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295B1 - 유압식 블록 캐리지 - Google Patents

유압식 블록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295B1
KR100726295B1 KR1020050133233A KR20050133233A KR100726295B1 KR 100726295 B1 KR100726295 B1 KR 100726295B1 KR 1020050133233 A KR1020050133233 A KR 1020050133233A KR 20050133233 A KR20050133233 A KR 20050133233A KR 100726295 B1 KR100726295 B1 KR 10072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main body
block
drive unit
block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운반 장치에 엔진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장 내외의 레일 상으로 블록을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는 전후 구동 및 상하 승강이 가능한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본체 내부에 장착된 원동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원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수평을 이루며 장착되어 블록을 적재하는 선반;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의 전후 끝단에 장착되어 복수 대의 본체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된 커플러; 및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상기 전후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로 각각 흐르는 작동유의 흐름 및 그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케이블의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이동이 자유롭고,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연결하면, 좁은 공간 상에서 기가블록에 이르는 대형 블록의 운반도 가능하게 되어, 선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블록(Block), 유압식(Hydraulic), 캐리지(Carriage), 디젤 엔진, 승강기능

Description

유압식 블록 캐리지{Hydraulic Block Carria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운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의 승강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복수 대의 무선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복수 대의 동조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작업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복수 대의 동조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작업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압식 블록 캐리지 101 : 선반
103 : 원동기 105 : 유압펌프(Hydraulic Pump)
107 : 유압탱크(Hydraulic Tank) 109 : 연료탱크(Fuel Tank)
111 : 조절밸브 113 : 프론트 승강레버
115 : 리어 승강레버 117 : 전후구동레버
119 : 로컬 컨트롤 패널 121 : 유압실린더
123 : 지지대 125 : 암(Arm)
127 : 힌지 128 : 유압실린더 상단 힌지
129 : 유압실린더 하단 힌지 131 : 유압모터
132 : 리어 휠(Rear Wheel) 134 : 프론트 휠(Front Wheel)
136 : 구동기어 140, 142 : 커플러
150 : 레일 160 : 본체
190 : 무선 수신부 200 : 펌프/밸브 컨트롤러
210 : 무선 컨트롤러 220 : 원격조정스위치
본 발명은 조선소에서 선박을 구성하는 선체 블록을 운반하는 블록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에서 제작된 선체 블록을 보다 자유롭게 레일 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엔진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후 구동 및 상하 승강 기능을 갖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어서, 대부분의 조선소에서는 선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블록 공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록 공법이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시키고, 분할된 블록들을 지상에서 먼저 조립시킨 후, 조립된 블록을 다시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시켜 하나의 선박을 건조하는 공법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소형 블록은 그 형상에 맞게 적절한 작업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을 통해 완성되는데, 이후, 완성된 상기 블록에는 도장작업이 수행되고, 도장작업을 마친 블록들은 몇 개의 블록씩 결합되어 보다 큰 블록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여러 개의 블록으로 하나의 큰 블록을 제작하는 작업을 피이(Pre-Erection) 작업이라 한다.
이처럼, 대부분의 조선소에서는 선박에 필요한 많은 블록들을 먼저 피이 작업을 통해서 대형블록으로 제작하고, 이를 도크 내부로 운반하여 선박을 건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크 회전율을 높이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블록 공법을 통해 제작된 블록들은 그 크기에 따라 소형블록부 터 중조 및 대조 등으로 그 블록의 종류가 구분되는데, 이들 중 소형블록의 경우에는 작업장 내에 설치된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 회전 및 조립이 수행된다.
그러나 중조부터 대조까지의 중대형 블록의 경우에는 대차라는 블록 운반 장치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운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운반 장치(5)는 블록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반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서 각각 일 열로 배치되어 장착되는 복수 개의 휠(20, Wheel)과, 상기 휠(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전기모터(미도시) 및 상기 전기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전원 케이블(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블록 운반 장치(5)는 운반시킬 블록을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선반에 적재한 후 상기 블록에 필요한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위치로 이동하는데, 작업장 내에 설치된 레일(30) 상부에서 상기 블록 운반 장치(5)의 휠(20)이 구동하여, 상기 블록 운반 장치(5)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블록 운반 장치(5)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 이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40)의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이동범위에 한계가 있어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블록 운반 장치(5)는 블록이 적재되는 본체(10)가 차지하는 범위가 커서 작업장 내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이로 인한 작업장 내 안전상 위험 및 추가적인 통로시설 등 많은 불편이 야기되었다.
