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627B1 -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627B1
KR100733627B1 KR1020050122855A KR20050122855A KR100733627B1 KR 100733627 B1 KR100733627 B1 KR 100733627B1 KR 1020050122855 A KR1020050122855 A KR 1020050122855A KR 20050122855 A KR20050122855 A KR 20050122855A KR 100733627 B1 KR100733627 B1 KR 10073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very
value
valua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865A (ko
Inventor
기요시 이케하라
겐지 기타가와
요시아키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6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시 등에 내부에 홀딩된 데이터를 회수 가능한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실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분실검지부(112)와,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인 가치평가지표를 홀딩하는 가치정보홀딩부(115)를 구비하고, 분실검지부(112)에 의해 분실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데이터의 가치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해서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회수순서의 결정에는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을 이용하여 구한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전력량과, 전지잔량계측부(108)에서 계측한 전지 잔량을 고려한다.
정보, 소비전력량, 2차기억장치, 수신, 송신, 분실검지, 전지잔량계측부, 회수순서, 가치정보

Description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DATA RECOVERY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가치정보홀딩부(115)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의 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가치정보홀딩부(115)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의 순서(그 1)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의 순서(그 2)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a에서 도 10d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이터의 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할 때의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련의 천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a에서 도 11d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선순위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할 때의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련의 천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우선순위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수치입력바를 이용하여 금액의 설정을 실행할 때의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화면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가치정보홀딩부(115)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회수처리의 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입력부 102: 정보처리장치
103: 표시부 104: 소비전력량테이블
105: 2차기억장치 106: 데이터수신부
107: 분실검지센서 108: 전지잔량계측부
109: 데이터송신부 110: 전지
111: 가치정보설정부 112: 분실검지부
113: 회수순서결정부 114: 회수용 데이터작성부
115: 가치정보홀딩부 116: 데이터홀딩부
117: 회수용 데이터홀딩부
본 발명은 분실시 등에 내부에 홀딩된 데이터를 회수 가능한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장치를 분실한 경우, 휴대단말장치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도 동시에 잃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종래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장치를 분실한 경우에 휴대단말장치 내의 데이터를 회수ㆍ삭제하는 등으로 하여 보호하는 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의 분실시에 있어서의 데이터회수방법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도난ㆍ분실상황을 검지하고, 장치 내의 중요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데이터보호와 기밀 홀딩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정보기기 및 데이터퇴피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325280호 공보 참조).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백업 때에 있어서의 데이터회수의 우선순위의 결정방법에 관해서 사용자가 백업데이터의 날짜나, 이동통신단말상의 메모리용량 등을 의식하는 일없이 PIM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PIM데이터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이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35172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데이터를 회수대상으로 하는/하지 않는 것의 양자택일의 선택을 실행하고 있던지, 또는, 데이터의 일정ㆍ수정ㆍ참조날짜 등의 타임스탬프를 토대로 자동적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있는데, 반드시 사용자의 의도대로 데이터의 회수가 실행된다고는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등의 데이터에서는 화상을 촬영 또는 참조한 날짜보다도 촬영대상으로 된 인물ㆍ물체 등의 화상의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가 중요하고,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부수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거하는 평가는 반드시 적당하지는 않다.
또, 데이터 고유의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를 계산하면, 화상ㆍ음성ㆍ텍스트 등의 데이터 종별마다 다른 지표를 이용하여 우선순위의 결정에 관한 평가를 실행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데이터 종별 간에서의 비교가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회수의 우선순위를 단일의 지표로 제어할 수 있고, 또, 단일의 지표에 의거하여 한정된 전력량 아래에서 효율 좋게 데이터를 회수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는, 무선에 의해 다른 단말장치와 통신을 실행하는 전지구동의 휴대단말장치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분실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분실검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평가지표를 홀딩하는 가치정보홀딩수단과, 상기 분실검출수단에 의해 분실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가치정보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하는 회수순서결정수단과,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회수순서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회수방법은, 분실상태에 있으면 무선에 의해 다른 단말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장치 내의 데이터를 회수하는 데이터회수방법으로서, 분실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면,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회수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제 1 실시형태
A-1.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데이터수신부(106)는 무선회선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의 분실통지를 수신하여 분실검지부(112)에 공급한다. 분실검출센서(107)는 분실상태에 있는 것을 휴대단말장치 자체가 자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분실통지를 분실검지부(112)에 공급한다. 해당 분실검출센서(107)로서는 GPS를 이용하여 일정위치에 장시간 머물러 있는 것을 검출하는 등, 여러 가지 구성의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2차기억장치(105)는 가치정보홀딩부(115) 및 데이터홀딩부(116)로 이루어진다. 가치정보홀딩부(115)는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가치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홀딩하는 테이블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마다 데이터명, 데이터 종별, 회수대상으로 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회수플래그, 가치평가지표,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홀딩부(116)는 화상, 문서 등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홀딩한다.
