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570B1 -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접촉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접촉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70B1
KR100731570B1 KR1020000079469A KR20000079469A KR100731570B1 KR 100731570 B1 KR100731570 B1 KR 100731570B1 KR 1020000079469 A KR1020000079469 A KR 1020000079469A KR 20000079469 A KR20000079469 A KR 20000079469A KR 100731570 B1 KR100731570 B1 KR 10073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ntact
synthetic fiber
fibers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570A (ko
Inventor
데안겔리스클라우디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6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electric vari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5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elements for indicating or detecting the rope or cable st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절연성 합성섬유와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 (9) 로 만들어진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 (6) 의 단부에서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통전가능하게 열결하는 접촉요소 (18) 를 구비하는 접촉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정수단 (20, 22) 에 의해 접촉요소 (18) 및 인디케이터 섬유 (9) 는 서로에 대해 위치고정된다. 본 장치는 저렴하고 신뢰성있는 접촉연결을 이룬다.

Description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접촉연결 방법 및 장치 {Contact-Connecting Safety-Monitored Synthetic Fiber Ropes}
도 1 은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용 접촉연결 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용 접촉연결 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용 접촉연결 장치에 대한 제 3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용 접촉연결 장치에 대한 제 4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안전모니터되는 트윈 로프용 접촉연결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전기전도성 접착제층 형태로 된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용 접촉연결장치에 대한 제 5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합성섬유 로프 7 : 트윈 로프
8 : 공통 로프 외장 9 : 인디케이터 섬유
10 : 스트랜드
13, 18, 38, 41, 44, 52 : 접촉요소
15, 20, 22, 23, 24, 25, 30, 31 : 고정수단
40 : 단락 칼라 42 : 셀프-탭핑 나사
52 : 접착제층 53 : 탄성 슬리브
본 발명은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를 접촉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 자체를 접촉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정지 로프 및 이동 로프로서의 합성섬유 로프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느 목적에 사용되든 이러한 로프는 큰 하중을 받게 된다. 이동 로프의 경우, 인장하중은 굽힘 하중에 의해 보충되는데, 이 굽힘하중은 로프가 작용하는 하중 범위의 수로 인해 로프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합성섬유 로프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작업상 위험한 합성섬유 로프의 마모 상태, 이른바 교체준비를 검출하기 위해, 로프의 안전상태를 모니터하게 된다.
합성섬유 로프의 안전에 대한 이러한 모니터링은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0,731,209 B1 호에 소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에서는 전기절연성 합성섬유 및 이 절연 섬유에 비해 약한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로 이루어진 서스펜션 로프가 사용되고 있다. 인디케이터 섬유는 합성섬유와 함께 다발지어져 스트랜드를이루게 된다. 인디케이터 섬유의 스냅핑(snapping)을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그 인디케이터 섬유에 전압이 가해진다. 서스펜션 로프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이러한 방법은 작업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서스펜션 로프의 단부에서 로프 외장(sheath) 을 벗겨내야 하고 인디케이터 섬유를 노출시켜야 한다. 인디케이터 섬유들은 개별 연결요소에 의해 쌍으로 함께 결합된 합성섬유 로프의 일단에 있는자유 인디케이터 섬유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각 합성섬유 로프를 구성하는 많은 수의 인디케이터 섬유 때문에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를 접촉연결할 수 있는 저렴하고 신뢰성이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방법 및 이의 실행에 사용되는 작업물은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종래의 표준과도 양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에 따른 본 발명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유럽특허 제 0,731,209 호에 소개된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구성을 위한 방법을 단순화한 것이다. 로프 단부의 스트랜드의 비피복 개별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를 놓고, 다음에 다수의 연결 소켓을 사용하여 로프 단부의 비피복 인디케이터 섬유 쌍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절연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인디케이터 섬유를 묶는 대신에,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들을 통전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접촉연결 장치가 로프 단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 를 참고로 상술한다.