그리고 최근 등장하고 있는 개념인 메가블록(Mega-Block) 공법이나 기가블록 (Giga-Block) 공법의 경우에 있어서는, 3000톤 이상의 초대형 블록들이 미리 제작되고, 이들을 운반 및 결합하여 선박이 건조되므로, 이러한 초대형 블록 공법에도 적용할 수 있는 블록 캐리지(Carriage)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과 유압시스템을 구동 및 승강 수단으로 이용하여, 작업장 내외의 레일 상에서 자유롭게 블록을 운반 및 승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복수 대의 동조 작업도 수행할 수 있어, 10000톤 이상의 초대형 블록도 운반 가능한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본체 내부에 장착된 원동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원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수평을 이루며 장착되어 블록을 적재하는 선반;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의 전후 끝단에 장착되어 복수 대의 본체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된 커플러; 및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상기 전후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로 각각 흐르는 작동유의 흐름 및 그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Hydraulic Block Carriage)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원동기에 연결된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탱크; 및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전후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동기에서 동력을 전달받은 유압펌프는 상기 유압탱크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아 이를 다시 상기 전후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로 재공급하는데, 상기 조절밸브를 조작하여 이러한 작동유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의 수직하방으로 전후 양측에 각각 장착된 지지대; 상기 본체의 전후에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의 내측에 힌지 결합된 암(Arm); 및 상기 암이 상기 지지대와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원호운동 하도록, 상기 암과 상기 본체 사이에 힌지 결합된 양단을 갖는 신축 가능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유압구동부를 통해 토출된 작동유를 공급받은 상기 유압실린더가 신축되면서,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암이 원호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가 승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및 상기 암의 끝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유압모터와 연결된 기어와 결합되어, 레일 상부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휠(Whee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유압구동부를 통해 토출된 작동유를 공급받 은 유압모터가 작동하면서 이와 기어로 체결된 상기 휠이 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동기는 디젤엔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동기로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이유는 가솔린엔진에 비해 적은 회전수를 가지나 토크가 크기 때문에 큰 힘을 발휘하는 유압장치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 전기모터의 구동을 위해 별도로 구비되었던 외부 연결 전원 케이블이 불필요하여 보다 자유로운 이동범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원격조정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동조작업이 가능하도록 무선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연동시켜 초대형 블록을 운반하는 동조작업 시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의 무선 컨트롤러 상의 원격조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후구동 및 승강 신호를 발신하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구비된 펌프/밸브 컨트롤 수신부에서 상기 전후구동 및 승강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가 연동하여 동조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1000mm에서 1500m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폭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작업장 내 블록 파이프 서포트(Block Pipe Support)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상기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 중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는 본체(160)와, 상기 본체(160)의 상부를 이루는 선반(101)과, 상기 본체(160)의 내부에 장착된 원동기(103)와, 상기 원동기(103)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에너지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부(104)와, 상기 유압구동부(104)에 의해 상기 본체(160)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130)와, 상기 유압구동부(104)에 의해 상기 본체(16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20)와, 상기 본체의 전후 끝단에 장착된 커플러(140, 142)와, 상기 전후구동부(130)와 상기 승강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60)의 상부는 직사각형의 수평을 이루는 선반(101)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운반시킬 블록을 적재하게 된다. 이때,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는 1000mm에서 1500m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폭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인데, 본 실시예에서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는 1200mm의 폭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폭 크기는 종전의 블록 운반 장치에 비해 많이 협소해진 것으로서, 블록을 운반해야 할 작업장 내에서 각종 서포트(Support) 사이의 좁은 공간을 지나갈 수 있는 크기이다.
또한, 상기 본체(160)의 전후 양단에는 복수 대를 전후로 연결시킬 수 있는 두개씩의 커플러(140, 14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커플러(140, 142)를 서로 결합한 후에 핀으로 결합시키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160)의 내부에는 원동기(103)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동기(103)로 디젤엔진(Diesel Engine)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디젤엔진은 착화점이 낮아 높은 압축비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큰 폭발력이 발생되어 큰 힘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원동기(103)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연료탱크(109)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블록 운반 장치에 포함되는 동력 제공에 필요한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장 내외에서 보다 자유로운 기동성을 가진다.
