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472B1 -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472B1
KR100732472B1 KR1020050081405A KR20050081405A KR100732472B1 KR 100732472 B1 KR100732472 B1 KR 100732472B1 KR 1020050081405 A KR1020050081405 A KR 1020050081405A KR 20050081405 A KR20050081405 A KR 20050081405A KR 100732472 B1 KR100732472 B1 KR 10073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ft
guide member
display panel
pane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349A (ko
Inventor
박재홍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피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피온
Priority to KR102005008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4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8Sealing, e.g. seals specially adapted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01J2209/261Apparatus used for sealing vessels, e.g. furnaces, machin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두 개의 패널(양극, 음극)을 진공 기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에 관계없이 확실한 구동력을 갖는 제1리프트 및 제2리프트를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고온상에서 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함과 동시에 봉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생산성 및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측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트레이를 제1 리프트에 안착되도록 안내 이송하는 하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의 양측을 받침대로 받쳐주어 상부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와;
상기 승강된 트레이가 제2 리프트에 적층된 트레이와 일체화를 이루면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와;
상기 제2 리프트의 받침상태 해제 후 제1 리프트에 의해 승강되는 트레이의 양측을 파지한 후 상부로 승강하여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A sealing apparatus for display panel and sea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패널 봉착장치의 설치상태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 가이드부재에 트레이가 공급됨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 가이드부재에 안착된 트레이가 제2 리프트에 안착된 트레이에 일체화됨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2 리프트의 회전에 따른 트레이의 받침상태 해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 리프트의 상승에 따른 전체 트레이의 승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상부 가이드부재의 파지상태 및 제2 리프트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상부 가이드부재의 승강 및 제2 리프트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부 가이드부재로부터 트레이가 배출됨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가열부재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트레이 간의 분리상태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봉착방법이 적용된 봉착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봉착방법이 적용된 봉착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패널 봉착장치 10: 하부 가이드부재
20: 제1 리프트 30: 제2 리프트
40: 상부 가이드부재 50: 트레이
60: 가열부재 200: 패널봉착로
400: 진공가열, 배기로 500: 이동로
본 발명은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두 개의 패널(양극, 음극)을 진공 기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에 관계없이 확실한 구동력을 갖는 제1 리프트 및 제2 리프트를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고온상에서 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함과 동시에 봉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생산성 및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판(cathode) 패널과 양극판(anode)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주로 사용되는 전계방출형 디스프레이(Field Emission Display)는 음극판에서 방출된 전자가 양극판의 형광체에 조사(照射)되어 영상을 나타내는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FED는 게이트의 유무에 따라 2극형(diode) 표시 소자와, 3극형(triode) 표시 소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에미터의 재질에 따라 금속팁을 사용하는 것과 다이아몬드 박막 또는 다이아몬드 유사 탄소(Diamond Like Carbon)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자의 내부는 10E(-6)(Torr) 이하의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접합 유리(frit)를 용융시켜서 양 패널(panel) 사이를 진공으로 봉착(sealing)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소자는 전극으로 기능하는 두 패널 사이에 전기장을 인가할 때 플라즈마(Plasma)가 발생되고 플라즈마에 의한 UV(Ultra violet)선이 방출되어 형광체를 자극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소자를 말한다.
소자의 내부는 약 500Torr 정도의 플라즈마 발생 가스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접합 유리(frit)를 용융시켜서 양 패널(panel) 사이를 진공으로 봉착(sealing)하게 된다.
