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76Y1 - 개폐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76Y1
KR200486376Y1 KR2020160005901U KR20160005901U KR200486376Y1 KR 200486376 Y1 KR200486376 Y1 KR 200486376Y1 KR 2020160005901 U KR2020160005901 U KR 2020160005901U KR 20160005901 U KR20160005901 U KR 20160005901U KR 200486376 Y1 KR200486376 Y1 KR 200486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lip
hole
discharge por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15U (ko
Inventor
신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5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7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16Elements constricting the neck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구멍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에 걸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용기{openable and closable container}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배출구 부분이 간편하게 개폐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나 액체 상태의 샴푸, 화장품, 치약 등과 같은 유체는, 일반적으로 파우치 형태의 용기에 담겨 사용된다. 이때 파우치에는,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거나 또는 구멍이 없는 대신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부분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파우치에 마련되거나 또는 외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멍을 통해 내용물을 취할 수 있는데, 이때 구멍에는 내용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적정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주둥이가 마련될 수 있다.
주둥이는 파우치와 달리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멍의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주둥이에는 나사결합으로 탈착될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나사결합으로 주둥이에 결합되는 뚜껑을 마련할 경우, 경질의 주둥이를 연질의 파우치에 연결하는 공정과 뚜껑을 별도로 제작하는 공정 등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단가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뚜껑이나 별도의 주둥이를 마련하는 대신에, 파우치가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되, 내용물의 토출 후 구멍이 마련되는 부분을 단순히 집게 등으로 압착하여 배출이 억제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위와 같이 파우치 자체를 압착해 구멍을 막아야 하는 경우엔, 사용자가 집게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을 소지하고 있어야만 구멍의 밀폐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번거롭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이상과 같이, 유체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치에 대해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멍을 개방한 뒤 다시 밀폐할 수 있되 제조단가의 상승이나 불편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에서 내용물의 배출구가 마련되는 배출부가, 클립에 의해 간편하게 개폐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인 개폐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구멍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에 걸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구는, 상기 배출부를 압착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부분 대비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은,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접혀서 적어도 2겹 이상이 상기 관통구의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관통구의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파쇄되면 상기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클립의 이탈 방지를 위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며, 상기 배출부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은,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압착하여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납작해진 상태로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부분인 배출부를 압착하여 배출구를 밀폐하되, 집게 등을 사용하는 대신 클립을 슬라이딩하여 배출부가 간편하게 압착되어 배출구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클립의 평면도이다.
이때 도 1은 배출구(21)가 노출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2는 배출구(21)가 노출된 상태이며, 도 3 및 도 4는 클립(30)의 이동에 의해 배출구(21)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1)는, 본체(10), 배출부(20), 클립(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용물을 수용한다. 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유체일 수 있으며, 일례로 취식이 가능한 음료일 수 있고, 또는 샴푸나 선크림 등과 같은 화장품, 치약 등일 수 있다.
또는 내용물은 유체 외에도 분상물 등일 수 있으며, 본체(10)에 수용되는 유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는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멍(11)을 갖는다. 내용물은 본체(10) 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 시 구멍(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구멍(11)에는 후술할 배출부(20)가 마련되므로, 내용물은 배출부(20)의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본체(10)는 파우치 형태일 수 있으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체(1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만 후술할 배출부(2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본체(10)와 배출부(20)의 연결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본체(10)는 연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체(10)에 마련되는 구멍(11)은 배출부(20)의 배출구(21)에 연결되는데, 배출부(20)의 배출구(21)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본체(10) 내부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배출구(21)가 개방되면, 본체(10)의 구멍(11)이 배출구(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됨에 따라, 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20)는, 구멍(1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구(21)를 갖는다. 배출부(20)는 본체(10)에서 구멍(11)이 마련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체(10)에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출부(20)는 본체(10)와 동일/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10)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면, 배출부(20) 역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10)와 배출부(20)는 한 번의 제조 공정에 의해 동시에 제작될 수 있다.