상기 원동기(103)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상기 원동기(103)에 연결된 유압펌프(105)로 전달된다. 상기 유압펌프(105)는 작동유를 저장하고 있는 유압탱크(107)과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원동기(103)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105)가 구동되면, 상기 유압탱크(107)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유가 상기 유압탱크(107)의 외부로 연결된 유압라인(미도시)을 따라 토출된다.
한편, 이렇게 상기 유압탱크(107)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본체에 배관된 유압라인을 따라 각각 전후구동부(130)와 승강부(120)로 송출되고, 상기 전후구동부(130)와 상기 승강부(12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후구동부(130)는 상기 유압탱크(107)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131)와,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 상에 체결된 전달축(미도시)과, 상기 전달축(미도시)에 체결된 구동기어(136) 및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리어 휠(132, Rear Wheel)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모터(131)는 상기 원동기(103)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모터(105)에서 발생된 작동유의 유체에너지를 받아 축의 연속회전운동을 얻는 기기로서, 원리는 상기 유압펌프(105)의 역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압모터(131)의 종류로 기어모터(Gear Motor)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기어모터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모터로 베인(Vane)의 표면에 작용하는 유압으로부터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회전하는 베인모터(Vane Motor)나 피스톤의 끝단에 작용하는 유압으로부터 토크를 발생시키는 피스톤모터(Piston Motor)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상기 유압모터(131)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상기 유압모터(131)의 회전축에 연결된 연결축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136)로 전달되며, 이후, 상기 구동기어(136)와 결합된 상기 리어 휠(132)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륜 구동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압모터(131)가 상기 본체의 양 리어 휠(132)에 각각 장착되어 있지만,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전륜 구동방식 또는 4륜 구동방식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때, 만일 다른 실시예에서 전륜 구동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전후구동부(130)의 유압모터는 프론트 휠(134,Front Wheel)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본체(160)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각각 장착된 지지대(123)와, 상기 지지대(123)의 일단에 연결된 암(125, Arm)과, 상기 암(125)과 상기 본체(160) 사이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2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23)는 상기 본체(160)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본체(160)의 전후에서 각각 한 쌍을 이룬 두 개의 지지대(123)의 하단 내측에는 각각 하나의 암(125)이 힌지(127)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125)의 끝단과 이에 수직한 방향의 상기 본체(160) 하부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21)가 장착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121) 상단 힌지(128)는 상기 본체(160)와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하단 힌지(129)는 상기 암(125)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121)는 상기 원동기(103)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모터(105)에서 발생된 작동유의 유체에너지를 받아 신축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121)가 상기 본체(160)와 상기 암(125) 사이에서 신축되면서, 상기 본체(160)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게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일실시예가 승강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21)는 상기 본체 (160)의 전후방에 위치한 두 개의 암(125)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므로, 각각의 유압실린더(121)로 흐르는 작동유의 흐름을 조절하면, 상기 본체(160)의 전후방이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동기(103)와 상기 유압구동부(104)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 발생되면, 이들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기 전후구동부(130) 및 상기 승강부(120)는 동작을 멈춘다.
이러한 불편을 고려하여, 상기 원동기(103)나 상기 유압구동부(104)에 고장이 발생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부근에 배치된 정상구동하는 타 유압식 블록 캐리 지의 작동유를 별도의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원동기(103)나 상기 유압구동부(104)에 고장이 발생된 유압식 블록 캐리지도 전후구동 및 승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미 설명된 본 발명인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압구동부(104)에 의한 상기 전후구동부(130)와 상기 승강부(120)의 작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상기 본체(160)에 장착된 조절밸브(111) 상에 구비된 각종 레버(113, 115, 117)에 의한 수동제어방식과, 상기 본체(160) 외부의 무선 컨트롤러(210) 상의 원격조정스위치(220)를 이용한 무선제어방식이 있다.
먼저, 수동제어방식의 경우는 상기 본체(160)에 장착된 조절밸브(111) 상에 구비된 세 개의 레버(113, 115, 117)를 조작하여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를 작동시키는데, 이 중 중간에 위치한 레버는 전후구동레버(117)이며, 상기 전후구동레버의 양측에 위치한 레버는 프론트 승강레버(113)와 리어 승강레버(115)이다.
