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197B1 -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97B1
KR100734197B1 KR1020020031686A KR20020031686A KR100734197B1 KR 100734197 B1 KR100734197 B1 KR 100734197B1 KR 1020020031686 A KR1020020031686 A KR 1020020031686A KR 20020031686 A KR20020031686 A KR 20020031686A KR 100734197 B1 KR100734197 B1 KR 100734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602A (ko
Inventor
하마노요시아끼
곤나이히데후미
후나하시도시히꼬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미네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미네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미네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종래의 양극재료의 열 안정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지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방전용량이 큰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는 화학식 LixNiyCozMmO2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며 분말형상으로서, BET 비표면적값이 0.8㎡/g 이하이다. 단,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Ba, Sr 및 B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이다.

Description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 {CATHODE MATERIAL FOR USE I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 은 충전상태에서 각종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를 아르곤 분위기하, 10℃/min 조건에서 승온시켰을 때 DTG 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의 BET 비표면적과 충전상태의 DTG 증대개시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특히 니켈 코발트 복합산 리튬에 있어서 알칼리토류 금속 등을 배합하여 구성된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인 니켈산 리튬은 방전용량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충방전이 반복되면 리튬이온이 디인터컬레이션 (deintercalation) 된 상태의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 (lithium nickelate) 은 리튬 결손 (lithium disorder) 이 없는 상태로 상변태 (相變態) 되는 경향이 있다. 이 경향은 전지의 사용온도가 높아지면 현저해진다.
이 상변태는 불가역반응이기 때문에 양극 활성물질 (cathode active material) 로서의 양극재료로서 기여하는 리튬 니켈계 복합산화물의 절대량이 감소되고, 그 결과 방전용량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 발생된 산소는 전지를 구성하는 전해액과 반응하기 쉽고, 따라서 사용온도가 높을 때에는 전지가 발화되거나 파열될 위험까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629호에서는 리튬 니켈계 복합산화물을 리튬 2차 전지 양극재료에 사용하여 리튬 2차 전지를 형성하고, 이 2차 전지에 충방전 조작을 하여 상기 리튬 니켈계 복합산화물로부터 리튬이온의 디인터컬레이션을 발생시킨 후, 이 리튬 니켈계 복합산화물의 열중량분석 (thermogravimetry) 을 함으로써 리튬 2차 전지의 열 안정성 (thermal stability) 을 평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이러한 방법으로 평가한 바람직한 리튬이온 2차 전지 양극에 사용되는 활성물질로서, Ni 1몰에 대하여 Co 를 0.05∼0.3몰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B, Al, Mg, Ca, Sr, Ba, Fe, Ti, Zr, Y, La 및 Ce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로 0.001∼0.1몰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으로는 전지의 안전성을 충분히 평가할 수 없음이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에서 밝혀졌다. 다음에 구체적인 일례를 든다. 전지가 충전된 상태의 양극에서 산소가스는 170℃ 부근 또는 그 이상의 고온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발생된 산소와 전지를 구성하는 전해액이 반응할 위험이 발 생한다. 열중량분석에서 200∼300℃ 까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중량 감소량에 따라 양극재료가 고온하에 노출되었을 때의 안전성을 평가한 경우, 양극 또는 전해액의 분해가스에 의한 전지의 팽창이나 발화를 추측할 수 있지만,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전해액과 반응하기 시작함으로써 전지에 이변이 생기기 시작하는 것은 추측할 수 없다. 이렇게 상기 종래 방법으로는 전지의 안전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지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열안전성이 우수한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는 화학식 LixNiyCozMmO 2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고, 이를 사용하여 열 안정성이 높으며 또한 방전용량이 큰 리튬 2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Ba, Sr 및 B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 원소의 몰비의 값으로,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이다. 