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308B1 -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308B1
KR100734308B1 KR1020060008289A KR20060008289A KR100734308B1 KR 100734308 B1 KR100734308 B1 KR 100734308B1 KR 1020060008289 A KR1020060008289 A KR 1020060008289A KR 20060008289 A KR20060008289 A KR 20060008289A KR 100734308 B1 KR100734308 B1 KR 10073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beam
semiconductor substrate
ion implantation
variable screen
screen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양영수
김승철
최찬승
장원배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308B1/ko
Priority to CNA2006101721417A priority patent/CN101009191A/zh
Priority to US11/655,114 priority patent/US20070173043A1/en
Priority to JP2007016511A priority patent/JP200720089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17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 H01J37/3171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for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0Electron or ion beam tubes for processing objects
    • H01J2237/317Processing objects on a microscale
    • H01J2237/31701Ion implantation
    • H01J2237/31703Dosime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6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movable susceptor, stage or support, others than those only rotating on their own vertical axis, e.g. susceptors on a rotating carou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 여러 조건의 이온을 주입할 수 있도록 특정 영역에 선택적으로 이온 주입이 가능한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이 제공된다. 이온 주입 시스템은 이온 빔을 제공하는 소스부를 포함한다. 빔 라인부는 소스부로부터 추출된 이온 빔을 가속하고, 가속된 이온 빔을 반도체 기판의 일 방향으로 스캔하도록 제어한다. 타겟 챔버는 플래튼을 포함하고, 플래튼은 반도체 기판이 스캔된 이온 빔과 대면되도록 반도체 기판을 고정시키고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패러데이부는 스캔된 이온 빔의 일 방향의 조절된 범위가 반도체 기판에 주입되도록 일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가변 스크린 어퍼쳐 및 스캔된 이온 빔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즈 컵을 포함한다.
이온 주입, 가변 스크린 어퍼쳐, 패러데이부

Description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Ion implantation system having variable screen apertures and method of implanting ion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온 주입 시스템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타겟 챔버 내의 패러데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에 의해 이온이 주입된 반도체 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에 의해 이온이 주입된 반도체 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의 타겟 챔버 내부 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에 의해 이온이 주입된 반도체 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에 대한 불순물 도핑은 대개 이온 주입 시스템을 이용한 이온 주입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 내의 웰 영역, 채널 영역,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이와 같은 이온 주입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온 주입 조건은 반도체 소자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하나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이온 주입 조건들이 테스트되고, 그 중 최적의 이온 주입 조건이 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온 주입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는 하나의 조건의 이온만이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이온 주입 조건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반도체 기판이 이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온 주입 조건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소자가 완성되어야 하므로, 그 제조 동안에 여러 가지 변수가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이온 주입 조건에 대한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얻기 어렵다.
다른 방법으로, 여러 이온 주입 조건을 테스트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온 주입에 대한 마스크로 이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반도체 기판 상에 복수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순차로 형성하고, 각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하여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 복수의 조건의 이온을 주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한 방법은 상당히 높은 비용 부담을 요하고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미국특허번호 6,930,316호에는 스텐실 마스크(stencil mask)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에만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소정 패턴을 갖는 스텐실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상에 따라 매번 스텐실 마스크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 여러 조건의 이온을 주입할 수 있도록 반도체 기판의 특정 영역에 선택적으로 이온을 주입할 수 있는 이온 주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 여러 조건의 이온을 주입할 수 있도록 반도체 기판의 특정 영역에 선택적으로 이온을 주입할 수 있는 이온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은 이온 빔(ion beam)을 제공하는 소스부(source portion)를 포함한다. 