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339B1 -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 Google Patents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339B1
KR101883339B1 KR1020160072817A KR20160072817A KR101883339B1 KR 101883339 B1 KR101883339 B1 KR 101883339B1 KR 1020160072817 A KR1020160072817 A KR 1020160072817A KR 20160072817 A KR20160072817 A KR 20160072817A KR 101883339 B1 KR101883339 B1 KR 10188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ag
locking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585A (ko
Inventor
이하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베티
Priority to PCT/KR2016/0062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200226A1/ko
Priority to CN201690000111.5U priority patent/CN209076053U/zh
Priority to US15/312,649 priority patent/US10093455B2/en
Publication of KR2016014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65D33/1675Hinged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의 개봉부를 밀폐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변, 제2 변 및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제1 변, 제2 변 및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각각 봉지의 일면 및 타면을 덮으면서 결합되어 상기 봉지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TONGS FOR SEALING BAG OPENING}
본 발명은 봉지의 개봉부를 밀폐하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제품의 포장과 판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 봉지에 제품을 담아서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샘플, 리필용 샴푸 등의 액상 제품, 씨리얼, 과자 등의 입자상의 제품, 리필용 커피, 세제 등의 분말상의 제품 등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제품들이 포장봉지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포장봉지에 담긴 제품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장봉지의 일부를 절취하여야 한다. 이 경우, 포장봉지의 일부를 절취한 후 모든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포장봉지를 폐기하면 되지만, 내용물의 일부만을 사용하고 이후 재사용을 위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취 부위를 밀폐하여 습기, 먼지, 세균 등의 유입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하고 남은 화장품 샘플 봉지를 화장대에 놓아두면 봉지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와 화장대가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어서, 내용물이 남아있음에도 그냥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종래에는 포장봉지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지 입구 전체를 집어서 막는 막대 형태의 집게가 사용되어 왔으며, 대용량 제품은 보통 넓은 크기의 개봉부가 형성되도록 봉지 입구를 뜯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집게의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038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87678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소용량의 작은 크기의 샘플 봉지와 같은 경우에는 봉지의 모서리를 작은 크기로 잘라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와 같이 봉지의 모서리에 막대형 밀봉 집게를 사용하면 집게가 외부로 튀어나와 휴대가 상당히 불편할 뿐 아니라 밀폐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의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5887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비닐포장용기에 점착제로 부착하는 스티커에 관한 것이며, 점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이다 보니 탈부착 과정에 불편함이 따르고 잦은 사용으로 인해 점착제가 훼손 또는 오염되면 부착력 약화로 누설된 내용물이 스티커 외부로 누설될 수도 있고 재사용이 힘들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이 점착제에 의해 오염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봉지의 개봉부를 밀폐할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지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로 모서리를 덮으면서 봉지를 밀폐할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지의 개봉부를 쉽게 밀폐하거나 개봉할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지를 밀폐하기 위하여 봉지를 집은 상태에서도 휴대가 편리한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변과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제1 변과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각각 봉지의 일면 및 타면을 덮으면서 결합되어 상기 봉지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1 변이 상기 봉지의 제1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제2 변이 상기 봉지의 제2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봉지를 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1 변 및 제2 변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3 변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3 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거나 리세스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봉지를 압박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폐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밀폐돌기와,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상기 밀폐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폐홈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폐돌기 및 밀폐홈은 각각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제3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폐돌기는 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봉지의 개봉부를 통해 누설될 수 있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변, 제2 변 및 상기 밀폐홈 사이의 부분에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수용홈과 대향하는 부분에 돌출벽이 돌출되어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의 돌출벽 외측면이 상기 제2 바디의 수용홈 내측 벽면에 접촉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변 및 제2 변과 