양극재료의 BET 비표면적값은 0.8㎡/g 이하이고, 0.5㎡/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LixNiyCozMmO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충전상태에서 화학식 LiaNibCocMnO2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DTG 증대개시온도가 2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Ba, Sr 및 B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고, x, y, z, m, a, b, c 및 n 은 각 원소의 몰비의 값으로,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0.2 ≤a ≤0.4, 0.5 ≤b ≤0.95, 0.05 ≤c ≤0.5, 0.0005 ≤n ≤0.02 이다. DTG 증대개시온도는 2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양극재료의 탭 밀도는 1.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전지에 충전되는 양극재료의 양을 많이 할 수 있어 전지 단위 체적당 충방전용량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는 NiyCoz(OH)2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리튬염 및 원소 M 을 함유한 염을 혼합한 후, 소성 (heating), 해쇄 (pulverizing) 시켜 화학식 LixNiyCozMmO2 로 표시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NiyCoz(OH)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탭 밀도가 1.8g/㎤ 이상, 레이져 디프랙션 (laser diffraction) 법으로 측정한 평균입자직경이 5∼20㎛ 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NiyCoz(OH)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말입자의 형상은 구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소성은 산소 분위기에서 300∼500℃ 에서 2∼6h 의 유지를 실행하는 예비소성, 이 예비소성 후 5∼30℃/min 으로 승온시키는 승온단계 및 이 승온단계에 이어서 650∼900℃ 에서 2∼30h 의 유지를 실행하는 최종 소성단계를 순서대로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원소 M 은 Ba, Sr 및 B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의 활성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양극재료인 리튬 2차 전지이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에 의해 2차 전지의 안전성이 매우 향상되고, 2차 전지가 고온 상태에 노출된 경우에도 전지가 발화되거나 파열될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충전된 양극재료의 DTG 곡선 (Derivative Thermogravimetry: 열중량 곡선의 온도에 관한 1차 미분 곡선) 에서 재료간의 상이함을 볼 수 있고, DTG가 더 높은 온도에서 변화하기 시작하는 것은 열 안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양극재료임을 발견하였다. 또, 이러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어느 일정한 조성을 갖는 양극재료로서, 이 재료의 비표면적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발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도 1 은 표 1 에 나타낸 No.3, 6, 9, 11 및 14 의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의 DTG 곡선을 나타낸다. 여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의 DTG 는 약 190℃ 에서 증대하기 시작하여 220∼290℃ 사이에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에 대해서 상기 DTG 를 측정하여 이 DTG 증대개시온도와 전지의 안전성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Figure 112002017729080-pat00001
여기에 DTG 및 초기 방전용량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실행한 것이다.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분말 90질량%, 아세틸렌블랙 5질량% 및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 5질량% 에 N-메틸-2피롤리돈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알루미늄 집전체 (substratum) 에 약 150㎛ 두께로 도포하고, 200㎏/㎠ 정도로 가압한 후, 직경 14㎜ 의 원판으로 펀칭한다. 이 원판을 150℃ 에서 15h 동안 진공 건조시켜 양극으로 사용한다. 음극에는 리튬 금속 시트를 사용하고, 세퍼레이터에는 폴리프로필렌제 다공질막 (상품명 CELGARD#2400 Celgard사 제조) 을 사용한다. 또, 에틸렌카보네이트 (EC) 와 디메틸카보네이트 (DMC) 를 체적비로 1:1 로 혼합한 용액 1ℓ에 LiClO4 를 1몰 용해시켜 비수전해액으로 한다.
이것들을 사용하여 아르곤으로 치환한 글로브 박스 내에서 시험 셀로 조립하고 전류 밀도를 1mA/㎠ 의 일정값으로 하고, 전압을 2.75∼4.2V 범위에서 충방전하여 초기 방전용량을 측정한다. 이렇게 하여 충방전한 후, 4.2V 충전상태에서 양극을 시험 셀로부터 꺼내어 알루미늄 집전체로부터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분말을 박리하고, 이것을 디메틸카보네이트로 세정하여 100℃ 에서 진공 건조시킨다. 이렇게 해서 얻은 리튬 2차 전지 양극재료 LiaNibCocMnO2 를 화학분석법으로 각 원소의 몰비를 산출하면, Li 의 몰비 a 는 Ni 와 Co 의 합계량에 대하여 0.2 내지 0.4몰 범위이다. 그 분말을 열중량 측정장치로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10℃/min 속도로 승온시켜 DTG 를 측정하여 DTG 증대개시온도를 구한다. 한편, DTG 의 증대개시온도란 DTG 가 0.015%/℃ 를 초과하는 온도를 말한다.
또, 상기와 같이 전지가 충전상태인 경우, 양극을 시험 셀로부터 꺼낸 양극재료 내지 재료에 사용된 화합물을, 본 명세서에서는 충전상태에서의 양극재료 내지 화합물로 약기한다.
전지의 안전성에 관한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① 리튬 니켈계 복합산화물 90질량%, 카본블랙 5질량%,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 5질량% 에 대하여 N-메틸-2피롤리돈을 첨가하여 페이스트형상으로 이루고, 이것을 알루미늄박 상에 도포 건조시켜 양극으로 한다.
② 흑연 분말과 N-메틸-2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페이스트를 동박 상에 도포 건조시켜 음극으로 한다.
