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047B1 - 발열체의 구조 - Google Patents

발열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047B1
KR100722047B1 KR1020050063715A KR20050063715A KR100722047B1 KR 100722047 B1 KR100722047 B1 KR 100722047B1 KR 1020050063715 A KR1020050063715 A KR 1020050063715A KR 20050063715 A KR20050063715 A KR 20050063715A KR 100722047 B1 KR100722047 B1 KR 10072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generating member
tube
heating element
thermal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815A (ko
Inventor
이영준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047B1/ko
Priority to EP06014444A priority patent/EP1744593B1/en
Priority to US11/457,254 priority patent/US7800026B2/en
Priority to AU2006203060A priority patent/AU2006203060B2/en
Priority to CNA2006101063569A priority patent/CN1897768A/zh
Publication of KR2007000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소정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열할 수 있는 발열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에 의하면, 발열 부재와 튜브 사이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서, 발열 부재와 튜브의 접촉으로 인한 발열 부재와 튜브의 손상이 방지되어, 발열체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열 부재, 열팽창계수, 상호 지지

Description

발열체의 구조{Structure of heating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종래의 발열체의 구조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열체 110, 111, 112 : 튜브
120 : 봉지부 130 : 절연부
140 : 금속편 150 : 리드 로드
160 : 연결부 170 : 지지 부재
210, 211, 212, 213 : 제 1 발열 부재
220, 221, 222, 223 : 제 2 발열 부재
본 발명은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소정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열할 수 있는 발열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열체는 발열부인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가 삽입되는 석영관과, 상기 필라멘트를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연결부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열하는 물품이다.
상세히, 상기 석영관의 중앙부에는 탄소로 이루어진 필라멘트가 봉입되고,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연결부 등에 의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석영관의 내부는 진공 또는 할로겐 가스 등의 불활성 기체로 채워져, 상기 탄소 필라멘트가 고온으로 발열 시에 그의 산화 현상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발열체의 수명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나선형, 판형, 직선형 등의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탄소 필라멘트와 전극과의 연결은 단순히 클립이 이용되는 방식과, 인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채용된 방식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상기 석영관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석영관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석영관은 대략 800℃ 이상에서 녹거나 파손되므로, 발열 중인 탄소 필라멘트와 석영관이 접촉되면, 상기 석영관이 손상되어, 상기 발열체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클립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탄소 필라멘트와 상기 석영관의 접촉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발열체는 탄소 필라멘트가 그 외부의 힘에 의해 인장되어 상기 석영관과의 접촉이 방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탄소 필라멘트가 고온으로 발열 시에,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그 열팽창계수에 따라 팽창된다. 그러면,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늘어져서, 상기 석영관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석영관의 손상으로 인한 발열체의 수명 단축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개선되어, 발열 부재와, 그 발열 부재를 감싼 튜브 사이의 접촉이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는 발열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는 튜브(tube); 상기 튜브 내에 배치되고, 소정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 1 발열 부재; 및 상기 제 1 발열 부재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 2 발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열 부재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에 의하면, 열팽창계수가 상호간에 다른 복수 개의 발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 부재가 상호간에 지지된다. 그러면, 발열시에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발열 부재가 열팽창으로 인해 늘어지더라도,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 부재에 의해 늘어지는 발열 부재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부재와 튜브 사이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발열 부재와 튜브의 접촉으로 인한 발열 부재와 튜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어, 발열체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내부 물품들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 물품들을 보호하는 튜브(tube)(110)와, 상기 튜브(110) 내에 배치되어, 발열할 수 있는 발열 부재(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100)는 상기 발열 부재(200)가 상기 튜브(110)에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드 로드(lead rod)(150)와, 상기 리드 로드(150)와 상기 발열 부재(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100)는 상기 리드 로드(150)의 타측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과 상기 발열 부재(200)를 통전시키는 금속편(140)과, 상기 금속편(140)을 외부로부터 절연시키는 절연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100)는 상기 금속편(140)과, 상기 절연부(130)와, 상기 튜브(110)를 감싸고, 이를 지지하는 봉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110)는 상기 발열 부재(200) 등의 물품들이 내부에 수용되는 부분으로, 그러한 수용 공간의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발열체(100)는 수백 ℃의 온도로 발열하므로, 상기 튜브(110)는 소정의 강성과 내열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한 예로, 상기 튜브(110)는 석영관(quartz tub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110)는 자체적으로 밀폐되어, 상기 발열 부재(200)를 외부와 격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튜브(110) 내부에는 발열로 인한 상기 발열 부재(200)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불활성 기체 등을 충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110)는 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 부재(200)는 통전된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부재(200)는 상호간에 열팽창계수가 다른 제 1 발열 부재(210)와, 제 2 발열 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 1 발열 부재(210) 및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는 상호간에 지지되어, 상기 발열 부재(200)와 상기 튜브(110)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16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발열 부재(200)의 양 말단부 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발열 부재(200)를 상기 리드 로드(150)와 연결시킨다. 그러면, 상기 발열 부재(200)는 인장되어, 상기 튜브(110)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발열할 수 있다.