단차를 이루도록 리세스 되는 리세스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결합되어 상기 봉지를 밀폐한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제3변과 상기 제2 바디의 제3변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의 제2 변 및 상기 제2 바디의 제2 변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돌출형성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잠금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 바디 또는 제1 바디에 형성되는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장착되는 자석과, 상기 제2 바디 또는 제1 바디에 상기 자석과 대향하도록 장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는 외측으로 소정 면적을 갖도록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봉지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로 모서리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봉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봉지의 개봉부를 쉽게 밀폐하거나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암수 결합되는 밀폐부가 봉지를 절곡시키면서 압박하기 때문에 봉지 개봉부의 밀폐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밀폐부가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봉지의 모서리 외에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개봉부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잠금부가 마련됨으로써 임의 개방이 방지되고, 아울러 밀폐력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내측에 수용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봉지 개봉부에서 내용물이 누설되더라도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용이한 세척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가 마련됨으로써 봉지의 삽입 후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에 의하면, 제2 바디의 내측에 단턱이 마련됨으로써 봉지를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를 펼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들을 보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를 이용하여 봉지 개봉부를 밀폐 및 개방하는 과정을 보인 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내부에 화장품 샘플, 리필용 샴푸 등의 액상 내용물이나 기타 입자 또는 분말 내용물이 충전된 소형 봉지(200)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봉지(200)의 모서리 부분이 개봉된 경우 봉지(200)의 모서리 쪽에 배치되어 개봉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개봉부를 밀폐한다. 이 경우,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봉지(200)의 위쪽 경계 및 왼쪽 경계를 따라 외관을 형성하므로 모서리의 밀폐력 외에도 심미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200)의 모서리가 아닌 중앙 부분의 일부를 개봉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가 봉지(200)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할 수 있다. 이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가 평면상 부채꼴 형태를 갖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 외에도 기타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가 봉지(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 가능하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밀폐부(130)는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봉지의 중앙 부분을 감싸면서 밀폐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봉지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개봉된 경우 외에 봉지의 중앙 부분의 일부가 개봉된 경우까지도 개봉부를 효율적으로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를 펼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를 포함하며, 밀폐부(130) 및 잠금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1)는 제1 변(101a), 제2 변(101b) 및 상기 제1 변(101a)과 제2 변(101b)을 연결하는 제3 변(101c)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바디(102)도 제1 변(102a), 제2 변(102b) 및 제1 변(102a)과 제2 변(102b)을 연결하는 제3 변(102c)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 봉지(200)의 일면 및 타면을 덮으면서 결합되며, 이에 따라 봉지(200)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한다. 이 경우, 제2 바디(102)의 내측에 봉지(200)의 개봉부가 위치하도록 놓여지고 제1 바디(101)를 제2 바디(102)에 결합함으로써 봉지(200)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하게 되며, 봉지(200)는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가 다른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보다 넓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제2 바디(102) 위에 봉지가 놓여지고 제1 바디(101)가 봉지를 덮으면서 제2 바디(102)와 결합되어 봉지의 개봉부를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대상으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의 제1 변이 봉지의 제1 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제2 변이 상기 봉지의 제2 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봉지를 집을 수 있다. 이 경우, 여기에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의 제1 변 및 제2 변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전체적으로 봉지(200)의 모서리 쪽에 배치되어 개봉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개봉부를 밀폐하며, 봉지(200)의 위쪽 경계 및 왼쪽 경계를 따라 외관을 형성하므로, 심미성과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변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의 제3 변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의 제3 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거나 리세스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채꼴, 사각형, 기타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부연설명은 후술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태를 갖는 것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 제1 변(101a, 102a), 제2 변(101b, 102b), 제3 변(101c, 102c)을 가지며, 각각의 제1 변(101a, 102a)과 제2 변(101b, 102b)은 직각을 이루고, 각각의 제3 변(101c, 102c)은 호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부채꼴의 형태를 