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939B1 -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939B1
KR100727939B1 KR1020050051129A KR20050051129A KR100727939B1 KR 100727939 B1 KR100727939 B1 KR 100727939B1 KR 1020050051129 A KR1020050051129 A KR 1020050051129A KR 20050051129 A KR20050051129 A KR 20050051129A KR 100727939 B1 KR100727939 B1 KR 10072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scanning module
module
bel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446A (ko
Inventor
조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939B1/ko
Priority to US11/451,296 priority patent/US20060279805A1/en
Priority to JP2006165199A priority patent/JP2006352881A/ja
Publication of KR2006013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05Different formats, e.g. A3 and A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2Details of the method used
    • H04N1/0443Varying the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belt or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Abstract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CCD센서가 스캐닝모듈과 일체로 슬라이딩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절감되며, 타이밍벨트, 벨트풀리, 연결샤프트, 및 기어열에 의하여 구동력이 스캐닝모듈의 양 단부에 직접 전달되므로 스캐닝모듈의 크기와 무게에 관계없이 슬라이딩시의 슬립(slip)발생이 방지되고 스캐닝모듈의 위치 및 속도 제어가 정확하며, A3 크기의 원고도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독취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참조부호 100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제1 및 제2벨트풀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제1브라켓 106, 206...스터드
110...구동모터 120...제1기어
130...제2기어 140...제3기어
150...제4기어 160...제5기어
170...제1벨트풀리 171...제1벨트풀리 치형
172, 272...연결샤프트 압입부 173, 273...스터드 삽입부
205...제2브라켓 270...제2벨트풀리
271...제2벨트풀리 치형 300...연결샤프트
305...제3브라켓 370...제3벨트풀리
400a...제1타이밍벨트 400b...제2타이밍벨트
405...제4브라켓 470...제4벨트풀리
500...스캐닝모듈 510...하우징
520...렌즈부 530...CCD센서
540...가이드 구멍 600...가이드 샤프트
610a, 610b...가이드 샤프트 홀더 700...화상독취장치 본체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캐닝모듈이 슬라이딩되면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독취장치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고, 이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스캐닝모듈(scanning module)을 구비한다. 화상독취장치의 예로서, 스캐너(scanner), 팩시밀리(facsimile), 복합기 등이 있다.
원고를 독취하기 위하여는 스캐닝모듈이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스캐닝모듈이 이동되는 화상독취장치를 보통 플랫-베드형(flat-bed type) 화상독취장치라고 한다. 이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의 쉬트-피드형(sheet-feed type) 화상독취장치가 있다. 플랫-베드형 화상독취장치에 자동급지장치(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쉬트-피드형을 겸하는 화상독취장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랫-베드형 화상독취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다. 이를 참조하면,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유리(20)가 구비된다. 스캐닝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 사하는 광 주사 유니트(21),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센서(44), 원고에서 반사된 광을 화상 센서(44)로 반사시키는 광 반사 유니트(22)를 구비한다. 화상 센서(44)의 예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가 있다.
광 주사 유니트(21)는 평판유리(20)의 하면에 마련되며, 광 주사기(40)와 제1반사경(41)을 구비한다. 광 주사 유니트(21)는 와이어(28)와 결합되어 속도 V 로 이송되면서 평판유리(20)에 놓인 원고에 광을 주사한다.
광 반사 유니트(22)는 광 주사 유니트(21)에 인접되며, 제2반사경(42)과 제3반사경(43)을 구비한다. 광 반사 유니트(22)는 와이어(28)가 감기는 도르레(24)를 구비하여 속도 V/2 로 이송되면서 광 주사 유니트(21)에서 주사된 광을 화상 센서(44)로 반사한다.
화상 센서(44)는 광 반사 유니트(22)에서 인입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독취장치로 전송한다.
와이어(28)는 참조부호 23과 참조부호 31에 양 단부가 고정된다. 와이어(28)는 일 단부가 참조부호 23에 고정되고, 광 반사 유니트(22)에 구비된 도르레(24)에 감기며,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고정된 풀리들(25, 26, 27)에 감기고, 광 주사 유니트(21)와 결합되며, 다시 광 반사 유니트(22)에 구비된 도르레(24)에 감기고, 타 단부가 참조부호 31에 고정된다.