배출부(20)에는 배출구(21)가 마련되는데 배출구(21)는 구멍(11)과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배출구(21)는 외부와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출부(20)의 일단을 사용자가 파쇄할 경우에는 배출구(2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배출부(20)에는 점선 등의 형태를 갖는 파쇄선(21a)이 마련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파쇄선(21a)을 이용하여 배출부(20)의 일단을 찢을 수 있다. 이때 배출부(20)의 일단이 찢기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부(2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20)의 배출구(21)와 연통되어 있는 본체(10)의 구멍(11)은,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본체(10)를 기울이거나 파우치 형태의 본체(10)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본체(10)의 구멍(11) 및 배출부(20)의 배출구(21)를 따라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배출부(20)에서 일단이 파쇄되어 형성되는 배출구(2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21)가 상방을 향하도록 본체(1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배출구(21)를 통해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쏟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배출구(21)가 개방 후 밀폐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클립(30)을 사용하게 된다. 후술할 클립(30)은 배출구(21)를 개방하였다가 밀폐시킴으로써, 본체(10)가 기울거나 쓰러져도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클립(30)은, 배출부(20)에 마련되며 배출부(20)를 개폐한다. 클립(30)은 배출부(20)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구(31)가 마련되며, 배출부(20)에 걸쳐 보관될 수 있다. 즉 클립(30)은 관통구(31)를 통해 배출부(20)에 걸려있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클립(30)의 관통구(31)는, 제1 부분(31a)과 제2 부분(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분(31a)은 배출부(20)를 압착하여 배출구(21)를 밀폐하는 부분이고, 반대로 제2 부분(31b)은 배출부(20)의 압착을 해제하여 배출구(21)를 개방하는 부분이다. 이때 제1 부분(31a)과 제2 부분(31b)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부분(31b)은 배출부(20)의 압착을 해제하기 위해 제1 부분(31a) 대비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제2 부분(31b)은 배출부(20)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부분(31b)에 배출부(20)가 놓이면 배출부(20)에는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물론 제2 부분(31b)의 면적은 배출부(2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부분(31b)은 배출부(20)에 대한 압착을 완전히 해제하지는 않지만, 배출구(21)는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부분(31a)의 면적은, 배출부(20)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배출부(20)를 압착하여 배출구(21)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즉 제1 부분(31a)은 거의 선에 가까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부분(31a)의 면적은 배출부(20)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제1 부분(31a)의 면적은, 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얼마나 쉽게 빠져나오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분(31a)의 면적은 배출부(20)를 압착하여 배출구(21)를 충분히 밀폐할 수 있을 정도면 되고, 내용물의 점도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30)은 제2 부분(31b)에 배출부(20)가 관통하도록 배출부(20)에 걸쳐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31b)은 배출구(21)를 밀폐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 2에서 배출구(21)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클립(30)이 슬라이딩 되어 도 3과 같은 위치에 놓일 경우, 배출부(20)는 제2 부분(31b)에 위치했다가 제1 부분(31a)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배출부(20)가 제1 부분(31a)에 위치하면, 제1 부분(31a)의 면적 및 형상으로 인해 배출부(20)는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20)가 제1 부분(31a)에 위치하면 배출구(21)가 밀폐될 수 있다.
