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693B1 -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방법, 이 평가 방법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방법, 이 평가 방법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693B1
KR100729693B1 KR1020057015126A KR20057015126A KR100729693B1 KR 100729693 B1 KR100729693 B1 KR 100729693B1 KR 1020057015126 A KR1020057015126 A KR 1020057015126A KR 20057015126 A KR20057015126 A KR 20057015126A KR 100729693 B1 KR100729693 B1 KR 10072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ic substance
antigenic
gas
substance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226A (ko
Inventor
가즈오 니시까와
히데오 노지마
데쯔야 요네다
가즈히사 오노
세이꼬 시게따
마사또시 오시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S1O1)과,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S103)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의해서, 각종 활성화 가스가 각종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을 정확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항원성 물질, 항체, 활성화 가스

Description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이 평가 방법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METHOD OF EVALUATING PERFORMANCE OF ACTIVATED GAS OF INACTIVATING ANTIGENIC SUBSTANC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REATED ANTIGENIC SUBSTANCE TO BE USED AS EVALUATION SAMPLE IN THE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포유류 동물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와의 반응에 의해,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화 가스에 의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용기를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 동물의 화분증, 천식, 아토피 피부, 결막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화분, 진드기, 진드기 가루 및 집 먼지 등의 유해한 공기 중 부유 물질을 제거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 을 실현하고 싶다는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
이 요망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항원성 물질(알레르겐)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각종 필터나 집진 수단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8-173843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공기 조절 장치에서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인하여 필터에 의해 유해한 부유 물질을 흡착 또는 여과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의해 필터의 교환 등의 보수 관리가 불가결하고, 더구나 필터의 특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 조절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화분을 포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화분은 화분증의 원인이 되는 항원성 단백질이 존재한 상태로 포집 필터에 물리적으로 포집되어 잔존한다. 이와 같이 물리적으로 포집된 화분은 포집 필터로부터 쉽게 이탈하기 때문에, 운전 개시시, 운전 정지시 또는 필터 교환시 등에 포집된 화분의 재비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분 자체는 포집 필터로 포집할 수 있지만, 화분보다 더 입경이 작은 항원성 단백질은 포집 필터를 통과해 버릴 가능성이 있어, 근본적으로 항원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각종 필터뿐 아니라, 가열 처리에 의해 항원성 물질을 변성시키는 화분의 처리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7-807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공기 조절 장치에서는, 가열 처리에 방대한 에너지를 소비하 기 때문에 가정이 지불하는 전기 요금을 증대시키고,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 조절 장치를 여름철 또는 고온 지역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실내의 기온을 현저히 상승시켜 불쾌감을 느낀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냉방 장치에 조립하여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각종 필터뿐 아니라, 자외선 조사를 행함으로써 삼나무 화분증 항원을 불활성화하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6-154298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공기 조절 장치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방대한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가정이 지불하는 전기 요금을 증대시키고,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 따르면, 삼나무 화분에 의한 샘플의 항체값의 저하에는, 최저라해도 1.3 mW/cm2 이상의 강도로, 50 초 이상의 자외선 조사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삼나무 화분증 항원의 불활성화 능력은 낮아, 실용적인 기술이라고 하기 어렵다.
또한, 각종 필터뿐 아니라,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공기 청정기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0-111106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공기 조절 장치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방대한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가정이 지불하는 전기 요금을 증대시키고,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존이 대기 중에 방출되기 때문에, 조건에 따라서 인간을 비롯한 포유 동물의 생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들 모든 공기 조절 장치에서, 개인에 따라서 개체차가 있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성 물질의 종류에 따른 항원성 물질의 처리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항원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각종 제거 수단 또는 실활 수단의 효과가 다르다는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다.
상기 현실로부터, 본 발명의 과제는, 개인에 따라 개체차가 있는 항원성 물질의 종류 및(또는) 양에 대응한 종류 및(또는) 양의 활성화 가스에 의해, 항원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및(또는) 실활시킬 수 있는 공기 조절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활성화 가스가 각종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활성화 가스에 의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균질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시행 착오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발명자들은 용기 중에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고, 살포된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용기 중에 부유시킨 상태로 활성화 가스와 반응시킴으로써, 균질한 활성화 가스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을 정확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은,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과,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은,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과,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과,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이 항체에 대한 이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과 비교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이다.
여기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공중에 부유하는 이 항원성 물질과 이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반응시키는 스텝은, 용기 중에 이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살포하는 스텝과, 이 살포된 이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 용기 중에 부유시키는 스텝과, 이 용기 중에 이 활성화 가스를 도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이 항원성 물질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함으로써 이 항원성 물질을 공중에 부유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부유시키는 스텝은, 이 항원성 물질을 가요성을 갖는 시료대에 설치하는 스텝과, 이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부유시키는 스텝은, 상기 항원성 물질을 이부자리, 모포, 방석, 베개, 매트, 스폰지, 천, 종이, 발포 스티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요성을 갖는 시료대에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시료대를 두드리고(거나) 흔듦으로써 상기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이 항원성 물질과, 양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음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라디칼을 포함하는 가스, 오존 가스, 질산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가스를 반응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삼나무 화분 및(또는) 진드기 분진에 포함되는 항원성 물질, 삼나무 화분, 진드기 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측정하는 스텝은 엘리사법(ELISA) 및(또는) 엘리사 억제법(ELISA inhibition)에 의해,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측정하는 스텝은,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의 생산 세포를 보유하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의 피내 반응 시험 및(또는) 결막 반응 시험에 의해, 이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는, 용기와, 이 용기 내에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수단과, 이 활성화 가스를 이 용기 내에서 발생 또는 도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와, 이 용기 내에 항원성 물질을 밀봉하는 수단과, 이 활성화 가스를 이 용기 내에서 발생 또는 도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도 제공한다.
상술한 모든 본 발명의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는 투명한 재질을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 발생 소자의 구조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이온 발생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화분증 환자 19 내지 40의 혈청 IgE 항체의 알레르기 반응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 10A 및 10B는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화분증 환자 41 내지 60의 혈청 IgE 항체의 알레르기 반응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Cry j 1 및 Cry j 2와 그의 모노클로날 항체와의 반응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엘리사 억제법에 의해,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항원성 물질과 화분증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알레르기 반응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활성화 가스에 있어서의 양음 두이온 각각의 농도와 삼나무 화분 유래의 항원성 물질의 반응 실활률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로서, 오존 농도를 감소시키는 장비를 구비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항원성 물질(진드기 항원성 물질)을 이온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 a 내지 r의 혈청 IgE 항체와의 알레르기 반응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로서, 송풍기와 회수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로서, 송풍기와 회수 용기를 구비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은 양음 두이온의 공간 평균 농도(3000개/cm3)하에, 엘리사 억제법에 의해, 진드기 분진을 이온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항원성 물질과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알레르기 반응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양음 두이온의 공간 평균 농도(10000개/cm3)하에, 엘리사 억제법에 의해, 진드기 분진을 이온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항원성 물질과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알레르기 반응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항원성 물질>
본 명세서에서 항원성 물질이란, 삼나무, 노송나무, 두드러기쑥 등의 화분류나 진드기 등의 생물, 진드기 등의 생물 배설물 또는 집 먼지 등의 가정내 부유물 등에 포함되는 물질이며,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 동물의 생체에 작용함으로써 항원 항체 반응의 일종인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항원성 물질은 통상, 단백질 또는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그의 형상 또는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들의 단백질이나 당단백질 자체의 분자상의 것, 또는 이들이 집합하여 입자상으로 된 것, 또는 그의 분자상의 것의 일부인 항체 반응 부위(항원 결정기나 에피토프라고도 함)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원성 물질은 삼나무 화분 자체 또는 삼나무 화분에 포함되는 항원성 물질(삼나무 항원성 물질)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원성 물질은 진드기 분진 자체 또는 진드기 분진에 포함되는 항원성 물질(진드기 항원성 물질)로 할 수 있다.
