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289B1 -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289B1
KR100709289B1 KR1020050088627A KR20050088627A KR100709289B1 KR 100709289 B1 KR100709289 B1 KR 100709289B1 KR 1020050088627 A KR1020050088627 A KR 1020050088627A KR 20050088627 A KR20050088627 A KR 20050088627A KR 100709289 B1 KR100709289 B1 KR 10070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an
cancer
gluco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gentiobi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211A (ko
Inventor
박복련
손창우
장희정
박동찬
양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루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루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루칸
Priority to KR102005008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2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β-1,3/1,6-글루칸은 우수한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 효과를 가져 암질환 및 면역 저하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항암, 면역 기능 증진, β-글루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건강 기능 식품

Description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CONTAINING β-GLU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HepG2 세포주에 대한 종양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HeLa 세포주에 대한 종양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HepG2 세포주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U937 세포주에 대한 산 포스파타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농도에 따른 항보체 활성(anticomplement activity)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의 수용성 β- 1,3/1,6-글루칸의 대식세포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처리에 따른 비장 지수(spleen index)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임파구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암은 서구사회에서 심혈관계 질환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으로, 노년 인구의 증가와 환경의 악화로 인하여 세계 암 발생률이 매년 5%이상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암이 원인이 된 사망자 수가 매년 600만 명 정도로서 전체 사망률의 12%에 달하고 있기 때문에, 암은 21세기 인간의 수면 연장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항암 치료 방법은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제와 생물학적 요법제로 분류된다. 화 학요법제는 흔히 말하는 약물요법으로서 핵산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천연물, 호르몬제 등의 합성된 화학물질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요법제는 우리 몸이 원래 가지고 있는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증가시켜 암세포의 활동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암의 진행을 막는 것을 치료의 근거로 삼고 있으며, 사이토카인, 면역 요법제, 유전자 치료제, 혈관신생 형성억제제 등이 있다.
과거 10년 동안 암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화학요법제가 주된 항암 치료 방법이었으나, 부작용, 내성, 재발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기존 화학요법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상적인 항암제 개발을 위하여 면역요법, 유전자치료, 내성억제, 신생혈관생성 억제제 등의 생물학적 요법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항암 활성의 잠재력을 가진 생리적 활성 다당류에 대한 연구는 효모로부터 추출된 치모산(zymosan)이 육종(sarcoma 180) 고형 암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보고 이래(Bradner et al., 1958, Bast et al., 1974), 현재까지 지속 되고 있다.
인체는 항상 각종 감염성 미생물(pathogenic bacteria, virus 등), 이물질 및 변형된 자기세포(transformed self cells, malignant cells)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생체 내에 존재하는 면역계(immune system)의 역할로 항상성 (homeostasis)를 유지하며 살아가게 된다. 면역계는 감염원에 대하여 비특이적으로 최초의 방어를 담당하는 선천성 면역계(macrophage, natural killer cell, complement, interferon, tumor necrosis factor)와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담당하는 후천성 면역계 (T-lymphocyte 및 B-lymphocyte) 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 효과를 갖는 β-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실시예에 따르면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저하 질환 및 면역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질환 예방 및 면역 기능 증강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β-1,3/1,6-글루칸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5320923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젖산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β-1,3/1,6-글루칸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KCCM 10307)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β-글루칸(β-glucan)은 곡물, 버섯, 해초, 효모 등에서 추출되는 글루코스의 폴리머이다. 아그로박테리윰(Agrobacterium) 속 및 아칼리게너스 패칼리스(Acaligenes faecalis) 와 같은 미생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β-1,3 글루칸은 커드란(curdlan)으로 불리기도 한다. 귀리, 보리, 호밀 등 곡물의 식이 섬유질로부터 분리하여 추출되는 β-1,3/1,4 글루칸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형태로 점질성을 갖고 있어서 낮은 농도에서 높은 점성을 나타낸다. 또한, 버섯 균사체나 효모 세포벽으로부터 추출되는 β-1,3/1,6-글루칸은 항암 버섯의 주요 약리작용을 갖는 다당류이며, 효모 유래의 β-글루칸은 물에 잘 녹지 않는 불용성이다.
