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048B1 -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 Google Patents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048B1
KR100717048B1 KR1020050103787A KR20050103787A KR100717048B1 KR 100717048 B1 KR100717048 B1 KR 100717048B1 KR 1020050103787 A KR1020050103787 A KR 1020050103787A KR 20050103787 A KR20050103787 A KR 20050103787A KR 100717048 B1 KR100717048 B1 KR 10071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anning module
lens unit
scann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066A (ko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048B1/ko
Priority to CNA2006101416005A priority patent/CN1960427A/zh
Priority to US11/585,251 priority patent/US20070097454A1/en
Publication of KR2007004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78Temperature control
    • H04N1/00981Temperature control by forced convection, e.g. using f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belt or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by engaging a r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에 따르면, 프레임,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스캐닝 모듈 내부의 공기를 송풍 팬으로 유동시켜, 프레임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프레임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독취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서비스 시간 및 서비스 비용을 절감시켜 품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있다.

Description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Scanning module,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of the scann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 및 구동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절단면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급지장치(ADF : auto document feeder)
20...급지대 30...배지대
40...표시패널 50...제1평판유리
51...제2평판유리 70...원고안내부재
105...제1브라켓 110...구동모터
120...제1기어 130...제2기어
140...제3기어 150...제4기어
160...제5기어 170...제1벨트풀리
205...제2브라켓 270...제2벨트풀리
300...연결샤프트 305...제3브라켓
370...제3벨트풀리 400a...제1타이밍벨트
400b...제2타이밍벨트 405...제4브라켓
470...제4벨트풀리 500...스캐닝 모듈
501...프레임 510...광원
530...이미지 센서 560...렌즈부
570...송풍팬 580...미러
900...제어 수단 950...온도 센서
본 발명은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scanning module)의 메인트넌스(maintenance)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 미러(mirror), 렌즈(lense)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일체로 구비하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 상기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독취장치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고, 이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다. 화상독취장치의 예로서, 스캐너(scanner), 팩시밀리(facsimile), 복합기 등이 있다.
원고를 독취하기 위하여는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는 화상독취장치를 보통 플랫-베드형(flat-bed type) 화상독취장치라고 한다. 이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의 쉬트-피드형(sheet-feed type) 화상독취장치가 있다. 플랫-베드형 화상독취장치에 자동급지장치(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쉬트-피드형을 겸하는 화상독취장치도 있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유리의 배면에 위치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 주사 유니트,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유니트, 원고에서 반사된 광을 이미지 센서로 반사시키는 광 반사 유니트를 구비한다.
광 주사 유니트는 평판유리의 배면에서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광원은 원고의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할로겐 램프이며,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시에 광을 주사한다.
이미지 센서 유니트는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CIS(Contact image sensor)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 및 광 신호를 집광하여 이미지 센서에 전달하는 렌즈부를 구비한다.
광 반사 유니트는 광 주사 유니트의 광원으로부터 이미지 센서 유니트의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한다. 광 반사 유니트는 원고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렌즈부로 반사하는 다수의 미러를 구비한다.
스캐닝 모듈은 크게 2가지 타입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외장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광 주사 유니트, 이미지 센서 유니트, 및 광 반사 유니트가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스캐닝 모듈로서, 부주사 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광 주사 유니트와, 이미지 센서 유니트와, 광 반사 유니트가 일체로 이동되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다른 하나는 스캐닝 모듈의 관성 질량(mass of inertia)을 줄이기 위하여 광 주사 유니트, 이미지 센서 유니트, 및 광 반사 유니트가 별개로 설치되는 분리형 스캐닝 모듈로서, 이미지 센서 유니트는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고정되며, 광 주사 유니트와 광 반사 유니트는 광 경로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부주사 방향을 따라 각기 다른 속도로 이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사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스캐닝 모듈에는 이물질이 축적된다. 미러나 렌즈부 등이 이물질로 오염된 경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이물질을 화상 데이터로 인식한다. 상기 이물질과 스캐닝 모듈의 이동에 따라 흑색 선 형태의 오류 데이터가 출력된다.