구동풀리(26)가 와이어(28)를 선속도 V 로 이송시키면, 광 주사 유니트(21)는 이와 동일한 속도 V 로 이송되고, 광 반사 유니트(22)는 속도 V/2 로 이송된다. 따라서, 도 1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주사기(40)로부터 화상 센서(44)에 이르는 광 경로의 전체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광 주사 유니트(21), 광 반사 유니트(22), 및 화상 센서(44)를 일체로 슬라이딩시키려면 스캐닝모듈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된다. 스캐닝모듈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되면 슬라이딩되는 스캐닝모듈의 위치나 속도 제어가 어려워지며, 슬라이딩 장치도 복잡해진다. 보통, 화상 센서(44)로서 CCD센서를 채용한 화상독취장치에서는, CCD센서가 별개의 부품으로 화상독취장치 본체(미도시)에 고정되며, 슬라이딩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특히, 원고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고 한 장당의 스캐닝 시간이 일정하게 되려면, 원고의 크기에 따라 부피와 무게가 증가되는 스캐닝모듈이 더욱 고속으로 슬라이딩되어야 한다. 아울러, 고급화를 위하여 스캐닝모듈의 해상도도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A3 크기의 원고를 독취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는, CCD센서가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해상도의 증가나 복잡한 슬라이딩 장치 등으로 인하여 가격이 상당히 비싸진다.
화상 센서(44)가 슬라이딩되지 않고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광 경로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와이어(28)와 도르레(24) 등의 다수의 부품들이 복잡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와이어(28)와 풀리들(24,25,26,27) 간의 슬립(slip)으로 인하여 독취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편, 와이어(28)를 구동하는 구동풀리(26)와 구동모터(29)가 기어 등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벨트(30)나 마찰차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부정확한 동력 전달과 독취 불량이 우려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원고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화상센서가 스캐닝모듈과 일체로 슬라이딩되는 간단한 구조로서, 정확한 독취가 가능한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슬라이딩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모듈;
상기 스캐닝모듈이 1축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모듈;
상기 스캐닝모듈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타이밍벨트, 상기 제1 및 제2타이밍벨트를 각각 주행시키도록 치형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벨트풀리, 상기 제1 및 제2벨트풀리를 동심축으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 구동모터, 및 구동력 전달부재로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벨트풀리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열을 구비하는 구동모듈;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캐닝모듈은 CIS(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고는 최대 A3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1벨트풀리,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기어열을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1브라켓;
상기 제2벨트풀리를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2브라켓; 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벨트풀리의 중심에 삽입되며,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터드(stud)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스캐닝모듈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 샤프트;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제1타이밍벨트에 인접되는 위치에 1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모듈(500), 스캐닝모듈(500)이 1축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모듈, 스캐닝모듈(50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모듈이 도시된다.
스캐닝모듈(500)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고 원고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받아들이는 렌즈부(520), 렌즈부(520)에서 입수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센서(530), 및 이들이 결합되는 하우징(510)을 구비한다. CCD센서(530)는 초점 심도가 비교적 크다. 다른 실시예로서, 접촉이미지센서(CIS : contact image sensor)를 포함하는 스캐닝모듈(500)의 실시가 가능하다. 접촉이미지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초점 심도가 낮아서 원고와 접촉이미지센서와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가이드모듈은 스캐닝모듈(500)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540), 가이드 구멍(540)에 삽입되는 가이드 샤프트(600)를 구비한다. 가이드 구멍(540)은 가이드 샤프트(600)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스캐닝모듈(500)을 슬라이딩시킨다. 가이드 구멍(540)과 가이드 샤프트(600) 사이의 갭(gap)량, 가이드 구멍(540) 및 가이드 샤프트(600)의 갯수, 가이드 샤프트(600)의 표면 조도 등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캐닝모듈(500)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스캐닝모듈(500)의 진동은 독취불량을 야기하므로, 진동량이 감소되도록 가이드모듈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구멍(540)은 윤활 작용을 위하여 슬라이딩 베어링(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샤프트(600)는 제1타이밍벨트(400a)에 인접되는 위치에 1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샤프트(600)의 양 단부는 화상독취장치 본체(700)에 가이드 샤프트 홀더(610a, 610b)로 고정된다.
