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480B1 -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480B1
KR101155480B1 KR1020050042762A KR20050042762A KR101155480B1 KR 101155480 B1 KR101155480 B1 KR 101155480B1 KR 1020050042762 A KR1020050042762 A KR 1020050042762A KR 20050042762 A KR20050042762 A KR 20050042762A KR 101155480 B1 KR101155480 B1 KR 10115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air
direction control
van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17A (ko
Inventor
김신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80B1/ko
Priority to EP06252456A priority patent/EP1726889A1/en
Priority to PCT/KR2006/001875 priority patent/WO2006126807A2/en
Priority to AU2006250250A priority patent/AU2006250250B2/en
Priority to CNA2006100848904A priority patent/CN1865796A/zh
Publication of KR2006011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공기가 흡입되거나 토출되는 겸용 공기 출입구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겸용 공기 출입구의 각각에 복수개의 베인이 설치되며, 상기 베인의 각각이 복수개의 베인 모터의 각각에 의해 회전/고정되므로, 공조된 공기가 여러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공조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겸용 공기 출입구, 베인, 베인 모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Air conditioner and Discharge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 4: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
10: 본체 12: 메인 샤시
14: 상부 에어 가이드 16: 하부 에어 가이드
18: 열교환기 20: 전면 패널 어셈블리
22: 전면 케이스 24: 전면 패널
30: 상부 흡토출 유닛 32: 상부 스테빌라이져
36: 냉방용 풍향 조절 베인 38: 냉방용 베인 모터
40: 하부 흡토출 유닛 42: 하부 스테빌라이져
46: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 48: 난방용 베인 모터
50: 상부 정화 기구 52: 상부 필터
54: 상부 필터 홀더 56: 상부 필터 모터
60: 하부 정화 기구 62: 하부 필터
64: 하부 필터 홀더 66: 하부 필터 모터
70: 송풍 유닛 72: 냉방 운전용 송풍기
74: 상부 송풍팬 76: 상부 모터
82: 난방 운전용 송풍기 84: 하부 송풍팬
86: 하부 모터 94: 입력부
97: 제어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인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거나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겸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와 사방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팽창 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와, 실내 팬 및 실내팬 모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장치와, 압축 장치와, 실외 팬 및 실외팬 모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예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2)와, 상기 섀시(102)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104) 및 흡입 그릴(10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108)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1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흡입 그릴(112)과, 상기 섀시(102)에 장착되는 모터(114)와, 상기 모터(114)에 연결된 송풍팬(116)과, 상기 송풍팬(116)과 상기 공기 흡입구(104) 및 흡입그릴(106)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118)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10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면 흡입 그릴(106)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4)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 필터(105)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 그릴(112)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4) 및 프리 필터(105)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108)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1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122)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124)이 장착된다.
상기 토츨 그릴(124)에는 상기 루버(120)를 좌우 회전시키는 루버 모터(미도시)와, 상기 베인(122)을 상하 회전시키는 베인 모터(123)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시 상기 모터(1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16)이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116)의 회전시 상기 흡입 그릴(112) 전방의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112)과 전면 공기 흡입구(10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10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과 섀시(10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 상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 (10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그릴(110)과 섀시(10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118)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송풍팬(1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120) 및 베인(1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10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기 혹은 온기가 공기조화기의 하부 한 방향으로만 토출되고, 베인(122)을 회전시키는 베인 모터(123)를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 동일하게 제어하므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시 그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효율적인 풍향 조절을 실시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미사용시 상기 흡입 그릴(106)(112)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고, 먼지 등이 흡입 그릴(106)(112)에 남아서 미관이 저해되므로, 미사용 기간동안 상기 공기조화기를 커버 등으로 덮어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조된 공기가 여러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공조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사용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방 운전시 다량의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의 풍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난방 운전시 다량의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기의 풍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거나 토출되는 겸용 공기 출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겸용 공기 출입구의 각각에 위치된 복수개의 베인과; 상기 베인의 각각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베인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에 위치된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에 위치된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 모터는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회전시키는 냉방용 베인 모터와, 상기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회전시키는 난방용 베인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와 난방용 베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의 각각은 상기 겸용 공기 출입구의 각각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운전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운전이 냉방 운전이면,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풍향 조절 모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키고,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운전이 난방 운전이면,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풍향 조절 모드로 회전시키는 베인 조절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풍향 조절 모드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상기 입력 단계에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이 입력되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과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모두 개방 모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과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모두 밀폐 모드로 고정시키는 밀폐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 운전시 실내의 공기(A)가 하부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상부를 통해 토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운전시 실내의 공기(B)가 상부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하부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부에 냉방 운전시 냉각된 공기(A′)가 토출되고 난방 운전시 실내의 공기(B)가 흡입되는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가 형성되고, 하부에 난방 운전시 가열된 공기(B′)가 토출되고 냉방 운전시 실내의 공기(A)가 흡입되는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단면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거나 토출되는 상기 겸용 공기 출입구(2)(4)가 복수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겸용 공기 출입구(2)(4)의 각각에 위치된 복수개의 베인(36)(46)과; 상기 베인(36)(46)의 각각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베인 모터(38)(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하나의 송풍 유로(P)가 형성되고, 공기를 양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 유닛(70)이 내장된다.