도 1 - 6 에는, 도 1 내지 4 그리고 도 6 에 도시된 트위스트형 스트랜드 로프 (6)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회전형 공통 로프 외장 (8) 안에서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꼬임 방향이 반대인 두개의 스트랜드 로프 (6) 를 구비하는 소위 트윈 로프 (7) 를 위한,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용 접촉연결 장치 (1, 2, 3, 4, 5, 51) 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합성섬유 로프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서스펜션 로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해한 전문가라면 상기 합성섬유 로프를 다른 용도, 예컨대 재료취급 플랜트, 항공용 케이블웨이 등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스트랜드 로프 (6) 및 트윈 로프 (7) 는 전기절연성 합성섬유와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 (9) 로 구성된다. 합성섬유는 예컨대 아라미드 섬유이며, 인디케이터 섬유는 탄소섬유이다. 각 경우, 많은 양의 합성섬유와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섬유 (9) 가 결합되어 스트랜드 (10) 를 이루게 된다. 예컨대, 스트랜드가 만들어질 때 합성섬유 및 인디케이터 섬유 (9) 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 그리고/또는 서로 꼬이게 된다. 예컨대, 인디케이터 섬유 (9) 는 스트랜드 (10) 의 증앙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덮개 외장 (covering sheath)를 따라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후자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4 및 도 6 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인디케이터 섬유 (9) 는 스트랜드 (10) 와 분리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낸 트윈 로프 (7) 에 대한 실시예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스트랜드 (10) 는 중심 코어 또는 코어 스트랜드 (11) 를 중심으로 해서 층으로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함께 놓인다. 도 1 내지 5 에 도시된 로프 외장 (8, 12) 은 보호를 위해 스트랜드 로프 (6) 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해한 전문가라면 다른 구성으로 다른 합성섬유 및/또는 다른 인디케이터 섬유로 합성섬유 로프를 만들 수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스냅핑(snapping)을 전기 측정하기 위해 이 인디케이터 섬유 (9) 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프의 일단에서 인디케이터 섬유 (9) 들은 뒤에서 상술할 접촉연결 장치 (1, 2, 3, 4, 5, 51) 에 의해 직렬 또는 단락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인디케이터 섬유 (9), 특히 각 인디케이터 회로는 저항을 갖고, 이 저항을 통해 로프의 비단락 단부에 전압이 가해지게 되며, 예컨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섬유 (9) 또는 인디케이터 섬유 회로에 전압이 가해진다. 나머지 인디케이터 섬유들은 차례대로 또는 영구적으로 예컨대 EP-0,731,209 호에 개시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전도도 또는 저항의 크기에 대한 테스트를 받게 된다. 인디케이터 섬유 (9) 또는 인디케이터 섬유 회로가 스냅되면, 이에 가해진 전압은 브레이크 다운되고 검출되어 모니터에 전달된다. 스냅된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갯수가 특정 수치를 초과하면, 모니터는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 인디케이터 섬유 (9) 가 전류 공급을 못하게 되면, 다른 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 (9) 들 중 하나가 자동적으로 전류공급 기능을 맡게 된다. 본 발명을 이해한 전문가라면 예컨대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와 같이 다른 인디케이터 섬유 회로에 인디케이터 섬유를 구현할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랜드 로프 (6) 의 일단에 전압이 가해지고 거기서 측정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합성섬유 로프 (6) 의 타단에 있는 접촉연결 장치 (1, 2, 3, 4, 5, 51) 는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들 간에 전기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게 된다. 