 하나의 드레인 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부 드레인부(13)에 낙하된 응축수가 하부 드레인부(71)로 안내되어 하부 드레인부(71)에 낙하된 응축수와 합쳐지고 하부 드레인부(71)에 연결된 드레인 호스(71A)를 통해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상부 드레인부(13)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하부 드레인부(71)로 안내하는 별도의 드레인 유로가 형성되는 바, 상기 상부 드레인부(13)에는 그 좌,우 중 일측으로 안내되는 응축수를 상기 하부 드레인부(71)로 낙하되게 하는 응축수 가이드(13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가이드(13A)는 그 후단이 상기 상부 드레인부(71)와 연통되고, 상기 상부 드레인부(71)의 응축수를 전방으로 안내한 후 상기 하부 드레인부(71)의 상면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그 선단이 상기 하부 드레인부(71)의 상부 위치까지 연장되며, 그 선단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다.
즉, 상기 응축수 가이드(13A)는 상기 상부 드레인부(13)의 전방에 ‘??’모양의 드레인 유로를 형성하는 바, 상부 드레인부(13)의 응축수를 하부 드레인부(71)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부(13a)와, 상기 수평부(71a)의 선단으로 안내된 응축수가 하부 드레인부(71)의 상면으로 낙하되게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부(13b)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 98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내기 특히, 상부 모터(44)와 하부 모터(64) 등을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실내기 컨트롤 박스이고, 도 2에 도시된 참조 부호 99는 상기 실내기에 엘시디 패널이 설치될 경 우 엘시디 패널을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엘시디 컨트롤 박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모터(44)와 하부 모터(64)가 구동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송풍팬(6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부 송풍팬(6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상부 송풍팬(42)과 하부 송풍팬(44)의 회전시 형성된 송풍압에 의해 상기 섀시(10)의 후방으로 흡인된 후 상기 섀시(10)의 배면 공기 흡입구(4)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내부 중앙에서 상하로 분산 유동된다.
상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의 상부 경사 열교환부(84)와 상부 수직 열교환부(82)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고, 이후 상기 상부 송풍팬(42)에 의해 압송되어 상기 상부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며, 상기 본체(2)의 외부, 특히 상부로 토출된다.
반면에,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하부 열교환기(80)의 하부 경사 열교환부(94)와 하부 수직 열교환부(92)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고, 이후 상기 하부 송풍팬(62)에 의해 압송되어 상기 하부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하며, 상기 본체(2)의 외부, 특히 하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 운전일 경우,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의 표면과 상기 하부 열교환기(90)의 표면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도중에 공 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되어 그 각각의 하단을 향해 흘러 내린다.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6)의 경사부(17)로 떨어져서 상기 상부 드레인부(13)로 흘러내리고, 이후 상기 상부 드레인부(13)를 따라 옆으로 흐른 다음, 상기 응축수 가이드(13A)로 안내되어 응축수 가이드(13A)의 선단에서 상기 하부 드레인부(71)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열교환기(90)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상기 하부 드레인부(71)로 떨어져서 상기 응축수 가이드(13A)에서 낙하된 응축수와 합쳐지고, 이후 드레인 호스(71A)를 통해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부 드레인부(13)에 상부 드레인 호스(13A′)가 연결되고, 하부 드레인부(13)에 하부 드레인 호스(71A)가 연결되어, 상부 드레인부(13)로 낙하된 응축수가 상부 드레인 호스(13A′)를 통해 본체(2)의 외부로 배수되고, 하부 드레인부(71)로 낙하된 응축수가 하부 드레인 호스(71A)를 통해 본체(2)의 외부로 배수되며, 상기 상부 드레인부(13)와 하부 드레인부(71)의 각각에 드레인 호스가 연결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 드레인 호스(13A′)는 섀시(10)에서 돌출된 좌,우측 격벽 중 어느 하나를 넘어서 상기 상부 드레인부(13)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섀시(10) 에서 돌출된 좌,우측 격벽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상기 상부 드레인부(13)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드레인 호스(13A′)는 상기 섀시(10)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 호스 관통홀(13A″)을 관통하여 상기 섀시(10)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하부 드레인 호스(71A″)는 상기 섀시(10)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 호스 관통홀(71A″)을 관통하여 상기 섀시(10)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한편, 상기 상부 드레인 호스(13A′)와 하부 드레인 호스(71A)는 그 각각이 본체(2)의 외부까지 길게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합지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측면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면부와 하면부를 통해 토출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본체(2)는 좌측면부과 우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측면 공기 흡입구(4A)(4B)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상면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하면부에 하면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본체(2)는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4A)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4B)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2)는 측면 공기 흡입구(4A)(4B)가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 중 하나에 형성되는 바, 이하 프론트 프레임(20)의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4A)가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20)의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4B)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섀시(10)에 형성된 좌측 격벽(21)에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4A)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와 하부 열교환기(90)의 사이로 흡입되도록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4A)의 옆 위치에 좌측 개구부(21C)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새시(10)에 형성된 우측 격벽(22) 중앙측에는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4B)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와 하부 열교환기(90)의 사이로 흡입되도록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4B)의 옆 위치에 우측 개구부(22C)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송풍팬(6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부 송풍팬(6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상부 송풍팬(42)과 하부 송풍팬(44)의 회전시 형성된 송풍압에 의해 상기 본체(2),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의 좌,우로 흡인된 후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4A)와 우측 공기 흡입구(4B)를 통해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본체(2)의 좌,우에서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다시 상하로 분산 유동된다.