상기 리드 로드(150)는 상기 연결부(160)에 의해 상기 발열 부재(200)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부재(200)를 인장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발열 부재(200)는 발열 시에도 상기 튜브(100)와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발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로드(150)의 일부는 상기 튜브(110)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자체적으로 밀폐된 상기 튜브(110)의 밀폐 상태가 유지되면서,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발열 부재(200)와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금속편(140)은 외부 전원과 연통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금속편(140)은 상기 튜브(110) 외부로 연장된 상기 리드 로드(150)의 말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리드 로드(150)를 통해 상기 발열 부재(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발열 부재(200)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발열하게 된다.
상기 절연부(130)는 상기 금속편(140)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절연시켜, 상기 금속편(140)에서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130)는 상기 발열체(100)가 체결되는 물품에 신뢰성있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물품의 소정 부분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봉지부(120)는 상기 튜브(110) 외부로 연장된 상기 리드 로드(150)의 말단부와 상기 금속편(140)의 연결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 (120)는 상기 절연부(130)와 상기 튜브(110)와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이루어, 상기 발열체(100)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에는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 내에 배치된 발열 부재(200)와, 상기 발열 부재(200)와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결부(160), 리드 로드(150) 및 금속편(140)이 배치된다. 상기 금속편(140)은 절연부(130)에 의해 절연되고, 상기 절연부(130)와 상기 튜브(110)는 봉지부(120)에 의해 감싸져, 소정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부재(200)는 소정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 1 발열 부재(210)와, 상기 제 1 발열 부재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 2 발열 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열팽창계수의 관계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는 탄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는 텅스텐 또는 니켈-크롬 베이스 합금(Ni-Cr base alloy)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면, 발열 시에,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제 1 발열 부재(210)가 열팽창되어 늘어지더라도,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2 발열 부재(220)가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시에, 열팽창으로 인한 상기 발열 부재(200)와 상기 튜브(110)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가 적어도 한 번 교차됨으로써,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에 대한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의 지지 기 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 기능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있도록,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는 다수 회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간에 열팽창계수가 다른 제 1 발열 부재(210)와 제 2 발열 부재(220)가 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호간에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진 복수 개의 발열 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 부재(200) 중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발열 부재가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발열 부재(200)와 튜브(110)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튜브(110) 내에 삽입된 제 1 발열 부재(210)는 연결부(160)에 의해 리드 로드(150)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는 선형을 이룬다. 그리고, 제 2 발열 부재(220)는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의 외곽을 소정 횟수로 감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시에,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큰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가 열팽창에 의해 늘어지더라도,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작은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시에, 상기 발열 부재(200)가 상기 튜브(110)에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발열 부재(210)가 제 2 발열 부재(220)를 감싼 형상을 이 루는 방식 이외에,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가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를 지지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는 상호간에 접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튜브(110) 내에 배치된 발열 부재(200)는 제 1 발열 부재(210)가 제 2 발열 부재(220)의 외곽을 감싼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의 외곽은 상기 튜브(110)의 내곽과 소정 거리(d1)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발열 부재(200)와 상기 튜브(110)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발열 부재(200)가 발열하면,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큰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가 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발열 부재(210)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외곽과 상기 튜브(110)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 있어, 상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고, 상술된 제 1 실시예의 해당 설명으로 갈음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각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각 