접촉연결 장치 (1, 2, 3, 4, 5) 는 전기절연성 재료 또는 전기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기접촉될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단부에 접촉연결 장치가 위치하는 부위에서 그 접촉연결 장치는 전기전도성을 띠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접촉연결장치 (51) 의 특성은 도 6 을 참고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그의 재료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을 이해한 전문가라면 접촉연결 장치를 다른 방법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접촉연결 장치에 대한 상기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핵심 사항은, 서로에 규칙적으로 할당되고 서로 접촉연결되어 있는 것은 개별 인디케이터 섬유가 아니고, 가능한 많은 수의 인디케이터 섬유들이 단일 접촉연결 장치의 전기도전부와 접촉하게 되며 또 모두 똑같이 단락되어 있다는 것이다. 형성된 연결부가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되기 전에, 이에 대해 먼저 측정이 행해지고 그 결과로부터 안전모니터된 로프의 기준 상태가 정해지게 된다. 예컨대, 전기공급 인디케이터 섬유가 임의로 선택되면, 다른 인디케이터 섬유의 전도성이 결정되는데, 즉 어느 인디케이터 섬유가 상기 전기공급 섬유에 연결되어 있는가에 대한 테스트가 행해지게 된다. 기준측정의 결과는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로프 모니터링에 사용될 인디케이터 섬유를 결정하게 된다. 다시 하나의 전기공급 인디케이터 섬유를 선택하여 개별 인디케이터 섬유를 테스트하는 대신에, 접촉연결 장치에 의해 단락된 로프의 모든 인디케이터 섬유의 전체 저항을 전체적으로 측정 및 저장할 수 있다. 교체의 필요성을 모니터링할 할 때 이 기준값으로부터 편차가 생기면, 인디케이터 섬유들이 스냅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에는 중앙에 둥근 구멍 (14) 이 있는 단락링 (13) 을 구비하는 접촉연결 장치 (1) 가 도시되어 있다. 셀프-탭핑 나사 (16) 가 형성된 고정나사 (15) 가 상기 둥근 구멍을 통해 합성섬유 로프 (6) 의 끝면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전기전도성 단락링 (13) 은 자체 평면에서 돔(dome)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합성섬유 로프 (6) 의 끝면과 대향하는 측에서 접촉 가장자리 (17) 가 축선방향으로 원주방향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는, 특히 상기 접촉 가장자리 (17) 는 스트랜드 층의 스트랜드 (10) 의 끝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리 하여 스트랜드 (10) 로 묶음된 인디케이터 섬유 (9) 와 접촉하게 되어 인디케이터 섬유 (9) 들 사이에 전기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게 된다. 로프 외장은 로프 끝에 남아 있으며, 고정 나사 (15) 가 로프 구조물안에 결합될 때 개별 스트랜드 (10) 들이 함께 유지되는 것을 보장해 준다.
도 2 에 따른 접촉연결 장치 (2) 는 중앙에 둥근 구멍 (19) 이 있는 단락링 (18) 을 구비하며, 고정나사 (20) 가 상기 둥근 구멍을 통해 합성섬유 로프 (6) 의 끝면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로프의 끝면과 대향하는 측에서 단락링 (18) 에는 원형, 바람직하게는 예리한 접촉 가장자리 (21) 가 형성되어 있다. 축선이 나사의 축선과 동일한 중공 원통 형태를 취하면, 접촉 가장자리 (21) 는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로프 (6) 의 스트랜층안으로 들어간다. 단락링 (18) 과 그의 접촉 가장자리 (21) 는, 접촉 가장자리 (21) 가 스트랜드 (10) 안으로 진입하여 인디케이터 섬유 (9) 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로프 외장 (12) 외에, 압축 슬리브 (22) 가 합성섬유 로프 (6) 의 단부에 축선방향으로 끼워진다. 이 압축 슬리브는, 접촉 가장자리 (21) 및 고정나사 (20) 가 합성섬유 로프 (6) 의 끝면내로 들어갈 때, 스트랜드를 함께 지지하고 반경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에 도시된 접촉연결 장치 (3) 는 공구없이 합성섬유 로프 (6) 의 자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압축 슬리브 (23) 는 합성섬유 로프 (6) 의 자유단에 축선방향으로 끼워지고 나사 슬리브 (24) 와 나사 칼라 (25) 의 도움으로 고정되게 된다. 압축 슬리브 (23) 의 원주변에는 숄더 (26) 가 있으며, 이 숄더는 압축 슬리브 (23) 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 스탑 (27) 을 형성한다. 압축 슬리브 (23) 는 그의 길이를 따라 3개의 슬릿 (28) 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슬릿은 축방향 스탑 (27) 까지 뻗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상보적인 두개의 원추형 표면 (32, 33) 을 형성하게 되는 제 1 압축링 (30) 및 제 2 압축링 (31) 이 슬릿 압축 슬리브 (29) 상에 동축선으로 위치해 있다. 제 1 압축링 (30) 은 길이방향으로 슬릿되어 있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갖게 된다. 제 1 압축링 (30) 은 축방향 스탑 (27) 과 대향해서 위치하며, 나사 슬리브 (24) 가 축방향 숄더에 나사결합되면, 제 2 압축링 (31) 은 제 1 압축링 (30) 에 잠금되며, 이 결과 각 압축링에 형성된 원추형 표면 (32, 33) 에 의해 축방향힘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을 슬릿된 제 1 압축링에 작용시키고 슬릿된 압축 슬리브 (29) 를 합성섬유 로프 (6) 상에 누르게 된다. 나사 슬리브 (24) 는 외부 나사 (35) 가 형성된 나사 파이프 (34) 를 형성하며, 접촉연결 장치 (3) 를 쉽게 분리하기 위해 오픈 엔드 렌치, 플라이어 (plier) 등이 물릴 수 있는 예컨대 육각형 헤드부 (36) 가 상기 나사 파이프에 마련되어 있다.