빔 라인부(beam line portion)는 상기 소스부로부터 추출된 이온 빔을 가속하고, 상기 가속된 이온 빔을 반도체 기판의 일 방향으로 스캔하도록 제어한다. 타겟 챔버는 플래튼(platen)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튼은 상기 반도체 기판이 상기 스캔된 이온 빔과 대면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을 고정시키고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패러데이부(Faraday portion)는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의 조절된 범위가 상기 반도체 기판에 주입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가변 스크린 어퍼쳐 및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즈 컵(dose cup)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러데이부의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일 방향에 배열된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부재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각각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러데이부는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다른 방향의 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러데이부의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른 방향에 배열된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부재는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각각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소스부로부터 이온 빔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이온 빔을 가속한다. 상기 가속된 이온 빔을 일 방향으로 스캔한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범위가 조절된 스캔된 이온 빔을 타겟 챔버 내의 플래튼에 고정된 반도체 기판에 주입한다. 상기 주입 단계 중에, 상기 타겟 챔버 내의 플래튼을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온 주입 방법은, 상기 주입 단계 중에, 상기 범위가 조절된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다른 방향의 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은 주입하는 불순물 이온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온 주입 시스템은 반도체 기판에 인 이온, 붕소 이온, 게르마늄 이온, 실리콘 이온, 인듐 이온, 안티모니 이온 질소 이온 및 아르곤 이온을 주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온 빔이라 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선을 형성하는 다수의 이온들을 지칭하고, 다수의 이온들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온 주입 시스템(100)은 소오스부(115), 빔 라인부(140) 및 타겟 챔버(150)를 포함한다. 이온 빔(102)은 소오스부(115)로부터 추출되어, 빔 라인부(140)에서 가속되고 한 방향으로 스캔되어 타겟 챔버(150) 내의 반도체 기판(160)에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소오스부(115)와 빔 라인부(140)는 이온 빔(102)이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고, 빔 라인부(140)는 타겟 챔버(150)에 이온 빔(102)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온 주입 시스템(100)은 하이브리드-타입의 스캔 방식을 갖는다. 이온 빔(102)은 빔 라인부(140)에서 전자기적인 방법으로 한 방향, 예컨대 도 2의 X1 방향으로 스캔된다. 한편, 반도체 기판(160)을 고정하는 타겟 챔버(150) 내의 플래튼(155)은 다른 방향, 예컨대 도 3의 X3 방향으로 기계적인 방법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온 빔(102)은 전자기적인 방법 및 기계적인 방법의 병합, 즉 하이브리드-타입의 스캔 방식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60) 상의 원하는 영역 또는 전체에 주입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60)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제조하기 위해, 다이(미도시)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다이들은 반도체 기판(160) 상에 행 또는 열의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60)은 실리콘 기판, 게 르마늄 기판 또는 실리콘-게르마늄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이온 주입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오스부(115)는 이온 빔(102)을 생성하고 선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오스부(115)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오스부(115)는 이온 소스(105) 및 질량 분석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 소스(105)는 불순물을 이온화시킨 후 이러한 이온을 질량 분석기(110)로 제공한다. 질량 분석기(110)는 마그넷(미도시)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마그넷을 이용하여 원하는 질량의 불순물 이온만을 선별하여 빔 라인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빔 라인부(140)는 소오스부(115)로부터 추출된 이온 빔(102)을 소정의 에너지로 가속시키고, 또한 가속된 이온 빔(102)을 하나의 라인 방향으로 스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빔 라인부(140)는 필요에 따라, 스캔된 이온 빔(102)을 소정 방향으로 집속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라인부(140)는 가속부(125), 스캔부(130) 및 집속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부(125)는 소오스부(115)로부터 추출된 이온 빔(102)을 원하는 에너지로 가속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캔부(130)는 가속된 이온 빔(102)이 한 방향으로 스캔되도록 할 수 있다. 