프레임에 광 주사 유니트, 이미지 센서 유니트, 및 광 반사 유니트가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스캐닝 모듈에서는, 프레임을 분해한 뒤에 그 내부를 에어 건(air gun) 등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작업은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기에 곤란하며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한다. 서비스의 곤란성은 서비스 비용 및 서비스 시간을 증가시켜 품질 불만 요인이 될 수 있다. 제때에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이 스캐닝 모듈 내부에 영구적으로 고착되는 경우, 이물질의 제거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광 주사 유니트, 이미지 센서 유니트, 및 광 반사 유니트가 별개로 설치되는 분리형 스캐닝 모듈에서는, 미러나 렌즈부 등이 노출된 상태이므로 공기를 분사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형 스캐닝 모듈에 비하여 일체형 스캐닝 모듈에서, 이물질 제거 수단은 더 복잡한 구조로 마련되며, 서비스 시간과 서비스 비용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광원의 구동이 장시간 온(on) 상태에 있으면, 스캐닝 모듈 내부의 온도가 상승된다. 일 실시예로서, 스캐닝 모듈을 구성하는 각종 기구물은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미러나 렌즈부는 소정 위치에 소정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스캐닝 모듈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기구물의 열적 변형이 우려되며, 미러 및 렌즈부가 소정의 위치와 각도를 벗어날 수 있다. 이는 이미지 센서의 정확한 위치에 광 신호가 결상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독취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 축적이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야기되는 독취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캐닝 모듈과,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캐닝 모듈은,
독취할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원고를 독취한 광신호를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
상기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독취할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원고를 독취한 광신호를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
상기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인트넌스 방법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에 있어서,
송풍 팬으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평판유리(50,51), 자동급지장치(10), 스캐닝 모듈(500)이 도시된다. x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500)이 화상의 독취를 위하여 이동되는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주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500)이 원고의 화상을 일시에 독취하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로서, 평판유리(50,51)는 자동급지장치(10)(ADF : auto document feeder)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고가 접촉되는 제1평판유리(50)와 정지된 원고가 접촉되는 제2평판유리(51)를 구비한다. 제1평판유리(50)와 제2평판유리(5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표시패널(40)에는 화상독취장치의 동작과 상태가 표시되고, 각종의 조작키가 구비된다.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제1평판유리(50)로 이송된다.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정지되어 있는 스캐닝 모듈(500)은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한다. 독취된 원고는 배지대(30)로 배출된다. 제1 및 제2평판유리(51)의 단부 사이에는 경사면을 가진 원고안내부재(70)가 마련된다. 원고안내부재(70)는 제1평판유리(50)를 통과하는 원고의 선단부를 배지대(30)로 안내한다.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지 않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원고는 제2 평판유리(51) 상면에 놓여진다. 스캐닝 모듈(500)이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스캐닝 방향(이하, x축 양의 방향과 일치한다.)으로 이송되며 정지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스캐닝 모듈(500)의 초기위치는, 자동급지장치로 공급되는 원고의 독취시에는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이고, 정지된 원고의 독취시에는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이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독취장치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 및 구동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절단면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면, 슬라이딩되면서 원고(P)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500), 스캐닝 모듈(500)을 부주사 방향을 따라 1축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캐닝 모듈(500)은 원고(P)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510)과, 광원(510)에서 방사된 광을 원고(P)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광 반사 부재(520)와, 원고(P)를 독취한 광신호를 집광하여 이미지 센서(530)로 전달하는 렌즈부(560)와, 광원(510)으로부터 렌즈부(560)에 이르는 광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580)와, 렌즈부(560)에서 집광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530)와, 스캐닝 모듈(500)의 외장을 형성하는 프레임(501)과, 프레임(501)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프레임(501)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프레임(50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송풍 팬(570)을 구비한다.