상기 본체(10)는 메인 샤시(12)와; 상기 메인 샤시(12)의 전면을 덮는 전면 패널 어셈블리(20)와; 상기 메인 샤시(12)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거나 토출되는 상부 흡토출 유닛(30)과; 상기 메인 샤시(12)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토출되거나 흡입되는 하부 흡토출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샤시(12)는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는 설치 판(미도시)에 걸어 장착된다.
상기 메인 샤시(12)에는 상기 메인 샤시(12)와 전면 패널 어셈블리(2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 유로(P)를 형성하는 에어 가이드(14)(16)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4)(16)는 상기 메인 샤시(12)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에어 가이드(14)와, 상기 메인 샤시(12)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에어 가이드(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에어 가이드(14)는 후술하는 상부 송풍팬(74)의 스크롤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에어 가이드(16)는 후술하는 하부 송풍팬(84)의 스크롤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 샤시(12)와 상기 전면 패널 어셈블리(20)의 사이에는 열교환기(18)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8)는 상부 송풍팬(62)의 전방과 하부 송풍팬(72)의 상측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 샤시(12)에는 상기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9)가 상기 열교환기(18)의 후단측 하부에 위치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 어셈블리(20)는 상기 메인 샤시(12)와의 사이에 송풍 통로 (P)를 형성하고 전면이 막힘된 전면 케이스(22)와, 상기 전면 케이스(22) 전면의 전면 패널(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24)은 상기 전면 케이스(22)의 전면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22)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전면 패널(24)은 공기조화기의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LED, LCD, 유기 EL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진 등을 넣어 둘 수 있는 액자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투명창이 구비되어 그 배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흡토출 유닛(30)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가 상하 혹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 스테빌라이져(3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흡토출 유닛(40)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4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가 상하 혹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스테빌 라이져(42)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36)(46)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에 위치된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과,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에 위치된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개폐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 일측에 후술하는 냉방용 베인 모터(38)의 회전축(38a)이 연결되는 구동축(36a)이 형성 되고, 좌우 중 타측에 상기 상부 흡토출 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36b)이 형성된다.
상기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은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개폐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 일측에 후술하는 난방용 베인 모터(48)의 회전축(48a)이 연결되는 구동축(46a)이 형성되고, 좌우 중 타측에 상기 하부 흡토출 유닛(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46b)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 모터(38)(48)는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 샤시(12)의 상부와 상부 흡토출 유닛(30) 중 일측에 설치된 냉방용 베인 모터(38)와, 상기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 샤시(12)의 하부와 하부 흡토출 유닛(40) 중 일측에 설치된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A′)의 풍향이 조절/확산되도록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와 최소 개방 위치(D)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반면에,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최대한 많은 실내 공기(B)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통해 흡입되게 안내되도록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가 밀폐되도록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를 완전 밀폐 위치(E)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다.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최대한 많은 실내 공기(A)가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통해 흡입되게 안내되도록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다.
