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910B1 -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 Google Patents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910B1
KR100709910B1 KR1020027003309A KR20027003309A KR100709910B1 KR 100709910 B1 KR100709910 B1 KR 100709910B1 KR 1020027003309 A KR1020027003309 A KR 1020027003309A KR 20027003309 A KR20027003309 A KR 20027003309A KR 100709910 B1 KR100709910 B1 KR 10070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w plug
switch
housing
control circuit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596A (ko
Inventor
바우어한스-페터
가이싱어알브레히트
로커요하네스
테슈너베르너
노이마이스터요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221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991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3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돌출하는 전기 가열 소자 및 전류 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부싱에 의해 가열 소자를 위한 가열 전류가 연소실의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류 부싱 영역에 스위치가 배열되며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통해 가열 전류는 제어될 수 있다.
가열 소자, 전류 부싱, 스위치, 제어 회로, 라인

Description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Sheathed element glow plug}
본 발명은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을 위한 글로우 플러그 및 제어 장치로 구성된 글로우 시스템에 사용되는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글로우 플러그는 예를 들어 DE-OS 28 02 6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는 외주에 나사를 갖는, 튜브형 금속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는 상기 나사에 의해 실린더에서 조여진다. 상기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하우징의 연소실측 단부에서 글로우 핀은 하우징에 의해 지지대 없이 둘러싸이므로, 상기 핀은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가 엔진 내에 조립될 경우 연소실 내로 돌출한다. 글로우 핀에는 가열 장치가 배열되며, 상기 가열 장치는 연소실측에서 접지 접속을 위해 글로우 핀의 폐쇄된 베이스와 접촉되고 연소실 반대편 측에서는 접촉 볼트에 의해 공급 전압과 접촉된다. 또한 연소실 내로 돌출한 부분이 세라믹으로 구성된 세라믹 글로우 플러그도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글로우 시스템의 경우, 가열 장치를 통과하는 전류는 예열 시간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 장치 내의 스위치(릴레이, 파워 트랜지스터)를 통해 스위치 온(switch on) 또는 스위치 오프(off)된다.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는 공지된 장치에 비해, 글로우 전류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가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하우징 내에 집적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스위치는 개별 플러그의 전류만을 스위칭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나사에 가깝게 배치되고 또한 이로써 실린더 헤드에 양호하게 연결됨으로써, 시동 전 차가운 엔진에서 플러그의 작동을 위해 및 워밍 업 단계 중에도 양호한 냉각이 보장된다. 엔진의 비교적 긴 추진 작동 중에 중간 정도의 글로우(glow)가 일어나는 경우에 플러그 나사에서의 온도는 엔진의 수냉에 의해 확실히 제한된다.
종속항에 제시된 조치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또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 큰 횡단면을 갖는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에 대한 케이블 장치의 설치 비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파워 스위치와 함께 집적 회로 부품이 조립되면, 예를 들어 스마트(SMART) 파워 칩이 사용되면, 필요한 전체 전기 라인의 수도 줄어든다. 별도의 예열 시간 제어 장치는 경우에 따라 완전히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컴팩트한 구성도 가능하다.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하우징에 점화 제어부가 집적될 경우, 글로우 온도를 현장에서 직접 검출하고 평가하는 또 다른 가능성이 제공된다. 이로써 작동 조건의 변화에 대해 매우 신속하고 가장 양호하게 반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열 시간 제어 장치가 글로우 온도의 조절을 보장하면, 조절 코일이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조절 코일은 그 포지티브 온도 저항 계수로 인해 글로우 온도가 허용되지 않는 높은 값에 이르지 않도록 보장한다. 또 다른 장점은 반도체-칩을 스위칭 수단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칩은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하우징 내에 조립됨으로써 외부 영향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므로, 반도체 스위치를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내에 조립할 경우 통상적 트랜지스터 하우징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로써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우 플러그를 갖는 글로우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블록 회로도.
도 7,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를 위한 전기 등가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를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1 내지 도 5의 모든 실시예에서 기본 구성은 동일하므로 기본적 구성은 한 번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다양하게 나타난, 집적된 스위칭 유닛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각각의 도면과 직접 연결되어 설명된다.