이와 같은 β-글루칸은 종양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종양세포를 죽이는 활성뿐만 아니라 면역계의 활성화를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도 종양세포를 사멸할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Tsukagoshi et al, 1984, Yang et al, 1992), 독성이 없고 비교적 저렴하므로 항암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버섯 유래의 다당체인 β-글루칸에는 공통적으로 항암 활성과 함께 단핵구(monocytes) 및 대식세포(macrophage)의 특정부위에 결합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른 면역반응으로는 단핵구 생성의 증가, 항체생성의 증가, 사이토카인(IL-1, IL-2, IL-6, and TNF-α) 생성의 증가,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생성의 증가, 보체계 활성화와 리소좀성 효소(lysosomal enzymes)의 방출 등이 있다.
이중 가장 상세하게 연구된 분야가 표고버섯(Lentinus edodes) 기원의 β-글루칸인 렌티난(lentinan)이다. 렌티난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복강 대식 세포의 세포 상해 활성을 용량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며, TNF-α의 생성을 유도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임상연구로서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렌티난을 정맥 주사한 결과 약 70%의 환자들에게서 IL-1β의 생성이 대조군에 비해 50% 증가하는 결과를 보인다는 보고도 있다(Shinya Arinaga et al., Enhanced production of interleukin 1 and tumor necrosis factor by peripheral monocytes after lentinan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harmacology, Volume 14, Issue 1, 1992, Pages 43-47).
이와 같은 β-글루칸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71242호에서 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으로부터 β- 글루칸을 생성하는 방법을 출원한 바 있다. 또한 상기 β-글루칸이 마우스 유래의 파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뼈의 생성을 촉진하는 조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우레바시디움 풀루란스 유래의 수용성 β-1,3/1,6-글루칸은 골 흡수를 하는 파골세포의 형성을 현저히 저해하는 것과 동시에 조골세포 활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β-글루칸을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용도로서 특허 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52608호).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KCCM 10307) 유래의 β-1,3/1,6-글루칸이 종양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증식 억제 및 사멸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항보체 활성 증진 효과, 대식세포의 활성화 효과, 및 고형 암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항암 및 면역 기능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실시예에 따른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β-1,3/1,6-글루칸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KCCM 10307) 유래의 β-1,3/1,6-글루칸이다.
상기 β-1,3/1,6-글루칸은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5 분자당 β-1,6 결합을 하고 있는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가 1 분자씩 연결된 분지형의 수용 성 β-1,3/1,6-글루칸으로, β-1,3 및 β-1,6 결합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분지된 β-글루칸(branched β-glucan)이다. 즉, β-1,3 결합외에도 β-1,6 결합도 있기 때문에 분지가 없는 다른 β-글루칸보다 생리활성이 높다. 또한 상기 β-1,3/1,6-글루칸의 분지도는 항암활성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스키스조필란(schiszophyllan)과 레티난(lentinan)의 분지도인 0.2 내지 0.33과 유사하다.
상기 β-1,3/1,6-글루칸은 결정화도가 낮은 무정형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이 수십만에서 수백만에 이른다. 또한 젖산기(lactic acid group)가 주 사슬에서 분지된 젠티오바이오즈에 치환되어 있어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는 수용성의 산성 다당류이다.
상기 β-1,3/1,6-글루칸은 본 발명자들이 이전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71242호에 기재된 β-글루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을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류를 포함하는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25 내지 35℃, 150 내지 200rpm으로 55 내지 85시간동안 배양한 종균 배양액을 3 내지 5부피%로 접종하는 단계; 상기 종균 배양액이 접종된 배지를 25 내지 35℃, 150 내지 200rpm으로 호기적인 조건에서 3일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배양액을 5000 내지 9000ⅹg의 범위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투석하여 투석 내부 분획을 수득한 후 진공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로부터 유래된 β-1,3/1,6-글루칸은 세포수준의 실험에서 우수한 종양세포 증식 억제 및 사멸 효과, 대식세포의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동물실험에서도 우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 항보체 활성 및 고형암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질환으로는 대표적으로,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입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임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 종양,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실시예에 따른 면역 저하 질환 및 면역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면역 저하로 인한 질환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암질환 예방 및 치료, 또는 면역 저하 질환 및 면역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함량은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10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에 의해 항암 및 면역 기능 증진 효과가 미비하여 과량의 투여량을 처리하여야 하며, 70중량%를 초과할 경우 효과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분획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분획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렌티난,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키토산, 다당류, 플라본 및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 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락코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루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 에멀젼, 현탄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β-글루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도 마그네슘 스티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액, 에멀젼, 현탁액, 시럽제, 엘릭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경우 위텝솔(witepsol),마 크로골, 트윈(tween) 61,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치료대상이 되는 질병, 병증의 정도, 투여경로, 치료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의약품 조성물에서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평균 성인 환자(70kg)에 대해 1일당 0.1 mg 내지 1g/체중1kg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며,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종양 세포 증식 억제 및 사멸 효과, 대식세포의 활성화 및 항보체 활성 효과로 우수한 항암 및 면역기능 증진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기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실시예에 따른 암질환 예방 및 면역 기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 함한다.