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729B1 - 흡음형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흡음형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729B1
KR100730729B1 KR1020060005080A KR20060005080A KR100730729B1 KR 100730729 B1 KR100730729 B1 KR 100730729B1 KR 1020060005080 A KR1020060005080 A KR 1020060005080A KR 20060005080 A KR20060005080 A KR 20060005080A KR 100730729 B1 KR100730729 B1 KR 10073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proof
column
sound insulation
dif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덕현
Original Assignee
태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76Cellular,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외측 테두리면에 등간격으로 흡음공을 갖는 방음지주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형성한 소음감소부재를 구비하여 도로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까지 발생하는 차량의 주행소음 일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음지주와 방음지주 사이에는 사선방향으로 회절음공간부를 형성하여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 내측에서 부딪히면서 최종적으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바닥면이 고정된 브라켓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방음지주를 형성하여 차량이 주행하면서 발행하는 주행소음을 지면에서 방음지주의 높이까지 흡음하여 주행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방음지주는 외측 테두리면에 등간격으로 흡음공이 형성되어 방음지주 내부에 형성된 흡음재로 소음이 흡음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방음지주와 방음지주의 사이에는 회절음공간부를 형성하여 흡음공으로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 내에서 부딪히면서 주행소음이 자연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그리고, 각각의 방음지주는 지지부재에 의해서 방음지주의 단부와 단부를 볼트로 체결 고정하는데, 이때 방음지주와 방음지주의 사이에는 턴버클이 형성되어 양측에서 끼워지는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분리대, 고정부재, 방음지주, 소음감소부재, 지지부재

Description

흡음형 중앙분리대{Central seperation panel for absorbing the voice}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확대도
도 4는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보여주는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평면도
도 6은 발명의 제3실시 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의 평면도
도 9는 발명의 제6실시 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의 평면도
도 12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발명 회절음감소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분리대
10 : 고정부재 11 : 브라켓트
12 : 앙카볼트 20 : 소음감소부재
21 : 방음지주 21a,21b : 방음날개
22 : 흡음공 23 : 흡음재
24 : 덮개 24a : 회절음감소부재
25 : 회절음공간부 26 : 오목부
26a : 볼록부 27 : 도로안전표시판
30 : 지지부재 31 : 지지판
32 : 턴버클 B : 볼트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외측 테두리면에 등간격으로 흡음공을 갖는 방음지주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형성한 소음감소부재를 구비하여 도로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까지 발생하는 차량의 주행소음 일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음지주와 방음지주 사이에는 사선방향으로 회절음공간부를 형성하여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 내측에서 부딪히면서 최종적으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와 같이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는 중앙선의 구분을 보다 확실히 함과 동시에 주행중인 자동차가 반대차선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베이스 블록이 다수개 일렬로 배치되는데, 주행중인 자동차가 교통사고로 인해 방향을 잃고 반대차선 쪽으로 향하더라도 베이스 블록에 부딪혀 진로가 차단됨으로써 반대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는 광차단망이 설치되는데, 상기 광차단망은 야간에 반대차선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일부 차단됨으로써 운전자의 시각적인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고속으로 질주할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소음이 극심해지는데, 이러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서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이 설치되어 인근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고 있지만, 방음벽이 없는 구간이나 중앙분리대와 근접한 1차선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반대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소음으로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62212호 방음기능을 구비한 중앙분리대가 선등록되어 있는데, 구성을 살펴보면, 도로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10)과, 상기 베이스 블록(10)의 상단에 구비된 방음기구(20)를 포함하되, 상기 방음기구(20)는 베이스 블록(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액자형 프레임(22)과, 상기 액자형 프레임(22)에 동일방향으로 비스듬히 정렬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흡음홈(24a)이 형성된 방음패널(24)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방음기구(20)는 차량의 소음을 일부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에 있어서는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방음패널(24)의 흡음홈(24a)에 음파가 충돌하여 반사하게 되는데, 이때 반사되는 음파의 경우 일부는 방음패널(24)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반대쪽 차량으로 흘러나가서 소음을 증폭시키게 되고, 일부는 흡음홈(24a)에 충돌하면서 감음 되겠지만 그렇지 못한 음파의 경우 각이 진 모서리부분과 흡음홈(24a)의 측면에 