도 1 내지 5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기본 구성은 튜브형 금속 하우징(1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 보어에는 글로우 플러그(11) 길이의 일부가 밀봉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글로우 플러그(11)는 연소실측 단부에 폐쇄된 글로우 튜브(12)로 구성되며, 상기 글로우 튜브에서는, 연소실측에 배열된 가열 코일(14) 및 연소실에서 떨어져서 배열된 조절 코일(15)로 구성된 가열 장치가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개시된 상기 가열 코일은 단순화를 위해 여기서 저항으로서 도시된다. 상기 가열 장치는 절연 재료(16) 내에 삽입되고 글로우 튜브(12)의 벽에 대해서 절연된다. 상기와 같은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구성 및 작동은 서두에 언급된 종래 기술에 이미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기능적으로 가열 코일(14)과 함께 글로우 튜브(12)는, 연소실 내로 돌출한 가열 소자이다. 하우징(10)은 절연 재료(16) 및 조절 코일(15)과 함께, 연소실 내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 부싱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동일한 기본 구조가 도시되기 때문에,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경우 하우징(10)에서 연소실 반대편 측으로 스위칭 유닛(300)이 배열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300)에는 스위치가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에 의해 가열 장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이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스위칭 유닛(300)은 플러그 접촉부(301)를 통해 공급 라인(19)과 연결되며, 공급 전압 및,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의 신호는 상기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반도체 회로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기 하우징이 내연기관의 실린더의 벽을 통하는 전류 부싱이고 상기와 같은 실린더가 (일반적으로 수냉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얻어진다. 하우징이 실린더의 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하우징(10)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도 역시 냉각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용 반도체 회로는 하우징 부근 또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조절 코일(15)의 접촉은 연소실 반대편에서 금속 연결 소자(12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금속 연결 소자(120)가 도시되며, 상기 연결 소자는 플러그의 연소실 반대편 측면, 즉 공급 라인(19) 쪽으로 평평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평평한 영역에는 스위칭 유닛(300)이 배열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금속 도전층, 즉 연결 소자(120)의 평평해진 면과 예를 들어 납땜 또는 도전성 접착제로 연결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스위칭 유닛(300)은 단순하게, 하부면에 하나의 금속 드레인(drain) 단자와 2 개의 터미널 러그(terminal lug)(301)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터미널 러그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게이트와 연결된다. 순수한 트랜지스터 외에, 반도체 스위치(트랜지스터)와 "지능" 회로의 조합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패키징된 소자의 장점은, 글로우 플러그를 제조할 시에 상기 부품들이 매우 간단하게 취급된다는 것이다.
도 2에는 제 2 실시예가 도시되고, 이 실시예에서 스위칭 유닛은 캡슐화되지 않은 실리콘 칩(302)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 칩(302)은 절연층(304) 상에 배열되므로, 실리콘 칩의 하부면은 연결 소자(120)의 평평해진 영역에 대해 전기 절연된다. 공급 라인(19)과의 연결은 본딩 와이어(303)에 의해 실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딩 와이어(303)를 통해 실리콘 칩(302)의 상부면이 연결 소자(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캡슐화되지 않은 실린콘 소자가 일반적으로 패키징된 소자보다 저렴하며 더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글로우 플러그의 하우징 자체가 실리콘 칩(302)을 위한 충분한 패키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우 플러그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연결 소자(120)는 도 1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조절 코일(15)과의 접촉을 위한 둥근 부분과 뒤쪽으로 평평해진 부분이, 도 3에 따른 반도체 칩(302) 상에 하우징 없이 제공된다. 공급 라인(19)의 접촉은, 반도체 칩(302)의 상부면 상에 고정되고 공급 라인(19)과의 연결을 형성하는 본딩 와이어(303)에 의해 재차 이루어진다. 금속 연결 소자(120)와의 전기적 접촉은, 뒤쪽을 향해 평평해진 금속 연결 소자(120)의 영역 상에 반도체 칩(302)의 후면이 직접 제공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반도체 칩(302)은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반도체 칩(302)의 후면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공급 라인(19)의 끝부분이 반도체 칩(302)의 상부면 상에 직접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구별된다. 