갖는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의 제1 변(101a, 102a) 및 제2 변(101b, 102b)과 단차를 이루도록 리세스되는 리세스부(14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바디(102)는 리세스부(140)와 제1 변(102a)의 사이 및 리세스부(140)와 제2 변(102b)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144)을 갖게 되며, 제2 바디(102)에 놓여지는 봉지(200)의 제1 변 및 제2 변이 제2 바디(102)의 단턱(144)에 접촉되면서 봉지(200)가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1)의 리세스부(140)는 봉지(200)의 개봉부에서 누설되는 내용물을 일부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에 리세스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봉지(200)를 밀폐하도록 결합된 경우, 제1 바디(101)의 제3 변(101c)과 제2 바디(102)의 제3 변(102c) 사이에 소정의 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개방하고자 할 때, 틈(103)에 손가락 끝이나 손톱을 삽입한 다음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쉽게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쉽게 개방하는 다른 예로, 제1 바디(101) 또는 제2 바디(102)에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 중 어느 하나에 외측으로 소정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0)는 제1 바디(101)의 제1 변(101a)과 제2 변(102a)에서 연장 형성되어 'ㄱ'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102)는 봉지(200)의 개봉부를 통해 누설될 수 있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함몰형성되는 수용홈(142)을 가질 수 있고, 제1 바디(101)는 제2 바디(102)의 수용홈(142)과 대향하는 부분에 돌출벽(141)이 돌출되어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일 영역(143)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각각 별개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지만,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101)의 제2 변(101b) 및 제2 바디의 제2 변(102b)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2)에 봉지(200)를 놓은 후 제1 바디(101)를 회동시켜 결합시킴으로써 봉지(200)를 밀폐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제1 바디(101)의 제2 변(101b) 및 제2 바디의 제2 변(102b)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힌지부를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각각 낱개로 분리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힌지부는 ABS 나 PP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합성수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부(130)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 사이에 마련되어 봉지를 압박하여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폐부(130)는 제1 바디(101)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밀폐돌기(131)와, 제2 바디(102)의 일면에 형성되는 밀폐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돌기(131)와 밀폐홈(132)은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결합 시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밀폐돌기(131)는 밀폐홈(132)에 삽입된다. 이 경우, 밀폐돌기(131)와 밀폐홈(132)의 암수 구조를 이용하여 봉지를 절곡시켜 압박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된다. 밀폐돌기(131)와 밀폐홈(132)은 복수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돌기(131) 및 밀폐홈(132)은 각각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의 제3 변(101c, 102c)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돌기(131) 및 밀폐홈(132)은 각각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의 제3 변(101c, 102c)의 길이방향을 따라 호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폐돌기(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호 형태의 밀폐돌기(131)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돌기(131)는 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폐돌기(131)가 띠 형태로 이루어지면, 밀폐돌기(131)의 이격된 두 부분이 봉지(200)를 간격을 두고 2군데에서 압박하기 때문에 밀폐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밀폐돌기(131)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밀폐돌기(131)의 단부 또는 밀폐홈(132)의 바닥면에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가 부착될 수 있으며, 밀착부재는 밀폐돌기(131)와 밀폐홈(132) 간의 밀착력을 높이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봉지를 더욱 강하게 압박하게 되어 봉지 개봉부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착부재는 밀폐돌기(131)의 단부 및 밀폐홈(132)의 바닥면 모두에 부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밀착부재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내면 전체에 부착되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 간의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밀폐부(130)에 의해 밀폐된 경우라 하더라도, 봉지(200)의 개봉부에서 내용물이 미세하게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누설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바디(102)는 수용홈(142)을 가질 수 있으며, 수용홈(142)은 제2 바디(102)의 제1 변(102a), 제2 변(102b) 및 밀폐홈(132) 사이의 부분에 함몰형성된다. 제2 바디(102)에 리세스부(140)가 형성된 경우에는 수용홈(142)은 리세스부(140)에서 함몰형성된다. 이에 따라, 봉지(200)의 개봉부에서 누설되는 극히 소량의 내용물은 제2 바디(102)의 수용홈(142)에 담겨지게 되어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제1 바디(101)는 제2 바디(102)의 수용홈(142)과 대향하는 부분에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일 영역(143)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영역(143)은 제2 바디(102)의 수용홈(142)과 마찬가지로 봉지(200)의 개봉부에서 누설되는 소량의 내용물을 담겨지는 공간이다. 일 영역(143)은 제1 바디(101)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벽(1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101)의 돌출벽(141) 외측면이 제2 바디(102)의 수용홈(142) 내측 벽면에 접촉되도록 끼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봉지(200)의 개봉부에서 누설되는 내용물은 제1 바디(101)의 일 영역(143)에 담겨지게 되고 내용물은 외부로 유출되기가 어려워지며,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결합력도 더욱 견고해진다.