부딪히는 음파는 반사작용과 회절작용을 하면서 일부는 모서리부분에 음향에너지가 축적되어 회절에너지를 증가시킴으로 방음패널(24)에 의한 소음의 감소성능 및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선등록 실용신안의 경우 방음패널(24)이 차량이 진행되는 반대방향으로 30°이상으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 및 음파가 방음패널(24)의 사이로 유입되기보다는 방음패널(24)의 흡음홈(24a)과 모서리부분에 충돌하면서 외부로 튕겨져 나오기 때문에 소음의 감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음기구(20)의 상부에 형성된 방음패널(24)의 경우, 방음패널(24)의 저면에 형성된 베이스 블록(10)의 높이가 소형 및 중형차량의 높이 보다 높거나 동 일하기 때문에 차량이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방음패널(24)로 유입되는 것은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 베이스 블록(10)과 충돌하면서 소음이 더 증폭되는 문제점과, 상기 베이스 블록(10) 상부에 형성된 방음기구(20)의 높이가 베이스 블록(10)의 높이 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베이스 블록(10)이 방음기구(2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방음기구(20)의 높이는 베이스 블록(10)의 중간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소음을 감소시키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특히, 베이스 블록(10)과 방음기구(20)는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사고로 인해서 베이스 블록(10)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베이스 블록(10)과 방음기구(20) 전체를 보수해야되기 때문에 보수 및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음기구(20)의 경우 강한 풍압이 작용할 경우 베이스 블록(10)과 방음기구(20)의 체결이 견고하지 못하여 방음기구(20)가 분리되어 차량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강풍에 의해 방음패널(24)의 사이로 풍압이 유입되기보다는 튕겨져 나오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 방음패널(23)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베이스 블록(1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되고, 상기 방음패널(20)은 금속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가 고가이면서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에 따른 설치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주행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양단부에 방음날개를 갖는 방음지주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방음지주는 2개가 한조를 이루면서 방음날개와 방음날개의 사이에 회절음공간부를 형성하여 방음지주의 흡음공을 통해서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를 통과하면서 서로 부딪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 방음날개를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여 음파 및 회절음이 볼록부와 오목부의 라운드면을 타고 흡음공을 통과하여 흡음재로 자연스럽게 흡음되는 동시에 오목부에서 반사작용 및 회절작용으로 발생되는 회절음은 회절음공간부를 통과하면서 반대편 오목부에 부딪히면서 음파 및 회절음이 감소되기 때문에 방음날개에 음향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절음공간부는 야간에 반대편 차선에서 진행하는 자동차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면서 차량이 진행하는 것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10~20°의 각도를 갖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지주의 일단과 마주보는 반대편 방음지주의 일단을 볼트로 고정시키되, 상기 방음지주와 방음지주의 사이에는 턴버클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방음지주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시공시간 및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지주의 상부에 회절음감소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방음지주의 상부로 회절하여 넘어가는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지주를 압출성형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방음지주는 차량이 방음지주와 충돌시 내부에 형성된 흡음재가 완충작용을 하여 대형사고를 예방하면서 반대차선으로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서 시공기간 및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보장설계를 통해서 제품의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생산성의 개선과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앙분리대 상부에 형성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브라켓트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트의 바닥면은 도로에 앙카볼트로 고정되어있고, 테두리면은 상부로 돌출된 고정부재; 상기 브라켓트에 일단이 고정되어있고, 타단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외측 테두리면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방음지주를 상기 고정부재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상기 방음지주와 방음지주의 사이에는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치면서 감소되도록 회절음공간부를 형성한 소음감소부재; 및 상기 방음지주의 일단과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방음지주의 일단 내측면에 지지판이 끼워지고, 상기 방음지주와 방음지주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턴버클을 설치하여 양측에서 체결되는 볼트가 방음지주와 지지판을 관통하여 턴버클에 고정되면서 방음지주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음지주를 압출성형 하거나, 또는 사출성형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항 형상으로 제작하여 차량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 중앙분리대(1)는 도로에 바닥면이 고정되는 브라켓트(11)를 갖는 고정부재(10)와, 상기 브라켓트(11)와 일단이 볼트로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내측면에 형성된 흡음공(22)을 통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음지주(2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소음감소부재(20)와, 상기 방음지주(21)와 방음지주(21)의 양단부를 볼트(B)로 고정시켜 일체로 연결시키는 턴버클(32)를 갖는 지지부재(30)로 크게 구성된다.