구동모듈은 스캐닝모듈(5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0a, 400b),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0a, 400b)를 각각 주행시키도록 치형(171, 271)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를 동심축으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300), 구동모터(110), 및 구동력 전달부재 로서 구동모터(110)와 제1벨트풀리(170)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열을 구비한다.
제1타이밍벨트(400a)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1벨트풀리(170)와, 제2타이밍벨트(400b)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2벨트풀리(270)에는 치형(171, 271)이 형성된다. 이로써, 스캐닝모듈(500)의 슬라이딩 부하에 불구하고 타이밍벨트(400a, 400b)와 벨트풀리(170, 270)간의 슬립(slip)이 억제된다. 구동모듈은 제1벨트풀리(170), 구동모터(110), 및 기어열을 화상독취장치 본체(700)에 결합시키는 제1브라켓(105)과, 제2벨트풀리(270)를 화상독취장치 본체(700)에 결합시키는 제2브라켓(20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타이밍벨트(400a)의 타 단부는 제3벨트풀리(370)가 결합되고, 제2타이밍벨트(400b)의 타 단부는 제4벨트풀리(470)가 결합된다. 제3 및 제4벨트풀리(370, 470)에도 치형이 형성된다. 제3벨트풀리(370)는 제3브라켓(305)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700)에 결합된다. 제4벨트풀리(470)는 제4브라켓(405)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700)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는 연결샤프트(300)에 의하여 동심축으로 연결되므로, 스캐닝모듈(500)의 양 단부는 슬라이딩 속도가 동일하다.
도 3은 도 2의 참조부호 1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105), 이에 고정되며 제1벨트풀리(17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110), 구동모터(110)와 제1벨트풀리(170)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열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로서, 기어열은 구동모터(110)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기어(120), 이에 연결되는 제2기어(130), 제3기어(140), 제4기어(150), 및 제5기어(160)를 포함한다. 기어열은 구동모터(1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제1벨트풀리(17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원고의 크기가 커질수록 스캐닝모듈(500)의 부피와 질량 및 슬라이딩 속도가 증가되므로 독취 불량의 우려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서는, 기어열, 벨트풀리(170, 270), 타이밍벨트(400a, 400b), 및 연결샤프트(300)에 의하여 스캐닝모듈(500)에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므로, 슬립(slip)발생이 없고 스캐닝모듈(500)의 위치 및 속도 제어가 정확하다. 본 발명의 스캐닝모듈(500)은 A3 (297mm X 400mm) 크기의 원고도 불량 없이 독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105)은 제1벨트풀리(170)의 중심에 삽입되며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터드(106)(stud)를 구비한다. 역시, 제2브라켓(205)도 제2벨트풀리(270)의 중심에 삽입되는 스터드(206)를 구비한다.
제1벨트풀리(170)는 제1브라켓(105)의 스터드(106)가 삽입되는 스터드 삽입부(173), 구동모터(1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5기어(160), 제1타이밍벨트(400a)가 연결되는 제1벨트풀리 치형(171), 연결샤프트(300)의 일 단부가 압입되는 연결샤프트 압입부(172)를 구비한다. 제2벨트풀리(270)는 제2브라켓(205)의 스터드(206)가 삽입되는 스터드 삽입부(273), 제2타이밍벨트(400b)가 연결되는 제2벨트풀리 치형(271), 연결샤프트(300)의 타 단부가 압입되는 연결샤프트 압입부(27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벨트풀리(170, 270)는 스터드(106, 206)가 마련된 제1 및 제2브라켓(105, 205)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7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CCD센서가 스캐닝모듈과 일체로 슬라이딩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절감되며, 타이밍벨트, 벨트풀리, 연결샤프트, 및 기어열에 의하여 구동력이 스캐닝모듈의 양 단부에 직접 전달되므로 스캐닝모듈의 크기와 무게에 관계없이 슬라이딩시의 슬립(slip)발생이 방지되고 스캐닝모듈의 위치 및 속도 제어가 정확하며, A3 크기의 원고도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CIS(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모듈;
    상기 스캐닝모듈이 1축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모듈;
    상기 스캐닝모듈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타이밍벨트, 상기 제1 및 제2타이밍벨트를 각각 주행시키도록 치형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벨트풀리, 상기 제1 및 제2벨트풀리를 동심축으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 구동모터, 및 구동력 전달부재로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벨트풀리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열을 구비하는 구동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타이밍벨트, 제1 및 제2벨트풀리 및 상기 기어열에 형성된 치형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스캐닝모듈의 양단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풀리, 연결샤프트, 구동모터, 및 기어열은 동일한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는 최대 A3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1벨트풀리,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기어열을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1브라켓;
    상기 제2벨트풀리를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2브라켓;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벨트풀리의 중심에 삽입되며,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터드(stud)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스캐닝모듈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 샤프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제1타이밍벨트에 인접되는 위치에 1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20050051129A 2005-06-14 2005-06-14 화상독취장치 KR10072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129A KR100727939B1 (ko) 2005-06-14 2005-06-14 화상독취장치