이는 예를 들어, 공급 라인(19)의 끝 부분이 얇은 박판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박판은 상응하는 솔더 볼(305)을 통해 반도체 칩(302)의 상부면에 직접 납땜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완전히 회전 대칭이고 연소실 반대편 측면 상에 완전히 평평해진 면을 포함하는 연결 소자(120)가 사용된다. 상기 평평해진 측면에 반도체 칩(302)이 제공됨으로써, 반도체 칩(302)의 하부면과 연결 소자(120) 사이의 전기 접촉이 다시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칩(302)의 상부면 상에는 솔더 볼(solder ball)(305)이 재차 제공되며, 상기 솔더 볼은 공급 라인(19)에 접촉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에는 제어 장치(60)와 글로우 플러그(61)로 구성된 전체 글로우 시스템의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상기 제어 장치(60)는 공동의 라인(19)을 통해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61)와 연결된다. 또한 글로우 플러그는 또 다른 라인(19)을 통해 공급 전압 단자(200)와 연결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등가 회로도를 도시한다. 스위치(70)는 하나의 단자를 통해 공급 전압 단자(200)와 접속되고 다른 단자에서는 조절 코일(15) 및 가열 코일(14)과 직렬로 접지 단자(201)에 대해 접속된다. 스위치(70)는 상응하는 라인을 통해 제어 회로(73)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제어 회로(73)는 라인(19)을 통해 제어 장치(60)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73)는 공급 전압 단자(200)로부터 작동 전류를 받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글로우 플러그(61)는 라인(19)을 통해 제어 장치(60)와 연결된다. 상응하게 코드화된 비트 시퀀스(bit sequence), 주파수 신호 등을 통해, 글로우 플러그는 공동의 배선에도 불구하고 개별 작동 상태 또는 진단 목적이 요구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6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정상 작동의 경우 글로우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모두 공동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7에서 설명된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는 3 개의 전기 단자를 가지며, 접지 단자(201)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0)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공급 전압 단자(200)는 전류를 제공하며, 전류는 가열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스위치(70)를 통해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70)의 스위칭 상태는 마지막으로 제 3 전기 단자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관습용 p- 또는 n- 채널 파워 MOSFET가 스위치(70)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 회로(73) 및 스위치(70)는 하나의 반도체 칩 상에 집적된다.
상기 제어 장치(60) 및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61) 사이의 접속 라인(19)은 글로우 플러그(61)로부터 제어 장치(60)로 정보를 반송(return)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73)에는 상응하게 더 많은 지능이 제공되며, 즉 제어 회로는 일정한 정보를 개별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로부터 제어 장치(60)로 다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기능은 예를 들어 진단 목적을 위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특별한 작동 상태의 경우,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에 의해 감지되는 기능에 대한 개별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61)의 개별적 문의가 실시된다.
도 8에는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61)와 제어 장치(60)의 또 다른 결선이 도시된다. 이 경우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61)는 단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에 의해 상기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는 라인(19)을 통해 제어 장치(60)와 연결된다. 제어 장치(60)는 라인(19)을 통해, 글로우 플러그(61)를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작동 에너지를 제공한다. 회로에 대한 제어 신호는 부가적으로 라인(19)에서 변조된다. 이 경우 스위치(70) 및 제어 회로(73)는 하나의 접속 라인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19)에는 항상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61)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이 인가되며, 제어 회로(73)는 이제 스위치(70)가 작동되어야 하는지를 부가 전압 펄스를 통해 검출한다. 이는 제어 회로(73)에 의해 검출되는 비트 시퀀스 또는 주파수 신호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는, 일반적 전압 레벨에 간단하게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것이고, 상기 고주파 신호는 이제 상기 제어 회로(73)에 의해 검출되어 스위치(70)의 폐쇄를 야기한다.