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으로는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복합체, 건강보조 식품류 등을 들 수 있으며,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중의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로 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과 함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성분으로서 상기 β-1,3/1,6-글루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 성분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것 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프르탐 등)을 사 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건강음료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또한 상기 외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진 않지만 건강기능식품 100중량부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유래의 수용성 β-1,3/1,6-글루칸의 제조
5g/L의 K2HPO4, 1g/L의 NaCl, 0.2g/L의 MgSO4·7H2O, 0.6g/L의 (NH4)2SO4(Sigma Co., U.S.A) 및 2.5g/L의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Difco Lab., U.S.A)을 포함하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의 배양배지를 준비하고 멸균한 후, 멸균된 배지에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무균적으로 2%(v/v) 혼합하였다. 전 배양은 고체 배지에서 일정시간 배양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를 1 백금니 취하여 250ml 용량의 플라스크에 멸균하여 준비한 50ml의 배지에 접종한 후 호기적인 조건에서 25℃ 200rpm의 진탕속도로 72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본 배양은 전배양한 배양액을 500ml용량의 플라스크에 멸균되어 준비된 150ml의 동일 배지에 5%(v/v)를 접종하여 전 배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8000xg의 범위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한 상등액에 2배 용량의 95% 에탄올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이 용액을 8000xg의 범위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95% 에탄올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침전물을 적당한 양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다음 2일 동안에 5회 증류수를 바꾸어 주면서 투석하여 염 성분을 포함한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였다. 투석막은 배제 분자량이 13,000kDa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투석 내분 분획을 진공 동결 건조하여 회수함으로써 배양액 1리터당 약 3g의 β-1,3/1,6-글루칸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HepG2 HeLa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의 항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국 종균협회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사로부터 입수한 인간 자궁 경부암 세포주(haman cervical carnoma cell line)인 HeLa 세포주 및 인간 간암 세포주(Ha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인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수준에서의 β-1,3/1,6-글루칸의 종양세포 증식 억제 효과 및 종양 세포 사멸 효과를 관찰하였다.
1-1) 종양 세포 증식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의 종양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TT 분석법(MTT assay)을 이용하였다.
HeLa 세포주를 56℃로 불활성화시킨 10% FBS, 1% L-글루타민, 1% 항생제/항균제(10,000U/ml의 페니실린, 25㎍/㎖의 암포테신 D 또는 10mg/㎖의 스트렙토 마이신)가 첨가된 DMEM 배지에서 37℃의 온도로 가습된 5% CO2 상태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1㎖당 1ⅹ105 개의 HeLa 세포를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12시간동안 배양한 후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멸균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을 0~550㎍/㎖의 농도로 처리한 후 37℃의 온도로 가습된 5% CO2 항온 반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되기 4시간 전에 암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각각의 웰에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브로마이드(이하, MTT라 함)(최종농도 0.5㎍/㎖)을 첨가하였다. 다음, 이소프로판올에 염산이 최종 농도 0.04N로 첨가된 용액 100ml를 넣고 약 20분간 실온에서 혼합한 후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5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epG2 세포에 대해서도 상기 MTT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측정된 암세포의 생존율로부터 종양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β-1,3/1,6-글루칸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HepG2 및 HeLa 세포의 암세포주의 생존율이 현격히 감소하였으며, 500㎍/㎖ 농도에서는 암세포 생존율이 20~40%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의 종양 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2) 종양 세포 사멸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의 종양 세포 사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 사멸(apoptosis)에 의한 DNA 분절(fragmentation)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HepG2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의 DNA로부터 세포 사멸의 여러 현상 중 세포의 사멸 단계에 나타나는 DNA의 분절을 각각 추출하였다. 이후 아가로스겔(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크기별로 분리하여 DNA의 일정한 절단 단편의 생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대조군 1로 하였으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각각 0.1, 0.2 및 0.3mg/ml의 양으로 처리한 것을 실험군 1 내지 3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에서는 DNA 단편화 현상이 발견되지 않으나,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처리한 실험군 1 내지 3에서는 암세포 DNA의 단편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로부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의 처리에 의해 암세포의 세포 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험동물을 이용한 항암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의 항암 효과를 실험동물 단계에서 검토하였다.