삼나무 화분증의 원인이 되는 항원성 물질을 예로 들면, 항원성 물질에는 삼나무 화분증의 원인 물질로서 알려져 있는 Cry j 1 단백질 및 Cry j 2 단백질뿐 아니라 Cry j 1 단백질 및 Cry j 2 단백질의 에피토프도 포함되고, 또한 Cry j 1 단백질 및 Cry j 2 단백질이 다량 포함되는 삼나무 화분 중의 입상물(유비쉬 바디(Ubish body)나 오르비클(orbicle)이라고도 함)도 포함되며, 삼나무 화분 자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은 진드기 자체의 체내에 포함되는 것이지만, 일반 생활 환경에 있어서는 진드기 자체에보다는 오히려 진드기 분진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진드기 분진이란, 진드기 자체를 비롯하여 진드기 사체나 신체의 일부, 및 진드기의 음식물이나 배설물, 껍질(拔殼)이나 알을 포함한 미립상의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원성 물질이란, 이러한 진드기 분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항체 반응 부위>
본 명세서에서 항체 반응 부위란, 항원성 물질에 포함되는 특정 부분으로, 항체와 결합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항원성 물질은, 이 항체 반응 부위가 변성 내지 파괴(분해)되면 항체와 결합할 수 없게 되고, 이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활성화 가스>
본 명세서에서 활성화 가스란,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어떠한 화학 반응 및(또는) 물리적 작용을 일으키는 가스를 의미한다. 활성화 가스의 구체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양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음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양음이온을 모두 포함하는 가스,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 질산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라디칼을 포함하는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항원성 물질에 대한 활성화 가스에는 다양한 조성의 가스가 있을 수 있다고 상정되지만, 이들 활성화 가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음이온을 모두 포함하는 가스가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활성화 가스로서 작용하여 그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은, 종래 공지된 현상이 아니라,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된 현상이다.
<항원성 물질의 실활>
본 명세서에서 항원성 물질의 실활이란, 항원성 물질의 항원성 물질로서의 활성의 소멸 또는 저감을 의미한다. 즉, 항원성 물질의 항체와 반응하는 능력의 소멸 또는 저감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활성화 가스에 의한 항원성 물질의 실활 메카니즘은, 이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특히 그의 항체 반응 부위를 공격함으로써 상기 단백질을 변성 내지 파괴(분해)하여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메카니즘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된 현상으로서, 양음이온을 모두 포함하는 가스는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활성화 가스로서 작용하여 그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실활 기능은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작용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본 발명자들의 발견에 따르면, 양이온과 음이온을 모두 포함하는 가스를 이용함으로써, 양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또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각각 단독의 경우와 비교하여,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각별한 실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자들의 발견에 따르면, 이들 양음이온이 공존하는 가스를 사용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 물질이 발생하고, 이 활성 물질이 항원성 물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특히 그의 항체 반응 부위를 공격함으로써, 상기 단백질을 변성 내지 파괴(분해)하여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킨다는 것은, 보다 상세하게 정의하 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항원성 물질을 변성 내지 파괴(분해)함으로써 항원성 물질을 소멸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대기 가스 중의 단위 체적당 상기 항원성 물질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그 항원성 물질의 항체 반응 부위의 항체와의 반응성을 저하시키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항원성 물질의 반응 실활률(또는 잔존 활성)의 측정 수법(또는 정의 수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고, 항원성 물질의 종류 및 활성화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한 수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수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로서 엘리사 억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활성화 가스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50 % 저해를 나타내는 농도를 측정한 경우에, 그 50 % 저해 농도가 활성화 가스 미처리의 항원성 물질의 50 % 저해 농도와 비교하여, 예를 들면 5배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잔존 활성은 20 %(즉, 반응 실활률 80 %)가 된다.
또한, 어느 정도의 반응 실활률을 실현하는 경우에, 활성화 가스에 항원성 물질에 대한 실활 능력이 있다고 판단하는가는, 활성화 가스의 종류 및 항원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고, 적당한 역치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이용하고, 항원성 물질로서 삼나무 화분 유래의 항원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은,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S101)과,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S103)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이다.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는, 도 1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S101),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S103)에 이어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이 항체에 대한 이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과 비교하는 스텝(S10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조 시료와의 비교를 도입한 평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이 활성화 가스의 실활 능력을 정확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이 항체에 대한 이 항원성 물질(일반적으로, 활성화 가스 미처리의 항원성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예상됨)의 결합 활성과 비교할 경우, 이 항체에 대한 이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은 미리 측정해 둔 측정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실시할 때마다 측정한 측정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평가 결과의 정확성이라는 면에서는, 그 때마다 측정한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평가 결과를 간편하면서 또한 신속하게 얻기 위해서는, 미리 측정해 둔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공중에 부유하는 이 항원성 물질과 이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중에 부유하는 항원성 물질에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킴으로써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균일한 상태로 반응시킬 수 있고, 항원성 물질의 부유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의 반응 시간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공중에 부유시키는 데에, 활성화 가스를 포함하는 대기 가스를 교반 또는 유동시킴으로써 항원성 물질을 들어 올려 공중에 부유시킬 수도 있고, 또는 단순히 항원성 물질을 일정 거리 낙하시킴으로써 공중에 부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반응시키는 스텝은, 용기 중에 이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스텝과, 이 살포된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 용기 중에 부유시키는 스텝과, 이 용기 중에 이 활성화 가스를 도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기 중에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살포함으로써, 항원성 물질이 불필요하게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용기 내의 항원성 물질의 농도를 일정한 범위로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용기는 밀폐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구를 갖는 반밀폐계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살포된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용기 중에 부유시킴으로써, 활성화 가스를 포함하는 대기 가스를 교반 또는 유동시켜 항원성 물질을 들어 올린 경우에도, 항원성 물질이 불필요하게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용기 내의 항원성 물질의 농도를 일정한 범위로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용기 중에 활성화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활성화 가스가 불 필요하게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항원성 물질의 농도가 일정한 범위로 유지된 용기 내에서, 일정한 범위의 농도의 활성화 가스를 항원성 물질과 균일하게 반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항원성 물질은 용액 중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용기 내에 살포할 때는, 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소하면서 또한 균일한 입경의 용액을 분무할 수 있어,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의 반응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상기 항원성 물질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항원성 물질을 공중에 부유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유시키는 스텝은, 상기 항원성 물질을 가요성을 갖는 시료대에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요성을 갖는 시료대는 이부자리, 모포, 방석, 베개, 매트, 스폰지, 천, 종이, 발포 스티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스텝은, 상술한 시료대를 두드리고(거나) 흔듦으로써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이 항원성 물질과 양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음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라디칼을 포함하는 가스, 오존 가스, 질산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가스를 반응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은, 항원성 물질과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반응시키는 스텝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삼나무 화분 유래의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으며, 다른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기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오존 가스, 질산 가스, 라디칼을 포함하는 가스에 대해서도, 가스상의 물질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평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항원성 물질에 대한 실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측정하는 스텝은 엘리사법 및(또는) 엘리사 억제법에 의해,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엘리사법 및(또는) 엘리사 억제법을 이용함으로써, 항체에 대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사 억제법에 의해, 활성화 가스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50 % 저해를 나타내는 농도를 측정한 경우에, 그 50 % 저해 농도를 활성화 가스 미처리의 항원성 물질의 50 % 저해 농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50 % 저해 농도가 5배가 되는 경우에, 잔존 활성은 20 %(즉, 반응 실활률 80 %)가 된다.
