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474Y1 - 제함기 - Google Patents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74Y1
KR200426474Y1 KR2020060012947U KR20060012947U KR200426474Y1 KR 200426474 Y1 KR200426474 Y1 KR 200426474Y1 KR 2020060012947 U KR2020060012947 U KR 2020060012947U KR 20060012947 U KR20060012947 U KR 20060012947U KR 200426474 Y1 KR200426474 Y1 KR 200426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late
adhesive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Original Assignee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filed Critical 정달금
Priority to KR2020060012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plungers moving in a closed path and cooperating with stationary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회전지지바와 회전연결바가 상호 수직 연결되는 박스지지부와, 회전지지바 상에 이동 및 고정되어 판재를 절곡시키는 절곡유도부와, 절곡유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판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박스접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판재의 접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간단한 구성과 그에 따른 작동으로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판재, 회전지지바, 박스지지부, 절곡유도부, 박스접착부

Description

제함기{APPARATUS FOR FORMING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판재의 전개도.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따른 제함기 박스접착부의 작동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박스 형성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박스지지부 110 : 회전지지바
120 : 회전연결바 130 : 가이드프레임
200 : 절곡유도부 210 : 이동편
220 : 회동편 230 : 육각편
240 : 제1절곡편 250 : 제2절곡편
260 : 밀착편 300 : 박스접착부
310 : 지지가이드 320 : 도포지지구
330 : 롤러 340 : 승하강부재
350 : 접착조 360 : 도포판
370: 작동바 380 : 히터
본 고안은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되는 판재의 크기에 대응되는 박스지지부에 절곡유도부가 설치되고, 판재에 접착제를 효과적으로 도포하는 박스접착부가 설치되어 간단한 구성을 통한 간결한 작동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함기는 미개함된 판재를 물건이 수납 가능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박스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판형태의 판재를 박스로 접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제함기의 통상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적재된 다수의 판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서 판재를 하나씩 인출하여 입체 형태로 전개하는 포밍유닛과, 상기 포밍유닛에 의해 펼쳐진 박스의 하부플래블 접는 킥커유닛과, 판재가 접혀져 형성된 박스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및, 박스의 접혀진 하부날개를 테핑하는 테핑 유닛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종래 구성의 도면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제함기는 해당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므로 제작단가가 증가하는 한편, 작업자의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성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박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투입되는 판재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회전지지바와 회전연결바가 상호 수직 연결되는 박스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바 상에 이동 및 고정되고, 판재가 절곡되는 모서리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판재를 절곡시키는 절곡유도부와, 상기 절곡유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판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박스접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박스지지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바에 가변수단을 통해 수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회전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회전연결바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일측 회전연결바에 치합연결되는 주회전레버 및, 상기 주회전레버에 구동연결되어 타측 회전연결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종회전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유도부는 회전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설치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상부에 외향 절곡되는 제1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과의 대향면이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편과, 상기 이동편에 설치되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되는 밀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바 양단부에는 이를 구속하는 가이드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접착부는 상기 절곡유도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가이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포지지구과, 상기 지지가이드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승하강부재와, 히터가 구비되는 내측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조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도포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판에는복수개의 관통공과 접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에 언급되는 가로방향, 세로방향, 높이방향은 통상의 직육면체 박스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높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함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a는 도 1의 "A" 부분의 사시도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판재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입된 판재(400) 하부를 절곡시키는 박스지지부(100)와, 상기 박스지지부(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판재(400)를 절곡시키기 위한 절곡유도부(200)와, 투입된 판재(400)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박스접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스지지부(100)는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바(110)과, 상기 회전지지바(110)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회전연결바(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바(110)은 대향 배치되는 제1회전지지바(110a)와 제2회전지지바(110b)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연결바(120)는 상기 회전지지바(100)의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회전연결바(120a)와 제2회전연결바(12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회전지지바(110a)와 제2회전지지바(110b)는 이들 간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가변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회전연결바(12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140)과, 상기 제2회전연결바(120b)의 일단에 치합연결되는 주회전레버(150a) 및, 상기 주회전레버(150a)에 구동연결되어 상기 주회전레버(150a)의 구동력을 상기 제1회전연결바(120a)의 일단에 전달하는 종회전레버(15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주회전레버(150a)의 회전시, 상기 주회전레버(150a)와 체인(160)을 통해 구동연결된 종회전레버(150b)도 동시에 회전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1회전지지바(110a)와 제2회전지지바(110b) 간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연결바(120)에는 이를 감싸는 가이드프레임(130)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30)는 해당 저부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테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지지바(110)와 이에 연결되는 회전연결바(120)가 고정테이블 상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에는 상기 제1회전지지바(110a)와 제2회전지지바(110b)의 단부를 구속하기 위한 가이드편(131)이 마련되는데, 상기 가이드 편(13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주회전레버(150a)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회전지지바(110)를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한편, 상기 박스지지부(100)에는 절곡유도부(200)가 상기 회전지지바(1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절곡유도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바(110a),(110b)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1이동편(210a)과 제2이동편(210b)으로 구성되는 이동편(2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편(210a),(210b)는 상기 회전지지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바(110a),(110b)에 회전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이동편(210a),(210b)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바(110a),(110b)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연결바(120b)과 상기 제1회전연결바(120a)의 일단에는 주회전레버(150a')와 종회전레버(150b')가 각각 체인(160')에 의해 구동연결되어 상기 주회전레버(150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이동편(210a),(210b)가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및 제2이동편(210a),(210b)은 판재(40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편(210a),(210b)의 일측면에는 회동편(220)이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편(220)은 투입되는 판재(400) 상측 모서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편(210a)과 한 쌍의 제2이동편(210b)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동일한 회전지지바(110) 상에 위치한 상기 회동편(220)은 육각봉(230)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연 결되는바, 이를 위해 상기 육각봉(230)은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또는 와이어와 연결된다.