2-1) 고형암 형성 억제 효과
실험동물은 생후 5주된 25~30g의 웅성 Balb/c 마우스를 대한 바이오 링크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기간동안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동물 실험실의 온도는 22± 1℃, 습도 55± 5%로 유지하였다. 또한 12시간 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실험실내 명암주기(light-dark cycle)를 조절하였다.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서 1주일간 계대 배양하여 보존하고 있는 육종세포(sarcoma-180)를 실험용 종양세포로 사용하였다. 즉 실험 동물의 복강내에서 1주일간 배양된 sarcoma-180 세포를 복수와 함께 취하고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PBS)와 함께 원심분리(1,200rpm, 10min)하여 종양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다시 PBS에 부유시켜 재차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후 1.0×106 cells/㎖가 되도록 종양세포 부유액을 만들어 1㎖씩을 복강 주사하여 이식 보존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는 멸균된 PBS를 사용하여 조제하였으며 투여량은 마우스 ㎏당, 40㎎으로 하였다. 투여하지 않을 때는 냉동실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을 각 군당 10마리씩으로 하여 실험실에서 1주일 간격으로 계대 보관 중인 종양세포 부유액 0.2㎖(5×106 cells/mouse)씩을 실험 동물의 왼쪽 서혜부 (left groin)에 피하 이식한 후 일주일 후부터 4주간 매일 1회씩 시료 용액를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종양세포 이식 35일째 되는 날 치사시켜 생성된 고형암을 적출하고 그 무게를 측정한 후,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종양 성장 저해율(tumor growth inhibition ratio, IR: %)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5053209233-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Cw는 대조군의 평균 종양 무게이고, Tw는 처리군의 평균 종양 무게이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대신에 멸균 PBS만 투여한 군을 대조군 2로 하였으며, 실시예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군을 실험군 4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용량(mg/kg) 종양 무게(g) 종양 성장 저해율(%)
대조군 2 Sarcoma-180 - 4.90.5 -
실험군 4 Sarcoma-180+β-1,3/1,6-글루칸 40 3.90.4 2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rcoma-180 세포만을 이식한 대조군 2는 종양의 무게가 4.9g이었으나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실험군 4는 종양의 무게가 3.9g으로 감소하여 20%의 종양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에서 이상 증후군(탈모 등)은 나타나지 않아 본 실험에 이상이 없었다. 이로부터, β-1,3/1,6-글루칸 또한 실험동물에서 특별한 독성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세포주를 이용한 면역기능 증강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의 면역 기능 증강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의 두 반응 모두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로 특히 비 특이적 면역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U937 세포(미국 종균협회 ATCC사로부터 입수)를 사용하여 리소좀성 효소(lysosomal enzyme)의 활성 증가를 산 포스파타아제 분석법(acid phosphatase assay: APL)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산 포스파타아제의 활성도를 1로 하여, β-1,3/1,6-글루칸의 처리 농도에 따른 산 포스파타아제의 활성도를 상대비율로 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의 처리농도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대식세포 U937의 산 포스파타아제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처리 농도가 200 ㎍/㎖일 때 활성이 1.5배나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은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면역 기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항보체 활성( Anticomplement Activity)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이 보체들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체가 특이 항-적혈구항체(hemolysin) 존재 하에서 적혈구를 용해(hemolysis) 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한 보체결합반응(complement fixation test) 이라는 항체 검사법을 이용하여 총 용혈 보체(TCH50)의 억제율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보체의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정상 인간 혈청(Normal human serum), GVB++(Gelatin Veronal Buffered saline) 및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각각 동량 첨가하여 일차반응(37℃, 30 min)시켰다. 이를 10 내지 160 배율로 희석한 다음 감작 혈구를 첨가하고 2차 반응(37℃, 1 h)시킨 후 감작 혈구의 용혈 억제 정도를 흡광도 412nm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100, 500 및 1000 ㎍/㎖로 투여한 군을 실험군 5 내지 7로 하였으며, β-1,3/1,6-글루칸 대신에 동량의 LPS (lipopolysaccharide)를 투여한 군을 양성대조군 3 내지 5로 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보체 활성도를 증가시키며, 특히 1000 ㎍/㎖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양성대조군 3 내지 5와 비교하였을 때 저농도(100 및 500 ㎎/㎖)에서는 낮은 활성을 보였지만, 고농도(1000 ㎎/㎖)에서는 양성 대조군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은 높은 항보체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실험동물을 이용한 면역기능 증강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의 면역 기능 증강 효과를 실험동물 단계에서 검토하였다.