이때, 상기 전후구동레버(117)를 조작하면, 상기 유압모터(131)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바뀌게 되어, 상기 유압모터(131) 내부의 임펠러(미도시)의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유압모터(131)에 연결된 양측의 리어 휠(132)이 회전하게 되어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는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승강레버(113)와 상기 리어 승강레버(115)를 조작하면, 상기 본체(160) 하부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21)가 신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21)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암(125)을 아래로 밀어낸 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암(125)은 상기 지지대(123)와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일정범위만큼 원호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본체(160)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승강시킨다.
다음으로, 무선제어방식의 경우는 상기 본체(160) 외부의 무선 컨트롤러(210) 상에 구비된 원격조정스위치(220)를 조작하여, 상기 전후구동부(130) 또는 상기 승강부(120)의 동작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송신하고, 이후, 상기 본체(160) 내부에 구비된 무선 수신부(190)에서 상기 전후구동부(130) 또는 상기 승강부(120)의 동작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펌프/밸브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상기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를 작동시킨다.
한편, 이러한 무선제어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를 연동시켜 동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복수 대의 무선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 대의 무선제어방식이란, 원격지 작업자에 의한 무선 컨트롤러(210)의 원격조정스위치(220)의 조작에 상응하여, 전후구동신호 또는 승강신호가 발신되고, 이를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의 펌프/ 밸브 컨트롤러(200, 200', 200") 상의 무선 수신부(190, 190', 190")에서 수신하여,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가 동시에 전후구동되거나 승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무선 컨트롤러(210)에서 전후구동부(130)를 담당하는 원격조정스위치(220)가 온(ON)이 되면, 상기 무선 컨트롤러(210) 내부의 출력회로(미도시)를 통해 전후구동신호가 발신되고, 이는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의 무선 수신부(190, 190', 190")에서 수신된다. 이후,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의 펌프/밸브 컨트롤러(200, 200', 200")는 수신된 전후구동신호에 따라 유압모터를 구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컨트롤러(210)에서 승강부(120)를 담당하는 원격조정스위치(220)가 온(ON)이 되면, 상기 무선 컨트롤러(210) 내부의 출력회로(미도시)를 통해 승강신호가 발신되고, 이는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의 무선 수신부(190, 190', 190")에서 수신된다. 이후,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의 펌프/밸브 컨트롤러(200, 200', 200")는 수신된 승강신호에 따라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유압실린더를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100, 100', 100")는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무선제어방식에 의해 연동되어동조작업이 가능한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복수 대의 동조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작업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복수 대의 동조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작업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경우에는 싣을 수 있는 블록의 허용중량이 대략 100톤이다. 그러나 이러한 허용중량은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제작 시 조금씩 달리할 수 있으므로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허용중량보다 큰 중량의 블록을 운반할 수 있도록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제작하여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연동시켜 대형 블록을 운반할 수 있도록 레일 상에 배치한 바람직한 예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도 8은 108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연동시켜 10800톤의 초대형 기가블록을 운반하는 작업예를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의하면, 블록을 운반할 수 있는 캐리지에 원동기와 유압시스템을 내장하여 별도의 외부 전원 케이블에 의해 기동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레일이 가설된 곳이면 작업장 내외를 불문하고 어디든지 자유롭게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의하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전후 양단에 커플러를 구비하고 있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연결하여 초대형 기가블록을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의하면, 각각의 작동레버를 수동 조작하여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전후구동 및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지의 작업자가 무선 컨트롤러를 통해 유압식 블록 캐리지를 전후구동 및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복수 대의 블록 캐리지의 동조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으며, 선박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작업장 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의하면, 복수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가 동조되어 작업하는 경우, 한 대의 유압식 블록 캐리지 내의 원동기 또는 유압구동부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이의 부근에 배치된 정상구동하는 다른 유압식 블록 캐리지에 의해 작동유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개별적인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고장 수리로 인한 작업시간 초과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본체 내부에 장착된 원동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원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수평을 이루며 장착되어 블록을 적재하는 선반;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후 끝단에 장착되어 복수 대의 본체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된 커플러; 및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상기 전후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로 각각 흐르는 작동유의 흐름 및 그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유압식 블록 캐리지(Block Carriage)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의 수직하방으로 전후 양측에 각각 장착된 지지대;
    상기 본체의 전후에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의 내측에 힌지 결합된 암(Arm); 및
    상기 암이 상기 지지대와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원호운동 하도록, 상기 암과 상기 본체 사이에 힌지 결합된 양단을 갖는 신축 가능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원동기에 연결된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탱크; 및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전후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유압구동부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및
    암의 끝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유압모터와 연결된 기어와 결합되어, 레일 상부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휠(Whe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는 디젤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조정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 대의 상기 유압식 블록 캐리지의 동조작업이 가능하도록 무선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블록 캐리지는 1000mm에서 1500mm까지의 범위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폭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블록 캐리지.