고정부재(10)는,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브라켓트(11)가 연속적으로 설치되 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트(11)는 판체로 형성되어 바닥면이 도로에 앙카볼트(12)로 고정되고, 브라켓트(11)의 테두리면은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방음지주(21)의 내측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그리고, 브라켓트(11)는 방음지주(21) 내측에 간편하게 삽입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음감소부재(20)는,
상기 브라켓트(11)가 내측 저면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방음지주(21)의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방음지주(21)는 수직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며, 외측 테두리면 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흡음공(22)이 형성되어 외부의 소음이 흡음공(22)을 통해서 상기 방음지주(21)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에 형성된 흡음재(23)에 의해서 소음이 흡음된다.
상기 방음지주(21)는 2개가 한 조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방음지주(21)와 방음지주(21)의 사이에는 회절음공간부(25)가 형성되어 흡음공(22)으로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와 방음지주(21)와 부딪히면서 반사작용 및 회절작용으로 발생하는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25)를 통과하면서 반대편 방음지주(21)와 부딪히면서 주행소음이 감소된다.
한편, 방음지주(21)의 상부에는 덮개(24)가 형성되어 방음지주(2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볼트로 고정시켜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방음지주(21)의 전면과 후면에 선택적으로 도로안전표시판(27)이 인 쇄되어 커브길이나 위험구간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도로안전표시를 인쇄한다.
여기서, 방음지주(2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한데,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 예를 살펴보면, 방음지주(21)가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1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에 전후방 방음날개(21a)(21b)를 형성하되, 상기 방음날개(21a)(21b)는 전방 방음날개(21a)와 후방 방음날개(21b)가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전후방이 소정길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2개의 방음지주(21)가 동일선상에서 후방 방음날개(21b)와 반대편의 전방 방음날개(21)가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이고, 사선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는 소정간격의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틈새가 회절음공간부(25)이다.
상기 회절음공간부(25)는 사선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15°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면서 반대편 차선에서 주행중인 자동차 전조등 불빛이 보이지 않는 위치이면서 차량이 진행하는 상태를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는 각도이다.