슬릿된 압축 슬리브 (29) 위에 끼워지는 나사 슬리브 (24) 의 외부 나사와 결합하게 되는 내부 나사 (37) 가 나사 칼라 (25) 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 칼라 (25) 는 압축 슬리브 (23) 의 다른 축방향 단부에 끼워지며 나사 슬리브 (24) 에 나사식 고정된다.
나사 슬리브 (25) 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 단락링 (38) 은 나사 슬리브 (25) 에 동축선으로 느슨하게 위치되며, 나사 슬리브 (25) 가 나사식 고정되면 합성섬유 로프 (6) 의 끝면에 밀착하게 된다. 전술한 접촉연결 장치 (2) 의 실시예에서 단락링 (38) 은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고리형 접촉 가장자리 (39) 를 갖고 있으며, 접촉연결 장치 (3) 가 함께 나사결합되면, 상기 고리형 접촉 가장자리는 합성섬유 로프 (6) 의 끝면안으로 진입하여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전기전도성 접촉 연결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4 에는, 짧은 파이프 (41) 를 지닌 셀프-탭핑 단락 칼라 (40) 의 형태로 된 접촉연결 장치 (4) 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짧은 파이프의 내벽에는 내부 나사 (42) 가 형성되어 있다. 짧은 파이프 (41) 의 외주에는 육각형 헤드부 (43) 가 있으며, 이 헤드부는 합성섬유 로프 (6) 의 자유단에 있는 단락 칼라 (40) 를 모니터링할 때 공구를 취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나사 (42) 의 내경은 로프 외장 (12) 이 없는 상태의 합성섬유 로프 (6) 의 직경보다 작도록 결정되며, 내부 나사 (42) 의 외경은 로프 외장 (12) 을 포함하는 함성섬유 로프의 외경과 거의 같다. 접촉연결을 이루기 위해, 파이프 (41) 의 개방단을 합성섬유 로프 (6) 의 자유단에 위치시키고 단락 칼라 (40) 를 그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로프 단부에 결합시킨다. 회전 운동의 결과, 내부 나사 (42) 는 로프 외장 (12) 을 파고들며, 이에 따라 단락 칼라 (40) 는 스트랜드 및 그 안에 있는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최외층과 접촉하게 되고 단락시킨다.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의 접촉연결 장치 (5) 는 소위 트윈 로프 (7) 의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단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트윈 로프 (7) 는 서로 다른 방향의 레이(lay) 를 가진 두개의 스트랜드 로프 (6) 를 포함하며, 이 스트랜드 로프는 서로 평행하게 회전불가능하게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공통의 로프 외장 (8) 에 의해 결합되어 트윈 로프 (7) 를 형성하고 있다. 두 스트랜드 로프 (6) 의 각 끝면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단락링 (44) 에 의해 단락되어 있다. 이 단락링 (44) 은 브리지 커넥터 (45) 에 의해 통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브리지 커넥터 (45) 에는 두개의 둥근 구멍 (46)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은 스트랜드 로프 (6) 의 길이방향 로프축선 사이의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단락링 (44) 과 브리지 커넥터 (45) 는 축선방향으로 서로의 앞뒤에 위치하며 둥근 구멍 (46, 47) 을 관통하는 두개의 고정나사 (48) 에 의해 트윈 로프 (7) 의 끝면에 밀착되게 된다. 예컨대 슬롯형 헤드나사의 형태로 된 상기 고정나사 (48) 는 트윈로프 (7) 의 두 스트랜드 로프 (6) 의 내부 스트랜드층 안으로 진입하여, 단락링 (44) 의 접촉 가장자리 (49) 를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내장하는 덮개층 (50) 의 스트랜드 (10) 에 대해 밀어붙이게 된다.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트윈로프 (7) 의 마모로 인한 교체의 필요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컨대 서스펜션 로프로서 역할하는 트윈로프 (7) 의 카운터웨이트 단부에 있는 단락링 (44) 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그러면, 트윈로프 (7) 의 카엔드에서 모니터링 전압이 두 스트랜드 로프 (6) 중 하나에 인가된다. 트윈로프 (7) 의 다른 스트랜드 로프 (6) 에서, 접촉연결 장치 (5) 에 의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스트랜드 로프 (6) 의 동일 단부에서, 예컨대 인디케이터 섬유 (9) 또는 인디케이터 섬유회로의 전체 저항이 측정된다. 이렇게 해서, 뚜렷한 전기저항의 증가가 있게 되면, 하나 또는 수개의 인디케이터 섬유 (9) 에 이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율이 소정 한도를 넘으면, 트윈로프 (7) 를 교체해야 한다.