또한, 이 측정하는 스텝은,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의 생산 세포를 보유 하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의 피내 반응 시험 및(또는) 결막 반응 시험에 의해, 이 항체와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이 항체에 대한 이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의 생산 세포를 보유하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의 피내 반응 시험 및(또는) 결막 반응 시험에 의해, 항체에 대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보다 인간의 생체내 상태에 가까운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간에서의 피내 반응 시험 및 결막 반응 시험을 행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에서 가능한 생체 시험은 마우스나 래트나 토끼 등의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을 이용하는 경우 인간을 이용하는 것보다 매우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의학, 약학, 농학, 생물학, 생화학, 분자 생물학 등의 분야에서의 기술 상식이다.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는, 용기와, 이 용기 내에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수단과, 이 활성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발생 또는 도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는, 용기와, 이 용기 내에 항원성 물질을 밀봉하는 수단과, 이 활성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발생 또는 도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활성화 가스와 항원성 물질을 균일한 상태에서 쉽게 반응시킬 수 있고,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는, 항원성 물질을 이 용기 내에 부유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가스 및 항원성 물질의 확산을 용기의 존재에 의해 막을 수 있으므로, 항원성 물질을 활성화 가스를 포함하는 대기 가스의 교반 또는 유동에 의해 들어 올려 용기 내에 부유시켰다고 해도,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의 농도가 일정한 범위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 용기는 투명한 재질을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항원성 물질의 부유 상황 등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의 반응 조건의 조절이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장치는, 용기로서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수단으로서 분무기(1024) 및 주입구(102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을 용기 내에 부유시키는 수단으로서, 일정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항원성 물질이 부유하게 되는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활성화 가스로서 양이온(1022), 음이온(1023)을 모두 포함하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도입하는 수단으로서 이온 발생 소자(10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장치에는, 그 외에도 활성화 가스에 의한 처리가 종료된 항원성 물질의 회수 용기(1025) 및 활성화 가스를 포함하는 대기 가스의 탈기구(1026)이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장치는, 용기로서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수단으로서 주입구(103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을 용기 내에 부유시키는 수단으로서, 일정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항원성 물질이 부유하게 되는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도입하는 수단으로서 이온 발생 소자(1031)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장치는, 용기로서 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47)을 구비하고 있 다. 또한,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수단으로서 개폐식 뚜껑(104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을 용기 내에 부유시키는 수단으로서, 일정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직립시킴으로써, 또는 길이 방향으로 반복하여 뒤집어 놓음으로써, 그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항원성 물질이 부유하게 되는 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4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도입하는 수단으로서 이온 발생 소자(104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장치에는, 그 외에도 항원성 물질(1049), 전압 인가 전극(1042), 유전체(1043), 접지 전극(1044)가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또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장치는, 용기로서 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5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1053)을 살포하는 수단으로서 개폐식 뚜껑(105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1053)을 용기 내에 부유시키는 수단으로서 팬(10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1052)를 포함하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도입하는 수단으로서 이온 발생 소자(1051)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또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장치는, 용기로서 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67)을 구비하고 있 다. 또한, 항원성 물질(1063)을 살포하는 수단으로서 개폐식 뚜껑(106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항원성 물질(1063)을 용기 내에 부유시키는 수단으로서 팬(1069), 및 활성화 가스를 투과시키지만 항원성 물질을 투과시키지 않는 필터(106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1062)를 포함하는 가스를 이 용기 내에 도입하는 수단으로서 이온 발생 소자(1061)을 구비하고 있다.
<이온 발생 소자>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에서 이용하는 이온 발생 소자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전기적 충격에 의해 직접적으로 항원성 물질의 알레르기 반응을 실활시킬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온 발생 소자는, 그의 부설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장치의 풍로에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발생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양음 두이온은 단시간에 소실되기 때문에, 이들 양음 두이온을 양호한 효율로 공기 중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온 발생 소자의 설치 갯수는 1개일 수도 있고, 2개 이상이어도 지장이 없다.
이러한 이온 발생 소자로서는, 방전 기구에 의해 양음 두이온을 발생시키는 종래 공지된 이온 발생 소자가 이용된다. 특히,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작용시키는 대기 중의 양음 두이온의 농도가, 각각 10만개/cm3 이상이 되도록 양이온과 음이온을 공기 중에 송출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온 농도란, 작은 이온의 농도를 의미하고 있고, 상기 작은 이온의 농도 측정 방법으로서는, 임계 이동도를 1 cm3/Vㆍ초로 하고, 공기 이온 이온 카 운터(단 가가꾸 제조 공기 이온 카운터(품번 83-1001B))로써 측정한 값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방전 기구란, 절연체를 전극 사이에 끼운 구조를 가지고, 한쪽에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다른 한쪽 전극은 접지시키며, 고전압을 인가시킴으로써 접지 전극에 접해 있는 공기층에 플라즈마 방전을 형성하여, 공기 중의 물 분자나 산소 분자를 전리 또는 해리함으로써 양음 두이온을 생성시키는 것과 같은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방전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극의 형상을 전압 인가측은 판상 또는 메쉬상으로 하고, 접지측 전극은 메쉬상으로 한 경우, 고전압을 인가하면 접지측 전극의 메쉬 단면부에서 전계가 집중하며, 연면 방전(surface discharge)이 일어나 플라즈마 영역이 형성된다. 이 플라즈마 영역에 공기를 유입시키면 양음 두이온이 생성된다.
이러한 방전 기구를 갖는 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연면 방전 소자, 코로나 방전 소자, 플라즈마 방전 소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전 소자의 전극의 형상이나 재질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형상, 재질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 발생 소자의 구조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온 발생 소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유전체(7003)을 판 형상의 전압 인가 전극(7002)와 메쉬 형상의 접지 전극(7004) 사이에 끼우고, 고압 전원(7001)에 의해 판 형상의 전극에 정극과 부극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함으로써, 메쉬 형상 전극의 메쉬 단면에서 전계가 집중하여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며 플라즈마 영역(7005)가 형성되어 양음 두이온이 생성되는 것과 같은 구조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양음 두이온의 발생, 송출에 필요한 인가 전압은 이온 발생 소자의 구조에도 의존하지만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으로서 2 내지 10 k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kV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한 항원성 물질의 실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를 이용하고,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의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는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단, 본 발명은 양음이온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스종 또는 가스 농도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한 항원성 물질의 실활 메카니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 반응에 의한 메카니즘뿐만 아니라, 항원성 물질의 항체 반응 부위를 이온 발생 소자에 있어서의 전기적 충격에 의해 변성 내지 파괴시키는 것에 의한 실활이라는 메카니즘도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즉, 항원성 물질의 항체 반응 부위는, 양음 두이온을 발생시킬 때의 전압 인가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 자체에 의해서도 변성 내지 파괴되고, 이러한 전기적 충격에 의해서도 항원성 물질과 항체와의 결합 능력은 상실되어,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킨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의해, 항원성 물질의 항체 반응 부위를 전기적 충격 및(또는) 화학 반응에 의해 변성 내지 파괴시킴으로써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전기적 충격과 화학 반응 두 가지 모두가 상승적으로 발휘됨으로써 항원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실활시킨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의 송출 방법>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의 송출 방법으로서 어떠한 방법이 바람직한 가를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음 두이온은 주로 이온 발생 소자의 방전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고, 통상 정부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시킴으로써 양음 두이온을 거의 동시에 발생시켜 공기 중에 송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음 두이온의 송출 방법은 이것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정부 어느 한쪽 전압만을 일정 시간 인가하여 양음 어느 한쪽만의 이온을 먼저 송출시킨 후, 다음에 반대 전압을 일정 시간 인가하여 이미 송출된 이온과는 반대의 전하를 갖는 이온을 송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양음 두이온의 발생, 송출에 필요한 인가 전압은, 전극의 구조에도 의존하지만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 전압으로서 2 내지 10 k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kV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은, 2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의 상대 습도하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음 두이온의 발생은 공기 중 물 분자의 존재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즉, 상대 습도가 20 % 미만인 경우에는, 이온을 중심으로 자리잡은 물 분자에 의한 클러스터화가 적절하게 진행되지 않아, 이온끼리의 재결합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발생한 이온의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9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온 발생 소자의 표면에 수분이 이슬을 형성함으로써 이온의 발생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발생한 이온도 클러스터화가 지나치에 진행되어 많은 물 분자에 의해 둘러싸이기 때문에, 중량이 증가하여 그다지 멀리 방출되지 않는 채로 침강되어 버린다는 상황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극단적인 저습도나 고습도에서의 이온의 발생은 어떤 경우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양음 두이온의 송출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전 현상 뿐만 아니라, 자외선이나 전자선을 방사하는 장치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양음 두이온의 동정>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이용하 는 경우에는, 양이온 및 음이온은 방전 소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 분자 및(또는) 물 분자를 원료로 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발생 방법에 따르면, 특별한 원료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원료 자체에 유해성이 없고, 또한 다른 유해한 이온이나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온 발생 소자의 방전 현상에 의해 발생된 양음 두이온의 조성은, 주로 양이온으로서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물 분자가 전리되어 수소 이온 H+가 생성되고, 이것이 용매화 에너지에 의해 공기 중의 물 분자와 클러스터링함으로써 H3O+(H2O)n(n은 0 또는 자연수)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양이온으로서 기재한 H3O+(H2O)n(n은 0 또는 자연수)는, 표기 방법을 변경하면 H+(H2O)n(n은 자연수)로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등한 이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A 및 8B는 이온 발생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물 분자가 클러스터링하고 있는 것은, 도 8A에 있어서 최소로 관측되는 피크가 분자량 19의 위치에 있고, 다음 피크는 이 분자량 19에 대하여 물의 분자량에 상당하는 18을 차례로 더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분명하다. 즉, 이 결과는 분자량 1의 수소 이온 H+에 분자량 18의 물 분자가 일체가 되어 수화된 것을 나 타내고 있다. 한편, 음이온으로서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 분자 또는 물 분자가 전리되어 산소 이온 O2 -가 생성되고, 이것이 용매화 에너지에 의해 공기 중의 물 분자와 클러스터링함으로써 O2 -(H2O)m(m은 0 또는 자연수)를 형성한 것이다. 물 분자가 클러스터링하고 있는 것은, 도 8(b)에 있어서 최소로 관측되는 피크가 분자량 32의 위치에 있고, 다음 피크는 이 분자량 32에 대하여 물의 분자량에 상당하는 18을 차례로 더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분명하다. 즉, 이 결과는 분자량 32의 산소 이온 O2 -에 분자량 18의 물 분자가 일체가 되어 수화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공간에 송출된 이들 양음 두이온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항원성 물질을 둘러싸고, 항원성 물질의 표면에서 양음 두이온이 이하와 같은 화학 반응식 1 내지 2에 의해 활성종인 과산화수소 H2O2, 이산화수소 HO2 또는 히드록시 라디칼 ㆍOH를 생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H3O++O2 - -> ㆍOH+H2O2
H3O++O2 - -> HO2+H2O
또한, 이와 같이 양음 두이온이 작용하여 생성된 과산화수소 H2O2, 이산화수소 HO2 또는 히드록시 라디칼 ㆍOH는, 항원성 물질의 항체 반응 부위를 변성 내지 파괴(분해)하여 항원성 물질과 항체와의 결합 능력을 상실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양이온으로서 H3O+(H2O)n(n은 0 또는 자연수), 음이온으로서 O2 -(H2O)m(m은 0 또는 자연수)를 각각 중심으로 서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음이온은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종의 양음이온을 주체로 하면서, 예를 들면 양이온으로서는 N2 +, O2 +등을, 음이온으로서는 NO2 -, CO2 -등을 각각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삼나무 화분>
히로시마켄 유타카마찌에서 생육하는 일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가지로부터 삼나무 화분을 채취하였다. 그 때, 메쉬를 부착한 청소기를 이용하고, 그 후 체질하여 수집하였다. 수집 후의 보존은 -30 ℃의 동결기를 이용하였다.