이러한 절곡유도부(200)는 상기 회전지지바(110) 상에 이동하며, 박스지지부(100) 내측에 투입된 판재(400)를 박스 형상의 상자로 절곡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편(210)에는 상부가 외향 절곡되는 제1절곡편(240)과 제2절곡편(250)이 상호 직각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절곡편(250)과 동일평면상에는 절곡되는 판재(400)의 측면을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제1밀착편(260a)과 제2밀착편(260b)으로 구성되는 밀착편(26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밀착편(260a)는 소정각도 회동되며 투입되는 판재(400)의 측면이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또는 와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판재(400) 투입시 상술한 절곡유도부(200) 구성 요소의 역활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절곡편(240)은 판재(400)의 b2라인을 절곡시키고, 상기 제2절곡편(250)은 판재(400)의 c1라인을 절곡시키며, 제1밀착편(260a) 및 제2밀착편(260b)은 소정각도 회동하며 판재 D부분을 접착재가 도포된 판재의 B 부분에 밀착시킨다.
도 4는 제함기의 박스접착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B" 부분의 분해 사시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제함기 박스접착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유도부(200)의 상부에는 투입되는 판재(400)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박스접착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박스접착부(300)는 절곡유도부(200)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가이드(310)와, 상기 지지가이드(310)에 회동 설치되는 도포지지구(320)과, 롤러(330)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10)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승하강부재(340)와, 히터(380)가 구비되어 내측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조(350)와, 상기 승하강부재(34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착조(350)에 입출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340)의 단부에 형성되는 도포판(36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포판(360)이 접착조(350) 내 접착제에 입출되는 경우 노출되는 도포판(360)의 상면에 접착제가 분포되도록 상기 도포판(36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361)과 접착홈(3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박스접착부(300) 인접 위치에는 작동바(37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작동편(390)이 상기 승하강부재(340)의 롤러(33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370)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편(39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재(340)의 롤러(330)가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승하강부재(340)가 상승하여 상기 접착조(350) 내측에 수용된 도포판(360)을 상승시킨다. 이때, 회동되는 도포지지구(320)는 회동하게 되고, 상기 도포지지구(320)는 회동에 의해, 상기 도포판(360)의 상면에 분포된 접착제는 상기 도포지지구(320)과 도포판(360) 사이에 위치한 판재(400)의 후면을 도포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작동에 따라 박스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고안에 따른 제함기의 박스 형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성을 위한 판재(400)를 박스지지부(1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판재(400)를 박스지지부(10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기 위해 누름편(510)이 탄성지지되는 작동체(500)를 판재(4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절곡 예정인 판재(400)의 접착부위에는 상기 박스접착부(300)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체를 박스지지부(100) 내측으로 인입시키면 박스접착부(300)의 지지프레임이 판재의 b1라인이 절곡시키고, 상기 제1절곡편은 b2라인을 절곡시킨다. b2라인이 절곡되면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편에 의해 c1라인이 절곡되며 판재가 박스형태로 절곡된다. 이후, 판재가 계속해서 하강하게 되면,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이 회동하여 판재의 d2라인을 절곡시키고, d2라인이 절곡된 후에는 도 6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및 제2밀착편이 소정각도 회동되며 판재 D부분을 박스 측부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판재(400)가 절곡되어 일정 형태의 박스가 형성되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지지부(100) 내측에 인입된 작동체(500)는 상향 이동되는데, 작동체(500)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누름편(510)은 소정 각도 전개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변되는 박스지지부와 절곡유도부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박스 성형이 가능하므로 제품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절곡되어 접착되는 판재의 접착위치에 접착제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도포되므로 접착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접착제가 판재에 접착되기 전에 쉽게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효과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판재를 박스로 성형하기 위한 전체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구성에 따른 간결한 작동으로 박스의 성형과정이 완료되므로, 복잡한 구성과 동작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을 방지하여 결국,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투입되는 판재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회전지지바와 회전연결바가 상호 수직 연결되는 박스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바 상에 이동 및 고정되고, 판재가 절곡되는 모서리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판재를 절곡시키는 절곡유도부와,