즉 상기한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FED)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 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공지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패널을 봉착하기 위하여 프릿이 도포된 일부분만을 가열하거나 패널 전체를 가열하면서 프릿이 용융되어 패널이 서
로 봉착되도록 하며, 순차적으로 가열배기 공정을 거친 후 마지막으로 배기튜브를 녹여 막는 팁오프(tip-off)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봉착하는 장치의 일 예로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등록결정된 『특허등록 제484298호 명칭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상기 선등록 발명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진공상태인 봉착부의 이송부재(체인)로 유입된 패널이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면서 가열부재를 통과하고, 상기 가열부재를 통과하면서 패널의 사이에 도포된 프릿이 용융되어 봉착되기 때문에 패널을 연속적으로 가열부재로 유입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패널을 배기와 봉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등록 발명은 상기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가 체인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열부재의 발열에 의한 고온상태가 지속될 경우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일부의 개선점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생산에 차질을 빚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 발명에서 요구되는 일부의 개선점을 완벽하게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변화에 관계 없이 확실한 구동력을 갖는 제1 리프트 및 제2 리프트를 승,하강 및 회전 구동하여 트레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의 수직 이송과 동시에 상, 하부 가이드부재를 따라 각각 트레이가 측방으로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인 강구에 의한 패널 봉착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작은 공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봉착공정과 진공,배기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봉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온상에서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종래의 체인 구동방식을 탈피하여 온도변화에 구애받지 않는 원활한 구동력을 갖는 다수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패널이 안착되는 트레이(50)를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함을 발명의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상기한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봉착로(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패널이 수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가열부재(60)를 통과하면서 프릿이 용융되어 봉착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에 있어서,
측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트레이(50)를 제1 리프트(20)로 안내 이송하는 하부 가이드부재(10)와, 상기 이송된 트레이(50)를 상부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20) 와, 상기 승강된 트레이(50)가 제2 리프트(30)에 적층된 트레이(50)와 일체화를 이루면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30)와, 상기 제2 리프트(30)의 받침상태 해제 후 제1 리프트(20)에 의해 승강되는 트레이(50)의 양측을 파지한 후 상부로 승강하여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4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하부 가이드부재(10)는 측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트레이(50)를 제1 리프트(20)에 안착되도록 안내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의 내측 하부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한 쌍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50)가 안착되는 안착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송의 원활함을 위한 이송롤러(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측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트레이(50)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0)를 타고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제1 리프트(20)의 받침대(21)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트레이(50)는 상부면 양측에 형성된 견인판(51)을 공지의 견인장치 또는 로봇팔 등과 같은 견인수단이 잡아 당김으로써 하부 가이드부재(10)로 원활하게 공급하며, 이러한 견인수단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인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0)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50)를 받침대(21)로 받쳐준 상태에서 상부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20)는 상기 트레이(50)의 사방을 안정된 상태로 받쳐주도록 4개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하부 가이드부재(10)의 외향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는 내향으로 향하도록 받침대(21)가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트레이(50)의 사방을 받쳐준 상태에서 수직 운동을 통해 트레이(50)를 승,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1)는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리프트(20)는 우선적으로 하부 가이드부재(10)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50)를 승강시켜 제2 리프트(30)에 적층된 트레이(50)의 저면에 밀착상태로 일체화 시키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제2 리프트(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리프트(30)의 받침상태가 해제된 후 일체화된 트레이(50) 전체를 승강시키는 2가지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한편, 제2 리프트(30)는 수직 운동은 물론 회전 운동을 병행하면서 선택적으로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리프트(20)의 내측에 트레이(50)의 사방을 안정되게 받쳐주도록 각각 4개소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받침대(31)가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리프트(30)는 평상시 받침대(31)를 이용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트레이(50)를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제1 리프트(20)에 의해 승강된 트레이(50)가 적층상태의 트레이(50)와 일체화를 이루면 도 4와 같이 받침대(31)가 내향으로 마주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상기 받침대(31)가 트레이(50)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되어 제1 리프트(20)의 가동에 의해 전체의 트레이(50)가 승강함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리프트(30)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1 리프트(20)의 수직 운동에도 불구하고 적층상태의 트레이(50)는 더 이상 상부로 승강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리프트(30)는 상기 제1 리프트(20)의 가동에 의해 전체의 트레이(50)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승강할 경우 하부 가이드부재(10)와 동일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강된 후 원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새로운 트레이(50)를 공급 받을 수 있는 초기화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초기화는 도 2 및 도 6과 같이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의 위치가 최초상태에서 서로 뒤바뀐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를 