차량의 주행소음은 일차적으로 전방 방음날개(21a)의 흡음공(22)을 통해서 흡음되고, 이차적으로는 후방 방음날개(21b)에서 흡음되는데, 이때 후방 방음날개(21b)의 흡음공(22)으로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은 회절음공간부(25)를 통과하면서 반대편 방음지주(21)의 후면 흡음공(21)으로 흡음되는 동시에 전후방 방음날개(21a)(21b)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에 다시 한번 부딪히면서 회절음이 와전히 흡음된다.(도 3,4참조)
제 2 실시 예를 살펴보면, 제 1 실시 예의 방음지주(21)에 형성된 전후방 방음날개(21a)(21b)의 전면과 후면에 오목부(26)를 형성하여 음파 및 회절음이 오목부(26)의 곡면부를 따라서 흡음공(22)으로 흡음되는 동시에 오목부(26)의 라운드면을 따라서 반사 및 회절되는 잔여 회절음이 반대편 오목부(26)로 자연스럽게 흡음이 될 수 있도록 하여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3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방음지주(21)가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2
'자 형상으로 이루지면서 양단부에 볼록부(26a)와 오목부(26)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음파 및 회절음이 볼록부(26a)와 오목부(26)의 라운드면을 타고 흡음공(22)을 통과하여 흡음재(23)로 자연스럽게 흡음되는 동시에 오목부(26)에서 반사작용 및 회절작용으로 발생되는 회절음은 회절음공간부(25)를 통과하면서 반대편 볼록부(26a)의 후면에 부딪히면서 감소되기 때문에 방음날개(21a)(21b)에 음향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방음지주(21)가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3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티자 모양이 서로 교호 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사선방향으로 회절음공 간부(25)를 형성하여 음파 및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5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방음지주(21)가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삼각형 모양이 서로 교호 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사선방향으로 15°각도를 갖는 회절음공간부(25)가 형성되어 음파 및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6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방음지주(21)가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4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선방향으로 15°각도를 갖는 회절음공간부(25)가 형성되어 음파 및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25) 내측에서 부딪치면서 자연소멸되거나, 상기 흡음공(22)으로 흡음되어 주행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7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방음지주(21)가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5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선방향으로 15°각도를 갖는 회절음공간부(25)가 형성되어 음파 및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8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방음지주(21)가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선방향으로 15°각도를 갖는 회절음공간부(25)가 형성되어 음파 및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음지주(21)의 내측면에는 커브길과 같이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눈, 비, 낙석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도로 안전표시판(27)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8실시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음지주(21)의 양단부를 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재(30)는,
상기 전후방 방음날개(21a)(21b)의 단부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1)이 끼움 결합되고, 후방 방음날개(21b)와 전방 방음날개(21a)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볼트(B)가 각각 체결되면서 양측의 방음날개(21a)(21b)와 지지판(31)을 볼트(B)가 관통하게 되는데, 이때 양측면에서 체결되는 볼트(B)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방음날개(21a)(21b) 사이에 턴버클(32)이 형성되어 턴버클(32)의 내부에 고정된 너트에 볼트(B)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턴버클(32)은 수직방향으로 3개정도 설치하여 방음지주(2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방법으로 복수의 방음지주(21)를 고정시킨다.
제9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제9실시 예는 방음지주(21)의 형상과 덮개(24)의 형상 및 기능이 다른 것으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 예의 방음지주(21)의 경우 각이진 모서리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음향에너지가 모서리 부분에 축적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방음지주(21)를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6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에 전후방 방음날개(21a)(21b)가 유선형으로 곡면처리되어 음향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을 미 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저면 내측에 브라켓트(11)가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방음지주(21)의 내부에는 흡음재(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음지주(21) 상부에는 덮개(24)가 형성되어 방음지주(21)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덮개(24)의 상부에는 회절음감소부재(24a)가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절음감소부재(24a)는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로 라운드면을 갖는 것이면 다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7