도 9에는 또 다른 바람직한 회로 실시예가 도시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라인(19)을 통해 공급 전압 단자(200)로부터 작동 전압이, 그리고 제어 장치(60)로부터 제어 신호가 제공된다. 스위칭 유닛(73)은 제어 장치(60)의 제어 신호 및 공급 전압 단자(200)의 공급 전압을 수신한다. 상기 스위치(70)는 가열 코일(14) 및 접지 단자(201)에 대해 그리고 전압 공급 단자(200)에 대해 직렬로 배열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조절 코일(15)의 사용이 생략되며 가열 코일(14) 만이 제공된다. 조절 코일(15)의 기능은 가열 코일(14)을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을 일정한 가열 주기에 따라 제한하는 것이다. 이는, 조절 코일의 재료로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이 높아지는 재료가 선택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고유의 가열 소자 바로 가까이에 지능형 제어 회로(73)를 직접 배치함으로써, 조절 코일(15)의 기능을 제어 회로(73)가 맡을 수 있다. 이러한 접속에서, 반도체 칩 상에는,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소자가 배열될 수 있다. 반도체 칩 상의 장소에서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온도는 글로우 플러그의 첨두의 온도에 따르므로, 글로우 플러그의 첨두의 온도는 반도체 칩에서 측정된 온도를 통해 추론될 수 있다. 글로우 플러그의 온도를 측정하는 또 다른 가능성은, 가열 소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에 있다. 가열 소자의 온도는, 열저항이 저항의 온도 의존성을 가질 때 측정될 수 있다. 가열 소자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글로우 플러그(61)의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소자의 영역에 배열될 수 있는, 온도에 민감한 또 다른 측정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는, 가열 코일(14)을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을 측정된 온도에 따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펄스 변조를 통해 실시되며, 즉 제어 회로(73)는 가열 코일(14)에서 소정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온도 곡선에 따라 스위치(70)를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조치를 통해 글로우 플러그의 구성은 단순해질 수 있다. 온도 측정 대신에, 가열 코일(14)을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 시간에 따라 적분된 가열 코일(14)을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 가열 코일(14)의 저항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서 글로우 플러그(61)의 온도가 간접적으로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들은 기술적으로 동등하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10에는 소위 세라믹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가 도시된다. 상기와 같은 세라믹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에서 글로우 튜브(12)는 제 1 및 제 2 도전성 세라믹층(501, 502)으로 구성되며, 상기 층들 사이에는 절연 세라믹층(503)이 배열된다. 글로우 튜브(12)의 첨두에서 제 1 및 제 2 도전성 세라믹 층(501, 502)은 얇아진 첨두 영역(504)과 서로 연결되므로, 도전성 세라믹층(501)으로부터 얇아진 첨두 영역(504)을 거쳐 제 2 도전성 세라믹층(502)으로까지의 전류 흐름이 가능하다. 상기 글로우 튜브(12)는 연소실 반대편 단부에서 하우징(10)에 의해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라믹 도전층(501)은 하우징(10)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영역 상에는 본딩 와이어(303)에 의해 공급 라인(19)과 연결되는 칩(302)이 제공된다. 칩(302)에는, 상기 칩(302)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의 전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수직 트랜지스터가 다시 배열되므로, 전류는 칩(302)을 거쳐 제 1 도전층(50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체 세라믹층은 표면이 얇은 유리층으로 피복되며, 상기 유리층은 실리콘 칩(302) 하부 및 접촉 영역(505)에서만 제거되고, 상기 접촉 영역에서는 제 2 도전성 세라믹층(502)과 하우징(10) 사이가 전기 접촉된다. 세라믹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들은 실리콘 칩들을 수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Claims (9)

  1.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돌출하는 전기 가열 소자; 및
    상기 가열 소자용 가열 전류를 연소실의 개구를 통해 안내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영역에,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가 배열되며,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통해 가열 전류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영역에 상기 스위치를 위한 제어 회로(73)가 배열되며,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어 회로(73)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2 개의 공급 라인들(19)이 제공되며, 제 1 라인(19)은 가열 전류를 위한 공급 전압용 단자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라인(19)은 상기 제어 회로(73)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 회로(73)를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제 2 라인(19)을 통해서 인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4. 제 2 항에 있어서, 라인(19)을 위한 입력부가 제공되며, 상기 입력부는 스위치(70) 및 상기 제어 회로(73)와 연결되고, 배터리 전압 및, 동시에 상기 제어 회로(73)를 위한 제어 신호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73)는 가열 소자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의 신호에 따라 가열 전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소자는 금속 또는 세라믹 글로우 플러그(11)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우 플러그(11)는 하우징(10)에 의해 상기 연소실의 개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은 동시에 상기 스위치(70) 또는 상기 제어 회로(73)를 위한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70) 및 상기 제어 회로(73)는 칩 상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패키지 없이 상기 하우징(10)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용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KR1020027003309A 1999-09-15 2000-08-12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KR100709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4193.6 1999-09-15