참고로, 봉지(200)의 개봉부에서 내용물이 누설되더라도 제1 바디(101)의 일 영역(143)과 제2 바디(102)의 수용홈(142)에 담겨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부분만 닦아내면 되고, 따라서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를 쉽게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잠금부(110)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봉지(200)의 개봉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부(110)는 잠금돌기와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고, 잠금돌기는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형성될 수 있고, 잠금홈은 제2 바디 또는 제1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돌기(111)는 제2 바디(102)의 제1 변(102a)에 돌출형성되고, 잠금홈(112)은 잠금돌기(111)와 맞물리도록 제1 바디(101)의 제1 변(101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돌기(111)는 그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1a)을 가질 수 있고, 잠금홈(112)은 걸림돌기(112a)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01)를 제2 바디(102) 쪽으로 회동시키면 잠금홈(112)의 걸림돌기(112a)가 잠금돌기(111)의 걸림턱(111a)에 접촉하게 되고, 외력을 더 가하면 잠금홈(112)의 걸림돌기(112a)가 잠금돌기(111)의 걸림턱(111a)의 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잠금돌기(111)가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이후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완전히 맞닿게 되면 잠금돌기(111)의 걸림턱(111a)에 잠금홈(112)의 걸림돌기(112a)가 걸림결합됨으로써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잠금돌기(111)의 걸림턱(111a)과 잠금홈(112)의 걸림돌기(112a)는 서로 맞닿는 면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102)에는 잠금돌기(111) 인접부위에 관통홀(1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잠금돌기(111)의 탄성변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잠금부(110)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잠금부는 제1 바디(101) 또는 제2 바디(102)에 장착되는 자석과, 제2 바디(102) 또는 제1 바디(101)에 장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과 자성체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닫혔을 때 서로 오버랩되어 두 바디를 고정시킨다. 또 다른 예로, 잠금부는 제1 바디(101)에 형성되는 돌기와 제2 바디(102)에 형성되는 돌기가 서로 엇갈려 걸림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더하여 봉지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06)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06)를 제외한 기타 구성은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 부재(106)는 제2 바디(102)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제2 바디(102)의 밀폐홈(132)과 수용홈(142) 사이에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106)는 밀폐홈(132)과 수용홈(142)을 구획하는 격벽(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의 상단에 형성되며, 격벽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106)는 평면상 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106)와 격벽 사이의 공간(108)은 봉지의 삽입통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102)는 리세스부(140)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바디(102)는 단턱(144)을 갖게 되므로, 제2 바디(102)에 놓여지는 봉지(200)가 제2 바디(102)의 단턱(144)에 접촉되면서 봉지(200)가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의하더라도 봉지(200)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이는 가이드 부재(106)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06)는 격벽과의 사이에 공간(108)을 형성하여 봉지의 삽입통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삽입된 봉지(200)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이다.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는 부채꼴 형상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을 가지되, 그 외면이 별도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의 외면에 주름을 넣어 조개껍데기와 유사한 외관을 형성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의 외면에 부채살 등의 이미지를 넣어 부채와 유사한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의 외면에 다양한 디자인 형태가 가미되어 봉지의 일측 모서리에 다양한 사물 형태가 맞물려 있는 듯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의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거나 리세스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직선을 이루는 구성이다.
도 9의 (b)를 참고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는 형태이며, 돌출된 부분이 대칭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직선을 이루되, 하나의 절곡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를 갖는 구성이다.
도 9의 (c)를 참고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는 형태이며, 돌출된 부분이 계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직선을 이루되, 복수의 절곡부를 갖는 구성이다.