'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절음감소부재(24a)는 방음지주(21)의 상부로 회절되는 회절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도면을 첨부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도로에 브라켓트(1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앙카볼트(12)의 일단을 도로에 매설하고, 이의 상부에 브라켓트(11)를 너트로 고정시키면서 브라켓트(11)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트(11)는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절음공간부(25)의 공간을 균등하게 이격시키면서 브라켓트(11)의 설치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브라켓트(11)가 설치되면 방음지주(21)의 저면에 브라켓트(11)를 끼워 넣은 다음 볼트로 고정시키면 방음지주(21)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도 1,2 참조)
여기서, 방음지주(21)의 저면은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흡음공(22)이 형성되어야 브라켓트(11)와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방음지주(21)의 양단부 내측면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지지판(31)을 끼워 넣은 다음 내부에 흡음재(23)를 삽입하고 상부에 덮개(24)를 결합하면서 볼트로 고정시키면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방음지주(21)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도 3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30)의 고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전방 방음날개(21a)와 후방 방음날개(21b)의 사이에 턴버클(32)을 위치시킨 다음 전방에서 먼저 볼트(B)를 체결하면 턴버클(32)에 전방 방음날개(21a)가 고정되고, 이어서 후방에서 볼트(B)를 체결하면 후방 방음날개(21b)가 고정되면서 턴버클(32)에 볼트(B)가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으로 턴버클(32)을 하부에서 상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작업을 수행하면서 방음지주(21)를 전체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소음감소부재(20)와 지지부재(3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는 도 3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소음은 일차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방음날개(21a)의 흡음공(22)을 통해서 소음이 일차로 흡음되고, 차량의 속도에 의해서 만들어진 강한 풍량을 따라서 음파 및 회절음이 회절음공간부(25)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후방 방음날개(21b)의 흡음공(22)으로 흡음되는데, 이때 흡음되지 않은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은 반대편 방음지주(21)의 전방 방음날개(21a) 후면에 형성된 흡음공(22)에 흡음되는데, 이때 흡음되지 않은 그래도 잔여 음파 및 회절음이 남아 있다면 전후방 방음날개(21a)(21b)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에 형성된 흡음공(22)으로 흡음되어 주행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회절음공간부(25)는 10~20°의 각도를 갖도록 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각도는 1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반대 차선에서 주행중인 자동차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지 않는 각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회절음공간부(25)로 유입되는 음파 및 회절음은 여러번 반사작용과 회절작용을 박복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먼저 전방 방음날개(21a)를 거쳐서 후방 방음날개(21b)로 다시 전방 방음날개(21a)의 후면과 전후방 방음날개(21a)(21b)를지지하는 중간부분에 부딪히면서 자연소멸되거나, 흡음공(22)으로 유입되어 흡음재(23)에 의해서 흡음되도록 하는 기능과, 차량이 주행하면서 발생되는 풍압이 회절음공간부(25)를 통해서 반대편으로 유동하면서 풍압의 강도가 약해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도 3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음지주(21)의 후방 방음날개(21b)와 반대편 전방 방음날개(21a)의 후면에 유선형의 라운드면을 갖는 오목부(26)를 형성하여 음파 및 회절음이 라운드면을 따라서 부딪히면서 자연스럽게 감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오목부(26)는 음향에너지가 축적되어 소음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지지부재(30)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게 작업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문자 에스를 옆으로 돌려놓은 형상으로 전후방 방음날개(21a)(21b)를 곡면처리 하여 볼록부(26a)와 오목부(26)로 음파 및 회절음이 자연스럽게 흡음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반사작용 및 회절작용을 하는 회절음은 볼록부(26a)를 따라서 오목부(26)로 이동하고 다시 반대편 방음지주(21)의 오목부(26)에 부딪히면서 흡음 및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0)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게 방음날개(21a)(21b)의 양단부 내측에 지지판(31)이 끼워지고 볼트(B)가 사선방향으로 끼워지면서 턴버클(32) 내부에서 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문자 티자형으로 형성된 방음지주(21)를 서로 교호 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방음지주(21)와 방음지주(21) 사이의 회절음공간부(25)로 음파 및 회절음이 통과하면서 제1실시 예와 같이 방음날개(21a)(21b)에 부딪히면서 자연소멸되거나 흡음공(22)으로 흡음되는 것이다.