1싸이클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리프트(20)와 제2 리프트(30)의 역할은 서로를 대신하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1싸이클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공급되는 트레이(50)를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 가이드부재(40)는 상기 제1 리프트(20)에 의해 전체의 트레이(50)가 승강되면 최상단 트레이(50)의 양측을 파지한 후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부 가이드부재(40)는 트레이(50)의 양측에 내, 외향으로 이송 및 승, 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50)가 안착되는 안착면에는 트레이(5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한 이송롤러(41)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내향으로 동시에 이송하면서 트레이(50)의 양측을 파지하여 일정 높이만큼 승강한 후 상기 트레이(50)를 측방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레이(50)는 사각체의 형상으로 상부면에 패널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이송에 따른 패널의 손상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 하부 가이드부재(40)(10)를 따라 원활하게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송할 수 있도록 상, 하단부 양측에 각각 견인수단에 걸리는 견인판(51)이 돌출 형성되고 상, 하부면 사방에는 트레이(50)의 적층시 트레이(50) 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돌기(52) 및 끼움홈(53)이 형성되며, 상부 양단에는 제1 리프트(20), 제2 리프트(30), 상부 가이드부재(40)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돌기(54)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트레이(50)의 수직 이송과정에서 패널에 열을 가해 봉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열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재(60)는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와 상부 가이드부재(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트레이(50)의 외측 사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50)의 수직 이송시 트레이(50)에 열을 가함으로써 패널의 프릿이 용융되면서 봉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진공상태 또는 분위기 가스상태(질소, 에어 등)인 패널봉착로(200)의 내부에서 봉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타측의 진공가열, 배기로(400)에서 진공,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봉착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도 2와 같이 하부 가이드부재(10)를 따라 트레이(50)가 투입되면, 상기 트레이(50)는 제1 리프트(20)의 받침대(21) 상단에 양측이 안착된 상태를 이루고,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제1 리프트(20)의 승강에 따라 하부 가이드부재(10)에 안착된 트레이(50)는 상부로 이송하면서 제2 리프트(30)에 안착된 트레이(50)의 저면에 밀착되어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0)가 일체화 되면 제2 리프트(30)는 도 4와 같이 받침대(31)가 마주하도록 회전함으로써 트레이(5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트레이(5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함에도 전체의 트레이(50)는 제1 리프트(2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하부로 낙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상기 제2 리프트(30)의 회전으로 인한 트레이(50)의 상, 하 이송에 따른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리프트(20)가 승강하면서 적층상태의 트레이(50) 전체를 도 5와 같이 승강시키고 이때 최상단 트레이(50)는 상부 가이드부재(4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40)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내향으로 수평 이송하면서 최상단 트레이(50)의 양측을 파지한 후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승강한다.
이때 상기 제2 리프트(30)는 하강한 후 받침대(31)가 원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는 서로 위치가 뒤바뀐 상태로 1싸이클을 완료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40)의 승강으로 인해 최상단의 트레이(50)는 적층된 트레이(50)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며, 이때 별도의 견인수단에 의해 상기 트레이 (50)는 측방으로 견인되어 상부 가이드부재(40)를 따라 측방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트레이(50)가 배출될 때 마다 새로운 트레이(50)가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의 승, 하강 및 회전 운동에 따라 트레이(50)는 연속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가열부재(60)를 통과하면서 봉착이 이루어지며, 이때 종래의 체인 방식에 비해 보다 원활하고 일률적인 구동력을 부여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패널 봉착장치(1)를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봉착공정과 배기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패널 봉착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이 양측에 개폐도어(110)가 설치된 유입구(100)의 일측에 패널봉착로(200)가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입설되고, 상기 유입구(100)의 타측에는 양측에 개폐도어(110)가 설치된 배출구(300)의 일측에 진공가열, 배기로(400)가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입설되며, 상기 패널봉착로(200) 및 진공가열, 배기로(400)는 양측에 개폐도어(110)가 설치된 이동로(500)를 매개로 상호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봉착로(200) 및 진공가열, 배기로(400)에는 각각 패널 봉착장치(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널봉착로(200)에는 가열부재(60)가 구비되어 패널의 봉착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진공가열, 배기로(400)에도 가열부재(60)가 구비됨에 따라 트레이(50)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가열배기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봉착방법은 유입구(100)로 유입된 패널이 안착되는 트레이(50)를 하부 가이드부재(10)를 통해 패널봉착로(200)의 제1 리프트(20)에 안착시키는 공급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50)를 승, 하강시키는 제1 리프트(20) 및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30)의 작동에 따라 트레이(5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봉착시키는 봉착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착된 트레이(50)를 파지하여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40)의 작동에 따라 이동로(500)를 경유하여 트레이(50)를 진공가열, 배기로(400)로 유도하는 유도과정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진공가열, 배기로(400)로 유도된 트레이(50)를 승, 하강시키는 제1 리프트(20) 및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30)의 작동에 따라 트레이(5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가열배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배기된 트레이(50)를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배기과정을 거친 트레이(50)는 패널의 조건(사용시 요구 진공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배기구(hole)를 프릿이 도포된 캡글라스(cap-glass)로 막는 캡핑(capping)처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캡핑처리는 진공가열, 배기로(400)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배출구(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작업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봉착로(200)를 통과하는 트레이(50)는 진공가열, 배기로(400)를 통과하는 트레이(50)와 상호 반대 방향의 이송경로를 갖도록 이송한다.