집속부(135)는 스캔된 이온 빔(102)의 방향을 바꾸고 또한 소정 범위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스캔부(130)는 가속된 이온 빔(102)이 한 방향, 예컨대 도 2의 X1 방향으로 스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인 형태의 가속 된 이온 빔(102)이 스캔부(130)에 의해 한 평면상의 이온 빔(102)으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스캔부(130)는 라인 형태로 가속된 이온 빔(102)을 한 평면상으로 순차로 퍼져나가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캔부(13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빔 라인부(140)를 거쳐 스캔되고 집속된 이온 빔(102)은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에 의해 그 범위가 조절되어 타겟 챔버(150) 내의 반도체 기판(160)에 주입된다. 반도체 기판(160)은 플래튼(platen, 155)에 의해 고정된다. 타겟 챔버(150) 내부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이온 주입 시스템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도 2의 타겟 챔버 내의 패러데이부(Faraday portion)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캔되고 집속된 이온 빔(102)은 패러데이부( 180)를 거쳐 그 범위가 조절되어 반도체 기판(160)에 주입된다. 패러데이부(180)는 타겟 챔버(150) 내부에 그리고 빔 라인부(도 1의 140)의 앞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변형된 예에서, 패러데이부(180)는 타겟 챔버(150) 및 빔 라인부(140) 사이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패러데이부(180)는 도즈 컵(170), 고정 스크린 어퍼쳐(165), 및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를 포함한다. 도즈 컵(170)은 이온 빔(102)의 양을 측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즈 컵(170)은 이온 빔(102)에 의한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이온 빔(102)의 양, 즉 이온 도즈를 측정할 수 있다. 도즈 컵(170)을 지난 이 온 빔(102)은 X1 방향으로 W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는 개구(178)의 폭을 조절하여 이온 빔(102)의 X1 방향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78)는 W1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를 지난 이온 빔(102)의 폭은 W0에서 W1으로 감소된다. 그 결과, 반도체 기판(160)의 한정된 영역, 예컨대 X1 방향으로 배치된 소정 면적의 다이들에 이온이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는 개구(178)를 한정하는 한 쌍의 스크린 부재(175a, 17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 부재들(175a, 175b)은 X1 방향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구(178)의 크기 및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는 그래파이트(graphite)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스크린 어퍼쳐(165)는 이온 빔(102)이 도즈 컵(170)을 많이 벗어나 챔버 내부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 스크린 어퍼쳐(165)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도 고정 스크린 어퍼쳐(165)와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고정 스크린 어퍼쳐(165)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반도체 기판(160)을 고정하는 플래튼(155)은 지지대(152)를 따라, 즉 X3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플래튼(155)의 움직임은 이온 빔(102)이 기계적으 로 반도체 기판(160)의 X3 방향을 따라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1 방향 및 X3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60)의 특정 영역에 이온을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종래에 사용되던 고가의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의 개구(178)의 크기 및/또는 위치를 바꿔가면서 다양한 조건의 이온 주입을 하나의 반도체 기판(160)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복수의 반도체 기판(160)들을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경우에 비해서 반도체 기판(160)의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반도체 기판(160)에서 여러 가지 이온 주입 조건이 테스트 가능하므로, 반도체 기판(160)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변수가 제거될 수 있어, 테스트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이온 주입 시스템(100)을 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오스부(115)로부터 이온 빔(102)을 추출한다. 추출된 이온 빔(102)은 가속부(120)에서 가속된다. 가속된 이온 빔(102)은 스캔부(130)에서 한 방향, 예컨대 도 2의 X1 방향으로 스캔된다. 스캔된 이온 빔(102)은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를 이용하여 스캔 방향의 범위가 조절된다. 범위가 조절된 이온 빔(102)은 플래튼(155)에 고정된 반도체 기판(160)에 주입된다. 주입 단계 중에, 플래튼(15)은 다른 방향, 예컨대 도 3의 X3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서, 반도체 기판(160)의 특정 영역에 이온 빔(102)이 주입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특정 열에 대한 이온 주입을 위한 스캔 범위의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의 개구(178)가 반도체 기판(160)의 이온 주입 영역, 예컨대 하나의 다이에 대응되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개구(178)의 폭이 W2가 되도록 스크린 부재들(175a, 175b)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178)의 위치는 반도체 기판(160)의 원하는 열의 다이에 맞출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60)이 플래튼(155)에 의해 이동되고 이온 빔(102)이 하나의 다이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스캔됨에 따라, 반도체 기판(160)의 특정 열의 다이들 영역(A1)에 이온이 주입될 수 있다. 나아가, 개구(178)의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전술한 이온 주입 절차를 반복하면, 반도체 기판(160)이 열 단위로 이온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열의 이온 주입 조건, 예컨대, 에너지 또는 도즈를 서로 다르게 하면, 하나의 반도체 기판(160)에 여러 가지 조건의 이온들이 열 단위로 주입될 수 있다.