분실검지부(112)는 분실검지센서(107)로부터의 분실통지나, 데이터수신부(106)를 통해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분실통지를 받아서 휴대단말장치의 분실상태를 검출한다. 회수순서결정부(113)는 분실검지부(112)가 분실상태를 검출했을 때에 동작을 개시하고,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된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한다. 데이터송신부(109)는 회수순서결정부(113)에 의해 결정된 회수순서에 따라서 데이터홀딩부(116)에 홀딩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한다.
또한, 회수순서결정부(113)와 분실검지부(112)는 정보처리장치(102) 내의 각각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되어 있는데,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되는 경우, 단일의 프로 그램이어도 좋다.
A-2. 제 1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의 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분실검지부(112)가 분실상태를 검출하면, 정보처리장치(102)는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 중, 사이즈당의 가치(단가)가 가장 높은 것을 1개 선택한다(스텝S10). 다음으로, 선택한 데이터를 데이터홀딩부(116)로부터 꺼내어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한다(스텝S12). 송신순서는 주지의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회수하는 데이터의 종별이 화상ㆍ음성ㆍ텍스트 등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한 수신처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회수하는 데이터의 종별이 전자화폐ㆍ프리페이드포인트ㆍ저작권 관리된 데이터 등인 경우에는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트랜잭션처리(transaction processing)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가치정보홀딩부(115)의 회수플래그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송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회수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스텝S14). 이때 송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데이터홀딩부(116)로부터 삭제해도 좋다. 다음으로,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는지 아닌지, 즉 회수대상의 데이터를 모두 송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16). 그리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S10으로 리턴하여 회수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수의 종료를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통지하여 해당 처리를 종 료한다(스텝S18). 종료통지에는 송신된 데이터의 일람 등의 회수처리에 관련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B.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B-1. 제 2 실시형태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전지(110)는 각부에 구동용의 전력을 공급한다. 전지잔량계측부(108)는 전지(110)의 전지 잔량을 계측하여 회수순서결정부(113)에 통지한다. 가치정보홀딩부(115)는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가치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홀딩하는 테이블이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대상인 데이터마다 데이터명, 데이터 종별, 회수대상으로 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회수플래그, 가치평가지표,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다.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종별, 기본전력량, 사이즈당 전력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의 회수에 요하는 전력량은 그 데이터의 종별에 대응하는 기본전력량과, 사이즈당 전력량에 회수데이터의 용량을 곱셈한 값의 합으로 한다. 또한,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이 홀딩하는 기본전력량, 사이즈당 전력량의 각 열의 값은 무선통신수단의 통신로(channel)의 상태가 양호하다고 가정하는 등, 일정한 조건하에서 측정한 경우의 값이다. 그로 인해 계산에 앞서서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의 값에 통신로의 품질에 따라 계수를 곱셈한다.
회수순서결정부(113)는 분실검지부(112)가 분실상태를 검출했을 때에 동작을 개시하고, 전지잔량계측부(108)로부터 전지 잔량을 취득하며,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을 참조하여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을 계산하고,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된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회수순서결정부(113)와 분실검지부(112)는 정보처리장치(102) 내의 각각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되어 있는데,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되는 경우, 단일의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B-2. 제 2 실시형태의 동작(그 1)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7은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의 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분실검지부(112)가 분실상태를 검출하면, 정보처리장치(102)는 전지잔량계측부(108)를 이용하여 전지(110)의 나머지 전력량을 취득한다(스텝S20). 다음으로,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을 참조하여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의 추정값을 계산한다(스텝S22).