반면에,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B)의 풍향을 조절/확산되도록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와 최소 개방 위치(D)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가 밀폐되도록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완전 밀폐 위치(E)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상부 정화 기구(50)와,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하부 정화 기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정화 기구(50)는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로 흡입되는 공 기(B)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상부 필터(52)와, 상기 상부 필터(52)가 착탈되고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상부 필터 홀더(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정화 기구는 상기 상부 필터 홀더(54)를 회전시키는 상부 필터 모터(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필터 모터(56)는 상기 메인 샤시(12)의 상부 또는 상기 상부 흡토출 유닛(30)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 필터 모터(56)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필터(52)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에 나란하도록 상기 상부 필터 홀더(54)를 회전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필터(52)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에 직교하도록 상기 상부 필터 홀더(54)를 회전시킨다.
상기 하부 정화 기구(60)는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A)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하부 필터(62)와, 상기 하부 필터(62)가 착탈되고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하부 필터 홀더(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정화 기구는 상기 하부 필터 홀더(64)를 회전시키는 하부 필터 모터(6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필터 모터(66)는 상기 메인 샤시(12)의 하부 또는 상기 하부 흡토출 유닛(40)에 장착된다.
상기 하부 필터 모터(66)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필터(62)가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에 직교하도록 상기 하부 필터 홀더(64)를 회전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필터(62)가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에 나란하도록 상기 하부 필터 홀더(64)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송풍 유닛(7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인 송풍 유로(P)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겸용 공기 출입구(2)(4) 중에서 일측 겸용 공기 출입구(2)로 실내의 공기(A)(B)를 흡입하여 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로 토출하거나, 그 반대로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송풍기가 상기와 같은 공기의 송풍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송풍기가 상기와 같은 공기의 송풍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복수개의 송풍기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송풍 유닛(70)은 냉방 운전시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통해 실내 공기(A)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시킨 후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을 통해 토출하는 냉방 운전용 송풍기(72)와; 난방 운전시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통해 실내 공기(B)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시킨 후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을 통해 토출하는 난방 운전용 송풍기(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방 운전용 송풍기(72)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냉방 운전용 송풍기(72)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가로로 길게 배치된 상부 송풍팬(74)과, 상기 상부 송풍팬(74)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상부 송풍 팬(74)의 좌우 중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샤시(12)에 설치된 상부 모터(76)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송풍팬(74)은 블레이드가 그 하측의 공기를 상측으로 압송하도록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이다.
상기 상부 송풍팬(74)는 좌측단에 좌측 회전축(74a)이 돌출되고, 우측단에 우측 회전축(74b)이 돌출된다.
상기 상부 송풍팬(74)은 좌측 회전축(74a)과 우측 회전축(74b) 중 일측이 상기 상부 모터(76)의 회전축(76a)에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상부 열교환기 서포터(92)에 설치된 상부 베어링(74c)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베어링(74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상부 모터(76)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팬(74)을 회전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상부 송풍팬(74)을 정지시킨다.
상기 상부 모터(76)는 상기 메인 샤시(12)에 형성된 상부 모터 장착부(12a)에 장착된다.
상기 난방 운전용 송풍기(82)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난방 운전용 송풍기(82)는 상기 상부 송풍팬(74)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가로로 길게 배치된 하부 송풍팬(84)과, 상기 하부 송풍팬(84)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부 송풍팬(84)의 좌우 중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샤시(12)에 설치된 하부 모터(86)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송풍팬(84)은 블레이드가 그 상측의 공기를 하측으로 압송하도록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이다.
상기 하부 송풍팬(84)는 좌측단에 좌측 회전축(84a)이 돌출되고, 우측단에 우측 회전축(84b)이 돌출된다.
상기 하부 송풍팬(84)은 좌측 회전축(84a)과 우측 회전축(84b) 중 일측이 상기 하부 모터(86)의 회전축(86a)에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하부 열교환기 서포터(93)에 설치된 하부 베어링(84c)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베어링(84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하부 모터(86)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하부 송풍팬(84)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하부 송풍팬(72)을 회전시킨다.
