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52B1 - 포장박스용 지그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52B1
KR100732852B1 KR1020060111932A KR20060111932A KR100732852B1 KR 100732852 B1 KR100732852 B1 KR 100732852B1 KR 1020060111932 A KR1020060111932 A KR 1020060111932A KR 20060111932 A KR20060111932 A KR 20060111932A KR 100732852 B1 KR100732852 B1 KR 10073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ide wall
main body
ji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김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옥 filed Critical 김재옥
Priority to KR102006011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Landscapes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을 형성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를 갖는 포장박스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판부 위에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1랙과; 상기 제1랙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각 제1랙에 마련되어, 상기 저판부에 대해 상기 제1측벽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일의 지그로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저판부에 대한 각 측벽부를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고, 지그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지그{JIG FOR BOX TYPE PACK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착부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지그를 이용하여 포장재를 절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의 한 쌍의 제2절곡부가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
도 8은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의 한 쌍의 제1절곡부가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은 도 7의 우측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재 3 : 저판부
5 : 제1측벽부 7 : 제2측벽부
10 : 포장박스용 지그 11 : 본체
21 : 제1피니언 25 : 육각렌치착탈홈
31 : 제1랙 35 : 제1절곡부
37 : 제1가이드바아 41 : 제2피니언
45 : 육각렌치착탈홈 51 : 제2랙
55 : 제2절곡부 57 : 제1가이드바아
61 : 모서리절곡부 63 : 제1지지바아
65 : 제2지지바아 71 : 안착부
73 : 블록 75 : 나사공
77 : 체결볼트
본 발명은, 포장박스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박스의 크기에 대응하며 측벽부를 간편하게 절곡 형성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과일, 육류, 어류 등의 식품류나 컴퓨터, 오디오, 텔레비전 등의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용이하게 제품을 운반하기 위해 포장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포장되는 제품의 보호를 위해 내구성을 갖는 하드보드나 골판지 등과 같은 일명 포장재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포장박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저판부와, 저판부의 들레를 따라 배치되는 네 측벽부를 갖는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에는 포장재를 전개한 상태에서 포장물의 크기에 적합하게 절단한 후, 바닥을 형성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저판부와, 저판부의 각 변을 따라 연장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네 측벽부를 형성한 후, 저판부의 각 변을 따라 각 측벽부를 절곡하여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를 형성하여 왔다.
한편, 종래의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각 측벽부를 절곡하는 경우, 저판부와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갖는 지그를 저판부 위에 안착시킨 후, 지그의 각 변을 따라 측벽부를 저판부에 대해 절곡 형성하여 왔다.
그런데,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는 다양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포장박스 제조자는 각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 별로 다양한 사이즈의 지그들을 구비하여 저판부에 대해 측벽부를 절곡하여야 하므로, 지그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그의 호환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하나의 지그로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저판부에 대한 측벽부의 절곡 위치를 가변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단면형상과 크기를 갖는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지그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지그로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저판부에 대한 각 측벽부를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고, 지그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포장박스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을 형성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를 갖는 포장박스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 위에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1랙과; 상기 제1랙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각 제1랙에 마련되어, 상기 저판부에 대해 상기 제1측벽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니언과 이격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2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2랙과; 상기 제2랙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각 제2랙에 마련되어, 상기 저판부에 대해 상기 제2측벽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가 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네 개의 모서리절곡부와; 상기 모서리절곡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1절곡부에 왕복이 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바아와; 상기 제1지지바아와 수직하게 상기 모서리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절곡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절곡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절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와 수직하게 상기 제2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절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저판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블록과, 상기 안착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블록을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피니언과 제2피니언에는 육각렌치가 착탈되는 육각렌치착탈홈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육각렌치를 상기 육각렌치착탈홈에 장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각 피니언을 간편하게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바닥을 형성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를 갖는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의 각 측벽부를 저판부에 대해 절곡하는 포장박스용 지그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는 본체(11)와, 제1피니언(21)과, 한 쌍의 제1랙(31)과, 한 쌍의 제1절곡부(35)를 가진다.
