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682B1 -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682B1
KR100732682B1 KR1020060081037A KR20060081037A KR100732682B1 KR 100732682 B1 KR100732682 B1 KR 100732682B1 KR 1020060081037 A KR1020060081037 A KR 1020060081037A KR 20060081037 A KR20060081037 A KR 20060081037A KR 100732682 B1 KR100732682 B1 KR 10073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astic
ground
elastic lay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체육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체육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체육산업
Priority to KR102006008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균일한 지면을 균일화 시키면서 지반을 강화시키는 다짐 작업하여 지반층을 형성하는 지반층 형성단계와, 상기 지반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지반층의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로 탄성층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결착홈이 구비되는 콘크리트 기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틀을 형성하는 틀형성단계와, 상기 틀형성단계에서 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된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의 결착홈을 구비하면서 기초층을 형성시키는 기초층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기초층의 상부에 시공하도록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칩형태로 절단한 상태에서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시키는 탄성층 혼합단계와, 상기 탄성층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탄성층을 결착홈이 구비된 기초층의 상부에 타설하여 결착홈에 삽입되면서 탄성층이 형성되는 탄성층 형성단계와, 상기 탄성층 형성단계에서 결착홈에 혼합된 탄성층이 삽입된 상태로 형성된 탄성층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면서 결착력이 상승되면서 탄성층의 시공이 완성되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타이어, 탄성층, 결착홈, 결착망, 결착돌기, 기초층

Description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The Construction Method of Elasticity Paving Materi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반층 20 : 기초층
21 : 결착홈 22 : 결착망
23 : 결착돌기 30 : 탄성층
본 발명은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포장재는 아파트 보행로, 자전거전용도로, 광장, 골프장보경로, 조깅트랙, 산책로, 각종 스포츠 시설이나 놀이방, 놀이터와 같이 놀이나 스포츠 활동과 같이 사용자 들의 활동량이 많은 시설의 바닥에 시공되는 것으로, 어린이나 노약자의 보행이나 운동 시에 관절을 보호하고, 활동에 의해 바닥에 접촉되면 발생되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부상을 방지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은, 탄성포장재는 탄성소재인 우레탄과 같은 탄성소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지반의 상부에 시공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반(1)을 다진 상태에서 상부에 우레탄칩과 바인더를 혼합시킨 탄성층(2)을 시공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고가의 우레탄 소재를 혼합하여 탄성층을 형성함에 따라 시공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지반의 상부에 바로 시공함에 따라 지반약화에 따른 지각의 변동이나 침하에 따라 탄성층이 변위하여 파손 됨에 따라 수명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지반에 탄성층을 형성하도록 칩형태 로 형성된 우레탄칩을 우레탄을 부착시키는 바인더로 지반에 시공하는 것으로 바인더의 접착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감소되어 우레탄칩이 지속적으로 탈거함에 따라 수명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지반에 탄성층을 바인더를 부착하도록 시공함에 따라 지반과 탄성층과의 결착력이 약하여 들뜸 현상이 일어나 보수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지반에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기초층에 결착력을 강화한 상태로 폐타이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층을 시공함에 따라 자원을 재활용하고 결착력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불균일한 지면을 균일화 시키면서 지반을 강화시키는 다짐 작업하여 지반층을 형성하는 지반층 형성단계와, 상기 지반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지반층의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로 탄성층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결착홈이 구비되는 콘크리트 기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틀을 형성하는 틀형성단계와, 상기 틀형성단계에서 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된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의 결착홈을 구비하면 서 기초층을 형성시키는 기초층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기초층의 상부에 시공하도록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칩형태로 절단한 상태에서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시키는 탄성층 혼합단계와, 상기 탄성층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탄성층을 결착홈이 구비된 기초층의 상부에 타설하여 결착홈에 삽입되면서 탄성층이 형성되는 탄성층 형성단계와, 상기 탄성층 형성단계에서 결착홈에 혼합된 탄성층이 삽입된 상태로 형성된 탄성층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면서 결착력이 상승되면서 탄성층의 시공이 완성되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초층 형성단계는 기초층을 형성하는 틀의 상부측으로 망형태의 결착망을 형성하고, 결착망의 상부에 돌기형태의 결착돌기를 복수로 형성하여 기초층 타설 시에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한 상태로 형성하여 탄성층의 하부에 고정되어 