③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두고,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 (EC) 와 디에틸카보네이트 (DEC) 가 체적비 1:1 의 혼합용액 1ℓ에 대하여 LiPF6 을 1몰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여 직경 18㎜, 길이 65㎜ 의 원통형상의 리튬이온 2차 전지로 한다.
④ 양극재료가 동일한 원통형 전지를 10개 제작하여 고온 저장시험 및 못 관통시험에 각각 5개씩 사용한다.
⑤ 고온 저장시험에서는 4.2V 충전상태에서 150℃, 5h 의 대기 분위기하에서 저장한 경우에 전지의 변형이나 파열 또는 파열에 따른 발화 유무를 조사한다.
⑥ 못 관통시험은 4.4V 충전상태로 하고 대기 분위기하에서 직경 2.5㎜ 의 못을 관통시켜 전지로부터의 발화 유무를 조사한다. 본 시험은 전지의 고온에 서의 안전성에 관한 시험으로서는 고온 저장시험보다 더욱 가혹한 시험이다.
그 결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재료의 DTG 증대개시온도와 상기 평가 기준에 따른 전지의 안전성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어, DTG 증대개시온도가 높은 것이 전지의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DTG 는 승온과정에서의 양극재료의 열분해 속도의 지표로 볼 수 있으므로, 그 증대개시온도는 높은 것이 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표 1 에서 약 215℃ 를 경계로 하여 DTG 증대개시온도가 높은 양극재료의 경우에, 전지의 고온 저장시험 결과가 양호하다. 또, 못 관통시험에서도 DTG 증대개시온도가 215℃ 를 경계로 하여 결과가 달라져서 215℃ 이상에서는 양호하다. 또한, DTG 증대개시온도가 230℃ 이상에서는 매우 양호한 결과이다. 이렇게 DTG 증대개시온도가 높을수록 전지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2 는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의 BET 비표면적값과 충전상태의 DTG 증대개시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계의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의 DTG 증대개시온도는 그 비표면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BET 비표면적값이 0.8㎡/g 이하인 경우, DTG 증대개시온도는 215℃ 이상이다. 또,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Ba, Sr 및 B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이다. 또한, 비표면적은 질소가스의 흡착량에서 구한 BET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화학식 LixNiyCozMmO2 로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방전용량이 큰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을 베이스로 한다. LiNiO2 그 자체는 양극재료 중에서 방전용량이 높은 반면, 안전성에 문제를 안고 있다. 그래서, Ni 중 0.05 내지 0.5몰을 Co 로 치환하여 열 안정성을 높인다. Co 는 0.05몰 이상이면 열 안정성의 개선이 확인되고, 한편 0.5몰보다 많으면 방전용량이 저하된다. 또한, B, Sr 또는 Ba 를 Ni 와 Co 의 합계량에 대하여 0.0005∼0.02몰의 비율로 배합하여 열 안정성을 개선하고, 또 충분한 방전용량을 얻는다. 이들 원소는 0.0005몰보다 적으면 열 안정성의 개선이 불충분하고, 0.02몰보다 많으면 방전용량이 저하된다. Li 는 이것이 적으면 리튬 결손이 많은 결정 구조가 되어 방전용량이 저하된다. 또, Li 가 너무 많으면 수화물이나 탄산화물을 생성하여 전극을 제작할 때에 겔화 상태가 되고, 양호한 페이스트 상태를 얻을 수 없어 핸들링성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Li 는 Ni 와 Co 의 합계량에 대하여 0.9∼1.1몰의 범위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 전지에 충전되는 양극재료의 양을 많게 하여 전지 단위 체적당 방전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 탭 밀도는 1.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탭 밀도는 호소카와 미크론사 제조의 파우더 테스터를 사용하여 탭 밀도 측정용 100㎖ 용기를 사용하여 200회 태핑을 함으로써 측정한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출발물질로서 Ni 와 Co 의 합계량에 대하여 Co 의 비율이 0.05∼0.5몰로 조 정된 치밀 (high density) 한 NiyCoz(OH)2 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시에, 예컨대 습식 용액합성법으로 NiyCoz(OH)2 를 제조하고, 이 때 평균입자직경이 5∼20㎛, 탭 밀도가 1.8g/㎤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며, 각 입자는 구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을 합성하는 경우에는, 출발물질인 NiyCoz(OH)2 의 형상이 그대로 계승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비표면적이 작고 또한 탭 밀도가 큰 양극재료를 얻기 위해서는, 출발물질을 상기와 같이 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상이며 치밀한 NiyCoz(OH)2 와 리튬염 및 M 을 함유한 염을 혼합한 후, 소성, 해쇄시켜 화학식 LixNiyCozMmO2 로 표시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로 하고, 이 때 소성 조건을 산소 분위기에서 300∼500℃ 에서 2∼6h 의 유지를 실행하는 예비소성, 이 예비소성 후 5∼30℃/min 으로 승온시키는 승온단계 및 이 승온단계에 이어서 650∼900℃ 에서 2∼30h 의 유지를 실행하는 최종 소성단계를 순서대로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M 은 Ba, Sr 및 B 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다.