반대로 도 3에서 도 2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 클립(30)이 슬라이딩되면, 배출부(20)는 제1 부분(31a)에서 제2 부분(31b)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제2 부분(31b)은 배출구(21)를 밀폐하지 않는 면적과 형상을 가지므로, 배출부(20)는 제2 부분(31b)에 위치할 때 배출구(21)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클립(3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배출부(20)가 제1 부분(31a) 또는 제2 부분(31b)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출부(20)가 제1 부분(31a)에 위치할 때 클립(30)은 배출구(21)를 밀폐하고, 배출부(20)가 제2 부분(31b)에 위치할 때 클립(30)은 배출구(21)를 개방하게 된다. 즉 클립(3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배출구(21)가 매우 간편하게 개방 또는 밀폐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클립(30)의 제1 부분(31a)에 배출부(20)가 압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내용물의 점도나 크기 등에 따라, 배출구(21)를 통해 내용물이 누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의 경우와 같이, 클립(30)은 배출부(20)가 접혀서 적어도 2겹 이상이 제1 부분(31a)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20)는 접힌 상태로 제1 부분(31a)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다 완벽하게 배출구(21)의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내용물의 배출을 하지 않고자 한다면, 배출구(21)가 마련되는 배출부(20)의 일단을 안쪽으로 접을 수 있다. 이후 배출부(20)에서 접어서 겹쳐진 부분으로 클립(30)의 제1 부분(31a)을 이동시켜서, 제1 부분(31a)에 의해 배출부(2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21)는 밀폐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배출부(20)가 접힌 상태로 제1 부분(31a)에 끼워질 수 있는지 여부는, 제1 부분(31a)의 면적이나 형태, 배출부(20)의 재질 또는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상태에서도 충분한 밀폐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제1 부분(31a)과 배출부(20)가 마련된다면, 제1 부분(31a)의 면적은 2겹 이상의 배출부(20)를 수용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도 4의 상태가 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의 상태가 가능하다면, 제1 부분(31a)의 면적은 2겹 이상의 배출부(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므로, 도 3의 상태에서 제1 부분(31a)은 배출부(20)를 충분히 압착하지 못함에 따라, 배출구(21)는 내용물의 누출이 가능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제1 부분(31a)은, 클립(30)이 슬라이딩될 때 접혀진 2겹의 배출부(20) 또는 1겹의 배출부(20)를 용이하게 압착하면서 수용하도록, 제2 부분(31b)에 인접할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부분(31a)은 제2 부분(31b)에 인접한 부분의 폭이 제2 부분(31b)에서 먼 부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부(20)에는 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클립(30)은 관통구(31)에 배출부(20)가 관통된 상태로 배출부(20)에 걸쳐 보관될 수 있는데, 제1 부분(31a) 또는 제2 부분(31b)에 배출부(20)가 위치한 상태에서 클립(30)이 배출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즉 배출구(21)가 개방 또는 밀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배출부(20)에는 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22)가 마련된다.
이 경우 클립(30)은, 배출부(20)의 돌기(22)와 본체(10)의 구멍(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돌기(22)는 제2 부분(31b)에 배출부(20)가 위치할 때 제2 부분(31b)을 벗어날 정도인 동시에, 제1 부분(31a)에 배출부(20)가 위치할 때 제1 부분(31a)을 벗어날 정도인 크기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클립(30)은, 돌기(22)에 의해 배출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제1 부분(31a) 또는 제2 부분(31b)에 배출부(20)가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하여 배출구(21)의 개폐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돌기(22)와 함께 또는 돌기(22)를 대신하여, 배출부(20)에서 배출구(21)가 마련되는 측의 폭이나 단면이 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할 정도의 크기(일례로 클립(3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폭이 제2 부분(31b)의 폭보다 큼)를 갖도록 하여, 클립(30)은 관통구(31)에 배출부(20)가 관통된 상태로 항상 배출부(20)에 걸쳐져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본체(10)의 일측에 배출부(20)를 마련하되, 배출부(20)의 배출구(21)가 배출부(20)에 걸쳐 보관되는 클립(30)의 슬라이딩에 의해 간편하게 구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1)의 경우 클립(30)이 배출부(2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클립(30)은, 배출부(20)의 일단에 마련되어 배출구(21)를 커버한다. 클립(30)은 배출부(20)의 일단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클립(30)과 배출부(20)의 연결 부분에는 앞서 설명한 파쇄선(21a) 등과 동일/유사하게, 클립(30)의 분리를 돕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클립(30)은, 배출부(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배출구(21)를 개방할 수 있다. 즉 클립(30)은 배출부(20)의 뚜껑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배출부(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관통구(31)를 이용하여 배출부(20)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관통구(31)의 제1 부분(31a) 또는 제2 부분(31b)을 이용하여 배출구(21)를 개폐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클립(30)이 배출부(20)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면, 배출구(21)는 클립(30)의 제1 부분(31a)에 배출부(20)가 위치할 경우 또는 클립(30)이 배출부(20)의 일단에 결합된 경우에 밀폐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용기(1)는, 배출부(2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하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됨은 물론이다.