본체(11)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장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변을 갖는 사각블록형상을 가지며, 본체(11)는 전개된 포장재(1)의 저판부(3) 중앙에 안착된다. 본체(11)에는 제1피니언(21)이 수용되는 제1피니언수용부(13)와, 후술할 제2피니언(41)이 수용되는 제2피니언수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제1피니언(21)은 소정의 치형 규격을 갖는 외치차 형상을 가지며, 본체(11)의 제1피니언수용부(13)에 회동가능하게 수용 결합되어 있다. 제1피니언수용부(13)에 수용된 제1피니언(21)은 커버(23)에 의해 본체(1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피니언(21)의 판면에는 육각렌치(미도시)가 착탈되는 육각렌치착탈홈(25)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육각렌치를 육각렌치착탈홈(25)에 장착하여 육각렌치홈(25)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피니언(21)을 간편하게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제1랙(31)은 원형단면의 봉형상을 가지며, 제1측벽부(5)를 향해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본체(11)에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1랙(31)은 제1피니언(21)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피니언(21)을 향하는 제1랙(31)의 일측 외주면에는 제1피니언(21)의 치형 규격과 대응하는 치형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이에, 각 제1랙(31)은 제1피니언(21)과 부분 적으로 맞물려 제1피니언(2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뿐만 아니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각 제1랙(31)의 자유단부에는 제1랙(3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즉 본체(11)의 장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제1절곡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제1절곡부(35)는 사각블록형상을 가지며, 저판부(3)에 대해 제1측벽부(5)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저판부(3)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장변의 제1측벽부(5)는 저판부(3)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간편하게 절곡된다.
제1절곡부(35)는 제1랙(31)의 직선왕복이동에 대해 본체(11)에 접근 및 이격한다. 또한, 제1절곡부(35)는 제1절곡부(3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바아(37)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가이드바아(37)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바아(37)는 제1랙(31)을 사이에 두고 본체(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는 제1피니언(21)과 이격하며 본체(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니언(41)을 가진다.
제2피니언(41)은 소정의 치형 규격을 갖는 외치차 형상을 가지며, 본체(11)의 제2피니언수용부(17)에 회동가능하게 수용 결합되어 있다. 제2피니언수용부(17)에 수용된 제2피니언(41)은 커버(43)에 의해 본체(1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2피니언(41)의 판면에는 육각렌치가 착탈되는 육각렌치착탈홈(45)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육각렌치를 육각렌치착탈홈(45)에 장착하여 육각렌치착탈홈(45)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2피니언(41)을 간편하게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제2랙(51)은 원형단면의 봉형상을 가지며, 제2측벽부(7)를 향해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본체(11)에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2랙(51)은 제2피니언(41)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2피니언(41)을 향하는 제2랙(51)의 일측 외주면에는 제2피니언(41)의 치형 규격과 대응하는 치형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이에, 각 제2랙(51)은 제2피니언(41)과 부분적으로 맞물려 제2피니언(4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뿐만 아니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각 제2랙(51)의 자유단부에는 제2랙(5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즉 본체(11)의 단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제2절곡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제2절곡부(55)는 사각블록형상을 가지며, 저판부(3)에 대해 제2측벽부(7)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저판부(3)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단변의 제2측벽부(7)는 저판부(3)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간편하게 절곡된다.
제2절곡부(55)는 제2랙(51)의 직선왕복이동에 대해 본체(11)에 접근 및 이격한다. 또한, 제2절곡부(55)는 제2절곡부(5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바아(57)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2가이드바아(57)는 본체(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피니언(21)과 제1랙(31), 제2피니언(41)과 제2랙(51)은 동일의 치형 규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피니언(21)과 제2피니언(41)의 육각렌치착탈홈(25,45)은, 하나의 공구를 사용하여 각 피니언을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는 제1측벽부(5)와 제2측벽부(7)가 접하는 각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포장박스의 모서리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네 개의 모서리절곡부(61)를 가진다.
모서리절곡부(61)는 사각블록형상을 가지며, 각 랙(31,51)의 직선왕복이동에 의해 본체(11)의 각 모서리를 향해 접근 및 이격한다. 모서리절곡부(61)의 일측은 본체(11)의 장변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제1지지바아(63)에 의해 제1절곡부(35)와 연결되어 있으며, 모서리절곡부(61)의 타측은 본체(11)의 단변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즉 제1지지바아(63)와 직각을 이루는 제2지지바아(67)에 의해 제2절곡부(55)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모서리절곡부(61)는 저판부(3)에 대해 제1측벽부(5)와 제2측벽부(7)가 이루는 모서리 영역을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저판부(3)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제1측벽부(5)와 제2측벽부(7)의 각 모서리 영역은 저판부(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는 본체(1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를 저판부(3)에 안착시키는 안착부(71)를 더 가진다.
