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291B1 - 회전 자유형 클립 - Google Patents

회전 자유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291B1
KR100731291B1 KR1020050109760A KR20050109760A KR100731291B1 KR 100731291 B1 KR100731291 B1 KR 100731291B1 KR 1020050109760 A KR1020050109760 A KR 1020050109760A KR 20050109760 A KR20050109760 A KR 20050109760A KR 100731291 B1 KR100731291 B1 KR 10073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dies
fixing
outsid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033A (ko
Inventor
모진서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2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는 제 1,2몸체와, 상기 제 1,2몸체의 외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2몸체를 결합하는 로킹부와, 상기 제 1,2몸체의 동일방향 끝단부에 결합되며, 힌지되게 접어지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고정하는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1,2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자유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를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회전결합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케이블의 방향성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여 케이블의 분기 방향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배터리, 케이블, 회전결합부

Description

회전 자유형 클립 {A rotating clip}
도 1은 종래에 따른 케이블 고정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케이블 고정클립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케이블 고정 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몸체 20 : 제 2몸체
30 : 로킹부 32 : 체결편
33 : 체결홈 34 : 체결돌기
35 : 걸림턱 40 : 고정부
42 : 힌지부 44 : 고정홈
50 : 개폐판 52 : 후크
60 : 회전결합부 62 : 회전홈
64 : 회전돌기
본 발명은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의 한쌍의 몸체와 이를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회전결합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케이블의 방향성을 임의로 조정 가능한 회전 자유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물건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거나 사람이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매우 유용한 기계장치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는 사용의 증가에 따라 많은 량의 매연을 발생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이에, 전기나 태양열을 이용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를 연구·개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없애고, 편리함을 추구하고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그 구동시스템으로서 배터리전원, 모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배터리와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의 베터리 케이블을 고정시 분기방향이 고정된 클립을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케이블 고정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에 따 른 케이블 고정클립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립(1)은 케이블(7)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케이블(7)의 분기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 1몸체(2)와, 상기 제 1몸체(2)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힌지되게 접어지는 개폐판(8)과, 상기 개폐판(8)을 고정하는 후크(9)를 형성하고,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부(4)와, 상기 제 1몸체(2)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2몸체(6)로 이루어진다.
상기 1몸체(2)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의 내면에 케이블(7)을 잘 구부려 넣은 다음, 상기 제 2몸체(6)를 제 1몸체(2)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4)의 개폐판(8)을 닫고, 브라켓(미도시)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용 클립에 의하면, 상기 제 1몸체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분기 방향 규제를 자유롭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를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회전결합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케이블의 방향성을 임의로 조정 가능한 회전 자유형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작동을 위해 고전압용 배터리와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는 제 1,2몸체와, 상기 제 1,2몸체의 외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2몸체를 결합하는 로킹부와, 상기 제 1,2몸체의 동일방향 끝단부에 결합되며, 힌지되게 접어지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고정하는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1,2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결합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 1몸체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 2몸체의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제 1,2몸체의 일측 끝단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제품과 달리 몸체가 360도 회전 가능하여 방향성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케이블 고정 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100)은 한쌍의 제1, 2몸체(10,20)와, 상기 제1,2몸체(10,20)와 연결되며 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부(40)와, 상기 고정부(40)와 제1,2몸체(10,2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결합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20)는 케이블(7)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를 이루는 제 1몸체(10)와, 상기 제 1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 1몸체(10)와 동일하게 반원통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 2몸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는 로킹부(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1몸체(10)의 외측에는 내부에 체결홈(33)을 형성한 체결편(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20)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편(32)과 대응되는 체결돌기(3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34)의 끝단에는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33)을 관통하여 체결홈(33)의 외측에 걸리게 된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제1,2몸체(10,20)의 일측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몸체(10,20)와 같이 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0)는 일측은 절개되어 끝단에 후크(52)를 형성하며, 타측은 힌지부(42)를 형성하여 힌지부(42)에 의해 접어지는 개폐판(5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50)은 일측에 형성된 후크(52)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후크(52)와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40)의 힌지부(42) 반대편에는 고정홈(4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0)의 하부면은 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결합부(60)는 상기 제1,2몸체(10,20)의 일측 끝단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홈(62)과, 상기 회전홈(62)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4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돌기(64)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자유형 클립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몸체(10)의 안쪽에 분기방향에 맞추어 케이블(7)을 잘 구부려 넣는다.
상기 제 1몸체(10)는 반원통 형상으로 케이블(7)의 외면의 절반을 감싸 안고, 이후 상기 제 2몸체(20)를 상부에서 가압해서 결합한다.
상기 제 1몸체(10)의 외측에는 내부에 체결홈(33)을 형성한 다수개의 체결편(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20)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편(32)과 대응되는 체결돌기(34)가 형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체결돌기(34)의 끝단에는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33)을 통과한 후에 상기 체결홈(33)의 외측면에 상기 걸림턱(35)이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케이블(7)을 상기와 같이 제1,2몸체(10,20)에 고정한 후에, 상기 고정부(40)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부(40)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개폐판(50)의 일측 내주면에는 회전돌기(64)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몸체(10,20)의 일측 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돌기(64)를 수용하는 회전홈(62)이 형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부(40)의 개폐판(50)을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42)를 이용하여 개방하고, 상기 케이블(7)을 하부에서 절반을 감싸 안는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제 1몸체(10)에 형성된 회전홈(62)에 상기 고정부(40)의 회전돌기(64)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7)을 상기 고정부(40)의 내부에 정리한 뒤에 상기 개폐판(50)을 힌지부를 이용하여 회동시켜 상기 고정부(40)의 상부를 마감한다.
이때,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50)의 끝단에는 후크(5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40)의 힌지부 반대편에 형성된 고정홈(44)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제1,2몸체(10,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홈(62)과 고정부(40)의 내주면과 상기 개폐관(50)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돌기(64)에 의해 도 5와 같이 상기 제1,2몸체(10,20)는 고정부(40)의 중심을 축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2몸체가 고정부에서 360도 회전가능함으로써, 방향성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자유형 클립에 의하면,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를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회전결합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케이블의 방향성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여 케이블의 분기 방향에 상관없이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기자동차의 작동을 위해 고전압용 배터리와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는 제 1,2몸체와;
    상기 제 1,2몸체의 외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2몸체를 결합하는 로킹부와;
    상기 제 1,2몸체의 동일방향 끝단부에 결합되며, 힌지되게 접어지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고정하는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1,2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자유형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 1몸체의 외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홈을 형성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의 체결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 2몸체의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체결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자유형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제 1,2몸체의 일측 끝단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개폐판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자유형 클립.
KR1020050109760A 2005-11-16 2005-11-16 회전 자유형 클립 KR10073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760A KR100731291B1 (ko) 2005-11-16 2005-11-16 회전 자유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760A KR100731291B1 (ko) 2005-11-16 2005-11-16 회전 자유형 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516U Division KR200412119Y1 (ko) 2005-11-07 2005-11-07 회전 자유형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33A KR20070049033A (ko) 2007-05-10
KR100731291B1 true KR100731291B1 (ko) 2007-06-27