도 7은 반도체 기판(160)의 경사진 라인 영역(A2)에 이온이 주입된 것을 보 여준다. 이러한 경우는, 반도체 기판(160)이 플래튼(155)에 경사지게 로딩된 경우 적용할 수 있다. 즉, 반도체 기판(160)의 다이들이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 그 경사에 맞추어 해당 다이들에 선택적으로 이온 주입을 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7을 같이 참조하여, 경사 이온 주입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사 이온 주입은 도 6의 특정 열에 대한 이온 주입 방법을 변형하여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튼(155)의 X3 축으로의 이동과 연동하여,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의 개구(178)의 위치를 X1 축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 경우 개구(178)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경사각, 개구(178)의 이동 속도, 및 플래튼(155)의 이동 속도는 아래의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한다.
Vo = Vp / tan(θ)
단, θ는 경사진 라인 영역(A2)이 X2축에 대해서 갖는 경사각, Vp는 플래튼(155)의 이동 속도, 그리고 Vo는 개구(178)의 이동 속도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개구(178) 및 플래튼(155)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진 라인 영역(A2)에 이온이 주입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160)의 반쪽 영역(A3)에 선택적으로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가변 스크린 어퍼쳐(175)의 개구(178)를 반도체 기판(160)의 반쪽 영역(A3)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크 린 부재(175b)의 일단을 반도체 기판의 중심 부근에 맞추고, 다른 하나의 스크린 부재(175a)의 일단을 반도체 기판(160)의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 반대로, 두 스크린 부재들(175a, 175b)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반쪽 영역(A3)의 반대편 반쪽 영역(미도시)이 선택될 수도 있다.
전술한 이온 주입 방법은 도 1의 이온 주입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방법은 그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온 주입 시스템(100)을 변형하여 적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100)을 대부분 참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타겟 챔버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패러데이부(18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러데이부(도 2의 180)에 비해서 제 2 가변 스크린 어퍼쳐(18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 2 가변 스크린 어퍼쳐(185)는 X3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개구(188)를 형성하는 한 쌍의 스크린 부재들(185a, 185b)을 포함한다. 한 쌍의 스크린 부재들(185a, 185b) 의 위치를 X3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온 빔(102)의 X3 방향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변 스크린 어퍼쳐(185)를 거치면서, 이온 빔(102)의 X3 방향의 폭이 h0에서 h1로 조절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스크린 부재들(185a, 185b)은 그래파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변 스크린 어퍼쳐(185)는 X3 방향의 폭을 정밀하게 제어할 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에서는 개구(188)가 완전히 닫히게 함으로써 이온 빔(102)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단 기능은 반도체 기판(160)의 특정 다이 부분에 이온 빔(102)을 주입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60)의 하나의 다이 부분(A4)에만 이온 빔(102)이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온 주입은 도 6에서 설명된 이온 주입 방법을 변형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단위의 이온 주입 동안, 플래튼(155)이 다이 부분(A4)을 지나는 경우에만 제 2 가변 스크린 어퍼쳐(185)의 개구(188)가 개방되고 그 외의 영역에서는 개구(188)가 닫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60)의 1/4 영역(A5)에 이온 빔(102)이 주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온 주입은 도 9에서 설명된 이온 주입 방법을 변형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쪽 영역의 이온 주입 동안, 플래튼(155)이 1/4 영역(A5)을 지나는 경우에만 제 2 가변 스크린 어퍼쳐(185)의 개구(188)가 개방되고 그 외의 영역에서는 개구(188)가 닫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을 이용하면, 반도체 기판(160)의 다이 단위의 특정 영역에까지 선택적인 이온 주입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스크린 어퍼쳐들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의 특정 영역에 이온을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에 사용되던 고가의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스크린 어퍼쳐들의 개구의 크기 및/또는 위치를 바꿔가면서 다양한 조건의 이온 주입을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복수의 반도체 기판들을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경우에 비해서 반도체 기판의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서 여러 가지 이온 주입 조건이 테스트 가능하므로, 반도체 기판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변수가 제거될 수 있어, 테스트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9)

  1. 이온 빔을 제공하는 소스부;
    상기 소스부로부터 추출된 이온 빔을 가속하고, 상기 가속된 이온 빔을 반도체 기판의 일 방향으로 스캔하도록 제어하는 빔 라인부;