스캐닝 모듈(500)에 포함되는 이미지 센서(530)로는, 원고(P)를 스캐닝하여 얻은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센서(charge coupled device)가 가능하다. A3 크기 이상의 원고(P)를 독취할 수 있는 고급형의 화상독취장치에서는 해상도 및 초점 심도가 상대적으로 큰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가 바람직하다.
구동 모듈은 스캐닝 모듈(500)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540), 가이드 구멍(540)에 삽입되는 가이드 샤프트(600)를 구비한다. 가이드 구멍(540)은 가이드 샤프트(600)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스캐닝 모듈(500)을 슬라이딩시킨다.
가이드 구멍(540)과 가이드 샤프트(600) 사이의 갭(gap)량, 가이드 구멍(540) 및 가이드 샤프트(600)의 갯수, 가이드 샤프트(600)의 표면 조도 등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캐닝 모듈(500)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스캐닝 모듈(500)의 진동은 독취불량을 야기하므로, 진동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구동 모듈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구멍(540)은 윤활 작용을 위하여 슬라이딩 베어링(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샤프트(600)는 제1타이밍벨트(400a)에 인접되는 위치에 1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캐닝 모듈(500)은 한 개의 샤프트를 따라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2개의 가이드 샤프트(600)가 스캐닝 모듈(500)의 양 단부를 가이드하는 경우, 조립 공차의 누적 등으로 상기 진동량을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 샤프트(600)의 양 단부는 화상독취장치 본체(미도시)에 가이드 샤프트 홀더(610a, 610b)로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캐닝 모듈(500)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미끄럼 부재가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스캐닝 모듈(500)의 자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부재는 스캐닝 모듈(500)에 슬라이딩 방향의 부하를 작용하지 않도록 충분히 윤활된다.
구동 모듈은 스캐닝 모듈(5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0a, 400b),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0a, 400b)를 각각 주행시키도록 외주에 치형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를 동심축으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300), 구동모터(110), 및 구동력 전달부재로서 구동모터(110)와 제1벨트풀리(170)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열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기어열은 구동모터(110)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기어(120), 이에 연결되는 제2기어(130), 제3기어(140), 제4기어(150), 및 제5기어(160)를 포함한다. 기어열은 구동모터(1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제1벨트풀리(17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1타이밍벨트(400a)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1벨트풀리(170)와, 제2타이밍벨트(400b)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2벨트풀리(270)에는 그 외주에 치형이 형성된다. 원고(P)의 크기가 커질수록 스캐닝 모듈(500)의 부피와 질량 및 슬라이딩 속도가 증가되므로 독취 불량의 우려가 증가된다. 제1 및 제2 타이밍벨트(400a, 400b)와 벨트풀리(170, 270)의 치형 결합에 의하여, 구동시의 슬립(slip)이 억제된다.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는 연결샤프트(300)에 의하여 동심축으로 연결되므로, 스캐닝 모듈(500)의 양 단부는 슬라이딩 속도가 동일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기어열, 벨트풀리(170, 270), 타이밍벨트(400a, 400b), 및 연결샤프트(300)에 의하여 스캐닝 모듈(500)에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므로, 슬립(slip)발생이 없고 스캐닝 모듈(500)의 위치 및 속도 제어가 정확하다. 도 시된 스캐닝 모듈(500)은 A3 (297mm X 400mm) 크기의 원고(P)도 불량 없이 독취할 수 있다.
구동모듈은 제1벨트풀리(170), 구동모터(110), 및 기어열을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1브라켓(105)과, 제2벨트풀리(270)를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2브라켓(20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타이밍벨트(400a)의 타 단부는 제3벨트풀리(370)가 결합되고, 제2타이밍벨트(400b)의 타 단부는 제4벨트풀리(470)가 결합된다. 제3 및 제4벨트풀리(370, 470)에도 치형이 형성된다. 제3벨트풀리(370)는 제3브라켓(305)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된다. 제4벨트풀리(470)는 제4브라켓(405)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500)은 송풍 팬(57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송풍 팬(570)이 구비된 스캐닝 모듈(500)을 부주사 방향인 x축을 따라 이동시키며 원고(P)의 화상을 독취한다. 송풍 팬(570)은 광원(510), 렌즈부(560), 미러(580), 및 이미지 센서(530)가 장착되는 프레임(501)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프레임(501) 내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송풍 팬(570)은 프레임(501)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열적 변형에 의한 독취 불량을 줄인다.
