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563A -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 Google Patents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563A
KR20070075563A KR1020060003960A KR20060003960A KR20070075563A KR 20070075563 A KR20070075563 A KR 20070075563A KR 1020060003960 A KR1020060003960 A KR 1020060003960A KR 20060003960 A KR20060003960 A KR 20060003960A KR 20070075563 A KR20070075563 A KR 2007007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nsor module
image reading
reading senso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563A/ko
Publication of KR2007007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Abstract

플랫 베드형 스캐닝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플랫 베드형 스캐닝 장치는 본체, 원고를 적재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고대, 상기 원고를 독취하는 것으로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독취센서모듈,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미끄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따라서, 개시된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스캐닝 장치, 이송 가이드, 가이드 레일, 가이드 슬라이더

Description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Flat bed type scann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에 구비된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유닛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구비된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유닛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101: 본체
110: 원고대 200: 화상독취센서모듈
200a: 가이드 슬라이더 결합부 300: 가이드 슬라이더
301: 제1 몸체부 302: 제2 몸체부
303: 수직 밸런스부 304: 제3 몸체부
305: 슬라이딩부 400: 가이드 레일
400a: 가이드 슬라이더 관통홀
본 발명은 플랫 베드형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플랫 베드형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에 문자나 그림 등을 인쇄하는 프린터, 스캐닝 장치, 복사기, 팩시밀리 등을 통칭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최근 들어 여러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복합기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스캐닝 장치(scanner)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광신호로 읽어 들이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스캐닝 장치(scanning apparatus)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스캐닝 장치는 원고의 1축에 대한 화상, 즉 1차원 화상을 스캐닝(scanning)하며, 원고의 2축에 대한 화상, 즉 2차원 화상을 스캐닝하기 위하여는 스캐닝 장치가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스캐닝 장치가 이동되는 스캐닝 장치를 보통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flat bed type scanning apparatus)라고 한다. 이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의 시트-피드형 스캐닝 장치(sheet feed type scanning apparatus)가 있다. 또한,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에 자동급지장치(ADF: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시트-피드형을 겸하는 겸용 스캐닝 장치도 있다.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미도시) 상부에 설치되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 및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 유닛을 구비한다.
화상독취센서모듈(20)은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유닛은 가이드 샤프트(30)를 포함하고, 가이드 샤프트(30)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참고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상독취센서모듈(20)의 일측에는 가이드 샤프트(30)와 대응되어 화상독취센서모듈(2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롤러가 설치된다.
그런데,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드 샤프트(30)는 일반적으로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샤프트(30)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0a)에 삽입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홈(20a)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고 가이드 샤프트(30)는 이 베어링에 삽입된다. 또한, 이러한 베어링은 가이드 샤프트(3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무급유 타입(oiless type)의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금속 가이드 샤프트(30)와 무급유 타입의 금속 베어링은 고가이므로 스캐닝 장치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스캐닝시 화상독취센서모듈(20)이 가이드 샤프트(30)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금속 베어링 내의 오일이 고갈되게 되고, 이로 인해 금속 베어링과 가이드 샤프트가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캐닝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원고를 적재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고대;
상기 원고를 독취하는 것으로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독취센서모듈;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미끄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는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에 다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점접촉되는 것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및 그 상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 밸런스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는 윤활성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은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여 얻은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접촉 이미지 센서(CIS : 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 센서(charge coupled device)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구비된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유닛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랫베드형 스캐닝 장치(100)는 본체(101), 원고대(110), 및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화상독취센서모듈 이송 가이드유닛은 화상독취센서모듈(200), 가이드 슬라이더(300), 및 가이드 레일(400)을 포함한다.
원고대(110)는 스캐닝할 원고가 놓이도록 본체(101)의 상부에 설치된다. 원고대(110)는 투명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고대(110)의 하부에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이 설치된다,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여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을 검출하고, 이 광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원고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이게 된다. 화상독취 센서모듈(200)에 구비된 센서로는 CIS(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을 이용하여 2차원 화상을 읽어 들이기 위해서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을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을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슬라이더(300) 및 가이드 레일(400)이 구비되며,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풀리가 구비될 수 있다. 타이밍 벨트는 띠 형태의 벨트에 기어 치형이 형성된 것이며, 타이밍 풀리는 타이밍 벨트의 치형과 치합될 수 있는 치형이 마련된 풀리이다.
가이드 슬라이더(300)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400) 위를 슬라이딩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슬라이더(300)는 이의 하부가 가이드 슬라이더 결합부(200a)에 결합되고, 그 상부는 가이드 레일(400)과 대면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가이드 슬라이더 결합부(200a)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슬라이더(300)는 POM(poly oxide monomer) 등의 윤활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레일(400)은 본체(101)에 설치되어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의 이송을 안내한다. 가이드 레일(400)은 POM(poly oxide monomer) 등의 윤활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슬라이더(300)는 이의 상부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400) 은 구형인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300)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그 측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 레일(400)의 하부에는 가이드 슬라이더(300)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 슬라이더 관통홀(400a)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서 가이드 슬라이더(300)의 상부를 제1 몸체부(301), 그 하부를 제3 몸체부(304), 상기 제1 몸체부(301)와 제3 몸체부(304) 사이의 중앙부를 제2 몸체부(302)로 명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슬라이더(300)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304)는 가이드 슬라이더 결합부(200a)에 다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 몸체부(304)는 다방향 회동에 유리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상의 부주의나 제조 공정상의 작업 공차로 인해 가이드 슬라이더(300) 또는 가이드 레일(400)에 국부적인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의 가이드 슬라이더(300)가 상기 가이드 레일(400) 위를 슬라이딩할 때 상기 휘어진 부위에 가로 막혀 그 진로를 방해 받게 되더라도 제3 몸체부(304)가 그 충격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휘어진 부위를 우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가이드 슬라이더(300)는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가이드 슬라이더(3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301)에는 슬라이딩부(305)가 설치된다. 제1 몸체부(301)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부(305)는 제1 몸체부(301)에 구형 또는 사면체 형상 등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슬라이딩부(305)는 가이드 레일(400)의 내벽과 점접촉된 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이드 슬라이더(300) 및 가이드 레일(400)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들 양 부재들(300, 400) 사이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마찰 저항을 최소화함에 따라 이들 양 부재들(300, 40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변형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이드 슬라이더(300)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제2 몸체부(30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400)에 형성된 가이드 슬라이더 관통홀(400a)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제2 몸체부(302)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원반 형상의 수직 밸런스부(303)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 밸런스부(303)는 그 상면이 가이드 레일(400)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30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즉, 가이드 슬라이더(300)는 이에 설치된 수직 밸런스부(303)가 가이드 레일(400)의 하면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상방으로 들리는 힘을 받게 되더라도 일정 높이 이상 상방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안정된 수직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슬라이더(300)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화상독취센서모듈(200)도 같은 원리에 의해 안정된 수직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100)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고가의 금속 가이드 샤프트 및 고가의 무급유 타입의 금속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플라스틱 소재로 된 가이드 슬라이더(300)와 가이드 레일(400)만을 사용하여 화상독취센서모듈(200)을 부주사방향(S)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캐닝 장치(1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라이더(300)와 가이드 레일(400)을 윤활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마 찰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의 무급유 타입의 금속 베어링과 금속 샤프트 사이의 과도한 마찰에 기인하는 소음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캐닝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본체;
    원고를 적재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고대;
    상기 원고를 독취하는 것으로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독취센서모듈;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미끄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는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에 다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점접촉되는 것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및
    그 상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의 수 직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 밸런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는 윤활성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센서모듈은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여 얻은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접촉 이미지 센서(CIS : 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 센서(charge coupled devic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KR1020060003960A 2006-01-13 2006-01-13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KR20070075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60A KR20070075563A (ko) 2006-01-13 2006-01-13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60A KR20070075563A (ko) 2006-01-13 2006-01-13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63A true KR20070075563A (ko) 2007-07-24