US11/451,296 US20060279805A1 (en) 2005-06-14 2006-06-13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6165199A JP2006352881A (ja) 2005-06-14 2006-06-14 画像読み取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129A KR100727939B1 (ko) 2005-06-14 2005-06-14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446A KR20060130446A (ko) 2006-12-19
KR100727939B1 true KR100727939B1 (ko) 2007-06-14

Family

ID=3752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129A KR100727939B1 (ko) 2005-06-14 2005-06-14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79805A1 (ko)
JP (1) JP2006352881A (ko)
KR (1) KR100727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43B1 (ko) 2011-12-28 2013-07-09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포장용 포장설비의 포대공급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8961A (zh) * 2018-07-11 2018-12-11 芜湖帮许来诺医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磁共振用集成式扫描床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521A (ja) 1996-08-12 1998-03-06 Toshiba Battery Co Ltd シート状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US6611364B1 (en) * 1998-07-22 2003-08-26 Jerome E. Robertson Apparatus for flat-bed scanner imaging system transpor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6004U (en) * 1997-03-26 1998-07-01 Mustek Systems Inc Improvement on a scanner
US6101003A (en) * 1997-07-03 2000-08-08 Mustek Systems Inc. Cassette scanning apparatus
TW361751U (en) * 1997-07-11 1999-06-11 Mustek Systems Inc Concealed covering plate of the scanner
TW407828U (en) * 1999-04-30 2000-10-01 Acer Comm & Multimedia Inc Scanner
US6189395B1 (en) * 1999-08-12 2001-02-20 Teco Image Systems Co., Ltd. Change gear transmission device and scanner employing such device
TW529295B (en) * 1999-12-09 2003-04-21 Benq Corp Scanner with variable scanning speed
US6476373B1 (en) * 2001-04-12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flatbed scanner carriage
US6836633B2 (en) * 2001-04-27 2004-12-28 Ricoh Company, Ltd.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device
TW563334B (en) * 2002-05-09 2003-11-21 Avision Inc Scanner with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scanning module during scanner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521A (ja) 1996-08-12 1998-03-06 Toshiba Battery Co Ltd シート状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US6611364B1 (en) * 1998-07-22 2003-08-26 Jerome E. Robertson Apparatus for flat-bed scanner imaging system trans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43B1 (ko) 2011-12-28 2013-07-09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포장용 포장설비의 포대공급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52881A (ja) 2006-12-28
US20060279805A1 (en) 2006-12-14
KR20060130446A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9277A (en)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rollin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a sheet table and a contact-type sensor
CN103209280B (zh) 图像读取装置
KR100667832B1 (ko) 주행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US20070030534A1 (en) Image Reading Device
EP1309169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7043684A (ja) イメージセンサ、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及び画像読取装置
US5857133A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a contact image sensor
KR100727939B1 (ko) 화상독취장치
US20030039486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device
KR100717048B1 (ko) 스캐닝 모듈,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스캐닝 모듈의메인트넌스 방법
US7894106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0156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6101003A (en) Cassette scanning apparatus
US7936486B2 (en) Transferring guide device usable with image reading sensor unit and scan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264215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1075192A (ja) 画像読取装置
JP3570840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8032942A (ja) 画像読取装置
US6220106B1 (en) Take-up pulley in an image processor
KR20070049818A (ko) 가압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JPH0927089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70075563A (ko)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EP0954163A2 (en) Image scanner with intrinsic biasing of a scan head
KR20050067994A (ko) 플랫베드형 스캐닝장치
JP2007298780A (ja) 駆動軸のベアリングの取り付け機構、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