    상기 반도체 기판이 상기 스캔된 이온 빔과 대면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을 고정시키고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플래튼을 포함하는 타겟 챔버; 및
    가변 스크린 어퍼쳐 및 도즈 컵을 포함하는 패러데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의 조절된 범위가 상기 반도체 기판에 주입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도즈 컵은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데이부의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일 방향에 배열된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부재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각각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데이부의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그래파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데이부는 상기 타겟 챔버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라인부는
    상기 이온 빔을 가속하기 위한 가속부;
    상기 가속된 이온 빔이 상기 일 방향으로 스캔되도록 제어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된 빔을 집속하는 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데이부는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다른 방향의 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다른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데이부의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른 방향에 배열된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부재는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각각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9. 소스부로부터 이온 빔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이온 빔을 가속하는 단계;
    상기 가속된 이온 빔을 일 방향으로 스캔하는 단계;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범위가 조절된 스캔된 이온 빔을 타겟 챔버 내의 플래튼에 고정된 반도체 기판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 단계 중에, 상기 타겟 챔버 내의 플래튼을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타겟 챔버 내의 패러데이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일 방향에 배열된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의 개구의 크기는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의 개구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반쪽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의 개구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하나의 다이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스크린 어퍼쳐의 개구의 위치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튼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챔버 내의 플래튼을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제 2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 중에, 상기 범위가 조절된 스캔된 이온 빔의 상기 다른 방향의 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빔의 다른 방향의 폭은 상기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의 개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타겟 챔버 내의 패러데이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른 방향에 배열된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가변 스크린 어퍼쳐의 개구의 크기는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부재를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다른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방법.
KR1020060008289A 2006-01-26 2006-01-26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KR10073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289A KR100734308B1 (ko) 2006-01-26 2006-01-26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CNA2006101721417A CN101009191A (zh) 2006-01-26 2006-12-29 具有可变筛孔的离子注入系统及使用其的离子注入方法
US11/655,114 US20070173043A1 (en) 2006-01-26 2007-01-19 Ion implantation system having variable screen aperture and ion implant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7016511A JP2007200896A (ja) 2006-01-26 2007-01-26 イオン注入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イオン注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289A KR100734308B1 (ko) 2006-01-26 2006-01-26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308B1 true KR100734308B1 (ko) 2007-07-02

Family

ID=3828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289A KR100734308B1 (ko) 2006-01-26 2006-01-26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73043A1 (ko)
JP (1) JP2007200896A (ko)
KR (1) KR100734308B1 (ko)
CN (1) CN101009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616A (zh) * 2015-09-10 2017-03-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离子注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9229B2 (en) * 2006-10-16 2009-11-17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Technique for matching performance of ion implantation devices using an in-situ mask
