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451B1 -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451B1
KR100732451B1 KR1020010045606A KR20010045606A KR100732451B1 KR 100732451 B1 KR100732451 B1 KR 100732451B1 KR 1020010045606 A KR1020010045606 A KR 1020010045606A KR 20010045606 A KR20010045606 A KR 20010045606A KR 100732451 B1 KR100732451 B1 KR 10073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duct
strip
roll
pressing
anneal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932A (ko
Inventor
박석달
권진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4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3Rolls; Drums; Roll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턴덕트의 아웃렛측으로 빠져 나가는 스트립이 리턴덕트의 내벽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턱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장치는, 광휘 소둔로의 리턴덕트 내벽과 형상 불량 스트립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리턴덕트에 설치되는 장치에서, 리턴덕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롤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누름롤이 전후진하면서 스트립의 타측면을 지지롤과 함께 누르고, 리턴덕트에 설치된 쏠림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지부 사이로 누름롤을 전후진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 소둔로, 접촉 방지, 지지롤, 누름롤, 쏠림 조정수단

Description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 TOUCH BETWEEN STRIP AND INSIDE WALL OF RETURN DUCT IN OUTLET OF BRIGHTNESS ANNEALING FURN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지장치가 설치된 광휘 소둔로를 개략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쏠림 조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부 15 : 지지롤
20 : 이동부 30 : 누름부
31 : 베이스 플레이트 32 : 누름롤
33 : 쏠림 조정수단 34 : 베어링
35 :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 36 : 구동모터
37 : 기어 조립체 38 : 감지수단
44 : 수광기 45 : 발광기
46 : 콘트롤 패널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의 열처리를 위한 광휘 소둔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광휘 소둔로 중에서 수직 소둔로의 아웃렛측에 설치되는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휘소둔은 냉간 압연된 스트립을 소재로 강 표면에 산화탈탄을 막고 금속적 광택을 잃지 않도록 환원성이나 비산화성 가스의 기류 내에서 소둔을 행하는 것으로, 소둔 후에 그대로 냉각하면 표면의 광택은 상실되지 않고 처음 그대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광휘소둔은 열처리 중에 발생되는 산화와 광택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분위기 가스인 수소를 사용하게 되는 데, 수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광휘소둔로는 입측과 출측이 밀폐되어 있는 진공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휘소둔로의 입측으로 진입된 스트립은 노의 본체 상부에 설치된 냉각대를 거쳐 수직으로 설치된 리턴덕트 내부를 통하여 밑으로 빠져 나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리턴덕트의 가로폭이 좁기 때문에, 형상(C형 반곡)이 곧지 못하거나 좌우측 어느 한쪽으로 쏠린 상태의 스트립이 리턴덕트의 아웃렛측으로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리턴덕트에 터치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쏠림의 원인을 스트립 형상의 불량으로 판단하고 스트립의 진행속도를 줄인 후, 아웃렛 리턴덕트 하부의 스트립 센터링장치에서 수동운전하여 스트립의 정상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수동운전이외에는 스트립 쏠림 현상을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응급조치로 냉각팬의 풍량을 조절하여 냉각대에서의 스트립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스트립의 장력을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응급조치는 스트립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스트립의 장력 가감속으로 인하여 설비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스크립의 장력 가감속시 스트립이 리턴덕트의 내벽에 터치되어 파단 또는 제품손상이 증가함으로써 스크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턴덕트의 아웃렛측으로 빠져 나가는 스트립이 리턴덕트의 내벽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장치는, 광휘 소둔로의 리턴덕트 내벽과 형상 불량 스트립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리턴덕트에 설치되는 장치에서, 리턴덕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롤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누름롤이 전후진하면서 스트립의 타측면을 지지롤과 함께 누르고, 리턴덕트에 설치된 쏠림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지부 사이로 누름롤을 전후진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지장치가 설치된 광휘 소둔로를 개략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쏠림 조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터치 방지장치는 리턴덕트(1)에 설치되어 스트립(S)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는 복수의 지지부(10)와, 리턴덕트(1)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누름부를 스트립(S)의 타측을 밀게 되는 이동부(20)와, 복수의 지지부 사이로 누름롤을 밀게 되는 누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리턴덕트(1)의 일측면에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1)를 설치하고, 일측의 지지플레이트(11)에 감속기(12a)가 설치된 회전모터(12)를 장착하며, 회전모터(12)의 회전축은 지지축(13)으로 상호 축 연결되고, 지지축(13)의 양끝부분에는 피니언 기어(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랙로드(14)의 끝단에는 리턴덕트(1)의 내부에 위치한 지지롤(1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랙로드(14)의 중간에 삽입되는 가이드관(16)은 리턴덕트(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부(10)의 대향되는 위치인 리턴덕트의 타측면에는 이동부(20)가 설치된다.