예비소성은 리튬과 니켈 등의 반응을 억제하면서 원료 중의 결정수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300∼500℃ 에서 2h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제거는 6h 이하에서 충분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생산성 관점에서는 6h 를 초과할 필요는 없다. 승온과정에서의 승온속도는 소성용 도가니나 소성용 내화물의 보호 및 생산성 관점에서 5∼30℃/min 로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 최종 소성온도는 650℃∼900℃ 가 바람직하다. 650℃ 미만에서는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고, 900℃ 를 초과하면 리튬의 비산이 발생한다. 유지시간은 반응성 및 생산성을 고려하여 2∼30h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표 2 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일반식 LixNiyCozMmO2 를 갖는 양극재료를 제조하여 그 비표면적, 탭 밀도, 방전용량 및 DTG 증대개시온도를 측정한다. 제조시에 출발원료는 No.11, 12, 15 및 16 에서는 미분말 형상의 시약을 사용한다. 그 이외의 샘플 번호의 출발원료는 탭 밀도 1.9∼2.1g/㎤ 의 치밀한 구형상의 NiyCoz(OH)2 를 사용한다. 소성조건은 산소 분위기에서 다음에 기재된 단시간 소성 또는 장시간 소성을 채택한다. 측정결과는 표 2 에 나타낸다.
단시간 소성
예비 소성: 400℃ 에서 4h 유지
승온 속도: 10℃/min
최종 소성: 800℃ 에서 4h 유지
장시간 소성
예비 소성: 500℃ 에서 6h 유지
승온 속도: 20℃/min
최종 소성: 750℃ 에서 12h 유지
또, 비표면적은 이른바 BET법으로 측정한다.
Figure 112002017729080-pat00002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을 가지며 또한 소정의 비표면적을 갖는 양극재료는 방전용량이 높으며 또한 DTG 증대개시온도가 높다. 그리고, 탭 밀도가 큰 경우에는, 전지에 충전할 수 있는 양극재료의 양을 많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전지 단위 체적당 충방전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목적으로,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를 연구한 후에 다양한 모디피케이션이나 균등한 재료나 기술의 치환을 생각해 낼 수 있다. 이 모든 변형이나 치환은 본원 클레임의 진정한 범위에 들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종래의 양극재료의 열 안정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지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방전용량이 큰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Claims (10)

  1. 화학식 LixNiyCozMmO2 (여기에서, M 은 Ba, Sr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 원소의 몰비의 값으로,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임)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며, 분말형상이고, BET 비표면적값이 0.8㎡/g 이하인, 열안정성이 높으며 또한 방전용량이 큰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BET 비표면적값이 0.5㎡/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LixNiyCozMmO2 (여기에서, M 은 Ba, Sr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 원소의 몰비의 값으로,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충전상태에서 화학식 LiaNibCocMnO2 (여기에서, a, b, c 및 n 은 각 원소의 몰비의 값으로, 각각 0.2 ≤a ≤0.4, 0.5 ≤b ≤0.95, 0.05 ≤c ≤0.5, 0.0005 ≤n ≤0.02 임)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DTG 증대 개시온도가 2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재료.
  4. 제 3 항에 있어서, DTG 증대 개시온도가 2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재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LixNiyCozMmO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분말형상으로서, 탭 밀도가 1.5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재료.
  6. NiyCoz(OH)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말과 리튬염 및 원소 M 을 함유한 염을 혼합하고, 이어서 소성 (heating) 시키고 해쇄 (pulverizing) 시켜 화학식 LixNiyCozMmO2 (여기에서, M 은 Ba, Sr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원소이고, x, y, z 및 m 은 각각 0.9 ≤x ≤1.1, 0.5 ≤y ≤0.95, 0.05 ≤z ≤0.5, 0.0005 ≤m ≤0.02 임) 로 표시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NiyCoz(OH)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말은 탭 밀도가 1.8g/㎤ 이상, 평균입자직경이 5∼20㎛ 인,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열안정성이 높으며 또한 방전용량이 큰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iyCoz(OH)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말입자의 형상이 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재료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소성은 산소 분위기에서 300∼500℃ 에서 2∼6h 의 유지를 실행하는 예비소성, 이 예비소성 후 5∼30℃/min 으로 승온시키는 승온단계 및 이 승온단계에 이어서 650∼900℃ 에서 2∼30h 의 유지를 실행하는 최종 소성단계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재료의 제조방법.