실시예의 특징적인 점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오메가(Ω) 형상을 이루는 튜브(111)와, 상기 튜브(111) 내부에 삽입된 제 1 발열 부재(211) 및 제 2 발열 부재(22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발열 부재(211)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튜브(111)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발열 부재(211)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1)의 외곽을 감싼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상기 제 2 발열 부재(221)에 의한 지지력이 상기 제 1 발열 부재(211)에 전달되어, 발열 시에도 상기 제 1 발열 부재(211)가 상기 튜브(11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211) 및 상기 제 2 발열 부재(221)와 상기 튜브(111)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유자(U) 형상을 이루는 튜브(112)와, 상기 튜브(112) 내부에 삽입된 제 1 발열 부재(212) 및 제 2 발열 부재(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발열 부재(212)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튜브(112)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발열 부재(212)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2)의 외곽을 감싼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상기 제 2 발열 부재(222)에 의한 지지력이 상기 제 1 발열 부재(212)에 전달되어, 발열 시에도 상기 제 1 발열 부재(212)가 상기 튜브(11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212) 및 상기 제 2 발열 부재(222)와 상기 튜브(112)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형상의 튜브가 이용되는 발열체가 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된 실시예의 튜브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이루는 튜브가 이용될 수 있고, 그러한 튜브에서 열팽창 계수가 상호간에 다른 발열 부재가 상호간에 지지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 내부에 삽입된 발열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 부재(200)는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큰 제 1 발열 부재(213)와,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작은 제 2 발열 부재(22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는 각각 소정 횟수로 감긴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그러한 형상 하에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의 외곽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이 소정 횟수로 감긴 형상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의 외곽에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가 소정 횟수로 감기면서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를 감싼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 및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에 의한 발열량이 증대될 수 있다. 발열 시에,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가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 및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와 상기 튜브(110)와의 접촉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의 내부에는 별도의 지지 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70)는 연결부(160)에 의해 리드 로드(150)와 연결되어, 소정 지지력으로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지지력에 의해, 상기 제 1 발열 부재(213) 및 상기 제 2 발열 부재(223)가 지지되어, 상기 발열 부재(213, 223)와 상기 튜브(110)의 접촉이 더욱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발열체의 구조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310은 종래의 할로겐을 이용한 발열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참조번호 320은 종래의 탄소로 이루어진 발열 부재를 이용한 발열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3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100)의 구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100)의 구조는 종래의 발열체에 대한 결과(310, 320)에서 에너지 밀도가 각각 높은 부분을 모두 커버하는 에너지 밀도 그래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100)에 의하면, 넓은 영역의 파장대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로 발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에 의하면, 열팽창계수가 상호간에 다른 복수 개의 발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 부재가 상호간에 지지된다. 그러면, 발열시에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발열 부재가 열팽창으로 인해 늘어지더라도,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 부재에 의해 늘어지는 발열 부재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부재와 튜브 사이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발열 부재와 튜브의 접촉으로 인한 발열 부재와 튜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 어, 발열체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구조에 의하면, 선형, 오메가 형상 및 유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튜브에 열팽창계수가 상호간에 다른 복수 개의 발열 부재가 설치되어, 상호간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부재와 튜브 사이의 접촉이 방지되면서, 다양한 형상의 튜브가 발열체에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구조에 의하면, 발열 부재가 감긴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발열체의 크기의 증대없이도 발열량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가 컴팩트하게 제조되면서, 그 발열량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튜브(tube);
    상기 튜브 내에 배치되고, 소정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 1 발열 부재; 및