배출부(2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압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배출부(20)는 압착되면 폭이 넓어지면서 배출구(21)가 좁아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배출부(20)에는 파쇄선(21a)이 마련되는데, 사용자가 파쇄선(21a)을 이용하여 배출부(20)의 일단을 절개하면, 도 10과 같이 배출부(20)의 배출구(2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후 도 11과 같이 클립(30)이, 슬라이딩에 의해 배출부(20)를 압착하면서 제1 부분(31a)에 배출부(20)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출구(21)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배출부(20)는 제2 부분(31b)에 위치한 경우 대비 제1 부분(31a)에 위치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면서 배출구(21)가 좁아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배출부(20)가 일례로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마련될 경우, 클립(30)이 슬라이딩되면서 제1 부분(31a)에 배출부(20)가 위치하면, 배출부(20)는 강하게 압착될 수 있고, 따라서 클립(30)은 배출구(21)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즉 클립(30)은, 배출부(20)가 납작해진 상태로 제1 부분(31a)에 위치하게 되면 배출구(21)를 밀페할 수 있고, 반대로 배출부(20)가 제2 부분(31b)에 위치할 때 배출구(21)를 개방할 수 있다. 배출부(20)가 제2 부분(31b)에 위치하면 배출부(2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배출부(20)는 배출구(21)를 개방하는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개폐 가능한 용기 10: 본체
11: 구멍 20: 배출부
21: 배출구 21a: 파쇄선
22: 돌기 30: 클립
31: 관통구 31a: 제1 부분
31b: 제2 부분

Claims (11)

  1.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구멍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에 걸쳐 보관되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배출부를 압착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부분 대비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2 부분을 가지며, 폐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접혀서 적어도 2겹 이상이 상기 관통구의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관통구의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파쇄되면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클립의 이탈 방지를 위한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9.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구멍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에 걸쳐 보관되고, 상기 배출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며, 상기 배출부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은,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압착하여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배출부가 납작해진 상태로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용기.
KR2020160005901U 2016-10-13 2016-10-13 개폐 가능한 용기 KR200486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01U KR200486376Y1 (ko) 2016-10-13 2016-10-13 개폐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01U KR200486376Y1 (ko) 2016-10-13 2016-10-13 개폐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15U KR20180001115U (ko) 2018-04-23
KR200486376Y1 true KR200486376Y1 (ko) 2018-05-09

Family

ID=6207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901U KR200486376Y1 (ko) 2016-10-13 2016-10-13 개폐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824A (ja) * 2003-09-25 2005-04-14 Kao Corp ブロー成形スタンディング薄肉容器
JP2005239223A (ja) 2004-02-26 2005-09-08 Yoshino Kogyosho Co Ltd スタンディング薄肉容器
JP2007186214A (ja) 2006-01-11 2007-07-26 Ryuichi Ie レジ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094B1 (ko) * 2014-12-10 2016-06-23 이재호 밀봉수단이 구비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824A (ja) * 2003-09-25 2005-04-14 Kao Corp ブロー成形スタンディング薄肉容器
JP2005239223A (ja) 2004-02-26 2005-09-08 Yoshino Kogyosho Co Ltd スタンディング薄肉容器
JP2007186214A (ja) 2006-01-11 2007-07-26 Ryuichi Ie レジ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15U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055B1 (ko) 용기의 덮개
KR20120048758A (ko) 본체를 통해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된 이종물질 수용장치
CN102596754A (zh) 用于擦拭巾的软包装分发容器的盖子
CN110352166A (zh) 盖的密封结构
US10435207B2 (en) Collapsible fluid dispensing package and valve fitment for dispensing fluid such as foodstuffs
CN110300715B (zh) 单触式开封帽
KR200486376Y1 (ko) 개폐 가능한 용기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101574225B1 (ko) 음료용기용 캡
JP2011084282A (ja) 流動物押出用容器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JP3530976B2 (ja) チューブ状容器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074905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2127914B1 (ko) 착탈식 토출유닛을 포함하는 포장용 팩
JP2005138866A (ja) エアーバック防止機能付きスクイズ式注出容器
KR200452650Y1 (ko) 봉지 밀폐구
RU2511550C1 (ru)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упаковки жидкого или пастообраз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450148Y1 (ko) 착탈식 배출 장치로 공기 배출이 되는 휴대용 음료수 밀폐용기
KR100368537B1 (ko) 마개기능을 갖는 개봉탭
KR101836574B1 (ko) 개폐가 용이한 캔
KR200379462Y1 (ko) 튜브타입 용기의 숄더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