상기 제4실시 예의 방음지주(21)는 회절음이 후방 방음날개(21b)와 일차작으로 부딪치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방음날개(21a)와 다시 한번 부딪히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주행소음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30)는 제1실시 에의 방법과 동일하게 고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각 형모양으로 이루어진 방음지주(21)를 상호 교호되게 형성하여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회절음공간부(25)에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히면서 소멸되거나, 상기 흡음공(22)으로 회절음이 유입되어 주행소음이 소멸된다. 여기서 회절음공간부(25)는 15°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판(31)은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볼트(B)가 체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방음지주(21)의 흡음공(22)과 동일하게 흡음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사선방향으로 볼트(B)를 끼워넣고 이들의 사이에 턴버클(32)을 설치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지지판(31)은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면 모든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방음지주(21)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회절음공간부(25)에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히면서 소멸되거나 흡음공(22)으로 유입되어 주행소음이 소멸된다. 여기서 회절음공간부(25)는 15°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30)는 제5실시 예와 같이 방음지주(21)의 내부에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1)을 삽입하고 볼트(B)를 사선방향으로 끼워넣고 이들의 사이에 턴버클(32)을 설치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 '8'자를 변형하여 만든 방음지주(21)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이들의 사이에 사이에 형성된 회절음공간부(25)를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히면서 소멸되거나 흡음공(22)으로 유입되어 주행소음이 소멸된다. 여기서 회절음공간부(25)는 15°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30)는 제6실시 예와 같이 방음지주(21)의 내부에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1)을 삽입하고 볼트(B)를 사선방향으로 끼워넣고 이들의 사이에 턴버클(32)을 설치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의 도면으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음지주(21)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회절음공간부(25)를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히면서 소멸되거나 흡음공(22)으로 유입되어 주행소음이 소멸된다. 여기서 회절음공간부(25)는 15°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30)는 제6실시 예와 같이 방음지주(21)의 내측에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판(31)을 끼워넣고 볼트(B)를 체결한 다음 턴버클(32)을 이들의 사이에 설치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도 12는 본 발명 방음지주(21)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동일한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실시 예의 방음지주(21)는 모서리부분이 많기 때문에 음향에너지가 다소 축적되는데, 이를 방지하면서 무엇보다 음파 및 회절음이 자연스럽게 감소될 수 있도록 제9실시 예에서는 전후방 방음날개(21a)(21b)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이 유선 형으로 곡면처리하여 음판 및 회절음이 유선형 곡면부를 따라서 흡음공(22)으로 흡음되거나, 또는 곡면부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회절음공간부(25) 내에서 자연소멸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음지주(21)를 고정하는 지지부재(30)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판(31)이 전후방 방음날개(21a)(21b)의 양단부에 끼워져서 볼트(B)와 턴버클(32)을 이용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한다.
제9실시 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방음지주(21)의 상부면을 밀폐시키는 덮개(24)의 상부에 회절음감소부재(24a)를 형성하여 상기 방음지주(21)의 상부로 회절하는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회절음감소부재(24a)는 덮개(24)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이의 상부에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절음감소부재(24a)를 형성할 수도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은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8
'형상으로 제작하면 곡면부를 따라서 회절음이 자연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다.(도 13참조)
상기 회절음감소부재(24a)는 방음지주(21)의 상부로 회절하는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발명이고,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고속도로나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1~2차선으로 이루어진 좁은 도로나, 커브길 또는 마을이 인접한 도로의 가장자리에 방음지주를 형성하여 마을주민들이 차량의 주행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특징 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방음지주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소음을 지면에서 방음지주가 설치되는 높이까지 전체적으로 소음을 감소시켜 소음성능을 향상시킨 것과, 상기 방음지주의 흡음공으로 흡음되지 않고 반사작용 및 회절작용으로 튕겨져 나온 음파 및 회절음을 방음지주와 방음지주의 사이에 형성된 회절음공간부에서 최종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회절음공간부는 차량이 진행되는 방향에서 사선방향으로 15°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반대차선에서 주행중인 자동차 전조등 불빛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차량이 진행되는 것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차량이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강한 풍압이 회절음공간부를 통과하면서 자연손실되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방음지주는 표면에 음향에너지가 축적되어 소음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방음지주의 전후방 방음날개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여 주행소음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소음감소부재를 압출성형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면서 