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211B1 - 식품포장용 봉지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용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211B1
KR100713211B1 KR1020060049697A KR20060049697A KR100713211B1 KR 100713211 B1 KR100713211 B1 KR 100713211B1 KR 1020060049697 A KR1020060049697 A KR 1020060049697A KR 20060049697 A KR20060049697 A KR 20060049697A KR 100713211 B1 KR100713211 B1 KR 10071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ackaging bag
cutting line
food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동
유규동
Original Assignee
유희동
유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동, 유규동 filed Critical 유희동
Priority to KR102006004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211B1/ko
Priority to PCT/KR2007/002277 priority patent/WO200714241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2575/3209Details
    • B65D2575/3218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227Cuts or weakening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포장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며,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식품포장용 봉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의 전면부를 겹쳐서 압착하여 돌출 형성하되, 그 상부에는 소폭 절취된 절취선단부가 형성되는 절취시작부; 상기 절치선단부의 하부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봉지전면부상에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절취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에 의하면, 포장용 봉지의 전면부에 포장용 봉지를 개봉할 수 있는 절취라인부를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하며, 바닥면에 포장용 봉지를 눕혀 놓아도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취시작부, 절취라인부, 절취리드턱

Description

식품포장용 봉지{Vinyl for packing fo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구성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정면도,
도 3a,b는 도 1 및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구성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봉지 10: 봉지전면부
100: 절취시작부 110: 절취선단부
120: 절취후단부 200, 300: 절취라인부
210: 절취홈 220: 절취리드턱
400: 절취안내부 500: 테이프
510: 손잡이
본 발명은 식품포장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포장용 봉지의 전면부에 포장용 봉지를 개봉할 수 있는 절취라인부를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하며, 바닥면에 포장용 봉지를 눕혀 놓아도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봉구조가 변경된 식품포장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담기는 식품포장용 봉지는 내부에 음식물을 삽입한 후 그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식품포장용 봉지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밀봉된 양측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가위 또는 칼 등의 기구를 이용해야만 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품포장용 봉지의 개봉구조는 사용자의 힘으로 개봉을 해야하므로, 어린이 및 노약자들은 개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포장용 봉지의 측면 어느 일측으로부터 절취선을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 개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용 봉지가 나왔으나, 이러한 포장용 봉지는 개봉시에 바닥면에 포장용 봉지를 눕혀 놓게 되면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 봉지의 전면부에 포장용 봉지를 개봉할 수 있는 절취라인부를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한 식품포장용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용 봉지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취라인부로 인하여 개봉시에 바닥면에 포장용 봉지를 눕혀 놓아도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포장용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며,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식품포장용 봉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의 전면부를 겹쳐서 압착하여 돌출 형성하되, 그 상부에는 소폭 절취된 절취선단부가 형성되는 절취시작부; 상기 절치선단부의 하부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봉지전면부상에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절취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취라인부는 그 단면의 두께가 상기 절취라인부의 주변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취라인부의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절취리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며,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식품포장용 봉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의 전면부에 고주파처리를 통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절취라인부; 상기 절취라인부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소폭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취안내부; 상기 절취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절취라인부의 외부에서 상기 절취안내부 및 절취라인부를 따라 접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구성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정면도이며, 도 3a,b는 도 1 및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는 절취시작부(100), 절취라인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절취시작부(100)는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취시작부(100)는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를 겹쳐서 압착하여 상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절취시작부(100)의 돌출 형성된 부분에는 사용자가 상기 포장용 봉지(1)를 개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소폭의 절취부분(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시작부(100)는 상기 절취부분(130)을 기준으로 하여 후술할 절취라인부(200)를 따라 개봉되는 절취선단부(110)와 상기 포장용 봉지(1)에 고정되는 절취후단부(120)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상기 절취선단부(110)는 후술할 절취라인부(200)를 따라 상기 포장용 봉지(1)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취라인부(200)는 상기 절취선단부(110)의 하부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상에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용 봉지(1)의 개봉시에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폐곡선인 것이 좋다.
상기 절취라인부(200)는 그 단면의 두께가 상기 절취라인부(200)의 주변보다 얇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라인부(200)는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데,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로부터 내측으로 소폭 함몰되는 절취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홈(210)의 중앙부에 상기 절취라인부(2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단부(100)를 통하여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를 개봉할 때에, 상기 절취라인부(200)가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즉, 상기 절취홈(210)의 안내를 받으면서 개봉되므로, 상기 절취라인부(200)를 따라 개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취라인부(200)는 상기 절취라인부(200)를 따라 상기 포장용 봉지(1)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라인부(200)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절취리드턱(22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절취리드턱(220)은 상기 절취라인부(200)의 양측에 상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취라인부(200)를 따라 상기 포장용 봉지(1)를 개봉할 때에, 상기 포장용 봉지(1)의 개봉부분이 상기 절취라인부(200)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봉지의 구성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봉구조가 변경된 식품포장용 봉지는 절취라인부(300), 절취안내부(400), 테이프(500)가 포함된다.
상기 절취라인부(300)는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에 고주파 처리를 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상기 포장용 봉지(1)의 전면부(10)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싼 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형상의 절취라인부(300)는 후술할 절취안내부(400)와 대향되는 곳에 형성되는 절취라인의 연결부분을 라운딩처리하여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절취안내부(400)는 상기 절취라인부(300)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소폭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취라인부(300)와 함께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외부에 후술할 테이프(500)가 접착되게 된다.
상기 절취안내부(400)는 외부에 접착되는 후술할 테이프(5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테이프(500)는 상기 절취안내부(40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절취라인부 (300)의 외부에서 상기 절취안내부(400) 및 절취라인부(300)를 따라 접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테이프(500)를 제거하여 상기 포장용 봉지(1)를 개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손잡이(5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500)는 상기 절취안내부(400)가 형성된 상기 절취라인부(300)에만 접착되므로, 상기 포장용 봉지(1)를 개봉할 때에는 상기 테이프(500)를 제거한 후, 나머지 절취라인부(300)를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손으로 절취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절취안내부(400)가 상기 절취라인부(300)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절취라인부(300)를 따라 사각형상으로 절취안내부(400)를 형성하고, 상기 절취라인부(300) 및 절취안내부(400)의 외부에 상기 테이프(500)를 접착하여 상기 테이프(500)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포장용 봉지(1)가 개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 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용 봉지의 전면부에 포장용 봉지를 개봉할 수 있는 절취라인부를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포장용 봉지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취라인부로 인하여 개봉시에 바닥면에 포장용 봉지를 눕혀 놓아도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며,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식품포장용 봉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의 전면부를 겹쳐서 압착하여 돌출 형성하되, 그 상부에는 소폭 절취된 절취선단부가 형성되는 절취시작부;
    상기 절치선단부의 하부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봉지전면부상에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절취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봉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부는 그 단면의 두께가 상기 절취라인부의 주변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봉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부의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절취리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봉지.
  4.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며,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식품포장용 봉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의 전면부에 고주파처리를 통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절취라인부;
    상기 절취라인부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소폭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취안내부;
    상기 절취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절취라인부의 외부에서 상기 절취안내부 및 절취라인부를 따라 접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봉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봉지.
KR1020060049697A 2006-06-02 2006-06-02 식품포장용 봉지 KR10071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97A KR100713211B1 (ko) 2006-06-02 2006-06-02 식품포장용 봉지
PCT/KR2007/002277 WO2007142411A1 (en) 2006-06-02 2007-05-09 Vinyl for packing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97A KR100713211B1 (ko) 2006-06-02 2006-06-02 식품포장용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211B1 true KR100713211B1 (ko) 2007-05-02