결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분해사시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불균일한 지면을 균일화 시키면서 지반을 강화시키는 다짐 작업하여 지반층(10)을 형성하는 지반층 형성단계(S1)와, 상기 지반층 형성단계(S1)에서 형성된 지반층(10)의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로 탄성층(30)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결착홈(21)이 구비되는 콘크리트 기초층(20)을 형성하기 위해서 틀을 형성하는 틀형성단계(S2)와, 상기 틀형성단계(S2)에서 지반층(10)의 상부에 형성된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의 결착홈(21)을 구비하면서 기초층(20)을 형성시키는 기초층 형성단계(S3)와, 상기 기초층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기초층(20)의 상부에 시공하도록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칩형태로 절단한 상태에서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시키는 탄성층 혼합단계(S4)와, 상기 탄성층 혼합단계(S4)에서 혼합된 탄성층(30)을 결착홈(21)이 구비된 기초층(20)의 상부에 타설하여 결착홈(21)에 삽입되면서 탄성층(30)이 형성되는 탄성층 형성단계(S5)와, 상기 탄성층 형성단계(S5)에서 결착홈(21)에 혼합된 탄성층(30)이 삽입된 상태로 형성된 탄성층(30)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면서 결착력이 상승되면서 탄성층(30)의 시공이 완성되는 완성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기초층 형성단계(S3)는 기초층(20)을 형성하는 틀의 상부측으로 망형 태의 결착망(22)을 형성하고, 결착망(22)의 상부에 돌기형태의 결착돌기(23)를 복수로 형성하여 기초층(20) 타설 시에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한 상태로 형성하여 탄성층(30)의 하부에 고정되어 결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균일한 지면을 균일화 시키면서 지반을 강화시키는 다짐 작업하여 지반층(10)을 형성하는 지반층 형성단계(S1)에서 지반을 강화한 지반층(10)을 형성한다.
이렇게, 지반층 형성단계(S1)에서 형성된 지반층(10)의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로 탄성층(30)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결착홈(21)이 구비되는 콘크리트 기초층(20)을 형성하기 위해서 틀을 형성하는 틀형성단계(S2)에서 기초층(20)을 타설하기 위한 틀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틀형성단계(S2)에서 지반층(10)의 상부에 형성된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의 결착홈(21)을 구비하면서 기초층(20)을 형성시키는 기초층 형성단계(S3)에서 기초층(20)의 상부에 복수의 결착홈(21)을 구비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기초층 형성단계(S3)는 기초층(20)을 형성하는 틀의 상부측으로 망형태의 결착망(22)을 형성하고, 결착망(22)의 상부에 돌기형태의 결착돌기(23)를 복수로 형성하여 기초층(20) 타설 시에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한 상태로 형성하여 탄성층(30)의 하부에 고정되어 결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기초층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기초층(20)의 상부에 시공하도록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칩형태로 절단한 상태에서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시키는 탄성층 혼합단계(S4)에서 탄성재질의 폐타이어에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수지를 일정비율로 혼합시켜 기초층(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명을 증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층 혼합단계(S4)에서 혼합된 탄성층(30)을 결착홈(21)이 구비된 기초층(20)의 상부에 타설하여 결착홈(21)에 삽입되면서 탄성층(30)이 형성되는 탄성층 형성단계(S5)에서 탄성층(30)을 복수로 형성된 결착홈(21)의 내부로 삽입 형성되어 기초층(20)에 결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렇게, 탄성층 형성단계(S5)에서 결착홈(21)에 혼합된 탄성층(30)이 삽입된 상태로 형성된 탄성층(30)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면서 결착력이 상승되면서 탄성층(30)의 시공이 완성되는 완성단계(S6)에서 지반층(10)에 기초층(20)을 타설한 상태에서 결착력을 향상시키면서 탄성층(30)을 형성하여 시공을 마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지반에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기초층에 결착력을 강화한 상태로 폐타이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층을 시공함에 따라 자원을 재활용하고 결착력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지반을 균일화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를 타설한 기초층을 형성하고, 기초층의 상부에 탄성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지반을 기초층으로 강화함에 따라 탄성층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지반의 상부에 지반을 강화하도록 기초를 형성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기초층의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의 결착홈을 복수로 형성하여 상부에 탄성층이 결착홈에 삽입되면서 형성함에 따라 탄성층이 결착홈에 삽입되어 결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칩형태로 절단한 상태에서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탄성층을 형성함으로써, 폐타이어를 재생하여 사용함에 따라 자원을 절약하고 생산비를 절감시키고, 표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재료의 분리현상을 억제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은 기초층의 상부에 돌기형태의 결착돌기를 구비한 망형태의 결착망을 형성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층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박리현상을 최소화 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불균일한 지면을 균일화 시키면서 지반을 강화시키는 다짐 작업하여 지반층을 형성하는 지반층형성단계와,
    상기 지반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지반층의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로 탄성층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결착홈이 구비되는 콘크리트 기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틀을 형성하는 틀형성단계와,