다음으로, 계산된 전력량과 데이터에 부가된 가치평가지표를 토대로 회수순서를 결정한다(스텝S24). 회수순서의 결정방법으로서는 전지의 나머지 전력량을 용량, 소비전력량을 무게, 데이터에 매겨진 금액을 가치로서 냅색문제 또는 배낭문제(knapsack problem)를 푸는 방식으로 순서 매김을 실행한다. 또한, 단순하게 전력량당의 가치가 높은 순으로 배열해도 좋다.
다음으로, 결정된 회수순서에 따라서 순서 매겨진 데이터 중, 선두의 것을 1개 취득한다(스텝S26). 다음으로, 선두데이터를 데이터홀딩부(116)로부터 꺼내어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한다(스텝S28). 다음으로, 가치정보홀딩부(115)의 회수플래그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송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회수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스텝S30). 이때 송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데이터홀딩부(116)로부터 삭제해도 좋다.
다음으로, 전지의 나머지 전력량의 실제의 값(전지잔량계측부(108)에 의한 전지의 잔용량)과 예측값(소비전력량테이블(104)로부터 얻어지는 전지의 잔용량)의 차이가 일정 이상을 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S32). 그리고 일정 이상을 넘고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S24와 똑같이 회수순서를 재계산한다(스텝S34). 다음으로,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는지 아닌지, 즉 회수대상의 데이터를 모두 송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36). 그리고 미송신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S26으로 리턴하여 회수처리를 계속한다. 이 경우, 재계산한 회수순서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일정 이상을 넘고 있지 않았던 경우에는 직접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는지 아닌지, 즉 회수대상의 데이터를 모두 송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S36), 미송신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S26으로 리턴하여 회수처리를 계속한다.
또, 어느 것의 경우라도 미송신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수의 종료를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통지하여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S18). 종료통지에는 송신된 데이터의 일람 등의 회수처리에 관련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B-3. 제 2 실시형태의 동작(그 2)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는 도 8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해도 좋다. 우선,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을 참조하여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의 추정값을 계산하고(스텝S40), 이어서 전지잔량계측부(108)를 이용하여 전지(110)의 나머지 전력량을 취득한다(스텝S42). 다음으로, 전지(110)의 나머지 전력량의 범위 내에서 송신 가능한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당의 가치평가지표(단가)가 가장 높은 데이터를 1개 선택하고(스텝S44), 선택한 데이터를 데이터홀딩부(116)로부터 꺼내어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한다(스텝S46).
다음으로, 가치정보홀딩부(115)를 갱신하는 것으로 송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회수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스텝S48). 이때 송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데이터홀딩부(116)로부터 삭제해도 좋다. 다음으로,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는지 아닌지, 즉 회수대상의 데이터를 모두 송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50). 그리고 미송신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S42로 리턴하여 회수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미송신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수의 종료를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통지하여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스텝S52). 종료통지에는 송신된 데이터의 일람 등의 회수처리에 관련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C.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C-1. 제 3 실시형태의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있어서,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03)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가치정보설정부(111)는 화상 등의 데이터작성 또는 홀딩시에 자동적으로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 곤란한 데이터에 대한 가치평가지표의 설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화폐 등의 금전가치를 갖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잔고에 의거하여 가치평가지표를 부가한다. 구입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구입시의 금액 또는 시가에 의거하여 가치평가지표를 부가한다. 가치평가지표의 입력결과는 2차기억장치(105)내의 가치정보홀딩부(115)에 홀딩된다.
또한, 가치정보설정부(111)와 회수순서결정부(113)와 분실검지부(112)는 정보처리장치(102) 내의 각각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되어 있는데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되는 경우, 단일의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또,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회수의 순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회수의 순서와 똑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화상 등의 데이터작성 또는 홀딩시에 자동적으로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 곤란한 데이터에 대한 가치평가지표의 설정순서를 데이터의 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하는 경우와,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당의 가치평가지표인 단 가가 높은 순으로 데이터를 순위 매김하여 표시한 우선순위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설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의 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하는 순서를 도 10a에서 도 10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에서 도 10d는 데이터의 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할 때의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련의 천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화면(311)에는 데이터에 붙여진 이름의 일람이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커서(312, 반전 표시된 직사각형 영역)를 조작함으로써 가치평가지표를 부가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선택 후, 도 10b에 나타내는 다음의 화면(321)으로 천이한다.