<삼나무 항원성 물질>
삼나무 화분 80 g을 20 mM PBS(pH 7.4) 3.2 L 중에서 4 ℃, 4 시간 교반한 후, 6000 rpm, 30 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상청에 최종 농도 80 % 포화가 되도록 황산 암모늄을 첨가하고, 6000 rpm, 30 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후, 6 시간의 투석을 6회 반복하여 행하고, 10000 rpm, 30 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얻어진 상청을 동결 건조시켜 삼나무 항원성 물질이라 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CJP라고도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폴린-로우리(Folin-Lowry)법에 의한 단백량의 측정>
[시약의 조성]
A액; 페놀 시약을 산으로서 1N으로 만든 용액
B액; 2 % Na2CO3
0.1N NaOH
C액; 0.5 % CuSO4ㆍ5H2O
1 % 시트르산 나트륨
D액; B:C=50:1(v/v)의 혼합액
[측정 방법]
샘플 0.2 ㎖와 D액 1 ㎖를 혼합하여 10 분 방치하였다. 다음에 A액을 0.1 ㎖ 첨가하여 30 분 방치한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BSA로 표준 계열을 만들어, 동일한 순서로 검량선을 작성하고, 샘플의 단백량을 BSA 환산량 으로서 정량하였다.
<삼나무 항원성 물질의 살포, 회수>
삼나무 화분으로부터 추출한 삼나무 항원성 물질(단백 농도 200 ng/㎖)을 양이온과 음이온 조사하에서 분무기로 살포하였다. 살포 용기 바닥에 회수 접시를 놓아, 벽면에 닿지 않고 이온 처리된 항원만을 회수하였다. 또한, 8 ㎖의 용액(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포함함)을 1.5 시간에 걸쳐 살포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삼나무 화분의 항원성 물질을 이용하여, 양음 두이온의 작용에 의한 항원성 물질의 알레르기 반응의 저하를 확인한 것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의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A, 8B는 도 2에 나타낸 장치에 구비되는 이온 발생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에 나타낸 장치에서는, 이온 발생 소자(1021)로서 세로 37 mm, 가로 15 mm의 평판상의 연면 방전 소자를 이용하였다. 또한, 전극 사이에 정부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함으로써 표면 전극부에서 연면 방전을 일으키고, 대기압하에서의 방전 플라즈마에 의해 양이온(1022)와 음이온(1023)을 동시에 생성하여 송출시켰다. 인가한 전압은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 전압으로서 3.3 kV 내지 3.7 kV이고, 이 범위의 전압에서 인체에 유해한 수준의 오존은 발생되지 않았다. 상기 이온 발생 소자는, 내경 150 mm, 길이 370 mm의 아크릴제의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 의 내부에 4개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이 용기의 한쪽에는 항원 물질 용액을 살포하는 주입구(1028)을, 다른 한쪽에는 항원성 물질액의 회수 용기(1025)를 부착하였다.
항원 물질로서 삼나무 화분으로부터 추출한 항원 물질을 이용한 경우, 삼나무 화분은 히로시마켄 유타카마찌에 생육하는 일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의 가지로부터 채취하였다. 그 때, 메쉬를 부착한 청소기를 이용하고, 그 후 체질하여 수집하였다. 수집 후의 보존은 -30 ℃의 동결기를 이용하였다. 또한, 삼나무 화분으로부터의 항원 물질의 추출 방법으로, 삼나무 화분 80 g을 20 mM PBS(pH 7.4) 3.2 L 중에서 4 ℃, 4 시간 교반한 후, 6000 rpm, 30 분 원심 분리 후, 상청에 최종 농도 80 % 포화가 되도록 황산 암모늄을 첨가하고, 6000 rpm, 30 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6 시간의 투석을 6회 반복하여 행하고, 10000 rpm, 30 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얻어진 상청을 동결 건조시켜 항원 물질액이라 하였다.
공시 항원 물질액을 분무기(1024)에 8 ㎖ 넣고,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항원성 물질액 살포용 주입구(1028)에 접속하였다. 동일한 장치의 항원 물질액의 회수 용기(1025)는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의 바닥에 설치하였다. 분무기는 공기 압축 장치와 접속하여 압축 공기(유량 5 L/분)에 의해 주입구(1028)로부터 공시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였다. 살포량은 8.0 ㎖(살포 시간 90 분)으로 하였다. 90 분간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 바닥에 침강된 항원성 물질을 회수 용기로 포집하였다. 또한, 분무된 항원성 물질은 공기 중에서 90 초간에 걸쳐 자연 낙하하여, 공기 중 의 양이온(1022) 및 음이온(1023)과 작용하였다.
화분증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청 IgE 항체와의 반응성을 엘리사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양음 두이온의 농도는 상기와 같이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설치한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의 항원성 물질액 살포용 주입구(1028)로부터 공기 압축 장치에 의해 유량 5 L/분으로 공기를 흘리고, 항원성 물질액의 회수 용기(1025)에 단 가가꾸 제조 공기 이온 카운터(품번 83-1O01B)를 설치하여, 상기 공간에서의 양음 두이온의 합계 농도를 측정하였다. 공간 대기는 온도 25 ℃, 상대 습도 60 %RH였다. 또한, 도 8A,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출된 양이온은 H3O+(H2O)n(n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 음이온은 O2 -(H2O)m(m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이고, 이들 양음 두이온은 상기 화학 반응식 1 및 2에 의해 과산화수소 H2O2, 이산화수소 HO2 또는 히드록시 라디칼 ㆍOH를 생성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인 때를 미처리라 하고, 상기 소자에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 전압으로서 3.3 kV 내지 3.7 kV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여 양음 두이온을 송출하여,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내의 양음 두이온의 농도를 양음 두이온 각각 10만개/cm3로 한 경우의 항원성 물질과 IgE 항체와의 알레르기 반응성의 저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9A, 9B 및 도 10A, 10B에 나타내었다.