5-1) 대식세포 활성화 효과
실험동물은 생후 5주된 25~30g의 웅성 Balb/c 마우스를 대한 바이오 링크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기간동안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동물 실험실의 온도는 22± 1℃, 습도 55± 5%로 유지하였다. 또한 12시간 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실험실내 명암주기(light-dark cycle)를 조절하였다.
β-1,3/1,6-글루칸 시료는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조제하였으며 투여량은 마우스 ㎏당, 20㎎으로 하였으며, 투여하지 않을 때는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을 각 군당 5마리씩으로 하여 실험실에서 전처리한 시료를 600㎕(1㎎/㎖)씩 매일 복강 주사하였다. 2일 및 3일 경과 후 마우스를 단두하여 혈액을 얻고 대식세포는 복강 세척으로 획득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생쥐 복강에서 회수한 대식세포 수가 1× 106개/㎖ 이 되도록 RPMI-1640 배지에 재분산시키고, 이 분산액을 96-웰 플레이트 각 웰에 200㎕씩 분주한 다음 37℃에서 2시간 동안 CO2 배양하여 대식세포를 웰에 고정시킨 후 각 웰에 RPMI-1640 완전배지(with 10% FBS)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단일층에 0.1% 트리톤(Triton) X-100을 첨가하여 세포막을 용해시켜 이때 분비되는 리소좀성 포스파타아제의 양을 ELISA 판독기(ELISA reader)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식세포의 활성능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군을 실험군 8로 하고, 상기 β-1,3/1,6-글루칸 대신에 식염수(saline)를 투여한 군을 대조군 6으로 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in vivo(생체 내)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 대조군 6의 활성을 100%로 보았을 때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실험군 8은 137%의 산 포스파타아제 활성 증강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은 생체 내 조건에서 대식세포 증식능을 나타내어 우수한 생체내 면역능 증강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5-2) 비장 세포 증식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 처리 후 비장의 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비장 지수(spleen index)를 측정하였다. 상기 비장 지수는 비장의 무게 변화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하기 수학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5053209233-pat00003
생후 5주된 25~30g의 웅성 Balb/c 마우스(대한 바이오 링크사로부터 구입)를 각 군당 5마리씩으로 분류한 후 실험실에서 전처리한 시료를 600㎕(1㎎/㎖)씩 매일 복강 주사하였다. 이때 시료는 상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시료를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조제한 후 마우스 ㎏당, 20㎎으로 투여하였다. 3일 경과 후 마우스를 치사하여 비장을 채취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군을 실험군 9로 하고, 상기 β-1,3/1,6-글루칸 대신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투여한 군을 양성 대조군 7로,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음성 대조군 8로 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β-1,3/1,6-글루칸 처리 후 비장 지수를 측정한 결과, 도 7과 같이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 8에 비하여 실험군 9에서의 비장 지수는 8%의 증가되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은 비장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β-1,3/1,6-글루칸을 3일간 복강투여한 후, 비장 유래 세포와 대식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군을 실험군 10로 하였으며, β-1,3/1,6-글루칸 대신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대조군 10로 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장 유래 세포수(X104개) 대식 세포수(X104개)
2일 3일 2일 3일
대조군 10 생리식염수 109 138 124 210
실험군 10 β-1,3/1,6-글루칸 126 112 207 390
표 2와 같이 비장 세포의 경우는 큰 변화양상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대식세포의 경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투여 후 세포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5-3) 임파구 증식 효과
또한, 실시예 1의 β-1,3/1,6을 3일간 복강 투여 후 채취한 혈액에서의 임파구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군을 실험군 11로 하였으며 β-글루칸 대신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대조군 11로 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혈구 중에 임파구 수의 비율에서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을 투여한 실험군 11이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1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면역을 조절하는 임파구 수가 많은 것이므로, 그 만큼 면역 조절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β-1,3/1,6-글루칸은 하기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하기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200mg
유당 100mg
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10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갭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1000mg
설탕 20mg
이성화당 20m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100mg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프로필파라벤 0.1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부피가 2ml가 되도록 제조한 후 2ml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메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β-1,3/1,6-글루칸 10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칼슘 0.5mg
비타민 E 1.0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 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 제형의 건강 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β-1,3/1,6-글루칸은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 효과가 우수하여, 암질환 및 면역 저하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β-1,3/1,6-글루칸은 하기 화학식 1을 반복구조로 포함하는 것인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09094980-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젖산기이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β-1,3/1,6-글루칸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 에서 유래된 것인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β-1,3/1,6-글루칸은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β-1,3/1,6-글루칸은 하기 화학식 1을 반복구조로 포함하는 것인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09094980-pat00016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젖산기이다.)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β-1,3/1,6-글루칸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에서 유래된 것인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β-1,3/1,6-글루칸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β-1,3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주쇄를 포함하고,