화면(321)에는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조작의 일람(322)이 나타나 있고,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커서(323)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서 가치평가지표를 붙이는(가격을 매기는) 것을 지시한다. 지시 후, 도 10c에 나타내는 다음의 화면(331)으로 천이한다.
화면(331)에는 가치평가지표의 입력화면이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수치입력란(333)에 수치를 입력하는 것으로 금액의 설정을 실행한다. 이때 이미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서 데이터에 대한 조작(열람ㆍ배경화상설정ㆍ명칭변경 등)의 회수를 조작의 종별마다 집계한 값을 산술적으로 처리한 조작지표를 구하고, 조작지표당의 가치평가지표의 평균에 선택된 데이터의 조작지표를 곱셈한 값을 수치입력란(333)의 규정값(default)으로서 입력에 앞서서 설정한다. 결정을 지시하는 것으로 도 10d에 나타내는 다음의 화면 (341)으로 천이한다. 화면(341)에는 가치평가지표 설정 후의 우선순위의 일람이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가치평가지표를 설정한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의 상대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선순위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하는 순서를 도 11a에서 도 11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a에서 도 11d는 우선순위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할 때의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련의 천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화면(411)에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의 일람이 가치평가지표(단가)와 함께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커서(412)를 조작함으로써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선택 후, 도 11b에 나타내는 다음의 화면(421)으로 천이한다.
화면(421)에는 선택한 데이터에 대한 조작의 일람(422)이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커서(423)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데이터에 대해서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지시 후, 도 11c에 나타내는 다음의 화면(431)으로 천이한다.
화면(431)에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의 일람이 단가와 함께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커서(432)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데이터를 어느 위치에 삽입할지를 결정한다. 동시에, 상기 우선순위리스트의 순서를 홀딩하도록 삽입한 데이터(442)의 단가가 결정된다. 단가는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당의 가치평가지표이기 때문에 단가를 변경하는 것으로 가치평가지표도 변화한다. 여기에서는, 삽입한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단가의 평균을 삽입한 데이터의 단가로 하고 있 다. 결정 후, 도 11d에 나타내는 다음의 화면(441)으로 천이한다. 화면(441)에는 가치평가지표 설정 후의 우선순위의 일람이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선택한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의 상대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선순위일람표시화면으로부터 금액의 설정을 실행하는 순서의 다른 예를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내는 화면(511)에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의 일람이 단가와 함께 나타나 있고, 각 데이터는 수직선(516)상의 단가를 나타내는 선(512∼515)과 관련 지워져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커서(517)를 조작함으로써 단가를 나타내는 선(512∼515) 중에서 1개(514)를 선택한다. 선택 후,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조작함으로써 단가를 나타내는 선(514)을 수직선(516)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단가를 조절한다. 도 12b에 나타내는 화면(521)에 단가를 나타내는 선(514)을 수직선(516)상에서 40의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단가는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당의 가치평가지표이기 때문에 단가를 변경하는 것으로 가치평가지표도 변화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화상데이터를 예로서 설명했는데, 음성ㆍ텍스트 등의 다른 종별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똑같이 실행한다.
D.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 4 실시형태는 기본적으로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은데, 휴대단말장치 내의 데이터에 대해서 조작을 실행할 때에 가치정보홀딩부(115)에 홀딩되는 가치평가지표와 회수플래그를 갱신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이하, 이 기능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휴대단말장치 내의 데이터를 전자메일에 의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하는 조작을 실행했을 때, 휴대단말장치의 외부에 복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처에 따라서 가치평가지표를 줄이던지, 회수지정을 해제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처로부터 사용자 소유의 메일박스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회수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한편, 수신처로부터 상대측의 단말이 다른 휴대단말장치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가치평가지표를 미리 정해진 값, 또는 비율로 줄이는 등의 처리를 실행하던지, 또는 데이터에 대한 조작을 실행했을 때에 실행해야 할 처리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도 좋다.