DE19944193A DE19944193A1 (de) 1999-09-15 1999-09-15 Glühstiftker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596A KR20020035596A (ko) 2002-05-11
KR100709910B1 true KR100709910B1 (ko) 2007-04-24

Family

ID=792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309A KR100709910B1 (ko) 1999-09-15 2000-08-12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216384B1 (ko)
JP (1) JP4605735B2 (ko)
KR (1) KR100709910B1 (ko)
BR (1) BR0014006A (ko)
CZ (1) CZ2002845A3 (ko)
DE (2) DE19944193A1 (ko)
HU (1) HU224254B1 (ko)
PL (1) PL195184B1 (ko)
SK (1) SK286219B6 (ko)
WO (1) WO2001020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1857A (sl) * 2004-07-19 2006-02-28 Cosylab, D.O.O. Zarilna svecka z integriranim krmilnikom
JP4225273B2 (ja) 2004-11-25 2009-02-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グロープラグ
DE102006005710A1 (de) 2006-02-08 2007-08-0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wenigstens einer Glühkerze eines Kraftfahrzeugs
JP5948740B2 (ja) * 2011-06-01 2016-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部一体型グロープラグとその通電制御方法
JP5720452B2 (ja) * 2011-07-12 2015-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発熱体通電制御装置
JP5884390B2 (ja) * 2011-10-11 2016-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発熱装置
JP5817688B2 (ja) 2011-11-17 2015-11-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グロープラグ通電制御装置
DE102013201048B4 (de) * 2013-01-23 2015-08-13 Robert Bosch Gmbh Glühstiftkerze
DE102013225267B4 (de) * 2013-12-09 2018-01-18 Robert Bosch Gmbh Glühkerze mit einem Glühelement und einem Brennraumdruck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24A (ko) * 1996-10-22 1998-07-15 김영귀 디젤 엔진용 글로우 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2625C3 (de) * 1978-01-21 1985-07-18 BERU Ruprecht GmbH & Co KG, 7140 Ludwigsburg Glühkerze
JPS5949374A (ja) * 1982-09-15 1984-03-21 Nippon Denso Co Ltd グロ−プラグの通電装置
DE3327773A1 (de) * 1983-05-13 1984-11-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kraftstoffeinspritzung in brennraeume
JPS63182280U (ko) * 1987-05-19 1988-11-24
JPH07167433A (ja) * 1993-12-13 1995-07-04 Isuzu Ceramics Kenkyusho:Kk 自己電流制御形グロープラグ
JPH07305845A (ja) * 1994-05-13 1995-11-21 Isuzu Ceramics Kenkyusho:Kk 自己制御型セラミツクス・グロープラグ
DE19842148C2 (de) * 1998-09-15 2002-02-07 Beru Ag Ionenstrom-Meßglühkerze für Brennkraftmaschinen und Anordnung zum Glühen und/oder Ionenstrommessen mit einer derartigen Glühkerze
DE19852485C2 (de) * 1998-11-13 2002-09-19 Beru Ag Glühkerze und Steckanschluss für eine Glühkerz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24A (ko) * 1996-10-22 1998-07-15 김영귀 디젤 엔진용 글로우 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284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53996A1 (en) 2003-12-15
JP2003509652A (ja) 2003-03-11
HU224254B1 (hu) 2005-07-28
SK3532002A3 (en) 2002-12-03
WO2001020229A1 (de) 2001-03-22
DE19944193A1 (de) 2001-04-19
KR20020035596A (ko) 2002-05-11
CZ2002845A3 (cs) 2002-09-11
DE50008442D1 (de) 2004-12-02
SK286219B6 (sk) 2008-05-06
PL195184B1 (pl) 2007-08-31
EP1216384A1 (de) 2002-06-26
EP1216384B1 (de) 2004-10-27
HUP0202564A2 (en) 2002-12-28
BR0014006A (pt) 2002-05-21
JP4605735B2 (ja)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4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US4358667A (en) Cartridge-type electric immersion heating element having an integrally contained thermostat
KR100709910B1 (ko) 시이드형 글로우 플러그
JP4432825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5660473A (en) Thermal sensor
US8981264B2 (en) Solid state switch
US4733053A (en) Glow element
US4842419A (en) Combination temperature sensor and switch assembly
US20050263136A1 (en) Fuel delivery system
US6150634A (en) Glow plug with electronic component for 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ion sensing functions
US20020108944A1 (en) Hot-air device
JPH0650220A (ja) 加熱装置および内燃機関用加熱システム
US4371910A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 consumers in motor vehicles
JP4225273B2 (ja) グロープラグ
US3593270A (en) Liquid level sensing and indicating system
US7122764B1 (en) Sheathed element glow plug
US4727239A (en) Plug having encapsulated thermal sensor, for engine block heater
JP2002061838A (ja) グロープラグ
KR20010015307A (ko) 이온 흐름 측정 글로 플러그와 그 이온 흐름 측정 글로플러그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 및 회로
US5199406A (en) Igni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54268B2 (ja) 無接点点火装置
KR200187575Y1 (ko) 온도검출소자를가진형광등용전자식스타터
EP1164285B1 (en) Glow plug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arrangement
JPH1162539A (ja) プレッシャースイッチ装置
JP2570347Y2 (ja) 温度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