일 실시예로서, 송풍 팬(570)은 프레임(501)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570)(fa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570)은 프레임(501)에 마련된 광원(510), 미러(580), 렌즈부(560), 이미지 센서(5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에 공기를 송풍하며 여기에 묻은 이물질을 불어서 제거한다. 프레임(501), 광원(510), 미러(580) 및 렌즈부(560)는 주주사 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송풍 팬(570)은 주주사 방향을 따라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501) 내부의 공간은 주주사 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므로, 주주사 방향을 따른 공기의 송풍은 이물질 제거나 온도 조절에 더 효율적이다.
송풍 팬(5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수단(900)이 마련된다. 도 2에는 제어 수단(900)이 스캐닝 모듈(500)의 외부에 마련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3에는 제어 수단(900)이 스캐닝 모듈(5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어 수단(900)은 송풍 팬(570)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 수단(900)은 스캐닝 모듈(500)이 대기(stand-by) 상태에 있을 때, 일정 주기로 송풍 팬(570)을 동작시킨다. 대기 상태란 스캐닝 모듈(500)이 원고(P)의 독취를 준비하며 대기 위치에서 스캐닝 명령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스캐닝 동작이 수행되지는 않지만 장시간 대기 상태가 지속되면 프레임(501)에 형성된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미러(580)나 렌즈부(560)에 누적될 수 있다. 제어 수단(900)은 일정 주기로 송풍 팬(570)을 동작시켜 프레임(501)에 유입된 이물질이 미러(580)나 렌즈부(560)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 수단(900)은 외부에서 송풍 명령이 입력되면 송풍 팬(570)을 동작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러(580)나 렌즈부(560)에 묻은 이물질은 광원(510)에서 이미지 센서(530)로 향하는 광의 진행을 차단하므로 스캐닝 모듈(500)의 이동시에 흑선의 화상 데이터로 출력된다. 화상독취장치의 출력물에 화상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흑선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번거롭게 서비스 콜(service call)을 부르지 않더라도, 송풍 팬(570)의 동작 명령을 직접 표시패널(40)이나 외부 컴퓨터에 입력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모듈(500)은 온도 센서(9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950)는 프레임(50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 수단(900)은 온도 센서(95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송풍 팬(570)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501) 내부의 미러(580)나 렌즈부(560)의 열적 변형이 방지되는 온도의 기준값은 미리 제어 수단(900)에 저장되어 있다. 온도 센서(950)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제어 수단(900)은 송풍 팬(570)을 동작시켜 프레임(501)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린다.
스캐닝 모듈(500)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하여 프레임(501)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과다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메인트넌스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듈(500)의 메인트넌스 방법으로서, 송풍 팬(570)으로 프레임(501)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프레임(501)에 설치된 광원(510), 렌즈부(560), 미러(580) 및 이미지 센서(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프레임(50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 팬(570)은 프레임(501)에 설치된 광원(510), 렌즈부(560), 미러(580) 및 이미지 센서(530)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이물질을 공기를 불어 제거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트넌스 방법은, 상기 스캐닝 모듈(500)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주기로 상기 송풍 팬(570)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트넌스 방법은, 외부에서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 팬(570)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트넌스 방법은, 상기 프레임(501) 내부의 온도를 온도 센서(950)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팬(570)의 동작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은,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팬에 의하여 프레임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프레임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나 온도 상승에 따른 독취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서비스 시간 및 서비스 비용을 절감시켜 품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삭제
  2. 독취할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원고를 독취한 광신호를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
    상기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이물질 배출 또는 온도 조절을 위하여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송풍하는 송풍 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
  3. 삭제
  4.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독취할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원고를 독취한 광신호를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
    상기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이물질 배출 또는 온도 조절을 위하여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송풍하는 송풍 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주기로 상기 송풍 팬을 동작하는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 팬을 동작하는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팬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8.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 팬으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주기로 상기 송풍 팬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 팬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온도 센서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팬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12.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원고 독취용 부재가 설치되며 주주사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이물질 배출 또는 온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독취용 부재는,
    독취할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원고를 독취한 광신호를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
    상기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스캐닝 모듈의 주주사 방향을 따라 공기를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주기로 상기 송풍 팬을 동작시키거나 또는 외부에서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 팬을 동작하는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8.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되며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maintenance)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 조절 또는 상기 광원, 렌즈부, 미러 및 이미지 센서의 클리닝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주기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외부에서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듈의 메인트넌스 방법.