Family

ID=3827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760A KR100731291B1 (ko) 2005-11-16 2005-11-16 회전 자유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04Y1 (ko) 2011-07-22 2013-08-05 김기수 지중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6046B (zh) * 2017-06-13 2020-12-04 芜湖市智行天下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高压线束折弯固定装置
CN108501837B (zh) * 2018-02-12 2019-12-1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导线的汽车插件
KR102338391B1 (ko) * 2020-07-23 2021-12-10 주식회사 경신 모듈형 클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67A (ko) * 1996-12-31 1998-10-07 임경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용 단자 접속장치
KR20010003367A (ko) * 1999-06-23 2001-01-15 정몽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와이어링 결선부재
JP2001310655A (ja) 2000-04-28 2001-11-06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トロリ線の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67A (ko) * 1996-12-31 1998-10-07 임경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용 단자 접속장치
KR20010003367A (ko) * 1999-06-23 2001-01-15 정몽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와이어링 결선부재
JP2001310655A (ja) 2000-04-28 2001-11-06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トロリ線の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04Y1 (ko) 2011-07-22 2013-08-05 김기수 지중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33A (ko)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291B1 (ko) 회전 자유형 클립
US4158483A (en) Remote controlled rearview mirror
BR112014006474B1 (pt) Parasol deslizante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parasol
DE50113047D1 (de) Sonnenblende für Fahrzeuge
TW200518400A (en) Shuttered electrical connector socket
JPH10111405A (ja) 反射器
KR200412119Y1 (ko) 회전 자유형 클립
JP2000040500A5 (ko)
AU2003278244A1 (en) Cable holding device
CN112510410A (zh) 汽车电气布线连接器
CZ201964A3 (cs) Nabíjecí modul automobilu
FR2994448A1 (fr)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39;un element d&#39;ossature a distance d&#39;un element de structure d&#39;une paroi.
JP3112828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の分岐クランプ
CN209079609U (zh) 无动力快装汽车门挡雨装置
JP2004185908A (ja) コンセント
JPH0814966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固定具
JP3342528B2 (ja) サンバイザ用バニティミラーユニット
KR0126208Y1 (ko) 선바이저의 미러 조명작동장치
CN216783840U (zh) 一种用于无人机的连接机构
JP2520168Y2 (ja) 回動型プロテクタ
KR101500142B1 (ko) 트렁크 개폐장치
KR200364609Y1 (ko) 파워아울렛
CA2308501A1 (en) Clamp for holding flat objects
CN219595845U (zh) 一种扭蛋玩具
CN209730350U (zh) 一种盲装万向连接器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