도 9A 및 도 9B는,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 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화분증 환자 19 내지 40의 혈청 IgE 항체와의 알레르기 반응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화분증 환자 41 내지 60의 혈청 IgE 항체와의 알레르기 반응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9B 및 도 10A,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즉, 양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와, 양음 두이온의 농도가 각각 10만개/cm3가 된 경우, 화분증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반응성(결합성)은 화분증 환자 42명 중 33명의 혈청 IgE 항체 반응성이 유의하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무기로 살포 후,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미처리의 경우와, 상기 소자에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 전압으로서 3.3 kV 내지 3.7 kV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여 양음 두이온을 송출하여,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내의 양음 두이온의 농도를 양음 두이온이 각각 10만개/cm3가 되게 한 경우의 Cry j 1 및 Cry j 2 모노클로날 항체와 혈청 IgE 항체의 반응성 저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Cry j 1 및 Cry j 2와 그의 모노클로날 항체와의 반응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즉, 양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은 상 태)와, 양음 두이온을 각각 10만개/cm3로 한 경우의, 화분증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반응성(결합성)은, 이온 처리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 Cry j 1 및 Cry j 2 모노클로날 항체의 혈청 IgE 항체 반응성이 유의하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온 처리 및 미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의 화분증 환자 혈청 IgE와의 반응성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엘리사 억제법에 의한 실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분무 후 회수한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원심 분리기(센트리프렙(Centriprep) YM-10)에 넣어 2500 rpm으로 원심 농축하였다. 또한, 이 농축액을 원심 분리기(울트라 플리(ULTRA FLEE)-MC)에 넣어 7000 rpm으로 원심 농축하였다. 농축한 이온 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 및 미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단백질 농도 11 ㎍/㎖에서 5배 희석을 8회 반복하여 행하였다. 희석한 각각의 항원성 물질 50 ㎕와 10배 희석한 환자 혈청 IgE 50 ㎕를 혼합하여 4 ℃에서 밤새 예비 배양하였다.
엘리사용 96-웰 플레이트에 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으로 1 ㎍/㎖로 희석한 삼나무 항원성 물질(살포도 행하지 않음)을 웰에 50 ㎕ 적용하여 2 시간 정치시켰다. 세정 완충액으로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블로킹 완충액을 300 ㎕ 적용하여 4 ℃에서 밤새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예비 배양하였던 샘플을 각각 50 ㎕ 웰에 적용하여 4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1000배 희석 한 비오틴-표지된 항-인간 IgE를 웰에 50 ㎕ 적용하여 2.5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1000배 희석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표지 스트렙타비딘을 50 ㎕ 적용하여 실온에서 1.5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4회 세정한 후, 아토포스(Attophos) TM 기질 완충액을 웰에 50 ㎕ 적용하여 차광 상태에서 발색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형광 강도를 시토(Cyto) TM 플루오르(Fluor) II로 측정하였다.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미처리의 경우와, 상기 소자에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 전압으로서 3.3 kV 내지 3.7 kV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여 양음 두이온을 송출하여, 반밀폐형의 원통형 용기(1027)내의 양음 두이온의 농도를 양음 두이온이 각각 10만개/cm3가 되게 한 경우의 화분증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반응성(결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는 엘리사 억제법에 의해,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처리한 경우와 미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항원성 물질과 화분증 환자의 혈청 IgE 항체의 알레르기 반응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즉, 양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는 50 % 저해에 필요한 삼나무 항원성 물질량이 2.53×103 pg이고, 양음 두이온의 농도가 각각 10만개/cm3가 된 경우에서는 50 % 저해에 필요한 삼나무 항원성 물질량이 1.34×104 pg이고, 반응 실활률은 81 %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온 처리 및 미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0.9 % NaCl로 단백 농도0.5 ㎍/㎖로 희석한 것을, 투베르쿨린용 주사기로 0.02 ㎖를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팔뚝 안쪽 피내에 주사하였다. 약 15 분 후에 나타난 홍반, 두드러기의 직경과 단경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 직경으로부터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45197511-pct00001
홍반<10 mm를 -, 홍반 10 내지 20 mm를 ±, 홍반 20 내지 30 mm, 두드러기<10 mm를 +, 홍반 30 내지 40 mm, 두드러기 10 내지 14 mm를 ++, 홍반>40 mm, 두드러기>15 mm, 두드러기에 위족을 나타내는 것을 +++라 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미처리의 경우(즉, 양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양음 두이온의 농도가 각각 10만개/cm3가 된 경우에 화분증 환자의 피내 반응성은 유의하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온 처리 및 미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을 0.9 % NaCl로 단백 농도 5 ㎍/㎖로 희석한 것을 피펫으로 5 ㎕를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눈에 적하하여, 약 15 분 후 결막 반응 반월 주름, 안검 피부 및 구결막의 충혈, 가려움, 유루(lacrimation) 등을 관찰하였다. 판정은 전혀 충혈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 약간 충혈이 확인되며 가려운 느낌이 있는 경우를 ±, 구결막 상부 또는 하부의 한쪽에 충혈이 확인되는 경우를 +, 구결막의 상부 및 하부 모두에 충혈이 확인되는 경우를 ++, 구결막 전체에 충혈이 확인되는 경우를 +++, 또한 안검의 부종 등을 확인한 경우를 ++++라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미처리의 경우(즉, 양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양음 두이온의 농도가 각각 10만개/cm3가 된 경우에 화분증 환자의 결막 반응성은 유의하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엘리사법에 있어서의 환자 19의 혈청 IgE를 항체로서 이용하고, 항원성 물질(삼나무 항원성 물질)의 농도(단백질 농도로서)를 100 ng/㎖, 200 ng/㎖, 400 ng/㎖, 800 ng/㎖의 4 가지 농도로서, 상기와 동일(즉, 장치로서는 도 3의 장치를 이용하고, 이온 처리하는 경우에는 양음이온 각각 10만개/cm3의 농도로 함)하게 하여 엘리사법에 의해 각각 미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과 이온 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의 형광 강도를 구하였다. 또한, 이 형광 강도로부터 이하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알레르기 반응의 반응 실활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45197511-pct00002
반응 실활률%=(1-C/D)×100
C: 이온 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의 형광 강도
D: 미처리 삼나무 항원성 물질의 형광 강도
계속해서, 상기 항원성 물질의 농도가 200 ng/㎖인 경우를 기준으로서 선택하여, 이온 농도와 항원성 물질의 농도 사이에는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는 전제하에 양음 각각의 이온 농도와 반응 실활률과의 관계를 구하였다. 즉, 반응 실활률이 일정하면, 이온 농도와 항원성 물질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한다고 생각되고, 예를 들면 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해두고 항원성 물질 농도를 반으로 만든 상태와, 항원성 물질 농도를 일정하게 해두고 이온 농도를 2배로 만든 상태에서는, 동일한 반응 실활률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에서의 이온 농도가 양음이온 각각 10만개/cm3인 것 및 상기 항원성 물질의 농도가 200 ng/㎖인 것의 2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음 각각의 이온 농도와 반응 실활률과의 관계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즉, 도 13 중 양음이온 농도가 2.5만개/cm3, 5만개/cm3, 10만개/cm3, 20만개/cm3인 데이터는, 각각 상기 엘리사법에 있어서의 항원성 물질 농도가 800 ng/㎖, 400 ng/㎖, 200 ng/㎖, 100 ng/㎖인 경우의 데이터에 대응하였다(또한, 도 13의 횡축은 양음이온 각각의 농도를 나타냄).
도 1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양음이온 농도가 증가하면 반응 실활률도 향상되고, 특히 양음이온 농도가 각각 5만개/cm3이면, 78 % 정도의 반응 실활률이 달성되어, 항원성 물질의 안정한 실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음이온 농도가 각각 10만개/cm3이면, 83 %의 반응 실활률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양음이온 농도가 각각 20만개/cm3이면, 94 %의 반응 실활률을 달성할 수 있어, 화분증이나 진드기 알레르기 등의 알레르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활성화 가스로서 양음 두이온을 포함하는 가스를 이용하고, 항원성 물질로서 삼나무 화분 유래의 항원성 물질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활성화 가스 및 다른 종류의 항원성 물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정확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생성하였지만,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생성하더라도, 상기와 동일하게 정확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진드기 분진의 항원성 물질을 이용하여 양음 두이온의 작용에 의한 항원성 물질의 실활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도 14 및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작용에 의한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엘리사법에 의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약칭 Derf)와, 환자 a 내지 r의 총 18명의 혈청 IgE와의 반응성 평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4의 장치는, 도 2의 장치와 동일하게, 도 7의 이온 발생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의해 송출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질량 스펙트럼은 도 8A, 8B에 나타낸 것과 같다.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우선,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도 14에 나타낸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장치와 동일한 것이고(이 때문에, 도 2와 도 14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냄), 단 오존 농도를 감소시키는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점만이 달랐다. 즉, 도 14의 장치에 있어서는, 한쪽 탈기구(1026)과 분무기(1024)가 필터(102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1029)는 활성탄과 분자체를 포함하고 있고, 원통형 밀폐 용기(1027) 중에서 발생한 오존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원통형 밀폐 용기(1027) 중의 오존 농도는 0.025 ppm 이하로 유지되어 있다.
이 도 14에 나타낸 장치에 있어서는, 도 2의 장치와 동일하게, 항원성 물질(1038)은 주입구(1028)로부터 분무되어 회수 용기(1025)까지 자연 낙하하는 사이에 양음 두이온에 노출되어 그의 작용을 받게 된다.