본 발명을 이해한 전문가라면 다양한 고정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예컨대, 접착제 또는 가압으로 단락요소를 합성섬유 로프의 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 에는 접촉연결장치 (51) 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전기전도성 접착제로 된 접착제층 (52)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접착제층 (52) 은 전기전도성 필러와 혼합되는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예로는, 은이 충진되어 있고 전기전도성을 지니는 단일성분 코팅제로서 PANACOL-ELOSOL GmbH 가 제조한 상품명 ELECOLIT 342 또는 ELECOLIT 489 가 있다. ELECOLIT 342 는 0.01-0.001 ohm-cm 의 전기저항을 가지며 은이 충진된 아크릴 수지이다. ELECOLIT 489 는 은합금이 충진된 에폭시 수지로서 소량의 은을 함유하며 전기저항은 0.01 ohm-cm 이다. 그러므로, ELECOLIT 342 및 ELECOLIT 489 는 전기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는데 특히 적합한 것이다.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부 접촉을 이루는 것은 간단하고 빠르다. 브러시를 사용하여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합성섬유 로프 (6) 또는 트윈 로프 (7) 의 로프단부의 끝면에 발라, 경질의 점탄성 접착제층 (52) 을 형성할 수 있다. 클립 또는 기계적 접촉요소를 사용한 종래의 단락에 비해, 넓은 범위에 걸쳐 로프의 컷표면의 질은 인디케이터 섬유 (9) 의 신뢰성있는 접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액상으로 가해지는 전기전도성 접착제는 스트랜드 (10) 사이의 틈안으로 침투하고, 합성섬유 로프 (6) 의 로프단부의 끝면에서 인디케이터 스트랜드 단부의 길이차를 보상하게 된다. 동시에, 접착제층 (52) 이 굳으면 합성섬유 로프 (6) 의 로프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컨대 고무 탄성 슬리브 (53) 가 합성섬유 로프 (6) 의 로프 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데, 이 슬리브는 접착제층 (52) 을 기계적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를 저럼하고 신뢰성있게 접촉연결할 수 있다. 본 방법 및 이의 실행에 사용되는 작업물은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종래의 표준과도 양립한다.

Claims (12)

  1. 전기절연성 합성섬유와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 (9) 로 된 스트랜드 (10) 로 구성된 안전모니터되는 로프 (1) 를 접촉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합성섬유 로프의 일단에 고정되는 접촉요소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통전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통전가능하게 연결된 인디케이터의 섬유에 대해 측정을 하고 그 결과를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전기절연성 합성섬유와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포함하는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 (6, 7) 의 일단에서 인디케이터 섬유 (9) 들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촉연결 장치로서,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촉요소 (13, 18, 38, 41, 44, 52) 및, 이들 접촉요소 (13, 18, 38, 41, 44, 52) 와 인디케이터 섬유 (9) 를 서로에 대해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수단 (15, 20, 22, 23, 24, 25, 30, 31, 52) 를 구비하는 접촉연결 장치에 있어서,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 (9) 가 접촉요소 (13, 18, 38, 41, 44, 52) 에 의해 통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요소 (13, 18, 38, 41, 44, 52) 는 합성섬유 로 프의 끝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요소 (13, 18, 38, 41, 44) 는 링 모양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셀프-탭핑 나사 (42) 에 의해 단락 칼라 (40) 가 로프의 자유단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요소 (13, 18, 38, 41, 44) 는 고정수단 (15, 20, 22, 23, 24, 25, 30, 31) 에 의해 로프의 끝면에 가압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전도성 접착제층 (52) 이 로프의 자유단에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 슬리브 (53) 가 합성섬유 로프 (10) 의 자유단에 있는 전기전도성 접착제층 위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장치.