안착부(71)는, 본체(11)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블록(73)과, 안착블록(73)을 관통하며 본체(11)에 결합되어 안착블록(73)을 본체(11)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볼트(77)를 가진다.
안착블록(73)에는 체결볼트(77)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미도시) 이외에, 인양볼트(미도시)가 착탈되는 복수의 나사공(7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나사공(75)에 인양볼트를 체결하여, 안착블록(73)이 결합된 본체(11)를 원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안착부(71)는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장박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저판부(3)와, 포장박스의 네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5,7)가 구획된 포장재(1)를 전개된 상태로 준비한다.
다음, 측벽부(5,7)를 절곡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대해 각 절곡부(35,55,6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즉, 한 쌍의 제1절곡부(35) 사이의 외측 거리가 제작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저판부(3)의 단변의 길이가 되도록 제1피니언(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절곡부(35)를 본체(11)의 장변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동시에, 한 쌍의 제2절곡부(55) 사이의 외측 거리가 절곡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저판부(3)의 장변의 길이가 되도록 제2피니언(4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2절곡부(55)를 본체(11)의 단변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때, 제1절곡부(35) 및 제2절곡부(55)가 본체(11)로부터 이격함에 따라 각 모서리절곡부(61) 또한 본체(11)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대해 각 절곡부(35,55,61)의 이격 거리가 조절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를 절곡하고자 하는 포장 재(1)의 저판부(3)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포장박스용 지그(10)의 각 절곡부(35,55,61)를 따라 포장재(1)의 각 측벽부(5,7)를 저판부(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함으로써, 저판부(3)에 대해 네 측벽부(5,7)가 절곡된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의 저판부(3)의 장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제2피니언(41)만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2절곡부(55) 사이의 외측 거리를 제작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저판부(3)의 장변의 길이가 되도록 한 쌍의 제2절곡부(55)를 본체(11)로부터 이격시킨 후, 포장재(1)의 제1측벽부(5)를 저판부(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함으로써, 원하는 크기를 갖는 포장박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지그(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의 저판부(3)의 단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제1피니언(21)만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절곡부(35) 사이의 외측 거리를 제작하고자 하는 포장박스의 저판부(3)의 단변의 길이가 되도록 한 쌍의 제1절곡부(35)를 본체(11)로부터 이격시킨 후, 포장재(1)의 제2측벽부(7)를 저판부(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함으로써, 원하는 크기를 갖는 포장박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판부 위에 안착되는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과, 제1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제1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1랙과, 제1랙에 마련되어 저판부에 대해 제1측벽부를 절곡 형 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절곡부를 마련하여, 단일의 지그로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저판부에 대한 각 측벽부를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고, 지그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에 제1피니언과 이격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니언과, 제2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제2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2랙과, 제2랙에 마련되어 저판부에 대해 제2측벽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절곡부를 더 마련하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각 절곡부 사이의 폭을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지그로 다양한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저판부에 대한 각 측벽부를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가 한 쌍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체는 각 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저판부와 네 측벽부를 갖는 사각통형상의 포장박스는 장방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정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절곡부와 한 쌍의 제2조절부가 각각 상호 접근 및 이격하여 각 절곡부 사이의 폭이 저판부의 장변 및 단변방향으로 각각 가변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한 쌍의 제1절곡부만을 상호 접근 및 이격하여 한 쌍의 제1절곡부 사이의 폭만을 가변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지그로 포장박스의 저판부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저판부에 대한 각 측벽부를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고, 지그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포장박스용 지그가 제공된다.

Claims (6)

  1. 바닥을 형성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와, 상기 저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를 갖는 포장박스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 위에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1랙과;
    상기 제1랙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각 제1랙에 마련되어, 상기 저판부에 대해 상기 제1측벽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니언과 이격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2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대향 배치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제2랙과;
    상기 제2랙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각 제2랙에 마련되어, 상기 저판부에 대해 상기 제2측벽부를 절곡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가 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네 개의 모서리절곡부와;
    상기 모서리절곡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1절곡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바아와;
    상기 제1지지바아와 수직하게 상기 모서리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절곡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절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와 수직하게 상기 제2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절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저판부에 안 착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블록과, 상기 안착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블록을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니언과 제2피니언에는 육각렌치가 착탈되는 육각렌치착탈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지그.