<진드기 분진 및 항원성 물질>
항원성 물질로서는, 진드기 분진으로부터 추출한 항원성 물질을 이용하였다. 진드기 분진은 일반 가정에 존재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여, 방석이나 카페트로부터 메쉬를 부착한 청소기를 이용하여 포집하였다.
또한, 진드기 분진으로부터 항원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서, 진드기 분진 0.1 g을 20 mM의 인산 완충 용액(PBS, pH 7.4) 15 mL 중에서, 온도 4 ℃하에 16 시간 교반한 후, 멤브레인 필터(0.2 ㎛)에 통과시킨 것을 진드기 항원성 물질이라 하였다. 또한, 이 진드기 항원성 물질에는 항원성 물질인 데르에프 1(Derf 1)과 데르에프 2(Derf 2)가 더 포함되고 있다.
<폴린-로우리(Folin-Lowry)법에 의한 단백질의 정량>
진드기 항원성 물질을 포함한 용액 0.2 ㎖와 하기 D액 1 ㎖를 혼합하고, 10 분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하기 A액을 0.1 ㎖ 첨가하여 30 분간 방치한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소혈청 단백질(BSA)로 표준 계열을 제조하여, 동일한 순서로 검량선을 작성함으로써, 진드기 항원성 물질의 단백질의 양을 BSA 환산량으로서 정량하였다. 그 결과, 상기 단백질의 농도는 94.1 ng/㎖였다. 또한, 여기서 이용한 각 시약은 이하와 같다.
(시약)
A액; 페놀 시약을 산으로서 1N으로 만든 용액
B액; 2 % Na2CO3+0.1N NaOH
C액; 0.5 % CuSO4ㆍ5H2O+1 % 시트르산 나트륨
D액; B액:C액=50:1(v/v)
<항원성 물질의 분무와 회수>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항원성 물질인 진드기 항원성 물질을 포함한 용액(단백질 농도 200 ng/㎖)를 분무기(1024)에 8 ㎖ 넣고, 도 14에 나타낸 장치의 항원성 물질 용액 분무용 주입구(1028)에 접속하였다. 한편, 분무된 항원성 물질을 포함한 용액을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 용기(1025)를 원통형 밀폐 용기(1027) 바닥에 설치하였다.
분무기는 공기 압축 장치와 접속하여 압축 공기(유량 5 L/분)에 의해 주입구(1028)로부터 항원성 물질(1038)을 분무하였다. 분무량은 8.0 ㎖(분무 시간 90 분)으로 하였다. 90 분간 원통형 밀폐 용기(1027)의 바닥에 침강한 항원성 물질을 회수 용기(1025)에 회수하였다. 또한, 분무된 항원성 물질(1038)은 원통형 밀폐 용기(1027) 내를 자연 낙하하는 데 약 90 초가 걸렸다.
또한, 이러한 항원성 물질(1038)의 분무와 회수는,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키는 경우(즉, 이온 처리의 경우)와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즉, 미처리의 경우)의 2 가지에 대하여 행하였다.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켜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작용시키는 경우, 그 대기 중(즉, 원통형 밀폐 용기(1027) 중)의 양음 두이온의 농 도는,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설치한 원통형 밀폐 용기(1027)의 항원성 물질 용액 분무용 주입구(1028)로부터 공기 압축 장치에 의해 유량 5 L/분으로 공기를 흘리고, 항원성 물질 용액의 회수 용기(1025)에 안데스 덴끼 제조 공기 이온 카운터(품번 ITC-201A)를 설치하여, 양음 두이온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그 결과, 상기 이온 발생 소자(1021)에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으로서 3.3 kV 내지 3.7 kV의 전압을 각각 인가한 경우, 원통형 밀폐 용기(1027)내의 양음 두이온의 농도는 각각 10만개/cm3가 되는 대기였다. 또한, 다른 공간 대기는 온도 25 ℃, 상대 습도 60 %RH였다. 또한, 도 8A,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출된 양이온은 H3O+(H2O)n(n은 0 또는 자연수), 음이온은 O2 -(H2O)m(m은 0 또는 자연수)이고, 이들 양음 두이온은 상기 화학 반응식 1 내지 2에 의해 과산화수소 H2O2, 이산화수소 HO2 및 히드록시 라디칼 ㆍOH를 생성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엘리사법에 의한 반응성 평가>
계속해서, 이와 같이 하여 포집된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 진드기 알레르기 의 환자 a 내지 r로부터 채취한 혈청 IgE 항체와의 반응성을 엘리사법(효소 면역 분석법(enzyme-liked immunosorbent assay))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항원성 물질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양이온과 음이온을 작용시킨 것(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 미처리의 것(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엘리사용 96웰 플레이트에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으로 0.1 ㎍/㎖로 희석한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을 각 웰 당 50 ㎕ 적용하였다. 동시에 인간 IgE 표준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으로 200 ㎍/㎖로부터 2배 희석을 5회 반복한 것을 각각 50 ㎕씩 웰에 적용하여 실온에서 2 시간 정치시켰다. 세정용 완충 용액(Washing buffer)으로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블로킹용 완충 용액(Blocking buffer)을 300 ㎕ 적용하여 4 ℃에서 밤새 정치시켰다.
하룻밤 정치시킨 후,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하고,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을 20배 희석하여 1 시간 배양한 것을 웰에 50 ㎕ 적용하고, 4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1000배 희석한 비오틴 표지 항 인간 IgE를 웰에 50 ㎕ 적용하여 2 시간 정치시켰다.
상기 정치 후, 플레이트를 4회 세정하여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1000배 희석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표지 스트렙타비딘을 50 ㎕ 적용하여 실온에서 1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5회 세정한 후, 아토포스(등록 상표) 기질 완충 용액(Attophos(등록 상표) substrate buffer)을 웰에 50 ㎕ 적용하여, 차광 상태에서 발색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그 형광 강도를 분광 광도계(시토(등록 상표) 플루오르 II)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즉, 양음 두이온이 발생하지 않아 미처리된 상태)와, 양음 두이온의 농도가 각각 10만개/cm3가 된 경우에 있어서의,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IgE 항체와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의 반응성(결합성)은,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 a 내지 r의 18명 중, 전체 18명의 환자에 있어서, 상기 이온 처리를 행한 항원과 상기 환자의 혈청 IgE 항체와의 반응성이 현저히 저하된 것이 확인되었다(형광 강도가 낮을수록, 반응성이 낮은 것을 나타냄). 또한, 여기서 이용한 각 시약은 이하와 같다.
(시약)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 100 mM의 NaHCO3(pH 9.2 내지 9.5) 인산 완충 용액(PBS); 4 g의 NaCl, 0.1 g의 Na2HPO4ㆍ12H2O, 1.45 g의 KCl, 1 g의 KH2PO4를 증류수 500 ㎖로 메스업
PBST; PBS+0.5 % 트윈 20(Tween-20)
블로킹용 완충 용액; PBS+3 % 스킴 밀크+1 % BSA
세정용 완충 용액; 43 g의 Na2HPO4ㆍ12H2O, 3.6 g의 NaH2PO4, 263 g의 NaCl, 15 ㎖의 트윈 20(Tween-20)을 증류수 3 L로 메스업
<반응 실활률>
상기 엘리사법에 있어서의 환자 a 내지 r의 혈청 IgE를 항체로서 이용하여, 엘리사법에 의해 각각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의 형광 강도를 구하고, 또한 이 형광 강도로부터 이하의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알레르기 반응의 반응 실활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45197511-pct00003
반응 실활률%=(1-E/F)×100
E: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의 형광 강도
F: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의 형광 강도
표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환자 a 내지 r의 평균 반응 실활률은 57.8%이고, 진드기 알레르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진드기 분진을 직접 이용하여 양음 두이온의 작용에 의한 진드기 분진(중에 포함되는 항원성 물질)의 실활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진드기 분진에 포함되는 진드기 항원성 물질 중의 단백질량의 폴린 로우리법에 의한 정량은,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행하였다.
<진드기 분진의 확산과 회수>
진드기 분진의 확산과 회수는, 도 16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였다(또한, 도 16 중 다른 도면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냄). 즉, 상기 장치는 송풍기(1033)과 작업용 창(1034)를 구비한 밀폐 상태의 박스(1030)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1033)의 공기 분출구의 부분에는 이온 발생 소자(1021)이 부설되어 있다.