송신매체는 반드시 전자메일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와 PC를 통신케이블을 이용하여 직접 접속해서 데이터 수수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대는 일의로 특정 가능하고, PC에 전송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회수지정을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PC 이외에도, 불휘발성 메모리 등, 착탈 가능한 매체를 이용한 데이터의 복제이어도 좋다.
또, 데이터가 참조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조작을 실행했을 경우에는 가치평가지표가 참조된 횟수나 참조된 시간에 따라서 늘리거나, 회수대상으로 하거나 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가 참조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조작으로서는 텍스트ㆍ화상 등의 데이터의 열람을 실행하는,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화상데이터를 벽지로서 설정ㆍ표시하는, 음성데이터를 전자메일이나 통화의 착신시에 재생하 는 설정을 실행하는ㆍ재생하는 등이 있다.
E.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E-1. 제 5 실시형태의 구성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있어서, 회수용 데이터작성부(114)는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된 데이터 대신에 데이터를 회수대상으로 하는 것을 사용자가 지시했을 때, 전지(110)가 충전상태에 있을 때 등에 회수하는 회수용 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의 분실에 대비하여 사전에 작성한다. 그때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우선하여 회수용 데이터를 작성해도 좋다.
가치정보홀딩부(115)는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가치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홀딩하는 테이블이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대상인 데이터마다 데이터명, 데이터 종별, 회수대상으로 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회수플래그, 가치평가지표, 사이즈, 압축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종별, 기본전력량, 사이즈당 전력량, 회수용 데이터작성에 드는 전력량(전개(decompress / decompression)), 회수용 데이터작성에 드는 전력량(압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수에 요하는 전력량은 기본전력량과, 사이즈당 전력량에 회수용 데이터의 용 량을 곱셈한 값과, 회수용 데이터작성에 드는 전력량(전개)에 원래 데이터의 용량을 곱셈한 값과, 회수용 데이터작성에 드는 전력량(압축)에 회수용 데이터의 용량을 곱셈한 값의 합으로 한다. 또,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이 홀딩하는 기본전력량, 사이즈당 전력량의 값은 무선통신수단의 통신로의 상태가 양호하다고 가정하는 등, 일정한 조건하에서 측정한 경우의 값이다. 그로 인해, 계산에 앞서서 소비전력량테이블(104)의 값에 통신로의 품질에 따라 계수를 곱셈하여 둔다.
또, 회수용 데이터홀딩부(117)는 상기 데이터홀딩부(116)에 격납된 데이터 대신에 회수용 데이터작성부(114)에서 작성된 회수하는 회수용 데이터를 홀딩하는 기억영역이다.
또한, 가치정보설정부(111)와 회수용 데이터작성부(114)와 회수순서결정부(113)와 분실검지부(112)는 정보처리장치(102) 내의 각각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되어 있는데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되는 경우, 단일의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E-2. 제 5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회수는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의 데이터회수(도 7)와 똑같은데, 스텝S28에 있어서의 회수처리를 도 14에 나타내는 처리로 치환하는 점이 다르다. 도 16은 본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회수처리의 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수처리가 실행되면, 회수용 데이터작성부(114)는 회수용 데이터작성설정이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60). 그리고 회수용 데이터의 작성설정이 ON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결정된 회수순서에 따라서 데이터홀딩부(116)에 홀딩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한다(스텝S66).
한편, 회수용 데이터작성설정이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수용 데이터홀딩부(117)에 회수용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S62), 이미 회수용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결정된 회수순서에 따라서 회수용 데이터홀딩부(117)에 홀딩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한다(스텝S66).
한편, 회수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수용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S64). 예를 들면, 이미 압축이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의 경우, 압축데이터를 메모리상에 전개하고, 가치정보홀딩부(115)를 참조하여 얻어지는 압축파라미터(해상도ㆍ압축률 등)로 재차 압축해서 송신대상으로 한다. 그 후, 결정된 회수순서에 따라서 회수용 데이터홀딩부(117)에 홀딩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송신부(109)를 통해서 다른 단말에 송신한다(스텝S66).