KR1020050103787A 2005-11-01 2005-11-01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KR100717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787A KR100717048B1 (ko) 2005-11-01 2005-11-01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CNA2006101416005A CN1960427A (zh) 2005-11-01 2006-09-30 扫描模块、图像读取设备及其维护方法
US11/585,251 US20070097454A1 (en) 2005-11-01 2006-10-24 Scanning module,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of the scann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787A KR100717048B1 (ko) 2005-11-01 2005-11-01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066A KR20070047066A (ko) 2007-05-04
KR100717048B1 true KR100717048B1 (ko) 2007-05-14

Family

ID=3799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787A KR100717048B1 (ko) 2005-11-01 2005-11-01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97454A1 (ko)
KR (1) KR100717048B1 (ko)
CN (1) CN19604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269B1 (ko) * 2008-10-23 2009-04-21 동아항업주식회사 항공사진 도화기에서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JP4934872B2 (ja) * 2009-11-24 2012-05-23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047333B2 (ja) * 2010-05-25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15982B2 (en) 2013-11-27 2019-02-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ir curtain generator for optical sensing devices
US20160209645A1 (en) * 2013-11-27 2016-07-2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ir Curtain Generator for Optical Sensing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130A (ja) * 1995-05-22 1996-11-29 Canon Inc スキャナープリンター装置
JPH10173866A (ja) * 1996-12-11 1998-06-26 Canon Inc 原稿読み取り装置
JPH1184293A (ja) 1997-09-11 1999-03-26 Fuji Photo Film Co Ltd 走査光学系
KR19990070358A (ko) * 1998-02-19 1999-09-15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2001075460A (ja) * 1999-09-01 2001-03-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74978A (ja) 2003-09-04 2005-03-24 Noritsu Koki Co Ltd レーザ光走査装置の放熱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4313B2 (ja) * 2001-07-05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130A (ja) * 1995-05-22 1996-11-29 Canon Inc スキャナープリンター装置
JPH10173866A (ja) * 1996-12-11 1998-06-26 Canon Inc 原稿読み取り装置
JPH1184293A (ja) 1997-09-11 1999-03-26 Fuji Photo Film Co Ltd 走査光学系
KR19990070358A (ko) * 1998-02-19 1999-09-15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2001075460A (ja) * 1999-09-01 2001-03-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74978A (ja) 2003-09-04 2005-03-24 Noritsu Koki Co Ltd レーザ光走査装置の放熱構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8346545NU L *
JP11247194NU 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0427A (zh) 2007-05-09
KR20070047066A (ko) 2007-05-04
US20070097454A1 (en)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513B1 (ko) 화상 판독 장치
US7525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ading capable of obtaining adequate white reference data for shading correction
KR100717048B1 (ko)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KR100667832B1 (ko) 주행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JP430241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176182A1 (en) Image scanning device
JP200725883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94106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0156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20040105079A1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5264215B2 (ja) 画像読取装置
KR100727939B1 (ko) 화상독취장치
JP2002320075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916466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10033393A1 (en) Air exhaust device having resilient member for reducing noi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ir exhaust device
US6714756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266315B2 (ja) 光学部材支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44364A (ja) 画像読取装置
JP4132689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4256229A (ja)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3809834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916466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736362B2 (ja) 原稿読取装置
JP2005323053A (ja) スキャ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45904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