    상기 절곡유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판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박스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지지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바에 가변수단을 통해 수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회전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회전연결바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일측 회전연결바에 치합연결되는 주회전레버 및, 상기 주회전레버에 구동연결되어 타측 회전연결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종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유도부는
    회전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설치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상부에 외향 절곡되는 제1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과의 대향면이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편과,
    상기 이동편에 설치되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되는 밀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바 양단부에는
    이를 구속하는 가이드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접착부는
    상기 절곡유도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가이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포지지구과,
    상기 지지가이드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도포판과,
    히터가 구비되는 내측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포판에는
    복수개의 관통공과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2020060012947U 2006-05-15 2006-05-15 제함기 KR200426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947U KR200426474Y1 (ko) 2006-05-15 2006-05-15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947U KR200426474Y1 (ko) 2006-05-15 2006-05-15 제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588A Division KR100728935B1 (ko) 2006-05-15 2006-05-15 제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74Y1 true KR200426474Y1 (ko) 2006-09-18

Family

ID=4177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947U KR200426474Y1 (ko) 2006-05-15 2006-05-15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7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52B1 (ko) 2006-11-14 2007-06-27 김재옥 포장박스용 지그
KR100769083B1 (ko) 2006-12-29 2007-10-22 이기덕 상부 개방박스 제조장치
KR101046636B1 (ko) * 2010-11-30 2011-07-05 서태환 포장용 박스 제함기
KR101735206B1 (ko) 2015-10-29 2017-05-12 서태환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KR102198905B1 (ko) * 2020-06-30 2021-01-05 신풍기계 주식회사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KR102624217B1 (ko) * 2023-05-10 2024-01-12 주식회사 칼렛바이오 포장박스용 조립성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52B1 (ko) 2006-11-14 2007-06-27 김재옥 포장박스용 지그
KR100769083B1 (ko) 2006-12-29 2007-10-22 이기덕 상부 개방박스 제조장치
KR101046636B1 (ko) * 2010-11-30 2011-07-05 서태환 포장용 박스 제함기
KR101735206B1 (ko) 2015-10-29 2017-05-12 서태환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KR102198905B1 (ko) * 2020-06-30 2021-01-05 신풍기계 주식회사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KR102624217B1 (ko) * 2023-05-10 2024-01-12 주식회사 칼렛바이오 포장박스용 조립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474Y1 (ko) 제함기
US10759133B2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customized packaging items
RU2531774C2 (ru) Машина для склеивания коробо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робок
TW201540614A (zh) 包裝箱及製箱裝置
US2014024900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reinforced polygonal containers
KR101037276B1 (ko)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CN106586102B (zh) 一种自动折盒机
ITMO20130039U1 (it) Apparato di taglio e fustellatura cartoni per il confezionamento di pile di piastrelle ceramiche
CN214448853U (zh) 一种包装纸盒成型设备
KR100728935B1 (ko) 제함기
KR101054295B1 (ko) 박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싸바리 상자의 자동 제조장치
KR20170049860A (ko)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KR101070556B1 (ko)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박스 제조장치
KR100689239B1 (ko) 제함기
ITBO20060338A1 (it) Rivestitrice per scatole da imballaggio
EP3246152B1 (en) Multiple-head multiformat box forming machine
ITBO20110770A1 (it) Procedimento ed apparato per rivestire una scatola
IT202000003437A1 (it) Metodo, macchina e linea di confezionamento per imballare piastrelle con imballi completi di protezioni angolari
KR100659208B1 (ko) 라벨을 위한 직물 띠조각을 접는 방법 및 설비
CN211074873U (zh) 一种瓦楞纸箱全自动钉箱机翻箱装置
KR100412574B1 (ko) 골심지가 격자형으로 적층된 골판지의 제조방법
CN204674146U (zh) 一种粘贴胶片机
ITBO990116A1 (it)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fardelli in contenitori ottenuti da fustellati tubolari in configurazione appiattita e per la chiusura di
JPH06320648A (ja) 多角形筒状体の製造装置
ITTO20090824A1 (it) Macchina incassatr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