F.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는 기본적으로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은데, 송신부(무선통신수단, 109)를 통해서 송신을 실행할 때에 드는 비용에 따른 값을 가치평가지표로부터 공제한 값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송신에 요하는 비용을 예측하고, 해당 예측한 비용에 의거하여 산출한 값을 가치정보홀딩부(115)의 가치평가지표로부터 줄이고 나서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데이터의 회수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인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가치가 높은 데이터부터 차례로 회수하는 것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Claims (29)

  1. 무선에 의해 다른 단말장치와 통신을 실행하는 전지구동의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분실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분실검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평가지표를 홀딩하는 가치정보홀딩수단과,
    상기 분실검출수단에 의해 분실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가치정보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하는 회수순서결정수단과,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회수순서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전지의 잔용량을 계측하는 전지잔량계측수단과, 그리고,
    데이터의 송신에 요하는 소비전력량을 홀딩하는 소비전력량홀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은,
    상기 전지잔량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되는 전지의 잔용량과, 상기 소비전력량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소비전력량과, 상기 가치정보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은 상기 전지잔량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되는 전지의 잔용량을 용량, 상기 소비전력량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소비전력량을 무게, 상기 가치정보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데이터의 가치평가지표를 가치로서 냅색문제 해결방식으로 순서 매김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은 데이터송신마다 상기 전지잔량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되는 전지의 잔용량과, 상기 소비전력량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소비전력량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지의 예측잔용량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지 판별하고,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회수순서를 재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은 상기 전지잔량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되는 전지의 잔용량의 범위 내에서 송신 가능한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당의 가치평가지표가 높은 순서를 데이터의 회수순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설정하는 가치정보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서 입력된 수치를 가치평가지표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상기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순서 매겨진 데이터의 순서를 바꿔 넣음 가능하게 한 데이터의 우선순위리스트에 대해서 바꿔 넣어진 데이터의 순위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가치평가지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이미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서 데이터에 대한 조작의 횟수를 조작의 종별마다 집계한 값을 산술적으로 처리 한 조작지표를 구하고, 조작지표당의 가치평가지표의 평균에 선택된 데이터의 조작지표를 곱셈한 값을 규정값으로서 입력에 앞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상기 데이터가 금전가치를 가질 경우, 상기 금전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데이터에 대한 조작의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송신처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정보설정수단은 상기 가치평가지표로부터 송신을 실행할 때에 드는 비용에 따른 값을 공제한 값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순서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회수순서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분실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회수해야 할 회수용 데이터를 사전에 작성하는 회수용 데이터작성수단과,
    상기 회수용 데이터를 홀딩하는 회수용 데이터홀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분실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회수용 데이터홀딩수단에 홀딩되어 있는 회수용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송신대상으로 되는 회수용 데이터가 압축 가능한 데이터였을 경우에 상기 회수용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압축률로 압축하는 압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6. 분실상태에 있으면 무선에 의해 다른 단말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장치 내의 데이터를 회수하는 데이터회수방법에 있어서,
    분실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면,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회수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하며,
    전지의 잔용량과, 데이터의 송신에 요하는 소비전력량과, 상기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회수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잔용량을 용량, 상기 소비전력량을 무게,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가치로서 냅색문제 해결방식으로 순서 매김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데이터송신마다 상기 전지의 잔용량과 상기 소비전력량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지의 예측잔용량의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지 판별하고, 차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회수순서를 재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잔용량의 범위 내에서 송신 가능한 회수에 필요한 전력량당의 가치평가지표가 높은 순서를 데이터의 회수순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지표는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서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지표는 해당 가치평가지표에 의거하여 순서 매겨지고, 데이터의 순서를 바꿔 넣음 가능하게 한 데이터의 우선순위리스트에 대해서 바꿔 넣어진 데이터의 순위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가치평가지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이미 회수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서 데이터에 대한 조작의 횟수를 조작의 종별마다 집계한 값을 산술적으로 처리한 조작지표를 구하고, 조작지표당의 가치평가지표의 평균에 선택된 데이터의 조작지표를 곱셈한 값을 규정값으로서 입력에 앞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금전가치를 가질 경우, 상기 금전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조작의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송신처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지표로부터 송신을 실행할 때에 드는 비용에 따른 값을 공제한 값에 의거하여 상기 가치평가지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회수순서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로부터 분실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회수해야 할 회수용 데이터를 사전에 작성하고, 분실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회수용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송신대상으로 되는 회수용 데이터가 압축 가능한 데이터였을 경우에 상기 회수용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압축률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회수방 법.