우선,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송풍기(1033)도 작동시켰다. 그 조건은, 양음 두이온의 공간 평균 농도가 각각 3000개/cm3가 되도록 상기 이온 발생 소자(1021)의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을 90 V로 조절하고, 또한 상기 송풍기(1033)의 팬 풍량을 2 m3/분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박스(1030) 중의 양음 두이온의 공간 평균 농도는, 상기 박스의 중심 부근의 상호 50 cm 이상 떨어진 5개의 포인트에 있어서의 양음 두이온 각각의 농도를 안데스 덴끼 제조 공기 이온 카운터(품번 ITC-201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의 평균이 양음 두이온 각각에 대하여 3000개/cm3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박스(1030) 중의 공간 대기는 온도 25 ℃, 상대 습도 60 %RH였다. 또한, 도 8A,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출된 양이온은 H3O+(H2O)n(n은 0 또는 자연수), 음이온은 O2 -(H2O)m(m은 0 또는 자연수)이고, 이들 양음 두이온은 상기 화학 반응식 1 및 2에 의해 과산화수소 H2O2, 이산화수소 HO2 또는 히드록시 라디칼 ㆍOH를 생성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음 두이온의 공간 평균 농도란, 어떤 체적을 갖는 공간 전체의 평균 농도를 말하고, 예를 들면 적절하게 공기가 체류하는 실내 중심 부근에 있어서 상호 50 cm 이상 떨어진 5개의 포인트에서의 양음 두이온 각각의 농도를 이온 카운터(예를 들면 안데스 덴끼 제조 공기 이온 카운터(품번 ITC-201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5개 포인트의 평균 농도를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다음에, 일단 상기 이온 발생 소자(1021)과 상기 송풍기(1033)을 정지시켰다. 그 후, 상기 박스(1030)에 있어서, 진드기 분진(2g)을 담지시킨 물품(1032)를 배치시킨 후, 재차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이온 발생 소자(1021)과 송풍기(1033)을 작동시켰다.
계속해서, 창(1034)를 통해 확산 기구(1035)를 이용하여 물품(1032)를 두드리거나 하여 진드기 분진(1031)을 확산(산포, 부유)시켰다. 여기서, 물품(1032)로서는, 예를 들면 이부자리, 모포, 카페트, 다다미, 베개, 방석, 쿠션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방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확산 기구(1035)로서는, 예를 들면 이부자리 터는 채(flapper), 먼지 떨이, 빗자루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부자리 터는 채를 이용하였다. 또한, 확산시키는 조작으로서는, 물품 (1032)를 두드리는 것 이외에도 흔들거나 낙하시키거나 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 기구(1035)로서 이부자리 터는 채를 이용하여 5 분간 동안 합계 20회, 물품(1032)인 방석을 강하게 두드렸다.
계속해서, 방석을 두드리는 것이 끝나자마자, 상기 박스(1030)의 상부에 부설되어 있는 공기 흡인 펌프(1037)을 작동시켜, 30 분간 박스(1030) 안의 분진을 회수 필터(1036)에 의해 흡인 포집하였다.
계속해서, 30 분 경과 후, 공기 흡인 펌프(1037)을 정지시키고, 재차 물품(1032)인 방석을 확산 기구(1035)인 이부자리 터는 채에 의해 5 분간에 걸쳐 20회 두드렸다. 그 후, 재차 공기 흡인 펌프(1037)을 작동시켜 30 분간 박스(1030) 안의 분진을 회수 필터(1036)에 의해 흡인 수집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2회의 흡인 수집에 의해 회수 필터(1036)에 의해 수집된 분진량을 칭량하였더니 0.7 mg이었다.
또한, 이상의 조작은,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켜 진드기 분진에 대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작용시킨 것이지만(즉, 이와 같이 처리된 것을 이온 처리 진드기 분진이라 부르고, 그로부터 추출된 것을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이라 부르기로 함), 비교를 위해 이온 발생 소자(1021)을 작동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그 밖에는 모두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진드기 분진을 포집하였다(즉, 이 비교의 것을 미처리 진드기 분진이라 부르고, 그로부터 추출된 것을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이라 부르기로 함).
또한, 이러한 조작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는, 상기와 같은 도 16에 나타낸 장 치 이외에도 여러가지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7(도 16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6의 공기 흡인 펌프(1037)과 회수 필터(1036)을 부설하는 대신에 회수 용기(1025)를 설치하고, 자연 낙하되는 분진을 포집하도록 할 수 있다.
<엘리사 억제법에 의한 평가>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 및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IgE와의 반응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엘리사 억제법(효소 면역 분석 억제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확산 후 회수된 진드기 분진으로부터 진드기 항원을 추출하여 원심 분리기(센트리프렙 YM-10)에 넣고, 2500 rpm으로 원심 농축하였다. 또한, 이 농축액을 원심 분리기(울트라 플리-MC)에 넣어 7000 rpm으로 원심 농축하였다. 농축한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 및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을 단백질 농도7.66 ㎍/㎖로부터 5배 희석을 11회 반복하여 행하였다. 희석한 각각의 항원성 물질 50 ㎕와 10배 희석한 환자 혈청 IgE 50 ㎕를 혼합하여 4 ℃에서 밤새 예비 배양하였다.
엘리사용 96웰 플레이트에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으로 1 ㎍/㎖로 희석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분무도 행하지 않은 것)을 각 웰 당 50 ㎕ 적용하여 2 시간 정치시켰다. 세정용 완충 용액으로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한 후, 블로킹용 완충 용액을 300 ㎕ 적용하여 4 ℃에서 밤새 정치시켰다.
밤새 정치시킨 후, 플레이트를 4회 세정하고, 예비 배양하였던 샘플을 각각 50 ㎕ 웰에 적용하여 4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5회 세정한 후,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1000배 희석한 비오틴 표지 항 인간 IgE를 웰에 50 ㎕ 적용하여 2.5 시간 정치시켰다.
상기 정치 후, 플레이트를 3회 세정하고, (3 % 스킴 밀크+1 % BSA)/PBST로 1000배 희석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표지 스트렙타비딘을 50 ㎕ 적용하여, 실온에서 1.5 시간 정치시켰다. 플레이트를 4회 세정한 후, 아토포스(등록 상표) 기질 완충 용액을 웰에 50 ㎕ 적용하여, 차광 상태에서 발색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그 형광 강도를 분광 광도계(시토(등록 상표) 플르오르 II)로 측정하였다. 또한, 시약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기와 동일한 것을 각각 사용하였다.
이온 발생 소자를 작동시키지 않은 미처리의 경우(즉,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과, 상기 소자를 작동시켜 양음 두이온 각각의 공간 평균 농도가 3000개/cm3가 되는 조건하에 이온 처리한 경우(즉,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에 대한, 진드기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IgE 항체와의 반응성(결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은 50 % 저해(진드기 항원성 물질의 혈청 IgE 항체에 대한 반응성이 50 %로 저하되는 것)에 필요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량이 500 ng/㎖인 데 비하여,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은 50 % 저해에 필요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량이 1900 ng/㎖가 되어, 반응 실활률은 74 %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반응 실활률은 상기 화학식 1과 동일한 화학식에 의해 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양음 두이온의 작용은, 항원성 물질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항원성 물질을 포함한 진드기 분진에 대해서도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양음 두이온 각각의 공간 평균 농도가 3000개/cm3가 되는 경우에 있어서,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양음 두이온 각각의 공간 평균 농도를 10000개/cm3로 하는 것(상기 이온 발생 소자(1021)의 전극간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을 100 V로 하고, 상기 송풍기(1033)의 팬 풍량을 8 m3/분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에는 실시예 4와 모두 동일하게 하여 진드기 분진에 대한 양음 두이온의 작용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은 60 % 저해(진드기 항원성 물질의 혈청 IgE 항체에 대한 반응성이 60 %로 저하되는 것)에 필요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량이 345 ng/㎖인 데 비하여, 이온 처리 진드기 항원성 물질은 60 % 저해에 필요한 진드기 항원성 물질량이 3823 ng/㎖가 되어, 반응 실활률은 91 %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반응 실활률은 상기와 동일하게 식 1에 의해 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양음 두이온 각각의 공간 평균 농도가 10000개/cm3가 되는 경우에 있어서,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8과 도 19를 비교하면, 50 % 저해와 60 % 저해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도 18로부터 판단하여 50 % 저해의 경우와 60 % 저해의 경우에서의 반응 실활률은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공간 평균 농도가 높아질수록 반응 실활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양음 두이온을 작용시킴으로써 항원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실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항원성 물질이 원인이 되는 화분증이나 진드기 알레르기 등의 각종 알레르기 질환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또는 장치를 공기 조절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용함으로써, 항원성 물질이 실활된 공기의 송풍이나, 상기 이온 방출에 의한 공중에 부유하는 항원성 물질의 직접 실활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화분 및 진드기에 포함되는 알레르겐에 특히 주목하여 설명하였지만, 화분이나 진드기 이외에 곰팡이 등에 포함되는 알레르겐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기초하는 공기 정화 장치는 효과를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활성화 가스가 각종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을 정확하면서 또한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다.