  9. 양극의 활성물질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양극재료를 함유하는 리튬 2차 전지.
  10. 양극의 활성물질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양극재료인 리튬 2차 전지.
KR1020020031686A 2001-06-07 2002-06-05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34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3285 2001-06-07
JP2001173285 2001-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602A KR20020093602A (ko) 2002-12-16
KR100734197B1 true KR100734197B1 (ko) 2007-07-02

Family

ID=1901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686A KR100734197B1 (ko) 2001-06-07 2002-06-05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0804B2 (ko)
EP (1) EP1265300B1 (ko)
KR (1) KR100734197B1 (ko)
CN (1) CN100539265C (ko)
CA (1) CA2388936C (ko)
DE (1) DE60237659D1 (ko)
TW (1) TW571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3525B2 (en) 2002-03-22 2015-05-05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US7749657B2 (en) * 2002-12-06 2010-07-06 Jfe Mineral Company Lt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7018607B2 (en) * 2003-06-25 2006-03-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EP1667260A4 (en) * 2003-09-26 2007-10-03 Mitsubishi Chem Corp LITHIUM COMPOSITE OXIDE PARTICLE FOR POSITIVE ELECTRODE MATERIAL WITH LITHIUM ACCUMULATOR CONTAINING SAME,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ACCUMULATOR, AND LITHIUM ACCUMULATOR
JP5290337B2 (ja) * 2011-02-24 2013-09-18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ガーネット型固体電解質、当該ガーネット型固体電解質を含む二次電池、及び当該ガーネット型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CN103050684B (zh) * 2011-10-14 2016-05-04 河南科隆集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PL2806486T3 (pl) * 2012-01-17 2019-08-30 Lg Chem, Ltd. Aktywny materiał katodowy, zawierająca go litowa bateria wtórna do kontrolowania zanieczyszczeń lub pęcznienia i sposób wytwarzania aktywnego materiału katodowego o ulepszonej wydajności
KR101666879B1 (ko) 2012-08-14 201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3969148B (zh) * 2014-05-19 2016-03-30 西南科技大学 锂离子电池用碳材料种类稳定性的检测方法
KR102213174B1 (ko) 2017-10-12 2021-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468695B1 (ko) * 2017-11-30 2022-1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의 활성화 방법 및 활성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677A (ja) * 1998-03-19 1999-10-08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105A (en) 1995-05-26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TW363940B (en) * 1996-08-12 1999-07-11 Toda Kogyo Corp A lithium-nickle-cobalt compound oxide, process thereof and anode active substance for storage battery
US6749648B1 (en) * 2000-06-19 2004-06-15 Nanagram Corporation Lithium metal oxides
JP3142522B2 (ja) * 1998-07-13 2001-03-07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300334B1 (ko) * 1999-06-17 2001-11-01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6350543B2 (en) * 1999-12-29 2002-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nganese-rich quaternary metal oxide materials as cathodes for lithium-ion and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677A (ja) * 1998-03-19 1999-10-08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5300B1 (en) 2010-09-15
EP1265300A3 (en) 2004-01-28
CN100539265C (zh) 2009-09-09
EP1265300A2 (en) 2002-12-11
KR20020093602A (ko) 2002-12-16
DE60237659D1 (de) 2010-10-28
CA2388936C (en) 2006-07-18
US7510804B2 (en) 2009-03-31
TW571456B (en) 2004-01-11
CA2388936A1 (en) 2002-12-07
CN1391297A (zh) 2003-01-15
US20030031930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268B2 (ja) 充電式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ためのNi系カソード材料
EP2872450B1 (en) Doped nickelate compounds
CN102782910B (zh)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CN102754256B (zh)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EP1291321A1 (en) Lithium-containing silicon oxide powder and making method
US7241532B2 (en) Positive-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positive-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368851A1 (en) Powder of lithium complex compound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EP2581343A1 (en) Lithium composite compound particle powd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P2544277A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ies, and lithium-ion battery
EP2937917A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P200425316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れに用いる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2008311132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コバルト酸リチウム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734197B1 (ko) 리튬 2차 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WO2003088382A1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1432055B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397624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74988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
EP1432056B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220117907A (ko) 캐소드 재료 및 방법
JP4305613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42463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146662A (ja) リチウム・ニッケル・マンガン複合酸化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11076891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2343356A (ja) リチウムマンガン系複酸化物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US20240234717A1 (en) A process for producing cathod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a lithium-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