  10. 스트랜드 (10) 로 된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 (1) 로서, 상기 스트랜드 (10) 는 전기절연성 합성섬유와 전기전도성 인디케이터 섬유 (9) 로 구성되며, 합성섬유 로프의 단부는 둘 이상의 인디케이터 섬유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접촉연결장치 (1, 2, 3, 4, 5)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
  11. 공통 로프 외장 (8) 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청구항 10 에 따른 안전모니터되는 두개의 합성섬유 로프 (6) 로 이루어진 안전모니터되는 트윈 로프 (7) 로서,
    개별 합성섬유 로프 (6) 의 접촉요소 (44) 가 서로 단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되는 트윈 로프.
  12. 엘리베이터 설비용 서스펜션 로프로서 청구항 10 또는 11 에 따른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 (6, 7) 의 사용 방법.
KR1020000079469A 1999-12-21 2000-12-21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접촉연결 방법 및 장치 KR100731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11186.8 1999-12-21
EP99811186 1999-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70A KR20010062570A (ko) 2001-07-07
KR100731570B1 true KR100731570B1 (ko) 2007-06-22

Family

ID=824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469A KR100731570B1 (ko) 1999-12-21 2000-12-21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접촉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608487B2 (ko)
EP (1) EP1111125B1 (ko)
JP (1) JP2001234485A (ko)
KR (1) KR100731570B1 (ko)
CN (1) CN1139688C (ko)
AR (1) AR028893A1 (ko)
AT (1) ATE262070T1 (ko)
AU (1) AU769328B2 (ko)
BR (1) BR0006226B1 (ko)
CA (1) CA2329405C (ko)
DE (1) DE50005676D1 (ko)
DK (1) DK1111125T3 (ko)
ES (1) ES2216846T3 (ko)
HK (1) HK1038599A1 (ko)
ID (1) ID28662A (ko)
IL (1) IL140043A (ko)
MX (1) MXPA01000060A (ko)
MY (1) MY126611A (ko)
NO (1) NO319861B1 (ko)
NZ (1) NZ509111A (ko)
PT (1) PT1111125E (ko)
SG (1) SG87197A1 (ko)
TR (1) TR200401348T4 (ko)
ZA (1) ZA200007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38856A1 (ja) * 2000-11-10 2004-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合成樹脂ロ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端末処理方法
MY134592A (en) * 2002-10-17 2007-12-31 Inventio Ag Belt with an integrated monitoring mechanism
EP1435407A1 (en) * 2003-01-02 2004-07-07 Teijin Twaron B.V. Aramid filament yarn provided with a conductive finish
JP2005139001A (ja) * 2003-11-04 2005-06-02 Inventio Ag 支持手段を点検する方法および装置
DE20317006U1 (de) * 2003-11-05 2004-02-05 Huang, Yun-Peng, Bali Biegsames Verankerungsseil
US7540359B2 (en) * 2004-03-16 2009-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ATE497925T1 (de) * 2004-03-16 2011-02-15 Otis Elevator Co Elektrische verbindervorrichtung zur verwendung mit aufzugslasttraggliedern
ATE507181T1 (de) * 2004-03-16 2011-05-15 Otis Elevator Co Elektrischer verbinder und rückhaltevorrichtung zur verwendung mit aufzugsriemen
ES2386355T3 (es) * 2004-03-16 2012-08-17 Otis Elevator Company Sistema y método de medición de la resistencia de un soporte tensor
US7348489B2 (en) * 2004-09-15 2008-03-2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ACCC) cable
WO2008054563A2 (en) * 2006-07-14 2008-05-08 Justin Bishop System and method of using rope in security application
KR100861639B1 (ko) 2006-09-01 2008-10-0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의 상태 감시용 전기 신호 적용전략
KR100827180B1 (ko) * 2006-09-01 2008-05-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JP5378426B2 (ja) * 2011-01-25 2013-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ロープ検査装置
JP2011102195A (ja) * 2011-01-28 2011-05-26 Otis Elevator Co 引張支持強度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FI124542B (en) * 2012-12-30 2014-10-15 Kone Corp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lift lines