도 9의 (d)를 참고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모서리를 향해 소정면적으로 리세스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는 구성이다.
도 9의 (e)를 참고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는 형태이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태를 갖되 호 부분에 복수의 반원 형상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되, 복수의 절곡부를 갖는 구성이다.
도 9의 (f)를 참고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 및 리세스된 형태이며, 돌출된 부분이 물결모양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는 구성이다.
도 9의 (g)를 참고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모서리를 향해 소정면적으로 리세스된 형태이며,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되, 복수의 절곡부를 갖는 구성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를 이용하여 봉지 개봉부를 밀폐 및 개방하는 과정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1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돌기(111)를 손잡이부(150)를 각각 손으로 잡고, 잠금돌기(111)를 좌측으로 당기면서 손잡이부(150)는 상측으로 올리면 집게가 개방된다. 그러고 나서, 제2 바디에 봉지(200)의 개봉부가 삽입되도록 놓은 후에, 다시 제1 바디를 회동시켜 제2 바디와 결합시킴으로써 봉지(200)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집게(100)를 개방하여 사용하면 되고, 내용물이 흘러나오더라도 제2 바디의 수용홈(142)에 담겨지기 때문에 집게(100) 외부로 흘러나올 염려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봉지 밀폐용 집게
101 : 제1 바디 102 : 제2 바디
103 : 틈 106 : 가이드 부재
110 : 잠금부 111 : 잠금돌기
111a : 걸림턱 112 : 잠금홈
112a : 걸림돌기 130 : 밀폐부
131 : 밀폐돌기 132 : 밀폐홈
140 : 리세스부 141 : 돌출벽
142 : 수용홈 144 : 단턱
150 : 손잡이부

Claims (20)

  1. 제1 변,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제1 변,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봉지를 압박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밀폐돌기와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상기 밀폐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폐홈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돌기 및 밀폐홈은 각각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제3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각각 봉지의 일면 및 타면을 덮으면서 결합되어 상기 봉지의 개봉부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1 변이 상기 봉지의 제1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제2 변이 상기 봉지의 제2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봉지를 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1 변 및 제2 변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3 변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3 변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의 제3 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되 빗변으로부터 소정면적을 갖도록 돌출되거나 리세스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돌기는 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2. 제1 변,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제1 변,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봉지를 압박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밀폐돌기와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상기 밀폐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폐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봉지의 개봉부를 통해 누설될 수 있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변, 제2 변 및 상기 밀폐홈 사이의 부분에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수용홈과 대향하는 부분에 돌출벽이 돌출되어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일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돌출벽 외측면이 상기 제2 바디의 수용홈 내측 벽면에 접촉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변 및 제2 변과 단차를 이루도록 리세스되는 리세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결합되어 상기 봉지를 밀폐한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제3변과 상기 제2 바디의 제3변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제2 변 및 상기 제2 바디의 제2 변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돌출형성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잠금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 바디 또는 제1 바디에 형성되는 잠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장착되는 자석과, 상기 제2 바디 또는 제1 바디에 상기 자석과 대향하도록 장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20. 청구항 18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는 외측으로 소정 면적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KR1020160072817A 2015-06-12 2016-06-11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KR10188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6224 WO2016200226A1 (ko) 2015-06-12 2016-06-12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CN201690000111.5U CN209076053U (zh) 2015-06-12 2016-06-12 袋子开封部密封用夹子
US15/312,649 US10093455B2 (en) 2015-06-12 2016-06-12 Tongs for sealing opening of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614 2015-06-12
KR20150083614 2015-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585A KR20160146585A (ko) 2016-12-21
KR101883339B1 true KR101883339B1 (ko) 2018-07-30

Family

ID=5773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817A KR101883339B1 (ko) 2015-06-12 2016-06-11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93455B2 (ko)
KR (1) KR101883339B1 (ko)
CN (1) CN2090760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31B1 (ko) * 2021-11-29 2023-04-25 닥터케이헬스케어주식회사 항균성이 향상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5651B2 (en) * 2016-08-08 2020-03-24 De Soto Brands Methods and systems for a mounting tool
IT201900021117A1 (it) 2019-11-13 2021-05-13 Plastical S R L Dispositivo di collegamento per reti antigrand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05Y1 (ko) 2001-05-12 2001-10-15 조영보 김포장봉투용 집게
KR200258689Y1 (ko) * 2001-09-04 2001-12-28 이용우 코너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9905A (en) * 1970-06-17 1971-12-28 Delmer J Cote Bread bag resealer
US3755859A (en) * 1971-12-15 1973-09-04 R Solari Hanger clip
JPS5221133Y2 (ko) * 1972-10-11 1977-05-16
DK153013C (da) * 1985-08-20 1988-10-31 Ice Pack Service Ag Lukkeklemme til poser
US4835820A (en) * 1988-02-01 1989-06-06 Robbins Edward S Iii Bag closure device
JPH0343444U (ko) 1989-09-05 1991-04-23
FR2668980B1 (fr) * 1990-11-12 1993-02-19 In The Pocket Dispositif pour maintenir ensemble plusieurs feuillets.