KR1020050122855A 2004-12-15 2005-12-14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 KR100733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3447A JP4247908B2 (ja) 2004-12-15 2004-12-15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回収方法
JPJP-P-2004-00363447 2004-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865A KR20060067865A (ko) 2006-06-20
KR100733627B1 true KR100733627B1 (ko) 2007-06-29

Family

ID=3665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855A KR100733627B1 (ko) 2004-12-15 2005-12-14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31215B2 (ko)
JP (1) JP4247908B2 (ko)
KR (1) KR100733627B1 (ko)
CN (1) CN1004683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1181B2 (en) 2006-03-30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metrics-based annotation
US8190992B2 (en) 2006-04-21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Grouping and display of logically defined reports
US8126750B2 (en) 2006-04-27 2012-02-28 Microsoft Corporation Consolidating data source queries for multidimensional scorecards
US9058307B2 (en) 2007-01-26 2015-06-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ation generation using scorecard elements
US8321805B2 (en) 2007-01-30 2012-11-27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 architecture based metric views
US20080183564A1 (en) * 2007-01-30 2008-07-31 Microsoft Corporation Untethered Interaction With Aggregated Metrics
US8495663B2 (en) 2007-02-02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Real time collaboration using embedded data visualizations
JP4389966B2 (ja) * 2007-05-18 2009-12-2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4909198B2 (ja) * 2007-07-12 2012-04-0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装置
JP4548854B2 (ja) * 2007-08-23 2010-09-2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8959182B1 (en) * 2008-04-15 2015-02-17 Crim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data recovery and destruction
US8359024B1 (en) * 2009-11-10 2013-01-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Notification and pro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drops
EP2504807B1 (en) 2009-11-26 2018-10-24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for a component
WO2011074800A2 (en) * 2009-12-17 2011-06-23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EP2524320B1 (en) * 2010-01-14 2016-06-1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overing data in a storage medium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has been tampered with
JP5163689B2 (ja) 2010-05-11 2013-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緊急通報用車載端末
US9392092B2 (en) 2011-07-14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ealing with a lost electronics device
US8862909B2 (en) * 2011-12-02 2014-10-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ower estimate for an I/O controller based on monitored activity levels and adjusting power limit of processing units by comparing the power estimate with an assigned power limit for the I/O controller
US9710678B2 (en) * 2013-04-02 2017-07-18 Dropbox, Inc. Techniques for recovering missing devices
US9891997B2 (en) 2014-12-17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conscious mobile device redundancy and recovery
US11341111B2 (en) 2016-10-26 2022-05-24 Denso Corporation Data processor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7013712B2 (ja) * 2016-10-26 2022-02-01 株式会社デンソー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CN110018422B (zh) * 2018-01-05 2021-10-1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方法及装置
JP7003704B2 (ja) * 2018-02-06 2022-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CN110781504A (zh) * 2019-09-27 2020-02-11 深圳市大拿科技有限公司 数据保护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756A (ja) 1997-12-25 1999-07-09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におけるセキュリティ制御方法ならびにシステム及び同方法がプログラムされ記録される記録媒体
JP2002325280A (ja) 2001-04-26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退避機能を持つ携帯情報機器及びデータ退避方法
KR20030001725A (ko) * 2001-06-27 2003-01-08 주식회사 케이티 보안 유지가 가능한 휴대 정보단말기 및 그 보안 유지 방법
KR20040100153A (ko) * 2003-05-21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3259B2 (ja) 1993-09-13 2005-09-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管理装置
JPH09215057A (ja) 1996-02-01 1997-08-15 Hitachi Ltd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情報保護方法
JP3577207B2 (ja) * 1996-12-12 2004-10-13 富士通株式会社 遺伝的アルゴリズム実行装置、実行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056145B2 (ja) 1997-09-22 2000-06-26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紛失携帯電話端末探知システム
JP3561620B2 (ja) 1997-12-24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送信方法及び端末装置
JP2000029858A (ja) 1998-07-15 2000-01-28 Victor Co Of Japan Ltd 最適化装置