즉, 리턴덕트(1)의 타측면에 복수의 장착대(21)를 설치하고, 일측의 장착대(21)에 감속기(22a)가 설치된 이동모터(22)를 장착하며, 이동모터(22)의 회전축은 연결축(23)으로 상호 축 연결되고, 연결축(23)의 양끝부분에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랙로드(24)는 리턴덕트(1)에 설치된 가이드관(25)을 관통하고 랙로드(24)의 끝단에는 누름부(30)가 설치된다.
누름부(30)는 랙로드(24)의 끝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를 구비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일측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의 후측에는 누름롤(32)의 일측이 힌지 고정되고 전측에는 누름롤(32)의 타측이 쏠림 조정수단(33)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힌지 고정되고 쏠림 조정수단(33)으로 고정되는 누름롤(32)의 양측에는 베어링(34)이 설치되어서 누름롤(32)의 회전을 가능케 한다.
베어링(34)에는 로드셀(34a)이 접촉되어 후술하는 쏠림 조정수단에 의해 누름압이 발생될 때 압력을 감지하여 콘트롤 패널(46)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술한 쏠림 조정수단(33)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됨과 동시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는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35)와,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35)의 타측에 장착되고 감속기(36a)가 설치된 구동모터(36)와, 구동모터(36)의 회전축과 연결됨과 동시에 누름롤(32)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고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35)에 설치되는 기어 조립체(37)와, 감지수단(3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모터(36)의 회전으로 구름롤(32)의 전측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기어 조립체(37)의 내부에 구동모터(36)의 회전축과 연결된 워엄기어를 설치하고, 워엄기어와 치합되는 웜 휠의 중심에 스크루축(39)을 치합 관통시키며, 스크루축(39)의 끝단을 상술한 누름롤(32)의 베어링(34)에 힌지 결합한다.
감지수단(39)은 누름롤(32)의 전후측 이동시 이동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35)에 가이드바(40)를 설치하고, 가이드바(40)에 복수의 감지센서(41)(42)를 설치하며, 복수의 감지센서(41)(42)에 대응되는 감지바(43)를 스크루축(39)에 설치한다.
한편, 리턴덕트(1)의 내부에는 스트립(S)의 좌우측 쏠림과 리턴덕트(1)의 내벽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수광기(44)와 발광기(45)가 설치된다.
좌우측 쏠림을 감지하는 수광기(44)와 발광기(45)는 리턴덕트(1)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리턴덕트(1)의 내벽 터치를 감지하는 수광기(44)와 발광기(45)는 리턴덕트(1)의 일측 내측면에 복수의 수광기(44)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발광기(45)를 타측 내측면에 설치한다.
수광기들(44)은 콘트롤 패널(46)로 연결되어 콘트롤 패널(46)이 구동모터(36)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감지수단(38)의 감지센서들(41)(42)도 콘트롤 패널(46)과 연결되어 스트립(S)의 좌우측 쏠림 정도에 따라 누름롤(32)의 전진과 후퇴를 감지하게 된다.
아울러 콘트롤 패널(46)은 이동모터(22) 및 회전모터(12)와도 연결되어 지지롤(15)과 누름부(30)의 전후진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는 스트립(S)의 형상 불량으로 인하여 스트립(S)이 리턴덕트(1)의 내벽에 터치될 경우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스트립(S)이 리턴덕트(1)의 내벽에 터치될 때를 살펴보면, 리턴덕트(1)의 타측 내측면에 설치된 발광기(45)와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수광기(44)가 스트립(S)의 터치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모터(12)와 이동모터(22)가 작동하여 각각의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롤(15)과 누름부(30)가 리턴덕트(1)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트립(S)의 양측면에서 누름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누름압은 로드셀(34a)에 의해 감지되고 적정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감지된 누름압은 콘트롤 패널(46)로 입력되고, 콘트롤 패널(46)은 구동모터(36)와 이동모터(22)의 작동 유무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롤(32)의 양측을 기준으로 터치되는 쪽의 반대쪽에서 지지롤(15)과 누름롤(32)에 의한 스트립(S)의 누름작용이 강하게 되어야 변형된 스트립(S)의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모터(36)가 작동되고 감속기(36a)와 기어조립체(37)를 거치면서 속도가 감속된 구동력은 누름롤(32)의 타측을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된다.
이때 전후진 정도는 감지센서(41)(42)가 감지바(43)를 감지함으로써 가능하고, 감지된 신호는 콘트롤 패널(46)로 입력되어 다시 구동모터(3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쏠림 조정수단(33)과 복수의 수광기(44) 및 발광기(45)는 스트립(S)의 폭 방향 쏠림을 조정하게 된다.
즉, 스트립(S)이 누름롤(32)의 타측으로 쏠리게 되면 타측의 발광기(45)와 수광기(44)는 쏠림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는 콘트롤 패널(46)로 입력되며, 콘트롤 패널(46)은 구동모터(36)를 작동하여 누름롤(32)의 타측이 전진되도록 한다.