상기 하부 모터(86)는 상기 메인 샤시(12)에 형성된 하부 모터 장착부(12b)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모터(76)와 하부 모터(86)는 전선 연결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좌측 혹은 우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들(76)(86)의 열 발생을 고려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본체(10)의 내부 우측에 상하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 모터(76)와 하부 모터(86)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우측에 상하 배치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상부 모터(76)는 상기 상부 송풍팬(7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 모터(86)는 상기 하부 송풍팬(8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 전시킨다.
참조 부호 92는 상기 메인 샤시(12)의 전방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 열교환기 서포터이다.
참조 부호 93은 상기 메인 샤시(12)의 전방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부 열교환기 서포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난방 운전/운전 정지의 명령이나 풍향 조절/풍향 정지의 명령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94)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난방 운전/운전 정지의 명령에 따라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와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제어하는 제어부(9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9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리모컨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97)는 상기 입력부(94)에 입력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에 따라 상기 상부 필터 모터(56)와, 하부 필터 모터(66)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모터(76), 하부 모터(86)를 제어하며, 아울러 압축기(95)와 실외팬 모터(96)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 서도이다.
먼저, 상기 입력부(94)를 통해 냉방 운전/난방 운전/운전 정지 등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7)는 입력된 명령을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97)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었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풍향 조절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S1)(S2)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풍향 조절 모드시 정,역 구동되면서,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와 최소 개방 위치(D)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개방 모드시,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97)는 상기와 같이 냉방용 베인 모터(38)와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모터(76)를 구동시키고, 상기 상부 필터 모터(56)를 비정화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하부 필터 모터(66)를 정화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상부 모터(76)의 온시, 상기 상부 송풍팬(74)은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도 4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하측의 공기를 상측으로 압송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1)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 송풍팬(74)의 회전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고, 실내의 공기(A)는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이 완전 개방 위 치(C)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로 신속하게 흡입된다.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필터(62)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름되고, 이후 상기 메인 샤시(12)와 전면 패널 어셈블리(20) 사이의 송풍 통로(P)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로 열을 빼앗기면서 냉각되며, 상기 냉방용 송풍팬(74)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측으로 송풍된 냉기(A′)는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통과한 후 상기 완전 개방 위치(C)와 최소 개방 위치(D) 사이를 회전하는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에 의해 그 풍향이 조절/확산되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된 냉기(A′)는 실내의 상부로 넓게 퍼지면서 샤워처럼 낙하되고, 실내는 상기 공기조화기와 먼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방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7)는 난방 운전이 입력되었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풍향 조절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S3)(S4)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풍향 조절 모드시 정,역 구동되면서,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와 최소 개방 위치(D)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개방 모드시,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 인(36)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97)는 상기와 같이 냉방용 베인 모터(38)와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 모터(86)를 구동시키고, 상기 상부 필터 모터(56)를 정화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하부 필터 모터(66)를 비정화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하부 모터(86)의 온시, 상기 하부 송풍팬(84)은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도 5에 도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상측의 공기를 하측으로 압송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1)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송풍팬(84)의 회전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고, 실내의 공기(B)는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이 완전 개방 위치(C)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로 신속하게 흡입된다.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필터(52)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름되고, 이후 상기 메인 샤시(12)와 전면 패널 어셈블리(20) 사이의 송풍 통로(P)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빼앗으면서 가열되며, 상기 난방용 송풍팬(84)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송풍된다.
하측으로 송풍된 온기(B′)는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통과한 후 상기 완전 개방 위치(C)와 최소 개방 위치(D) 사이를 회전하는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에 의해 그 풍향이 조절/확산되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하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하측으로 토출된 온기(B′)는 실내의 하부로 넓게 퍼진 후 상승되고 실내는 상기 공기조화기와 먼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고르게 난방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7)는 운전 정지가 입력되었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S5)(S6)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밀폐 모드시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을 밀폐 위치(E)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고,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은 상기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밀폐하여 상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2)를 통한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를 막는다.