Claims (16)

  1. 공중에 부유하는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과,
    상기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상기 항체에 대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2. 공중에 부유하는 항원성 물질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과,
    상기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상기 항체에 대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상기 항체에 대한 상기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과 비교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스텝이, 용기 중에 상기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살포하는 스텝과, 상기 살포된 상기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상기 용기 중에 부유시키는 스텝과, 상기 용기 중에 상기 활성화 가스를 도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이, 상기 항원성 물질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항원성 물질을 공중에 부유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시키는 스텝이, 상기 항원성 물질을 가요성을 갖는 시료대에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시키는 스텝이, 상기 항원성 물질을 이부자리, 모포, 방석, 베개, 매트, 스폰지, 천, 종이, 발포 스티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요성을 갖는 시료대에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시료대를 두드리고(거나) 흔듦으로써 상기 시료대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이, 상기 항원성 물질과, 양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음이온을 포함하는 가스, 라디칼을 포함하는 가스, 오존 가스, 질산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가스를 반응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이, 삼나무 화분 및(또는) 진드기 분진에 포함되는 항원성 물질, 삼나무 화분, 진드기 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활성화 가스를 반응시켜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얻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스텝이, 엘리사법(ELISA) 및(또는) 엘리사 억제법(ELISA inhibition)에 의해, 상기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와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상기 항체에 대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스텝이, 상기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의 생 산 세포를 보유하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의 피내 반응 시험 및(또는) 결막 반응 시험에 의해, 상기 항체와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을 반응시켜, 상기 항체에 대한 상기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방법.
  13.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항원성 물질을 살포하는 수단과,
    상기 활성화 가스를 상기 용기 내에서 발생 또는 도입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공중에 부유하는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투명한 재질을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15.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항원성 물질을 밀봉하는 수단과
    상기 활성화 가스를 상기 용기 내에서 발생 또는 도입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활성화 가스가 공중에 부유하는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투명한 재질을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하는,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 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KR1020057015126A 2003-02-18 2004-02-13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방법, 이 평가 방법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KR100729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0352 2003-02-18
JPJP-P-2003-00040352 2003-02-18
JPJP-P-2003-00308735 2003-09-01
JP2003308735A JP3890044B2 (ja) 2003-02-18 2003-09-01 活性化ガスが抗原性物質を失活させる性能の評価方法、その評価方法の評価試料として用いる処理済抗原性物質の作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226A KR20050103226A (ko) 2005-10-27
KR100729693B1 true KR100729693B1 (ko) 2007-06-18

Family

ID=3291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126A KR100729693B1 (ko) 2003-02-18 2004-02-13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방법, 이 평가 방법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20326B2 (ko)
JP (1) JP3890044B2 (ko)
KR (1) KR100729693B1 (ko)
CA (1) CA2516031C (ko)
WO (1) WO2004074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2807C (en) 2002-04-05 2011-04-05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valuating elimination of microorganism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limination of microorganis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805A (ja) * 1991-09-30 1993-04-06 Olympus Optical Co Ltd 生物学的処理用器具の再生方法
JP2002181371A (ja) * 2000-12-11 2002-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レルゲンセンサ及び空調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572B2 (ko) * 1974-07-08 1979-12-20
US4632980A (en) 1985-04-03 1986-12-30 Immunologics Ozone decontamination of blood and blood products
US6303152B1 (en) 1986-10-30 2001-10-16 Horst Kief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bstances that have been bactericidally treated and/or exhibit immune-modulatory activity, and the use thereof
ES2017618B3 (es) 1986-10-30 1991-03-01 Horst Kief Procedimiento para producir sustancias que tengan sus germenes matados o que estan debilitadas en su virulencia, asi como el empleo de las mismas
US5491068A (en) * 1991-02-14 1996-02-13 Vicam, L.P. Assay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bacteria
DE69225940T2 (de) 1991-09-30 1998-11-19 Olympus Optical Co Verfahren zum Regenerieren von zur Handhabung von biologischen Substanzen verwendeten Geräten
JP3310356B2 (ja) 1992-11-20 2002-08-05 株式会社クラレ スギ花粉症抗原の不活性化装置
JPH07807A (ja) 1993-06-11 1995-01-06 Sanyo Electric Co Ltd 花粉の処理方法及び花粉の処理装置
JP2662769B2 (ja) 1994-12-20 1997-10-15 株式会社ゼクセル 空気清浄装置
US5658794A (en) * 1995-12-07 1997-08-19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for controlling fungal disease in turfgrasses using Pseudomonas aureofaciens ATCC 55670
US6613358B2 (en) * 1998-03-18 2003-09-02 Theodore W. Randolph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including amorphous polymer
DE19829091A1 (de) 1998-06-30 2000-01-05 Grewe Helmut F Allergen-denaturierende Luftreinigung mit iodierten Harzen
JP2000111106A (ja) 1998-10-08 2000-04-18 Laser Techno Kk 空気清浄機
ES2529290T3 (es) 2000-05-18 2015-02-18 Sharp Kabushiki Kaisha Método de esterilización
KR100566851B1 (ko) * 2000-08-28 2006-04-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JP3806347B2 (ja) 2001-12-18 2006-08-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レルゲン不活性化方法及び空調機
US6736133B2 (en) * 2002-04-09 2004-05-18 Hon Technology Inc. Air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a firepl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805A (ja) * 1991-09-30 1993-04-06 Olympus Optical Co Ltd 生物学的処理用器具の再生方法
JP2002181371A (ja) * 2000-12-11 2002-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レルゲンセンサ及び空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16031C (en) 2010-04-13
US20070264192A1 (en) 2007-11-15
JP2004271500A (ja) 2004-09-30
CA2516031A1 (en) 2004-09-02
JP3890044B2 (ja) 2007-03-07
US8420326B2 (en) 2013-04-16
KR20050103226A (ko) 2005-10-27
WO2004074832A1 (ja)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9249A1 (en) Allergen inactivating method, allergen inactivating filter, air treating apparatus, virus inactivating agent, virus inactivating method, virus inactivating filter, air conditioning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1507191B1 (ko) 공기 청정 장치
CN104456755A (zh) 一种双动力复合式空气净化机
JP2008022765A (ja) 環境評価装置及び環境評価方法
CN201111129Y (zh) 带有除尘杀菌装置的全封闭点钞机
WO2008010394A1 (fr) Système d&#39;évaluation environnementale et procédé d&#39;évaluation environnementale
KR100729693B1 (ko) 활성화 가스가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성능의 평가방법, 이 평가 방법의 평가 시료로서 이용하는 처리된항원성 물질의 생성 장치
KR100635427B1 (ko) 양음 두 이온의 작용에 의해 항원성 물질을 실활시키는 방법 및 장치
AU2006229002B2 (en) Bioinvasive reaction reducing method, substance modify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4330351B2 (ja) 抗原性物質を失活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8025905B2 (en) Method for reducing allergencity in indoor spaces
CN100349651C (zh) 通过正负两种离子的作用使抗原性物质失活的方法和装置
US20070196353A1 (en) Method for reducing allergenicity in indoor spaces
JP4608201B2 (ja) アレルゲン抑制剤
JP2020069438A (ja) 空気中浮遊物捕集材、これを用いる空気浄化部材及び空気浄化装置
US20070053898A1 (en) Method for reducing allergencity in indoor spaces
JP7245301B1 (ja) エアフィルタ用塵埃捕捉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エアフィルタ
JPH07299383A (ja) 室内空気清浄システム
JP3998036B2 (ja) 生体侵襲反応低減方法、物質改質装置及び空気調和機
KOSUGI et al.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an Antivirotic Multifunctional Bio-filter” and the Air Purification System “Living Space Purifier KPD1000”
CN104096430A (zh) 一种将空气中细微颗粒快速分离的方法和装置
Yang et al. Minimizing the exposure of airborne pathogens by upper-room
JP2005043152A (ja) 活性ガス発生素子の性能検査方法および製造方法、活性ガス発生素子を付設した装置の製造方法、これらの製造方法を実行する製造装置、活性ガス発生素子およびそれを付設し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