설치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충돌시 방음지주와 흡음재가 차량과의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면서 파손된 방음지주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간편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소음감소부재의 상부로 회절하는 음파 및 회절음을 회절음감소부재의 곡면부를 따라서 회절음을 감소시켜 주행소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방음지주의 내측면에 도로에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로안전표시판을 형성하여 운전자가 이를 식별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1~2차선으로 이루어진 곳이나 마을의 근접지역 도로변을 따라서 방음지주를 설치하여 주민들이 주행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형 중앙분리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도로의 중앙분리대 상부에 형성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브라켓트(11)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트(11)의 바닥면은 도로에 앙카볼트(12)로 고정되어있고, 테두리면은 상부로 돌출된 고정부재(10);
    상기 브라켓트(11)에 일단이 고정되어있고, 타단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외측 테두리면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흡음공(22)이 형성된 방음지주(21)를 상기 고정부재(10)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상기 방음지주(21)와 방음지주(21)의 사이에는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치면서 감소되도록 회절음공간부(25)를 형성한 소음감소부재(20); 및
    상기 방음지주(21)의 일단과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방음지주(21)의 일단 내측면에 지지판(31)이 끼워지고, 상기 방음지주(21)와 방음지주(21)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턴버클(32)을 설치하여 양측에서 체결되는 볼트(B)가 방음지주(21)와 지지판(31)을 관통하여 턴버클(32)에 고정되면서 방음지주(21)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브라켓트(11)는 방음지주(21)의 내 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내부가 중공되어 저면 내측에 브라켓트(11)가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어있고, 상기 방음지주(21)의 내부에는 흡음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음지주(21) 상부에는 덮개(24)가 형성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고, 상기 방음지주(21)의 전후방에 선택적으로 도로안전표시판(27)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09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에 전후방 방음날개(21a)(21b)가 형성되고, 상기 방음날개(21a)(21b)의 양단부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전후방 방음날개(21b)(21a)의 전면과 후면에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오목부(26)를 형성하여 음파 및 회절음이 오목부 (26) 부분과 충돌하면서 주행소음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
    Figure 112007009595098-pat00010
    '자 형상으로 이루지면서 양단부에 방음날개(21a)(21b)를 형성하되, 상기 방음날개(21a)(21b)는 볼록부(26a)와 오목부(26)가 유선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록부(26a)와 오목부(26)의 양단부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
    Figure 112007009595098-pat00011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티자 모양이 서로 교호 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양단부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삼각형 모양이 서로 교호 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방음지주 (21)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12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13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고 내부에 방음지주(21)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판(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25)는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사선방향으로 10~20°의 각도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13. 도로의 중앙분리대 상부에 형성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브라켓트(11)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트(11)의 바닥면은 도로에 앙카볼트(12)로 고정되어있고, 테두리면은 상부로 돌출된 고정부재(10);
    상기 브라켓트(11)에 일단이 고정되어있고, 타단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외측 테두리면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흡음공(22)이 형성된 방음지주(21)를 상기 고정부재(10)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상기 방음지주(21)와 방음지주(21)의 사이에는 음파 및 회절음이 부딪치면서 감소되도록 회절음공간부(25)를 형성한 소음감소부재(20); 및
    상기 방음지주(21)의 일단과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방음지주(21)의 일단 내측면에 지지판(31)이 끼워지고, 상기 회절음공간부(25)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턴버클(32)을 설치하여 양측에서 체결되는 볼트(B)가 방음지주(21)와 지지판(31)을 관통하여 턴버클(32)에 고정되면서 복수의 방음지주(21)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 록 한 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주(21)는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14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에 전후방 방음날개(21a)(21b)가 유선형으로 곡면처리되고, 저면 내측에 브라켓트(11)가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방음지주(21)의 내부에는 흡음재(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음지주(21) 상부에는 덮개(24)가 형성되어 방음지주(21) 내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덮개(24)의 상부에는 회절음감소부재(24a)가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음지주(21)의 전후방에 선택적으로 도로안전표시판(27)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음감소부재(24a)는 상기 방음지주(21)의 상부로 회절하는 회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
    Figure 112006003444881-pat00015
    '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중앙분리대.