그리고,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밀폐 모드시,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밀폐 위치(E)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고,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은 상기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밀폐하여 하부측 겸용 공기 출입구(4)를 통한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를 막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입력부(94)를 통해 냉방 운전/난방 운전/운전 정지의 명령이 입력되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7)는 입력된 명령을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97)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었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으 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풍향 조절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S11)(S12)(S13)
냉방 운전이 입력되었고,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가 풍향 조절 모드로 제어되며,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가 개방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97)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었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S11)(S12)(S14)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개방 모드시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을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고,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개방 모드시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며,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된 냉기(A′)는 풍향 조절/확산 없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제어부(97)는 난방 운전이 입력되었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풍향 조절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S15)(S16)(S17)
난방 운전이 입력되었고,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가 풍향 조절 모드로 제어되며,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38)가 개방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97)는 난방 운전이 입력되었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S15)(S16)(S18)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는 개방 모드시 상기 냉방 풍향 조절 베인(36)을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고,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는 개방 모드시 상기 난방 풍향 조절 베인(46)을 완전 개방 위치(C)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며,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된 온기(B′)는 풍향 조절/확산 없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7)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었으면, 풍향 조절 명령의 입력 여부와 관계없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방용 베인 모터(38)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난방용 베인 모터(48)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S19)(S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및 우측에 겸용 공기 출입구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냉방 운전용 송풍기와 난방 운전용 송풍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공기가 흡입되거나 토출되는 겸용 공기 출입구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겸용 공기 출입구의 각각에 복수개의 베인이 설치되며, 상기 베인의 각각이 복수개의 베인 모터의 각각에 의해 회전/고정되므로, 공조된 공기가 여러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공조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베인의 각각이 겸용 공기 출입구의 각각을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겸용 공기 출입구 모두를 복수개의 베인으로 밀폐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미사용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풍향 조절 모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켜 다량의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흡입되어 가열될 수 있고, 냉기의 풍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확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켜 다량의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흡입되어 냉각될 수 있고, 온기의 풍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확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운전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S11)(S12)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운전이 냉방 운전이면,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을 풍향 조절 모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키고,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운전이 난방 운전이면,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을 개방 모드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을 풍향 조절 모드로 회전시키는 베인 조절 단계(S13)(S14)(S17)(S18)를 포함하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풍향 조절 모드가 실시되며,
    상기 입력 단계에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이 입력되고 풍향 조절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과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을 모두 개방 모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은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냉방 풍향 조절용 베인(36)과 난방 풍향 조절용 베인(46)을 모두 밀폐 모드로 고정시키는 밀폐 단계(S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 방법.
KR1020050042762A 2005-05-21 2005-05-21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KR10115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62A KR101155480B1 (ko) 2005-05-21 2005-05-21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EP06252456A EP1726889A1 (en) 2005-05-21 2006-05-10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unit
PCT/KR2006/001875 WO2006126807A2 (en) 2005-05-21 2006-05-19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U2006250250A AU2006250250B2 (en) 2005-05-21 2006-05-19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NA2006100848904A CN1865796A (zh) 2005-05-21 2006-05-22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62A KR101155480B1 (ko) 2005-05-21 2005-05-21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17A KR20060119617A (ko) 2006-11-24
KR101155480B1 true KR101155480B1 (ko) 2012-06-15

Family

ID=3742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62A KR101155480B1 (ko) 2005-05-21 2005-05-21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5480B1 (ko)
CN (1) CN1865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735A (zh) * 2014-10-29 2015-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4352A (ja) * 1988-01-19 1989-07-24 Hitachi Shimizu Eng Kk 空気調和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4352A (ja) * 1988-01-19 1989-07-24 Hitachi Shimizu Eng Kk 空気調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5796A (zh) 2006-11-22
KR20060119617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3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6129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U200625025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1105765B1 (ko) 공기조화기
KR102362390B1 (ko) 공기조화기
EP1726888B1 (en) Air conditioning unit
KR2007007825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57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제어 방법
KR10056444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KR1011554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KR10110163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1961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2644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0159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60122131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2098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20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2242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구조
KR2006002753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메인샤시구조
KR100728672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200146079Y1 (ko) 공기조화기용 상하풍향조절부재의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