JP5463017B2 (ja) * 2007-09-21 2014-04-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基板の作製方法
US8669539B2 (en) * 2010-03-29 2014-03-11 Advanced Ion Beam Technology, Inc. Implant method and implanter by using a variable aperture
KR101769493B1 (ko) * 2011-12-23 2017-08-30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처리장치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시스템
CN109872938B (zh) * 2017-12-05 2022-03-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八研究所 一种适用于微纳器件制造的离子注入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954A (ja) * 1992-04-07 1993-11-16 Nec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H1064462A (ja) 1996-08-23 1998-03-06 Nec Yamagata Ltd イオン注入装置
KR20000025127A (ko) * 1998-10-08 2000-05-06 윤종용 반도체 이온주입설비의 매스 슬릿 그레파이트
JP2000149855A (ja) 1998-11-16 2000-05-30 Hitachi Ltd イオン注入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45537A (ko) * 2000-12-06 2002-06-19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이온주입장치 및 이온주입방법
KR20050069673A (ko) * 2003-12-31 2005-07-05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이온주입장치용 아크챔버의 비임포커스슬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4797A (en) * 1979-05-23 1980-11-18 Nova Associates, Inc. Treating workpieces with beams
US6507033B1 (en) * 1999-03-29 2003-0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ersatile, high-sensitivity faraday cup array for ion implanters
WO2002058102A2 (en) * 2001-01-18 2002-07-25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Adjustable conductance limiting aperture for ion implanters
US7279687B2 (en) * 2005-08-26 2007-10-09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Technique for implementing a variable aperture lens in an ion implanter
CN101346803B (zh) * 2005-12-07 2010-08-04 瓦里安半导体设备公司 用于减少光致抗蚀剂释气效应的技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954A (ja) * 1992-04-07 1993-11-16 Nec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H1064462A (ja) 1996-08-23 1998-03-06 Nec Yamagata Ltd イオン注入装置
KR20000025127A (ko) * 1998-10-08 2000-05-06 윤종용 반도체 이온주입설비의 매스 슬릿 그레파이트
JP2000149855A (ja) 1998-11-16 2000-05-30 Hitachi Ltd イオン注入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45537A (ko) * 2000-12-06 2002-06-19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이온주입장치 및 이온주입방법
KR20050069673A (ko) * 2003-12-31 2005-07-05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이온주입장치용 아크챔버의 비임포커스슬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616A (zh) * 2015-09-10 2017-03-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离子注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73043A1 (en) 2007-07-26
JP2007200896A (ja) 2007-08-09
CN101009191A (zh)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345B1 (ko) 이온 주입 장치
KR100734308B1 (ko) 가변 스크린 어퍼쳐를 갖는 이온 주입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이온 주입 방법
KR100846110B1 (ko) 이온주입장치 및 이온주입방법
CN103811248B (zh) 利用离子束以及可变孔隙在衬底上进行离子注入的方法
US8772741B2 (en) Ion implantation method and ion implantation apparatus
JP5215846B2 (ja) イオンビーム角度広がりの制御技術
JP6644596B2 (ja) イオン注入方法およびイオン注入装置
US6852984B2 (en) Advanced ion beam measurement tool for an ion implantation apparatus
US74889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al ion implantation
US7026628B2 (en) Advanced ion beam detector for ion implantation tools
US10042261B2 (en) Method of aperture alignment and multi charged particle beam writing apparatus
JP6588323B2 (ja) イオン注入方法およびイオン注入装置
JPH10335215A (ja) 荷電粒子線描画装置
KR20100111693A (ko) 축내 틸트를 이용하여 개선된 높은 틸트 주입 각도 성능
JP2005285518A (ja) イオン注入装置およびイオン注入方法
JP2020525973A (ja) ドリフトおよび減速モードにおけるビーム角度制御を有するイオン注入システム
CN102194637A (zh) 离子注入系统及方法
JP5057008B2 (ja) イオン注入装置
JP2010183004A (ja) 荷電粒子ビーム描画方法および荷電粒子ビーム描画装置
JPH08315766A (ja) イオン注入装置およびイオン注入方法
JP2003229087A (ja) イオン注入装置
JPH11339706A (ja) イオン注入装置及び方法
JP2023530880A (ja) 最小発散イオンビームの調整装置
KR20050097395A (ko) 이온 주입 설비의 스캔 시스템 및 방법
JPH10312769A (ja) イオン注入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