FI124543B (en) 2012-12-30 2014-10-15 Kone Corp Rope clamp assembly and elevator
US9075022B2 (en) 2013-03-15 2015-07-07 Whitehill Manufacturing Corporation Synthetic rope,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thereof
EP2851325B1 (en) * 2013-09-24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2878563B1 (en) * 2013-11-29 2017-03-22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FI126182B (en) * 2014-06-17 2016-07-29 Kone Corp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lift line
AT516444B1 (de) 2014-11-05 2016-09-15 Teufelberger Fiber Rope Gmbh Seil aus textilem Fasermaterial
US20180011044A1 (en) * 2016-07-11 2018-01-11 Physical Optics Corporation Non-destructive wear monitoring system for synthetic ropes and textiles
CN106480759B (zh) * 2016-09-23 2019-05-07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用缆绳保护器
WO2018115484A1 (en) * 2016-12-22 2018-06-28 Dsm Ip Assets B.V. Spliced rop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2088B (en) * 1983-12-20 1986-11-12 Bridon Plc Detection of deterioration in rope
US5195393A (en) * 1990-06-04 1993-03-23 Cherokee Cable Company, Inc. Braided mechanical control cable
CA2169431C (en) * 1995-03-06 2005-07-12 Claudio De Angelis Equipment for recognising when synthetic fibre cables are ripe for being discarded
JP4371515B2 (ja) * 1999-01-22 2009-11-25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合成繊維ロープのロープシースへの損傷の検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9328B2 (en) 2004-01-22
EP1111125A1 (de) 2001-06-27
MXPA01000060A (es) 2002-08-06
HK1038599A1 (en) 2002-03-22
CA2329405C (en) 2007-04-10
CN1300895A (zh) 2001-06-27
BR0006226A (pt) 2001-09-18
NO319861B1 (no) 2005-09-26
NO20006569D0 (no) 2000-12-21
AU7241500A (en) 2001-06-28
ZA200007777B (en) 2001-07-16
MY126611A (en) 2006-10-31
TR200401348T4 (tr) 2004-07-21
DE50005676D1 (de) 2004-04-22
BR0006226B1 (pt) 2010-04-06
SG87197A1 (en) 2002-03-19
IL140043A0 (en) 2002-02-10
ID28662A (id) 2001-06-21
ES2216846T3 (es) 2004-11-01
IL140043A (en) 2006-07-05
JP2001234485A (ja) 2001-08-31
EP1111125B1 (de) 2004-03-17
CN1139688C (zh) 2004-02-25
CA2329405A1 (en) 2001-06-21
KR20010062570A (ko) 2001-07-07
AR028893A1 (es) 2003-05-28
NO20006569L (no) 2001-06-22
NZ509111A (en) 2002-05-31
ATE262070T1 (de) 2004-04-15
PT1111125E (pt) 2004-08-31
US20010040039A1 (en) 2001-11-15
US6608487B2 (en) 2003-08-19
DK1111125T3 (da) 200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570B1 (ko) 안전모니터되는 합성섬유 로프의 접촉연결 방법 및 장치
JP4558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検査装置
US7516605B2 (en) Electronic elongation-sensing rope
US62897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 to a sheath of a synthetic fiber rope
RU26868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ндикатора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EP3168361B1 (en) Aircraft rescue hoist rope designed for continuous inspection
JP2011527408A (ja) 障害検知機能を有するホース
EP3207599A2 (en) Slip-ring with wear monitoring
US20180011044A1 (en) Non-destructive wear monitoring system for synthetic ropes and textiles
CA2966952A1 (en) Suspension means monitoring in an elevator system
JP3264862B2 (ja) 移動用ケーブル
JP3178689U (ja) 多芯ケーブル
CN112542263B (zh) 一种农机线缆及其自动化测试装置
JP2019105543A (ja) 亀裂検知センサー及び亀裂検知システム
US20210033487A1 (en) Method of Inspecting and Monitoring a Fiber Termination
JPH0220072B2 (ko)
JPH04218213A (ja) 放射線モニター付電線・ケーブル
JPS59206287A (ja) 海洋浮遊構造物係留用平行線ケ−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