KR1020050133233A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블록 캐리지 KR10072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233A KR100726295B1 (ko)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블록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233A KR100726295B1 (ko)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블록 캐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295B1 true KR100726295B1 (ko) 2007-06-11

Family

ID=3835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233A KR100726295B1 (ko)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블록 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2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7B1 (ko) * 2008-02-22 2008-08-06 라인호(주) 선박이송장비
KR100856424B1 (ko) * 2008-02-22 2008-09-16 라인호(주) 좌우이동이 가능한 레일 트랜스포터
KR100875970B1 (ko) 2008-08-14 2008-12-26 라인호(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트랜스포터
KR101155443B1 (ko) * 2010-01-25 2012-06-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듈 트랜스포터의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79289B1 (ko) 2013-08-02 2014-03-28 라인호(주) 이동효율이 향상된 선박이송장비 및 방법
KR101856773B1 (ko) * 2016-10-18 2018-05-1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 트랜스 이송장치
CN113968319A (zh) * 2021-11-26 2022-01-2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下水滑板楔型木敲紧装置及敲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21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다마신 배선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21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다마신 배선 형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821180000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7B1 (ko) * 2008-02-22 2008-08-06 라인호(주) 선박이송장비
KR100856424B1 (ko) * 2008-02-22 2008-09-16 라인호(주) 좌우이동이 가능한 레일 트랜스포터
KR100875970B1 (ko) 2008-08-14 2008-12-26 라인호(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트랜스포터
KR101155443B1 (ko) * 2010-01-25 2012-06-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듈 트랜스포터의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79289B1 (ko) 2013-08-02 2014-03-28 라인호(주) 이동효율이 향상된 선박이송장비 및 방법
KR101856773B1 (ko) * 2016-10-18 2018-05-1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 트랜스 이송장치
CN113968319A (zh) * 2021-11-26 2022-01-2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下水滑板楔型木敲紧装置及敲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295B1 (ko) 유압식 블록 캐리지
US11607982B2 (en) Transport vehicl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case of mobile power generation system
US4286911A (en) Semi-automated warehousing system
EP0206110B1 (en) Crane apparatus having hydraulic control system
US3799362A (en) Six wheel material handling vehicle
KR101129704B1 (ko) 컨테이너선의 추진축 장착용 대차를 이용한 컨테이너선 추진축의 장착방법
JPS583874B2 (ja) 船の建造におけるプレハブモジュ−ルの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CN101180193A (zh) 用于起重、操作和运输集装箱的设备
CN113581413A (zh) 一种吊舱推进器安装平台
CN104442514A (zh) 一种汽车起重尾板结构
WO2015161614A1 (zh) 一种单发动机动力驱动装置、方法及起重机
AU2016330142A1 (en) Mobile shaft winch
CN106185720A (zh) 大容量便捷式袋装硫酸钡转运装置
CN101857075A (zh) 滑台抬升系统
CN110696976B (zh) 起重船及起重作业方法
KR20120082684A (ko)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NO314841B1 (no) Selvdrevet kjöretöy for transport og håndtering av forskjellige materialerog produkter
CN206126761U (zh) 大容量便捷式袋装硫酸钡转运装置
KR100677776B1 (ko) 복수 개의 유압식 전동 장치를 이용한 초대형 블록 이동공법 및 그 장치
CN203511405U (zh) 一种汽车起重尾板结构
US3586190A (en) Mobile precision rigging apparatus
KR20090084096A (ko) 육상건조선박 로드아웃 설비
RU2262464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удового крана
CN214935863U (zh) 移动发电系统的箱体的运输车
US8394205B2 (en) Pipe scarify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