상기 상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의 상부 경사 열교환부(84)와 상부 수직 열교환부(82)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상부 송풍팬(42)에 의해 압송되어 상기 상부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면서 상기 본체(2)의 상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부 열교환기(80)의 하부 경사 열교환부(94)와 하부 수직 열교환부(92)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하부 송풍팬(62)에 의해 압송되어 상기 하부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하면서 상기 본체(2)의 하부로 토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전면부와 상면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하면부를 통해 토출하 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본체(2)는 전면부에 전면 공기 흡입구(4C)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상면 공기 흡입구(4D)가 형성되며, 하면부에 하면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는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부에 전면 공기 흡입구(4C)가 전후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면부 상면 공기 흡입구(4D)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2)는 프론트 패널(32)이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 공기 흡입구(4C)로의 공기 흡입을 막지 않도록 프론트 패널(32)이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면부와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된다.
즉, 상기 프론트 패널(32)은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면부와 이격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면 공기 흡입구(4)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방에 전후 진퇴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상부 혹은 하부에 힌지로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하부에 힌지(34)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으로 회전되게 연결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프론트 패널(32)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32)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프론트 패널 구동 기구(36)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 기구(36)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에 설치된 패널 구동용 모터(37)와, 상기 패널 구동용 모터(37)의 회전축에 후단이 연결되고 선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32)의 상부에 연결되어 패널 구동용 모터(37)의 상부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끌어당기게 하는 링크 등의 연동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구동용 모터(37)의 회전축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연동부재(38)가 상기 프론트 패널(32)의 상부를 전방으로 밀고, 상기 프론트 패널(32)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 로 회전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면부와 프론트 패널(32)의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
그리고, 상부 송풍팬(42)과 하부 송풍팬(6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상부 송풍팬(42)과 하부 송풍팬(62)의 회전시 형성된 송풍압에 의해 상기 본체(2),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방과 상측으로 흡인된 후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C)와 상면 공기 흡입구(4D)를 통해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열교환기(80)의 상부 수직 열교환부(82)와 상부 경사 열교환부(84)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후, 상기 하부 열교환기(90)의 하부 경사 열교환부(94)와 하부 수직 열교환부(92)에 의해 재차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하부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하면서 상기 본체(2)의 하부로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의 내측에 상부 열교환기와 하부 열교환기가 상하 각각 배치되어 열교환 성능을 높이거나 실내기를 최대한 슬림화할 수 있고, 본체에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드레인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의 처리와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 지지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이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안내되는 드레인부와; 드레인부에 형성되어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가 본체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에 상부 열교환기를 지지할 수 있고 상부 열교환기의 배치 또는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 지지부가 드레인부 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상부 열교환기에서 경사부로 낙하된 응축수가 경사부를 따라 드레인부로 신속하게 흘러 내려가 드레인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하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 하도록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레인부와,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으로 낙하되어 드레인되는 응축수를 하부 드레인부로 낙하시키는 응축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 열교환기 뿐만 아니라 하부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최소한의 부품으로 원활하게 배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에 연결된 상부 드레인 호스와; 하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 하도록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레인부와; 하부 드레인부에 연결된 하부 드레인 호스를 더 포 함하여 구성되어,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과 하부 드레인부에 낙하된 응축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수되므로,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의 응축수가 하부 드레인부로 낙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의 튀김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하부 드레인부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부 열교환기가 상부 수직 열교환부와, 상기 상부 수직 열교환부의 하단에서 섀시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 경사 열교환부로 이루어지고, 하부 열교환기가 수직하게 배치된 하부 수직 열교환부와, 하부 수직 열교환부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 열교환부로 이루어져, 실내기의 전후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 상부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 하부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드레인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안내되는 드레인부와;
    상기 드레인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의 하부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는 상기 드레인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과 상기 본체를 잇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 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레인부와,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으로 낙하되어 드레인되는 응축수를 상기 하부 드레인부로 낙하시키는 응축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에 연결된 상부 드레인 호스와; 상기 하부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드레인 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레인부와; 상기 하부 드레인부에 연결된 하부 드레인 호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드레인 겸용 지지수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교환기는 수직하게 배치된 상부 수직 열교환부와, 상기 상부 수직 열교환부의 하단에서 상기 섀시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 경사 열교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교환기는 수직하게 배치된 하부 수직 열교환부와, 상기 하부 수직 열교환부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 열교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08339A 2006-01-26 2006-01-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39A KR20070078250A (ko) 2006-01-26 2006-01-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S07250303T ES2333624T3 (es) 2006-01-26 2007-01-25 Unidad interior de un acondicionador de aire.
EP07250303A EP1813880B1 (en) 2006-01-26 2007-01-25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07100081653A CN101008509B (zh) 2006-01-26 2007-01-26 空调的室内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39A KR20070078250A (ko) 2006-01-26 2006-01-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250A true KR20070078250A (ko) 2007-07-31

Family

ID=3850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339A KR20070078250A (ko) 2006-01-26 2006-01-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78250A (ko)
CN (1) CN101008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5812B (zh) * 2016-01-15 2018-05-08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型空调
CN106839121A (zh) * 2017-03-17 2017-06-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吸顶式空调器
CN111854138A (zh) * 2019-04-26 2020-10-30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用于空气调节器的过滤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590B2 (ja) * 1998-06-08 2000-0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110375B2 (ja) * 2002-06-27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2583548Y (zh) * 2002-11-02 2003-10-29 刘忠华 多功能空气处理机
KR100476638B1 (ko) * 2003-02-10 2005-03-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용 다기능 집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8509B (zh) 2012-02-29
CN101008509A (zh)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86235A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KR101105765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825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5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1429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2933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100758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KR1005299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57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제어 방법
KR101045960B1 (ko)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8861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5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10564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621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8001662U (zh) 空调室内机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CN100487328C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11554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KR100758950B1 (ko)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28672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2006010680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