Family

ID=3850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60A KR20070075563A (ko) 2006-01-13 2006-01-13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5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0688A (ja) * 2015-11-11 2017-05-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0688A (ja) * 2015-11-11 2017-05-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0731A (en) Image scanner having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7746522B2 (en) Image reading device
US8861048B2 (en) Image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5999277A (en)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rollin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a sheet table and a contact-type sensor
US775581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865431B2 (ja) 画像読取装置
EP2615816B1 (en) Image reading device
JP2007194820A (ja) イメージセンサ、保持部材、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EP1309169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9253327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7028487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9246841A (ja) 画像読取装置
US20150055199A1 (en) Image Reading Device
US5857133A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a contact image sensor
KR100667832B1 (ko) 주행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0636226B1 (ko) 화상독취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936486B2 (en) Transferring guide device usable with image reading sensor unit and scan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75563A (ko) 플랫베드형 스캐닝 장치
JP4188257B2 (ja) 光学式イメージスキャナ
US20060215235A1 (en) Scanner with an adjustable upper casing
GB2385228A (en) Image scanner having sensor array movable in two dimensions.
KR100727939B1 (ko) 화상독취장치
TWI832795B (zh) 掃描裝置
CN107395914A (zh) 图像读取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KR20070041140A (ko) 화상독취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