KR1020060005080A 2006-01-17 2006-01-17 흡음형 중앙분리대 KR10073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080A KR100730729B1 (ko) 2006-01-17 2006-01-17 흡음형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080A KR100730729B1 (ko) 2006-01-17 2006-01-17 흡음형 중앙분리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595U Division KR200413065Y1 (ko) 2006-01-18 2006-01-18 흡음형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729B1 true KR100730729B1 (ko) 2007-06-21

Family

ID=3837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080A KR100730729B1 (ko) 2006-01-17 2006-01-17 흡음형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7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929B1 (ko) * 2008-02-29 2009-05-28 리텍건설환경(주) 풍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방음벽
KR100951011B1 (ko) * 2009-09-17 2010-04-02 에스에이 주식회사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KR100994702B1 (ko) * 2007-12-24 2010-11-17 태종개발 주식회사 방음판을 이용한 중앙분리대 및 그 방음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535A (en) * 1987-08-14 1989-02-21 Atsuji Ogawa Bath boiler having far infrared ray radiating ceramics
JPH045215A (ja) * 1990-04-24 1992-01-09 Kao Corp 化粧料
KR20030072019A (ko) * 2002-03-05 2003-09-13 최창규 도로용 고탄력 중앙/차선 분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535A (en) * 1987-08-14 1989-02-21 Atsuji Ogawa Bath boiler having far infrared ray radiating ceramics
JPH045215A (ja) * 1990-04-24 1992-01-09 Kao Corp 化粧料
KR20030072019A (ko) * 2002-03-05 2003-09-13 최창규 도로용 고탄력 중앙/차선 분리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201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215호
일본 공개특허 평10-46535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702B1 (ko) * 2007-12-24 2010-11-17 태종개발 주식회사 방음판을 이용한 중앙분리대 및 그 방음판
KR100899929B1 (ko) * 2008-02-29 2009-05-28 리텍건설환경(주) 풍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방음벽
KR100951011B1 (ko) * 2009-09-17 2010-04-02 에스에이 주식회사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2204C (en)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US20200149313A1 (en) Parking Barrier System and Post
KR20080103883A (ko) 안전 가이드레일
KR102114961B1 (ko) 방음판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
KR100730729B1 (ko) 흡음형 중앙분리대
CN212983653U (zh) 声屏障凹凸重叠系统
KR200413065Y1 (ko) 흡음형 중앙분리대
CN110331683A (zh) 一种公路隧道接近段柔性护栏结构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CN212865713U (zh) 一种市政工程用防撞护栏
CN114075812A (zh) 适用于透明声屏障的凹凸重叠系统
CN215669108U (zh) 一种通透防撞声屏障
KR20090003941U (ko) 도로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CN106812074B (zh) 公路路侧安全与噪声综合防护体系
KR200390596Y1 (ko)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JPS6012484B2 (ja) 道路保護障壁
KR101288063B1 (ko) 교량용 난간
KR10037390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가드레일
CN102149874A (zh) 含有降噪措施的防护围栏
KR100899939B1 (ko) 바람개비형 방음벽
CN210737428U (zh) 一种城市道路过街岛防撞吸能结构
CN211228275U (zh) 一种高速公路防护栏缓冲装置
CN220521173U (zh) 一种道路桥梁用缓冲护栏
CN216040777U (zh) 一种带有防跌落结构的新型通透声屏障
KR102585134B1 (ko) 미세 격자망이 부착되고 구멍을 갖는 흡음형 투명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