    상기 제 1 발열 부재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 2 발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열 부재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는 적어도 한 번 교차되어, 상기 제 1 발열 부재가 상기 제 2 발열 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는 상기 제 2 발열 부재의 외곽을 감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는 상호간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는 각각 소정 횟수로 감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와 상기 제 2 발열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 부재는 탄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발열 부재는 텅스텐 및 니켈-크롬(Ni-Cr) 베이스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선형과, 오메가(Ω) 형상과, 유자(U)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구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50063715A 2005-07-14 2005-07-14 발열체의 구조 KR10072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15A KR100722047B1 (ko) 2005-07-14 2005-07-14 발열체의 구조
EP06014444A EP1744593B1 (en) 2005-07-14 2006-07-12 Heating body
US11/457,254 US7800026B2 (en) 2005-07-14 2006-07-13 Heating body
AU2006203060A AU2006203060B2 (en) 2005-07-14 2006-07-13 Heating body
CNA2006101063569A CN1897768A (zh) 2005-07-14 2006-07-14 加热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15A KR100722047B1 (ko) 2005-07-14 2005-07-14 발열체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815A KR20070009815A (ko) 2007-01-19
KR100722047B1 true KR100722047B1 (ko) 2007-05-25

Family

ID=3730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715A KR100722047B1 (ko) 2005-07-14 2005-07-14 발열체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00026B2 (ko)
EP (1) EP1744593B1 (ko)
KR (1) KR100722047B1 (ko)
CN (1) CN1897768A (ko)
AU (1) AU2006203060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482A1 (en) * 2009-04-02 2010-10-07 Trimech Technology Pte Ltd Long thermode assembly
WO2014161916A1 (en) 2013-04-04 2014-10-09 Koninklijke Philips N.V. Heating tube and use thereof in a device for heating items
DE102013110760B4 (de) 2013-09-27 2017-01-12 Ushio Denki Kabushiki Kaisha Strahlungsquelle zur Erzeugung von kurzwelliger Strahlung aus einem Plasma
EP3153229A1 (en) * 2015-10-06 2017-04-12 Gambro Lundia AB Contact-free thermoforming of fiber bundles
JP7424142B2 (ja) 2020-03-19 2024-01-30 株式会社 秩父イワサキ 加熱用ラン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857A (ja) * 1992-01-22 1993-08-13 Daikin Ind Ltd シーズヒ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97595A (ko)
US2581212A (en) * 1949-05-04 1952-01-01 Gen Electric Electrically heated fabric
US3731058A (en) * 1971-01-20 1973-05-01 Metaframe Corp Aquarium heater
US4309597A (en) * 1980-05-19 1982-01-05 Sunbeam Corporation Blanket wire utilizing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resistance heater
US4607154A (en) * 1983-09-26 1986-08-19 Fieldcrest Mills, Inc. Electrical heating apparatus protected against an overheating condition and a temperature sensitive electrical sensor for use therewith
US5081341A (en) * 1988-08-29 1992-01-14 Specialty Cable Corp. Electrical heating element for use in a personal comfort device
FR2686211B1 (fr) 1992-01-10 1994-05-06 Jacrays Equipements Thermiques Element chauffant electrique.
JPH08193925A (ja) * 1995-01-11 1996-07-30 Nuclear Fuel Ind Ltd 熱流動試験用模擬燃料棒
US6035101A (en) * 1997-02-12 2000-03-07 Applied Materials, Inc. High temperature multi-layered alloy heat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3937004B2 (ja) * 1998-11-18 2007-06-27 日本発条株式会社 ヒータユニット
DE10029437B4 (de) * 2000-06-21 2005-11-17 Heraeus Noblelight Gmbh Infrarotstrahl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Infrarotstrahl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857A (ja) * 1992-01-22 1993-08-13 Daikin Ind Ltd シーズヒ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03060B2 (en) 2007-11-08
EP1744593A3 (en) 2008-07-09
AU2006203060A1 (en) 2007-02-01
KR20070009815A (ko) 2007-01-19
US7800026B2 (en) 2010-09-21
EP1744593B1 (en) 2012-02-01
EP1744593A2 (en) 2007-01-17
CN1897768A (zh) 2007-01-17
US20070012681A1 (en)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111B1 (ko) 발열체의 구조
KR100722047B1 (ko) 발열체의 구조
US20060032847A1 (en) Carbon heater
EP1619931B1 (en) Carbon heater
KR100805430B1 (ko) 발열체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433696Y1 (ko) 근적외선 발열체
JP2002015842A (ja) 赤外線電球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3562247B2 (ja) 赤外線電球
KR100767851B1 (ko) 발열체의 구조
KR100751110B1 (ko) 발열체의 구조
JP3835961B2 (ja) 赤外線電球
KR100805432B1 (ko) 발열체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JP2006302522A (ja) 電球型ヒータ、点灯装置
KR101292896B1 (ko) 카본 석영관 히터
JP2003142235A (ja) マイクロヒータ
JP2017117546A (ja) ヒータ
JP3797093B2 (ja) ランプ
JP2004172139A (ja) 赤外線電球及びその赤外線電球を使用した加熱/暖房装置
JP2003157959A (ja) 管球装置
JP3804741B2 (ja) 赤外線電球
JP2000346372A (ja) 電気ストーブ
KR20090063392A (ko) 히터
JP2010045087A (ja) Ptcヒーター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71697A (zh) 丝体支架及具有丝体支架的管加热器、电灶
JP2006004673A (ja) ヒータの封止端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ヒ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