    상기 포도당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된 포도당과 β-1,6 결합으로 연결된 젠티오바이오즈(gentiobiose)인 수용성 β-1,3/1,6-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β-1,3/1,6-글루칸은 하기 화학식 1을 반복구조로 포함하는 것인 암질환 예방 및 면역 기능 증강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7009094980-pat00017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젖산기이다.)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β-1,3/1,6-글루칸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SM2001 (KCCM 10307)에서 유래된 것인 암질환 예방 및 면역 기능 증강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50088627A 2005-09-23 2005-09-23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KR10070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627A KR100709289B1 (ko) 2005-09-23 2005-09-23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627A KR100709289B1 (ko) 2005-09-23 2005-09-23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211A KR20070034211A (ko) 2007-03-28
KR100709289B1 true KR100709289B1 (ko) 2007-04-19

Family

ID=4162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627A KR100709289B1 (ko) 2005-09-23 2005-09-23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102A (ko) 2015-12-30 2017-07-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스베라트롤과 타크롤리무스의 병용투여에 의한 면역 반응 개선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701A (ja) * 1993-06-01 1994-12-13 Nippon Oil Co Ltd 高分岐度β−グルカン、その製造法及び用途
WO2004078188A1 (ja) * 2003-03-07 2004-09-16 Aureo Co., Ltd. βーグルカン含有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利用した便秘改善剤、免疫賦活剤並びに皮膚用保湿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701A (ja) * 1993-06-01 1994-12-13 Nippon Oil Co Ltd 高分岐度β−グルカン、その製造法及び用途
WO2004078188A1 (ja) * 2003-03-07 2004-09-16 Aureo Co., Ltd. βーグルカン含有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利用した便秘改善剤、免疫賦活剤並びに皮膚用保湿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102A (ko) 2015-12-30 2017-07-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스베라트롤과 타크롤리무스의 병용투여에 의한 면역 반응 개선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211A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Polysaccharides in Lentinus edodes: isolation, structure,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future prospective
Won et al. Immunostimulating activity by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fruiting body of Inonotus obliquus
KR101774566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우수한 효소처리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용도
KR101373263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68381B1 (ko) 녹차 가수분해물의 면역기능 증강 및 식품 조성물 제조 방법
US10105439B2 (en) Polysaccharide fraction originating in persimmon leaf with immunostimulating activation and antitumor activ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Horie et al. The potency of a novel fermented unripe banana powder as a functional immunostimulatory food ingredient
KR101746388B1 (ko)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3749B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660969B (zh) 具有自然免疫活化作用之多醣類及含有該多醣類之自然免疫活化劑或飲食品
Yao et al. Polysaccharides from brown seawe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bsorption in the intestine, and beneficial effects on intestinal barrier
KR100709289B1 (ko) β-글루칸을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 기능 증강용 약학조성물
KR100457270B1 (ko) 효모변이주 아이에스투 유래 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함유하는 면역활성용 또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6280A (ko) 타히보 추출물 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210003994A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6783B1 (ko) 백수오 추출물 또는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W201936065A (zh) 腸道屏障功能改善用組成物
KR101629656B1 (ko) 면역증강효과를 갖는 수용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05009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29164B2 (en) Immune-enhancing composition comprising arabinoxylan from corn or corn processing by-product
KR100893533B1 (ko)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De Oliva-Neto et al. Yeasts as potential source for prebiotic β-glucan: Role in human nutrition and health
KR101989980B1 (ko) 청귤 추출박 또는 청피 유래의 항암 또는 면역활성 다당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45734B1 (ko) 참송이 버섯 유래 변성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항암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