KR1020060111932A 2006-11-14 2006-11-14 포장박스용 지그 KR10073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32A KR100732852B1 (ko) 2006-11-14 2006-11-14 포장박스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32A KR100732852B1 (ko) 2006-11-14 2006-11-14 포장박스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852B1 true KR100732852B1 (ko) 2007-06-27

Family

ID=3837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932A KR100732852B1 (ko) 2006-11-14 2006-11-14 포장박스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52B1 (ko) 2007-12-18 2009-03-27 김정수 다각형 지기 성형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다각형 지기의제조방법
KR101453355B1 (ko) * 2013-11-06 2014-10-23 정해수 종이상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종이상자 제조방법
CN108394123A (zh) * 2017-02-06 2018-08-14 盟立自动化股份有限公司 盒体成型装置
CN108568990A (zh) * 2018-05-09 2018-09-25 李欢 一种自动折成纸箱盒的设备
KR102152563B1 (ko) * 2020-02-21 2020-09-04 조성근 포장용 박스 제함기
KR102260194B1 (ko) * 2020-10-26 2021-06-02 김연우 측방향의 강도가 보강된 운송용 포장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937B2 (ja) * 1991-03-19 1994-09-28 大淀小松株式会社 箱の組立装置
JP2000108224A (ja) 1998-10-09 2000-04-18 Rengo Co Ltd 製箱装置
KR20020061007A (ko) * 1999-12-22 2002-07-19 츄에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박스의 조립장치
KR200426474Y1 (ko) 2006-05-15 2006-09-18 정달금 제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937B2 (ja) * 1991-03-19 1994-09-28 大淀小松株式会社 箱の組立装置
JP2000108224A (ja) 1998-10-09 2000-04-18 Rengo Co Ltd 製箱装置
KR20020061007A (ko) * 1999-12-22 2002-07-19 츄에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박스의 조립장치
KR200426474Y1 (ko) 2006-05-15 2006-09-18 정달금 제함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52B1 (ko) 2007-12-18 2009-03-27 김정수 다각형 지기 성형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다각형 지기의제조방법
KR101453355B1 (ko) * 2013-11-06 2014-10-23 정해수 종이상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종이상자 제조방법
WO2015069009A1 (ko) * 2013-11-06 2015-05-14 정해수 종이상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종이상자 제조방법
CN108394123A (zh) * 2017-02-06 2018-08-14 盟立自动化股份有限公司 盒体成型装置
CN108394123B (zh) * 2017-02-06 2020-02-18 盟立自动化股份有限公司 盒体成型装置
CN108568990A (zh) * 2018-05-09 2018-09-25 李欢 一种自动折成纸箱盒的设备
KR102152563B1 (ko) * 2020-02-21 2020-09-04 조성근 포장용 박스 제함기
KR102260194B1 (ko) * 2020-10-26 2021-06-02 김연우 측방향의 강도가 보강된 운송용 포장박스
KR102260192B1 (ko) * 2020-10-26 2021-06-02 김연우 운송용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852B1 (ko) 포장박스용 지그
KR20130100303A (ko) 공구측면 클램핑툴
CN1433945A (zh) 旋转加工成卷或片状材料的装置
JP3166374U (ja) 板状体収納容器
US7765767B2 (en) Multifunctional constructional modular element for machine-building of a machine frame construction for a packaging machine
JP7171791B2 (ja) シートを支持するための中央支持装置及びシートを収納するための保管装置
JP2009125861A (ja) 組立治具
US20160083173A1 (en) An apparatus for packaging the front frames of lcd modules
JP5548086B2 (ja) 成形シートの打抜き型
KR200470493Y1 (ko) 휴대용 상자 성형기
JP2609963B2 (ja) 梱包基材
JP7130451B2 (ja) 蓋閉めハンド
KR20070044362A (ko) 유리 기판용 반송 상자
JP3205888U (ja) 組立用緩衝材
JP7323155B2 (ja) 梱包機
JP2010030621A (ja) 機器の梱包構造
CN212530606U (zh) 一种具有防震效果的可拆卸钢带箱
JP2913259B2 (ja) 梱包方法および梱包材成形装置
CN217834884U (zh) 一种包装箱制造用纸板切割设备
US1044207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pparatus for taking out molded product
JP5499869B2 (ja) 梱包装置
JP6287171B2 (ja) 梱包材及びシート
KR20070111290A (ko)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JP2012166830A (ja) 洗濯機の包装装置
CN210415666U (zh) 包装箱加工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