JP2000308126A (ja) 1999-04-15 2000-11-02 Canon Inc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
JP2001275163A (ja) 2000-03-27 2001-10-05 Nec Saitama Ltd 携帯電話端末探索システム
US6662023B1 (en) * 2000-07-06 2003-12-09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securing mobile phones that are lost, stolen or misused
US6804699B1 (en) * 2000-07-18 2004-10-12 Palmone, Inc. Identifying and locating lost or stol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s via a landline- or wireless-connected web server
US6813487B1 (en) * 2000-10-18 2004-11-02 David Alan Trommel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data stored in a remote electronic device
US20020073314A1 (en) * 2000-12-07 2002-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st electronic devices
JP2002351720A (ja) 2001-05-24 2002-12-06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データ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データ管理方法、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369251A (ja) 2001-06-07 2002-12-20 Nec Corp 不法操作防止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不法操作防止システム
JP2003069699A (ja) 2001-08-28 2003-03-07 Canon Inc 無線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7107349B2 (en) * 2002-09-30 2006-09-12 Dang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US20040137893A1 (en) * 2003-01-15 2004-07-15 Sivakumar Muthuswamy Commun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security and recovery and method therfor
JP2004326156A (ja) 2003-04-21 2004-11-18 Canon Inc クライアントサーバーシステム
KR100654481B1 (ko) * 2004-01-08 2006-12-05 최상백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방지 및 회수 방법
US7849161B2 (en) * 2004-06-30 2010-12-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s for remotely recovering and purging data from a wireless devi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AU2005299577A1 (en) * 2004-10-27 2006-05-04 Verisign Icx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data on handhe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756A (ja) 1997-12-25 1999-07-09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におけるセキュリティ制御方法ならびにシステム及び同方法がプログラムされ記録される記録媒体
JP2002325280A (ja) 2001-04-26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退避機能を持つ携帯情報機器及びデータ退避方法
KR20030001725A (ko) * 2001-06-27 2003-01-08 주식회사 케이티 보안 유지가 가능한 휴대 정보단말기 및 그 보안 유지 방법
KR20040100153A (ko) * 2003-05-21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47908B2 (ja) 2009-04-02
CN1790361A (zh) 2006-06-21
KR20060067865A (ko) 2006-06-20
US20060154692A1 (en) 2006-07-13
CN100468368C (zh) 2009-03-11
US7631215B2 (en) 2009-12-08
JP2006174072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27B1 (ko) 휴대단말장치 및 데이터회수방법
US92679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deteriora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US7145695B2 (en) Picked-up image managing device capable of managing picked-up images by grouping the same, method of determining group name, and computer usable medium storing group name determining program
KR100955134B1 (ko) 광고정보 제공 방법, 광고정보 제공 시스템, 광고정보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광고정보 순위 매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718890B1 (ko) 컨텐트에 대한 예상 소비 전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381261A3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ifferent values on a digital multimeter
JP2006174072A5 (ko)
US2011001067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 item
JP5088642B2 (ja) 情報端末
JP4501976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191451A2 (en) Radio apparatus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to be processed by data-processing apparatuses
JP4423960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ソフトウェア更新用プログラム
JP5772358B2 (ja) レビュー評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097546A (ja) 広告方法、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プログラム
JP2012058907A (ja) 情報端末機器、利用状態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30104841A1 (en) Method for displaying time-stamp associated and weighted data and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CN113079426B (zh) 基于业务信息的智能抄表方法、系统、主机及存储介质
US20110078180A1 (en) Information acquiring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EP1394992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ion condition distribution server and detected mail notification receiving server
JP4266749B2 (ja) デジタルデータ放送受信方法及びデジタルデータ放送受信装置
JP4865026B2 (ja) 移動機の持ち時間を表示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5345172A (ja) バッテリー残量表示装置
JP2006174040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
JP2013218623A (ja) 情報処理装置、更新方法、および更新プログラム
JP4835931B2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