또한, 스트립(S)이 누름롤(32)의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일측의 발광기(44)와 타측의 수광기(45)는 일측으로의 쏠림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는 콘트롤 패널(46)로 입력되며, 콘트롤 패널(46)은 구동모터(36)를 역으로 작동하여 누름롤(32)의 타측이 후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리턴덕트(1)의 아웃렛 측에서 스트립(S)의 터치 및 폭방향 쏠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 불량 스트립을 지지롤과 쏠림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교정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쏠림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폭 방향 쏠림을 방지하여 아웃렛 리턴덕트 내벽과 스트립 터치로 인한 스트립 파단 및 제품 손상을 예방하게 된다.
따라서, 아웃렛 리턴덕트 상에서도 형상 교정이 가능하고, 센터링도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3)

  1. 광휘 소둔로의 리턴덕트 내벽과 형상 불량 스트립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리턴덕트에 설치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턴덕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롤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립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누름롤이 전후진하면서 상기 스트립의 타측면을 상기 지지롤과 함께 누르고, 상기 리턴덕트에 설치된 쏠림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지부 사이로 상기 누름롤을 전후진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를 전후진 시키기 위해서, 상기 리턴덕트의 타측면에 이동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랙로드를 상기 리턴덕트를 관통한 후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쏠림 조정수단은,
    상기 랙로드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됨과 동시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는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됨과 동시에 누름롤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기어 조립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 방지장치.
KR1020010045606A 2001-07-27 2001-07-27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KR10073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606A KR100732451B1 (ko) 2001-07-27 2001-07-27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606A KR100732451B1 (ko) 2001-07-27 2001-07-27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932A KR20030010932A (ko) 2003-02-06
KR100732451B1 true KR100732451B1 (ko) 2007-06-27

Family

ID=2771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606A KR100732451B1 (ko) 2001-07-27 2001-07-27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34B1 (ko) * 2016-12-20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69B1 (ko) * 2002-07-11 2009-10-27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소둔로의 스트립 쏠림 교정장치
KR20180071562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덕트 내벽과 스트립 간 터치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138A (ja) * 1984-12-26 1986-11-22 Kawasaki Steel Corp 鋼帯の連続焼鈍方法
JPH0250920A (ja) * 1988-08-15 1990-02-20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におけるストリップ冷却装置
JPH09249921A (ja) * 1996-03-14 1997-09-22 Kawasaki Steel Corp 光輝焼鈍炉用サポートロール装置
KR20000004779U (ko) * 1998-08-14 2000-03-15 이구택 수직 소둔로 리턴덕트의 스트립변형 방지장치
KR200186051Y1 (ko) * 1999-12-24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KR20030006835A (ko) * 2001-07-16 2003-01-23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내 진입 스트립 포지션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138A (ja) * 1984-12-26 1986-11-22 Kawasaki Steel Corp 鋼帯の連続焼鈍方法
JPH0250920A (ja) * 1988-08-15 1990-02-20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におけるストリップ冷却装置
JPH09249921A (ja) * 1996-03-14 1997-09-22 Kawasaki Steel Corp 光輝焼鈍炉用サポートロール装置
KR20000004779U (ko) * 1998-08-14 2000-03-15 이구택 수직 소둔로 리턴덕트의 스트립변형 방지장치
KR200186051Y1 (ko) * 1999-12-24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KR20030006835A (ko) * 2001-07-16 2003-01-23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내 진입 스트립 포지션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34B1 (ko) * 2016-12-20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932A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451B1 (ko) 광휘 소둔로의 아웃렛측 리턴덕트의 내벽과 스트립의 터치방지장치
KR100989730B1 (ko) 열연강판의 이송 가이드장치
KR100923469B1 (ko) 수직소둔로의 스트립 쏠림 교정장치
KR200201122Y1 (ko) 광휘소둔로의 댄스롤 상하 유동장치
KR100803972B1 (ko)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0502850B1 (ko) 소둔로의 절단 스트립 복구장치
KR100515614B1 (ko) 광휘소둔로의 스티어링롤 청소장치
KR20110070315A (ko) 롤 구동 감지 방법 및 롤 구동 감지 장치
KR102020508B1 (ko) 수직 소둔로 스트립 교정장치
KR20010065349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스트립 교정장치
KR100990720B1 (ko) 냉연 루퍼의 스트립 사행 감지/교정장치
KR100544670B1 (ko) 소둔로내 진입 스트립 포지션 교정장치
JP3451511B2 (ja) 圧延機の案内装置
KR100515518B1 (ko) 광휘소둔로의 스트립 형상 교정장치
JPH10113719A (ja) 板材のレベリング装置
KR100761718B1 (ko) 수직소둔로 상부롤 오염 제거장치
KR100894040B1 (ko) 수직 소둔로의 롤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CN216373728U (zh) 一种复合材料滑板板面砂纸滚动压合装置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19990023051U (ko) 강판사행 조정장치
KR200215193Y1 (ko) 강판의 흔들림 방지 및 비상 정지장치
KR20140074011A (ko) 스트립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가이드방법
KR20030014506A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정렬장치
JP2545672B2 (ja) 形鋼の圧延用ガイド装置
JP2565833Y2 (ja) 連続鋳造機のz形鋳片引抜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