즉 어느 한 쪽의 트레이(50)가 승강하면 다른 한 쪽의 트레이(50)는 하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봉착방법에 의하면 봉착 및 배기공정이 수직라인을 형성하여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을 최소화하며, 상기한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봉착방법을 이용 하여 봉착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패널이 안착되는 트레이(50)를 유입구(100)를 통해 패널봉착로(200)로 안내하는 공급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된 트레이(50)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봉착시키는 봉착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봉착된 트레이(50)를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패널을 봉착하기 위한 목적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봉착방법을 이용하여 봉착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즉 패널이 안착되는 트레이(50)를 유입구(100)를 통해 진공가열, 배기로(400)로 안내 공급하는 공급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된 트레이(50)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봉착 및 가열배기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봉착 및 가열배기된 트레이(50)를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열배기과정을 거친 트레이(50)는 최종적으로 배기구(hole)를 프릿이 도포된 캡글라스(cap-glass)로 막는 캡핑(capping)처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캡핑처리는 진공가열, 배기로(400)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배출구(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가열, 배기로(400)에서 패널의 봉착 및 가열배기, 캡핑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온도변화에 구애받지 않는 확실한 구동력을 갖는 제1, 제2 리프트의 선택적인 승, 하강 및 회전 구동에 따라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봉착됨과 동시에 진공, 배기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열부재에 의한 고온상에도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생산성 및 작업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트레이의 수직 이송과 동시에 상, 하부 가이드부재에 의해 각각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직방향으로 이송함에 따라 봉착장치의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을 줄여 생산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패널봉착로(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패널이 수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가열부재(60)를 통과하면서 프릿이 용융되어 봉착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에 있어서,
    측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트레이(50)를 제1 리프트(20)에 안착되도록 안내 이송하는 하부 가이드부재(10)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0)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50)의 양측을 받침대(21)로 받쳐주어 상부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20)와;
    상기 승강된 트레이(50)가 제2 리프트(30)에 적층된 트레이(50)와 일체화를 이루면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30)와;
    상기 제2 리프트(30)의 받침상태 해제 후 제1 리프트(20)에 의해 승강되는 트레이(50)의 양측을 파지한 후 상부로 승강하여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40)와;
    상기 제1, 제2 리프트(20)(30)와 상부 가이드부재(40)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트레이(50)의 외측 사방을 감싸도록 설치된 가열부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가이드부재(10)는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의 내측 하부에 고정상태로 설치되고, 측방에서 공급되는 트레이(50)를 제1 리프트(20)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리프트(20)는 상부에 형성된 받침대(21)를 이용하여 하부 가이드부재(10)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50)를 승강시켜 제2 리프트(30)에 적층된 트레이(50)의 저면에 밀착상태로 일체화 시키는 한편, 상기 제2 리프트(30)의 받침상태 해제 후 일체화된 트레이(50) 전체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2 리프트(30)는 상부에 형성된 받침대(31)를 이용하여 적층상태의 트레이(50)를 받쳐주며, 제1 리프트(20)에 의해 승강된 트레이(50)가 일체화를 이루면 상기 전체의 트레이(50)가 승강함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한편, 상기 제1 리프트(20)에 의한 전체 트레이(50)의 승강시 다른 트레이(50)를 공급받도록 하강한 후 원상태로 회전되어 초기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초기화를 이루는 제2 리프트(30) 및 제1 리프트(20)는 최초상태에서 서로 위치가 뒤바뀐 상태를 1싸이클로 하는 동시에 각자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변경되는 한편, 상기 1싸이클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트레이(50)를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부재(40)는 트레이(50)의 양측에 내, 외향으로 이송 및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최상단 트레이(50)의 양측을 파지하여 일정 높이만큼 승강한 후 상기 트레이(50)를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이(50)는 상, 하부 가이드부재(40)(10)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 견인되도록 상, 하단부 양측에 각각 견인판(51)이 설치되고 상, 하부면의 사방에는 트레이(50)의 적층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52) 및 끼움홈(53)이 형성되며, 상부 양단에는 제1 리프트(20) 및 제2 리프트(30), 상부 가이드부재(40)에 안착되는 안착돌기(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8. 유입구(100)로 유입된 패널이 안착되는 트레이(50)를 하부 가이드부재(10)를 통해 패널봉착로(200)의 제1 리프트(20)에 안착시키는 공급과정과;