JP2000085797A (ja) 1998-09-17 2000-03-28 Toyo Seikan Kaisha Ltd 封止具付き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4580527B2 (ja) 2000-09-14 2010-11-17 シルバー電研株式会社 遊技島の紙幣収納装置
JP3080056U (ja) 2001-03-06 2001-09-14 尚芳 足立 挟み具付袋閉じ具
KR200290380Y1 (ko) 2002-07-08 2002-09-28 김구환 짜게 기능이 결합된 밀봉집게
WO2009129207A1 (en) 2008-04-16 2009-10-22 Naishadh Udeshi One-piece corner clip
KR20090012474U (ko) * 2008-06-02 2009-12-07 김민재 자석형 봉투 집게
KR20100115922A (ko) * 2009-04-21 2010-10-29 김결 짜게 기능을 가진 밀봉집게
KR101125887B1 (ko) 2010-01-08 2012-03-21 이하나 비닐포장용기 절개 부분 밀폐용 스티커
CN203033104U (zh) 2013-01-22 2013-07-03 佳木斯大学 一种包装袋封口夹
KR20160001882A (ko) * 2014-06-27 2016-01-07 주식회사 이에스엔디 모서리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05Y1 (ko) 2001-05-12 2001-10-15 조영보 김포장봉투용 집게
KR200258689Y1 (ko) * 2001-09-04 2001-12-28 이용우 코너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31B1 (ko) * 2021-11-29 2023-04-25 닥터케이헬스케어주식회사 항균성이 향상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99785A1 (en) 2018-04-12
US10093455B2 (en) 2018-10-09
KR20160146585A (ko) 2016-12-21
CN209076053U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39B1 (ko)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JP2018509257A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化粧品容器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JP6340256B2 (ja) パウチ容器
JPH03107880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5518314A (ja) ワンタッチで開閉する上部開口部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KR20160123039A (ko) 화장품 용기
KR102427475B1 (ko) 화장품 밀봉 패키지
JP7047163B2 (ja) 包装容器
JP3209888U (ja) 包装容器、湿潤シート包装構造
JP2008174286A (ja) 密封袋
KR101483483B1 (ko) 카트리지 타입 블리스터 포장체
JP6537269B2 (ja) 真空包装機
JP6657930B2 (ja) フレキシブル包装体
JP4577767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
KR200362028Y1 (ko) 접착식 밀폐용 지퍼
KR100713211B1 (ko) 식품포장용 봉지
KR200474475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JP4259727B2 (ja) 袋とスプーンとの組合せ物品
KR102323991B1 (ko) 화장품 용기
KR20170034702A (ko) 마스크 팩 파우치 보관케이스
JP6830812B2 (ja) 剤入個装材
JP3088037U (ja) 調味料小出し容器収納袋
KR200486376Y1 (ko) 개폐 가능한 용기
KR200319234Y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파우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