Family

ID=3826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697A KR100713211B1 (ko) 2006-06-02 2006-06-02 식품포장용 봉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3211B1 (ko)
WO (1) WO2007142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4052B (zh) * 2010-12-23 2016-05-21 洛曼治療系統股份有限公司 可防護孩童安全且高度惰性之含有活性物質的單劑膜用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379U (ko) * 1986-02-13 1988-04-25
JPH01116191U (ko) * 1988-01-30 1989-08-04
JPH09156677A (ja) * 1995-12-08 1997-06-17 Fuji Seal Co Ltd 蓋用ラベル付き容器
JP2003226339A (ja) * 2002-01-31 2003-08-12 Daio Paper Corp 衛生薄葉紙収納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473A (ja) * 1993-10-01 1995-04-18 Akio Takeda ノン、オサラ食品パック包装
KR200287390Y1 (ko) * 2002-06-12 2002-08-30 김문석 중앙개봉식 과자포장봉지
KR200299006Y1 (ko) * 2002-10-01 2002-12-31 김선근 식품포장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379U (ko) * 1986-02-13 1988-04-25
JPH01116191U (ko) * 1988-01-30 1989-08-04
JPH09156677A (ja) * 1995-12-08 1997-06-17 Fuji Seal Co Ltd 蓋用ラベル付き容器
JP2003226339A (ja) * 2002-01-31 2003-08-12 Daio Paper Corp 衛生薄葉紙収納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2411A1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558B2 (en) Packaged oral care implement and package
JP2006341875A (ja) 再封式容器
CN205169251U (zh) 一种一次性密封包装盒
KR100713211B1 (ko) 식품포장용 봉지
JP5323870B2 (ja) 納豆容器、容器入り納豆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5901A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809467B2 (ja) 開放装置を設けられた包装容器
KR200488594Y1 (ko) 절취선이 구비된 포장봉지
KR101883339B1 (ko)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JP2007055656A (ja) 包装用容器
JP4869659B2 (ja) 四面体状の包装体
JP2021104864A (ja) 包装容器
JPH1111477A (ja) 容器開口具
CN109153484A (zh) 带盖容器
CN106697559A (zh) 一种一次性密封包装盒
KR101257312B1 (ko) 물티슈용 포장팩
JP2001322652A (ja) 包装用袋の融着部を切除するための切裂方法及び包装用袋の切裂用切欠口の構造
JP5773971B2 (ja) 納豆容器、容器入り納豆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79343Y1 (ko) 분할 개봉이 가능한 이중 용기
JP5844619B2 (ja) 食品容器、容器入り納豆及びその製造方法、調味料注入方法
CN209834459U (zh) 一种口腔保护器具的包装盒
JP6998007B2 (ja) 蓋部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
KR200369264Y1 (ko) 밀봉용기의 접착식 개봉장치
KR200236908Y1 (ko) 박막뚜껑개봉안내장치
JP3102702U (ja) 液体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