    상기 트레이(50)를 승, 하강시키는 제1 리프트(20) 및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30)의 작동에 따라 트레이(5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봉착시키는 봉착과정과;
    상기 봉착된 트레이(50)를 파지하여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40)의 작동에 따라 이동로(500)를 경유하여 트레이(50)를 진공가열, 배기로(400)로 유도하는 유도과정과;
    상기 진공가열, 배기로(400)로 유도된 트레이(50)를 승, 하강시키는 제1 리프트(20) 및 트레이(50)의 받침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제2 리프트(30)의 작동에 따라 트레이(5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가열배기하는 과정과;
    상기 가열배기된 트레이(50)를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패널봉착로(200)를 통과하는 트레이(50)와 진공가열, 배기로(400)를 통과하는 트레이(50)는 상호 반대 방향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가열배기 과정을 거친 트레이(50)는 진공가열, 배기로(400)에서 캡핑(capping)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가열배기 과정을 거친 트레이(50)는 배출구(300)에서 캡핑(capping)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50081405A 2005-09-01 2005-09-01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KR10073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405A KR100732472B1 (ko) 2005-09-01 2005-09-01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405A KR100732472B1 (ko) 2005-09-01 2005-09-01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349A KR20070025349A (ko) 2007-03-08
KR100732472B1 true KR100732472B1 (ko) 2007-06-27

Family

ID=3809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405A KR100732472B1 (ko) 2005-09-01 2005-09-01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4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364A (ja) * 1992-01-23 1993-08-10 Denkoo:Kk 連続処理装置
JPH10281651A (ja) * 1997-04-07 1998-10-23 Fuji Oozx Inc 焼結炉内ワークの加熱装置
JPH11121910A (ja) * 1997-10-20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用樹脂の熱硬化装置および熱硬化方法
KR19990053755A (ko) * 1997-12-24 1999-07-1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00019581A (ko) * 1998-09-14 2000-04-15 구자홍 Pdp제조방법과 pdp의 가스주입 및 배기계
JP2000234866A (ja) * 1999-02-17 2000-08-29 Koyo Thermo System Kk 熱処理装置
KR20040064755A (ko) * 2003-01-10 2004-07-21 주식회사 에피온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364A (ja) * 1992-01-23 1993-08-10 Denkoo:Kk 連続処理装置
JPH10281651A (ja) * 1997-04-07 1998-10-23 Fuji Oozx Inc 焼結炉内ワークの加熱装置
JPH11121910A (ja) * 1997-10-20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用樹脂の熱硬化装置および熱硬化方法
KR19990053755A (ko) * 1997-12-24 1999-07-1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00019581A (ko) * 1998-09-14 2000-04-15 구자홍 Pdp제조방법과 pdp의 가스주입 및 배기계
JP2000234866A (ja) * 1999-02-17 2000-08-29 Koyo Thermo System Kk 熱処理装置
KR20040064755A (ko) * 2003-01-10 2004-07-21 주식회사 에피온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349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142B1 (ko) 로드 로크 장치 및 기판 처리 시스템
CN100514550C (zh) 真空处理室的盖体开闭机构以及盖体开闭方法
KR20140104112A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KR10073247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및 봉착방법
JP2006093084A (ja) 平板型蛍光ランプのランプ上板成形システム
JP2011017040A (ja) セル式減圧浸炭炉
US20220056581A1 (en) Vapor deposition device
KR200402377Y1 (ko) 냉음극형광램프제조장치의 베이킹기
KR101688842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651164B1 (ko) 기판처리시스템, 그에 사용되는 기판처리시스템의 공정모듈
KR102389972B1 (ko) 기판 처리 장치
US20220064790A1 (en) Vapor deposition device
KR10048429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장치
KR101856112B1 (ko) 공정챔버 및 기판처리장치
JP2004107006A (ja) 基板の搬送装置
KR100687605B1 (ko) 냉음극형광램프 제조용 실 컷팅장치
JP2002093715A (ja) 半導体製造装置
KR101831312B1 (ko) 기판처리시스템 및 기판처리방법
JP3366870B2 (ja) フリットシール装置、移載装置及びフリットシール方法
US20230009579A1 (en) Vapor deposition device and vapor deposition method
KR100934762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285681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KR100479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의 소성장치
WO2014103677A1 (ja) 薄膜の成膜装置
KR101554463B1 (ko) 진공 완충 챔버가 구비된 선형 증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