    상기 틀형성단계에서 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된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에 복수의 홈형태의 결착홈을 구비한 기초층을 형성시키고, 기초층의 상부로 망형태의 결착망을 형성하면서, 결착망의 상부에 돌기형태의 결착돌기를 복수로 형성하여 기초층 상부에 고정되도록 형성한 기초층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기초층의 상부에 시공하도록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칩형태로 절단한 상태에서 규사와 폴리우레탄바인더 및 프라이머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시키는 탄성층혼합단계와,
    상기 탄성층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탄성층을 결착홈이 구비된 기초층의 상부에 타설하여 타설된 탄성층이 결착홈에 삽입되면서 결착망의 결착돌기에 고정되도록 탄성층을 형성하는 탄성층형성단계와,
    상기 탄성층형성단계에서 결착홈에 혼합된 탄성층이 삽입된 상태로 형성된 탄성층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면서 결착력이 상승되면서 탄성층의 시공이 완성되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2. 삭제
KR1020060081037A 2006-08-25 2006-08-25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KR100732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037A KR100732682B1 (ko) 2006-08-25 2006-08-25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037A KR100732682B1 (ko) 2006-08-25 2006-08-25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682B1 true KR100732682B1 (ko) 2007-06-27

Family

ID=3837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037A KR100732682B1 (ko) 2006-08-25 2006-08-25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31B1 (ko) 2009-03-03 2009-10-12 주식회사 젠트로 실외용 무기질 불연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501A (en) * 1987-07-23 1989-01-31 Razaa Kk Paving board and paving
JPH03110203A (ja) * 1989-09-21 1991-05-10 Hiroshima Kasei Ltd 路面舗装材
JPH07158004A (ja) * 1993-12-07 1995-06-20 Hayakawa Rubber Co Ltd 弾性路面舗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5075B1 (ko) * 1993-08-31 2001-09-17 가와모토 노부히코 윈도레귤레이터의장착구조및방법
KR20020090974A (ko) * 2002-10-29 2002-12-05 황익현 고탄성 도로 포장방법
KR20040052828A (ko) * 2004-05-07 2004-06-23 이주형 폐고무칩을 이용한 복층 구조의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전용 탄성포장재
KR20050046184A (ko) * 2003-11-13 2005-05-18 (주)지케이엠 고무칩을 이용한 로면 포장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501A (en) * 1987-07-23 1989-01-31 Razaa Kk Paving board and paving
JPH03110203A (ja) * 1989-09-21 1991-05-10 Hiroshima Kasei Ltd 路面舗装材
KR100295075B1 (ko) * 1993-08-31 2001-09-17 가와모토 노부히코 윈도레귤레이터의장착구조및방법
JPH07158004A (ja) * 1993-12-07 1995-06-20 Hayakawa Rubber Co Ltd 弾性路面舗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0974A (ko) * 2002-10-29 2002-12-05 황익현 고탄성 도로 포장방법
KR20050046184A (ko) * 2003-11-13 2005-05-18 (주)지케이엠 고무칩을 이용한 로면 포장시공방법
KR20040052828A (ko) * 2004-05-07 2004-06-23 이주형 폐고무칩을 이용한 복층 구조의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전용 탄성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31B1 (ko) 2009-03-03 2009-10-12 주식회사 젠트로 실외용 무기질 불연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020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 supports by means of concrete polymer
KR100732682B1 (ko) 탄성포장재 시공방법
KR20120060323A (ko) 투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KR100661915B1 (ko) 강한 내구성을 갖는 고무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0591668B1 (ko)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85404B1 (ko) 석재와 고무칩을 주 성분으로 하는 언더매트를 이용한 인조 잔디 시공 방법
KR100675872B1 (ko) 개량형 탄성포장체의 구조
KR20050007217A (ko) 발포성 고무칩을 이용한 탄성포장공법
KR100644386B1 (ko) 하단부 돌출형 고무블록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0271524Y1 (ko)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KR100795770B1 (ko)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US6200638B1 (en) Shock hardened flooring
KR101728364B1 (ko) 친환경 마감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764051B2 (ja) 弾性路面の舗装方法
KR100980772B1 (ko) 폐자재를 활용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2241450B1 (ko) 재활용소재를 이용한 보강형 탄성포장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JP2655387B2 (ja) 舗装用弾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606480B1 (ko) 탄성블록들을 이용한 탄성포장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따라 형성된 탄성포장 구조체
KR100874660B1 (ko) 탄성보도블럭
JP2000034702A (ja) 舗装ブロック
KR101485129B1 (ko) 탄성 포장재 및 그 탄성 포장재를 이용하는 탄성 포장공법
KR101279858B1 (ko) 투수매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KR100853304B1 (ko) 고무블록
KR20120010759A (ko) 탄성포장로 및 그 시공방법
KR200374096Y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